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기용매와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바이오 부탄올 추출발효 용매 선정 평가

        조민옥(Min Ok Cho),이선미(Sun-Mi Lee),상병인(Byoung-In Sang),엄영순(Youngsoon Um) 한국생물공학회 2009 KSBB Journal Vol.24 No.5

        본 연구에선 바이오부탄올 생산을 위한 추출발효에 적용하고자 부탄올 추출에 효율적이고 미생물에 독성을 주지 않는 적합한 추출용매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추출 용매를 선정하기 위하여 부틸 부틸레이트, oleyl alcohol, 친환경 용매인 소수성 이온성 액체 2 종류를 이용하여 분배계수를 구한 결과, 부틸 부틸레이트와 oleyl alcohol이 높은 부탄올 분배계수를 나타내었고 부탄올 농도 1-20 g/L와 pH 4-5.5 범위에서 80% 이상의 우수하고 안정적인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미생물에 독성이 없는 oleyl alcohol를 사용한 회분식 추출발효에서는 추출을 하지 않은 회분식 배양보다 11% 향상된 부탄올 생산을 보였다 (11.2 g/L vs.12.4 g/L). 이는 배양액 내의 부탄올이 추출되어 배양액 내의 부탄올 농도가 낮게 유지됨으로써 부탄올 독성 영향이 감소되었고, 이로 인해 향상된 부탄올 생산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Oleyl alcohol:부틸부티레이트 부피비를 9:1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했을 경우는 미생물 생장에는 저해 영향이 미미했으나 부탄올 생산은 추출발효를 하지 않은 회분식 배양에 비해 60%에 그쳤다. 부틸부티레이트를 20% 이상 미생물 생장에 심각한 저해를 주는 것으로 관찰되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실험에 사용된 4가지 추출 용매 중에서 oleyl alcohol이 미생물에게 독성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부탄올 추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oleyl alcohol을 바이오 부탄올 연속 추출발효에 적용한다면 향상된 부탄올 생산성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leyl alcohol, butyl butyrate, and two different ionic liquids were evaluated for the extraction of butanol from culture broth without toxic effect to cells. The tested solvents showed more than 50% extraction efficiency, and oleyl alcohol was chosen as the best extractant for butanol among the used extractants with a partition coefficient of 2.89. When oleyl alcohol was used as an extractant, more than 80% of butanol was extracted in the wide range of butanol concentrations (1-20 g/L) and pH values (pH 4-5.5). In extractive fermentation using oleyl alcohol only, there was 11% more butanol production and glucose consumption when compared to that without extractive fermentation, implicating a reduced inhibitory effect of butanol due to butanol removal to the oleyl alcohol phase. In addition, oleyl alcohol did not inhibit cell growth, while a mixture of oleyl alcohol and butyl butyrate with the volume ratio of 9:1~7:3 inhibited either butanol production or cell growth significantly due to the toxicity of butyl butyrate to cells. In conclusion, oleyl alcohol can be used as an efficient and non-toxic solvent for extractive fermentation for butanol production.

      • KCI등재

        SWMM을 이용한 유역개발 전ㆍ후의 홍수량 변화 분석

        조민옥(Cho Min Ok),윤재영(Yoon Jae Young),장수형(Jang Su Hyung),윤용남(Yoon Yong Nam)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2B

        재해영향평가 지침서(2005)에서는 유역의 개발전과 후의 수문학적 영향평가를 위해 여러 유출량 산정모형의 조합을 적용하여 타당성 도출방안을 제안하였다. 자연하천유역 유출모형인 Clark 단위도법과 SCS 무차원 단위도법은 도시하천유역의 내배 수 시설이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도시하천유역 유출모형인 ILLUDAS모형이나 SWMM을 적용한다. 그러나 개발 전과 후의 모형을 다르게 적용할 경우 모형간의 매개변수와 유출계산과정이 상이하여 개발에 따른 유출변화의 차이와 더불어 적용모형의 상이성에 의한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발 전과 후에 SWMM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모형의 상이성에 따른 오류를 최소화하여 재해영향평가에서 수문학적 평가모형의 정확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측자료가 있는 유역을 선정하여 SWMM의 자연하천유역에서의 적용성 검토와 함께 기 시행된 재해영향평가 지역을 선정하여 산정모형의 조합별 결과와 검토함으로써 미계측 유역에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검토결과, 자연하천유역에서 매개변수를 보정하지 않는 조건과 실측자료를 이용한 검증 결과에서 SWMM에 의해 산정된 결과가 실측치와 유사하게 모의 되었으며, 기존 재해영향평가 대상 사업지구에 대한 여러 모형조합과의 검토에서도 다른 모형조합에 비해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미계측 유역의 재해영향평기에서 개발 전ㆍ후 모형의 상이성에 따른 오류를 최소화하고 합리적인 수문학적 영향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manual of disaster impact assessment by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models be combined to evaluate the hydrologic impact of develop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credible model combination. For post-development condition, it is often the case that synthetic hydrograph methods such as Clark unit hydrograph and SCS dimensionless hydrograph are not preferred methods as they do not explicitly account for urban drainage system. For this reason, urban hydrology models such as ILLUDAS and SWMM are used for post-development condition. However, the common use of synthetic hydrograph method for pre-development condition with urban model for post-development condition can be problematic due to their different model conceptualizations and parameterizations. In this study, such an issue is addressed by proposing the same urban hydrology model to be applied to both pre-and post-development conditions. To that end, popular urban hydrology model SWMM was selected and first tested for natural watershed in order to verify its appli-cablity to natural basins. From these applications with and without calibration, the SWMM was found to match the observed data reasonably well. With the successful model verification in natural watersheds, the SWMM was accordingly used to assess the hydrologic impact of development. The assessment results by SWMM were compared to the ones obtained in the previous disaster impact assessments at several location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WMM for both pre- and post-development conditions made it possible to correct erratic result of the urbanization impact such as the decrease of peak flow and increase of time to peak exhibited by previous disaster impact assessments. Proposed method of using the S WMM model for both pre-and post-development conditions is thought to be a corrective approach to the existing evaluation method of hydrologic impact due to development.

