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狂’字의 용례 및 ‘狂者精神’에 관한 연구

        조민환(Jo, MinHwa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8 道敎文化硏究 Vol.49 No.-

        본고는 ‘狂’字 용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탐구하고 아울러 ‘광자정신’이 갖는 철학적, 예술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狂’자는 ‘敬’자와 마찬가지로 중국문화를 읽어낼 수 있는 또 다른 키워드로서, 중국문화에서 문인사대부들이 언급한 狂字는 의학적 차원의 미치광이는 아니다. 이 狂字는 어떤 관점에서 이해하느냐에 따라 부정적인 이해와 긍정적인 이해가 나타난다. 狂字를 유가의 중화미학과 禮法을 중심으로 하여 이해할 경우에는 부정적인 이해가 많다. ‘下學而上達’을 추구할 것을 강조하는 朱熹가 그 하나의 예다. 하지만 시·서·화 창작과 관련되어 이해된 狂字는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거나 혹은 자신만의 자유로운 정신을 표현하는 것과 연계되어 말해질 경우에는 긍정적인 이해가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創新적 예술창작을 꾀한 많은 예술가들은 이 같은 狂字에 담긴 狂氣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기도 하였는데, 특히 ‘狂者胸次’를 말한 왕수인의 견해는 이런 점의 싹을 틔운 것에 해당한다. 이처럼 狂字를 통해 드러난 ‘狂者精神’은 중국의 윤리, 철학, 예술적 측면에서 보면 비록 지향하는 뜻이 높다보니 실천성에서는 미진한 점이 있지만, 대부분 유가의 禮法을 지키지 않은 자유분방한 행동과 자신의 진정성에 입각한 정신적 역량을 자유롭게 펼치는 것, 기존의 진리라고 여겨진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무한하게 펼치게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This essay explore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kuang" in the Oriental scriptures, focusing on the "kuang" discussed in the artistic or aesthetic dimension. This is because it is another keyword that can read Chinese culture like "respect". In Chinese culture, the photon mentioned by literary men is not a madman of medical discipline. The meaning of the "kuang" is extended to freely expressing his emotions while being associated with the creation of the art of poetry art, as well as being entrusted to his natural nature, or extended to a free spirit owner who performs free gestures on the level of acting proudly or arbitrarily. In this respect, many artists who are trying to create many innovative arts have positively understood this madness. The spirit of "kuang" revealed through this "kuang" is meant to be free from unfavorable behavior and infinite mental capacity that do not follow the rules of oil prices mostly in terms of ethics, philosophy, and art, but it is meaningless in practicality, And to infiltrate his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finitely without accepting what is considered to be an existing truth, and the lives and thoughts that they have done are the creative arts of artists who want to practice the supreme world where there are occasional distances from human real life It was also the basis of spiri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감응(感應)·감발미학(感發美學)에 나타난 윤리성(倫理性) 연구 - `상(象)`자(字)에 나타난 미적인식(美的認識)을 중심으로 -

        조민환 ( Jo Minhw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7 No.-

        동양철학에서의 감응론은 인간과 인간은 물론 자연,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성을 말해준다. 이런 감응론은 천인합일, 천지만물일체사상 에서 출발한다. 감응론과 관련된 氣化論的 우주론은 陰陽의 관계에 주로 나타난다. 즉 음과 양의 변화에 의한 천지자연의 변화는 음과 양의 교접과 감응에 의해 일어난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자연현상과 인간의 삶에서는 “부류로 서로를 좇고(以類相從)”, “같은 기로 서로를 구하고(同氣相求)”, “같은 소리로 서로 응한다(同聲相應)” 라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감응론은 인간의 마음이 사물과 접하는 상황에서는 감발론으로 나타난다. 이같은 감응론과 감발론에서 항상 문제삼는 것은 감응하기 이전, 감발하기 이전의 마음 상태를 문제 삼는다. 먼저 寂然不動이나 無思無慮, 未發之中의 靜을 요구하고, 아울러 已發했을 때의 긍정적 측면과 관련해 未發에서의 善의 상태도 요구한다. 이런 사유를 통해 제시된 감응론과 감발론은 윤리적 감발론에 해당한다. 천지자연에 대한 감응과 감발의 결과는 象字로 요약된다. 이른바 『주역』의 觀物取象과 立象盡意가 그것이다. 동양예술은 이같은 상자에 대한 미적 인식에서 출발하는데, 실제 예술창작과 관련될 때는 작가가 이 象을 체득하고 그 체득한 것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을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천지대자연의 도 리, 이치가 담겨 있는 象에 대한 체득의 방법으로 味象, 神遇, 心悟할 것을 제시한다. 즉 象을 통한 인간과 자연의 합일인 心物交融, 情景融合을 요구하고 이런 점은 감응미학의 핵심이 되는데, 그것에는 예술창작자의 윤리적 마음가짐이 요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entence theory tells the organic relation of nature, human and nature as well as human being and human being. This kind of sentence theory starts from the idea of all-unity, all-inclusive. Evolutionary cosmology in sentence theory is mainly related to Yin - Yang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change of natural and physical phenomena caused by the changes of yin and yang are caused by the contact and response of yin and yang. Specifically, in natural phenomena and human life, they "follow each other in a class," "save one another in the same way," and "respond to each other with the same voice." First, it demands the quietness of not moving, thinking, not thinking, being in the middle of not yet working. It also requires a state of good when it has not yet worked in rela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being exposed and working. The view on this feeling is a theory about the feelings of an ethical dimension. The result of the response to nature and nature is summarized in form. That is, to look at the object of the so-called "protagonist" and to take the form, and to do the intention to say the figure. Starting from this reason, in the creation of actual art, the artist needs to acquire this figure and express it beautifully. In addition, it tries to taste the form of the way of learning about the image of the nature and the nature contained in the nature of the heaven and earth, and to realize it with the mind. In other words, it requires the unity of man and nature through the image, which is expressed specifically as a fusion of mind and object. The fusion of mind and object starts from the framework of the unity of man and all things.