      • KCI등재

        서비스 실패와 감동의 순서 효과

        김주영 ( Juyoung Kim ),이주용 ( Joo Yong Lee ),박재현 ( Jaehyeon Park ),조민옥 ( Minock Jo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3

        경영자는 늘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가져 올 것인가를 고민하게 된다. 특별히 서비스 기업의 경우 소비자의 기대수준이 개개인과 상황에 따라 다르고 서비스의 이질적인 특성상 항상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서비스 제공자가 조금이라도 더 효율적인 서비스 설계와 자원의 배분을 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와 감동의 분포패턴에 따라 소비자가 인지하는 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하고, 나아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기대불일치 이론에 근거하여 설명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레스토랑에서의 경험을 6가지 접점 단계로 구분하고(예약-주차-입장-주문-식사-계산), 각 접점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사건들의 시나리오를 통해 소비자들의 기대수준과 인지성과수준, 그리고 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 접점 단계에서의 기대수준과 인지성과수준은 각 접점 단계에서 수시로 형성과 변화를 반복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 접점에서의 기대수준은 사전접점의 기대수준과 사전접점의 불일치수준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한 접점에서의 인지성과수준은 사전접점의 인지성과수준, 사후접점의 기대수준, 그리고 사후접점의 일반적인 인지성과수준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서비스 접점에서 발생되는 서비스 실패와 감동의 분포패턴, 즉, 서비스 실패와 감동의 순서 및 위치에 따라 서비스 전반적인 만족도에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근접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1)서비스 실패 후 감동의 순서(FD)가 서비스 감동 후 실패의 순서(DF)보다 소비자에게 더 큰 만족도를 느끼게 한다. (2)서비스 감동 후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DF)에는 서비스 전체단계들 중 서비스 감동이 상대적으로 후행접점에서 발생하는 것이, 서비스 실패 후 감동이 발생하는 경우(FD)에는 서비스 실패가 서비스 전체단계들 중 상대적으로 선행 접점에서 발생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더 큰 만족도를 느끼게 한다. 서비스 실패가 발생하고 두 단계의 보통의 서비스를 경험한 후 감동이 발생하는 경우(FNND)에는 서비스 실패가 서비스 전체단계들 중 상대적으로 선행 접점에서 발생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더 큰 만족도를 느끼게 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서비스 접점 단계에서 다양한 조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실패와 감동에 대응하여 어느 접점에 자원을 집중해야 할지를 안내해 줄 수 있을 것이다. Managers always want maximized output with minimized input. Especially, for service providers, it is very difficult to offer error-free service to their customers because of fluctuating customers’ expectation and situation, and the nature of heterogeneity. Then how service providers can achieve more efficient service design and better resource alloc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difference of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distribution of service failure and delight on service process. Furthermore, I tried to explain the mechanism of difference with Oliver’s disconfirmation theory. In this study, one experience of a restaurant is divided into 6 encounters such as reservation-parking-entering-ordering-meal-billing. And customers’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overall satisfaction has been measured under various scenarios. After regression models of expect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have been verified, following facts regarding expect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were observed. Expect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are consistently formed and changed on the service process. Customers’ expectation on a certain encounter is effected by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on the prior encounter. Customers’ perceived performance on a certain encounter is effected by perceived performance on the prior encounter, expectation of the encounter, and general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encounter. There is a different in satisfaction depending on sequence and timing of distribution pattern of service failure and delight, but not proximity. To put it concretely, (1)Service failure followed by delight has bigger satisfaction than service delight followed by failure. (2)When service delight followed by failure occurs, occurring in late stage has bigger satisfaction than occurring in early stage. When service failure followed by delight occurs, occurring in early stage has bigger satisfaction than occurring in late stage. When service delight occurs after failure with a certain distance, occurring service failure in early stage has bigger satisfaction than occurring in service failure late stage. In the result of this study, service provides would be able to respond to possible service failures and delights on the service process with mor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 시각과 청각 자극이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광현,김유민,김현아,서한빛,손원빈,송은지,신수진,안하림,이충정,조민옥,김민희,Park, Kwang-Hyun,Kim, Yu-Min,Kim, Hyun-A,Seo, Han-Bit,Son, Won-Bin,Song, Eun-Ji,Shin, Su-Jin,Ahn, Ha-Rim,Lee, Choong-Jung,Cho, Min-Ok,Kim, Min-Hee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6 PNF and Movement Vol.1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on the ability to perform exercise. Methods: One hundred twenty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Green light and Fast tempo music, GF; Green light and Slow tempo music, GS; Red light and Fast tempo music, RF; and Red light and Slow tempo music, RS). One of either two visual stimuli or one of two auditory stimuli were applied to each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randomly twice in two environments: one had visual and auditory stimuli and one had no stimulation. Muscle strength, grip, endurance, quickness, agility, concentration, and balance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ability to perform exercis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uscle strength of the participants who were exposed to the auditory factor and the interaction of visual and auditory factors. In endura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of the factors: visual, auditory, and the interaction of visual and auditory. In quickness, agility, and balance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sual factor. In concent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uditory factor. Conclusion: Visual stimuli, auditory stimuli, and their interaction influenced the ability to perform exercise. These facts imply that providing the proper environmental stimulation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bility to perform during exer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