      • KCI등재

        마가선(馬嘉善) ‘「24다품(茶品)」’의 미학적 고찰 - ‘청(淸)’자(字)의 인품론 및 비덕(比德) 사유를 중심으로 -

        조민환 ( Jo Minhwa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41 No.-

        본 논문은 현대인 馬嘉善이 말한 ‘「24茶品」’에서 우선시한 인품론에 담긴 의미와 茶의 성질을 가장 명확하게 규명한 ‘淸’자에 담긴 의미를 문인들의 문화적 취향과 심미의식 및 비덕의 사유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중국예술에서는 인품론 차원에서 예술가를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다. 즉 최고의 인품이 있어야 최고의 예술이 있다는 것은 중국예술의 定論인데, 다도에도 이런 사유가 거의 그대로 적용된다. 馬嘉善은 ‘「24다품」에서 인품을 제일 먼저 거론한다. 이처럼 ’다품에서 인품을 강조하는 사유는 이제 단순히 음료로서의 茶가 아니라 그것을 인간화하고 比德化하면서 士人들의 高雅하면서 脫俗적인 君子의 人格에 비유하는 경향을 반영한다. 즉 문인 자신들이 마시는 다를 통해 자신들이 지향한 삶과 미의식을 담겨 있다. 이같은 문인들의 ‘飮茶문화’의 핵심에 해당하는 용어가 바로 ‘淸’자다. 茶品에서 거론한 淸高한 영성은 修身養性, 陶冶情操는 물론 더 나아가 通仙靈, 參禪悟道하는데 도움을 주어 사람들로 하여금 世俗의 羁絆을 벗어나게 하는 공효성이 있다. 아울러 다를 마시는데 장소, 인물, 공간적 상황에서 ‘尙淸’과 관련된 조건을 내세우는데 그것은 다를 단순히 음용식물로만 여긴 것이 아니고 문인들이 추구하는 우아한 삶과 탈속적인 맑은 삶[淸]을 대변하는 문화식품으로서 이해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문인들이 마시는 다는 이른바 문인들의 우아한 삶과 격조 있는 문화가 담긴 문화식품이란 점에서 일반인들이 마시는 다문화와 차별화되었다. In this paper,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theory of personality and the meaning of tea in ‘Qing’ which is the most prevalent in the ‘24 items’ mentioned in Hyundai man Ma Ji-Zen is defined as the cultural taste, aesthetic consciousness, It is intended to clarify through reason. In Chinese art,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evaluate artists in terms of the theory of personality. In other words, having the best personality is the best art, which is a definite subject of Chinese art. Ma Ji-Zen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people in “24 multi-product”. Thus, the reason for emphasizing the character in the “bosom of tea” is not merely a tea as a drink, but rather a humanization and virtue. It is likened to the noble and degenerate personality of the monks. Thus, the literary people have a life and a sense of aesthetics through which they drink. It is the ‘Qing’ that expresses the core of the literary culture of drinking tea. The ‘clear and noble spirituality’ which is mentioned from the different criticism, contains the things to wipe the body, to nurture the nature, Furthermore, it is useful to let the people get out of the world by giving thanks to the spirituality of the freshness, helping to awaken from the zenith. In addition, we are drinking different things, in terms of places, characters, and spatial situations, which are related to “respecting the sunshine.” It is not merely a drinking plant, but rather an elegant life pursued by literati and an ostentatious clean life ‘Cultural food’. In this respect, the literati’s drinking reflects the so-called culture of elegant literary life and cul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