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관개용(灌漑用) 저수지(貯水池)의 연평균퇴사량(年平均堆砂量)과 저수용량(貯水容量) 감소율(減少率)의 산정(算定)

        윤용남,Yoon, Yong Nam 대한토목학회 198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 No.1

        현재(現在) 실무(實務)에 사용(使用)되고 있는 저수지내(貯水池內)에 퇴사량(堆砂量)의 추정방법(推定方法)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으며 국내(國內) 113개(個) 관개용(灌漑用) 저수지(貯水池)의 퇴사실측자료(堆砂實測資料)를 사용하여 저수지(貯水池) 퇴사량(堆砂量)과 유역면적(流域面積) 및 저수지(貯水池)의 토사포착효율간(土砂捕捉效率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맺는 다회귀모형(多回歸模型)을 제안(提案)하였다. 제안(提案)된 모형(模型)의 적합성(適合性)을 실측자료(實測資料)로부터 증명하였으며 저수지내(貯水池內)로의 연비유사량(年比流砂量)을 유역면적(流域面積) 및 저수지(貯水池)의 토사포착효율(土砂捕捉效率)과 상관(相關)시켰다. 저수지내(貯水池內)로의 연평균퇴사율(年平均堆砂率)과 연평균저수지내용적(年平均貯水池內容積)의 변동(變動)은 저수지(貯水池)의 토사포착효율(土砂捕捉效率)에 의해 크게 좌우(左右)됨이 증명되었으며 저수지상류(貯水池上流)의 하천유로(河川流路)에 미치는 토사유출(土砂流出)의 영향을 양적(量的)으로 평가(評價)하기 위해서도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안(提案)된 퇴사량(堆砂量) 추정모형(推定模型)을 적용(適用)할 수 있음을 벽곡저수지(貯水池) 유역(流域)에 대하여 증명(證明)하였다. The predictive equations for reservoir sedimentation rate now in use are extensively reviewed, and the equation of multiple regression type, in which the reservoir sedimentation rate is related with the watershed area and the trap-efficiency, is proposed based on the 113 irrigation reservoir resurvey data. The predictive relation so obtained proved to be a reasonable measure for the estimation of reservoir sedimentation rate. The relationship of sediment yield with the watershed area and with the reservoir trap efficiency is also analyzed. The variations of sedimentation rate and of the annual reservoir capacity loss rate was shown to heavily depend on the trap-efficiency of a reservoir. Besides, the effect of sedimentation on stream channels is confirmed and quantified based on the predictive equation derived in the present study.

      • An Experimental Study of Backwater Effects Caused by Piers in the Covered Reach of Urban Streams

        윤용남,안재현,김진관,Yoon, Yong-Nam,Ahn, Jae-Hyun,Kim, Jin-Kwa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996 물과 미래(한국수자원학회지) Vol.29 No.3

        The hydraulics of flow within the covered reach of urban streams is very complicated due to the accumulation and interference effect of eddies around the multiple piers supporting the covering slab. An extensive experimental study is done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backwater rise effect caused by various arrays of multiple piers. The factors governing the backwater rise are found out to be the contraction ratio due to the piers, Froude number of the flow, longitudinal pier spacing, and the length of the covered reach. For a single section of lateral pier arrays the effect of contraction ratio and Froude number on the backwater rise is analyzed and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is derived. The effect of multiple piers, arrayed in both later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n the backwater rise is analyzed in terms of the contraction ratio, Froude number,longitudinal pier spacing and the total length of the covered reach.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for the backwater rise estimation is proposed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collected in the present study. 도시하천의 복개구간내 흐름의 수리는 복개슬라브를 지지하는 말뚝군 주위에 발생하는 과류의 중첩 및 간섭효과 때문에 대단히 복잡하다. 본 연구에서는 말뚝군의 여러 가지 배치에 따른 배수위 상승효과를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광범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배수위 상승을 지배하는 인자로는 말뚝군으로 인한 흐름단면의 축소율과 흐름의 Froude 수, 흐름 방향으로의 말뚝군 간격, 복개구간의 총길이 등으로 밝혀졌다. 흐름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교각을 설치한 경우 단면 축소율과 흐름의 Froude수가 배수위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배수위 상승량의 산정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식을 도출하였다. 흐름의 횡방향 및 종방항으로 배치시킨 말뚝군이 배수위 상승에 미치는 영향도 단면 축소율, 흐름의 Froude 수, 흐름방향의 말뚝간 간격 및 복개구간의 총길이 등의 항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자료의 다중회귀분석에 의해 이들 영향인자를 사용하여 배수위 상승률을 산정할 수 있는 경험식을 도출,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월유하량(月流下量)의 추계학적(推計學的) 모의발생자료(模擬發生資料)를 사용(使用)한 저수지(貯水池) 활용(活用) 저수용량(貯水容量)의 확률론적(確率論的) 결정(決定)

        윤용남,윤강훈,Yoon, Yong Nam,Yoon, Kang Hoon 대한토목학회 198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6 No.3

        댐 지점(地點)에서의 저유량(抵流量)의 지속기간(持續期間)과 재현기간(再現期間)을 고려하여 저수지(貯水池)의 활용(活用) 저수용량(貯水容量)을 확률론적(確率論的)으로 결정하는 방법(方法)을 제안하였다. 확률론적(確率論的) 분석(分析)의 신뢰도를 제고시키기 위해 월유량(月流量) 자료계별(資料系別)의 모의발생(模擬發生)에 흔히 사용되는 모의모형(模擬模型) 중 Monte Carlo 모형(模型)과 Thomas Fiering 모형(模型)의 적합성(適合性)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월유량(月流量) 자료계열(資料系列)을 표준화(標準化)한 계열월유량자료(系列月流量資料)를 근거로 하는 Monte Carlo 모형(模型)(Monte Carlo-B)이 최적모형(最適模型)으로 선정되었다. Monte Carlo-Bah 모형(模型)에 의해 홍천(洪川)댐 지점(地點)에 대한 200 년간(年間)의 월유량계열(月流量系列)을 발생시켰으며 이로 부터 각종(各種) 지속기간별(持續期間別) 저유하량(抵流下量) 계열(系列)을 작성하였다. 여러 크기의 용수수요(用水需要)를 표시하는 상시유량(常時流量)에 대하여 지속기간별(持續期間別) 저유하량(抵流下量) 계열(系列)의 누가용적해석(累加容積解析)을 실시함으로서 활용저수용량(活用貯水容量)-상시유량(常時流量)-재현기간(再現期間)(Active Storage Draft Recurrence Interval) 관계가 수립되었으며 이 관계(關係)는 조발재현기간별(早魃再現期間別)로 용수수요(用水需要)를 보장할 수 있는 저수지(貯水池)의 활용용량(活用容量)을 결정하는 기준(基準)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 관계(關係)를 사용하여 저수지(貯水池)의 설계재현기간별(設計再現期間別) 만수위(滿水位) 표고별(標高別) 상시가용수량(常時可用水量)을 추정하는 방법(方法)과 특정(特定) 저수지(貯水池)의 용수공급능력(用水供給能力)을 평가(評價)하는 방법(方法)을 예시(例示)하였다. A methodology for the probabilistic determination of active storage capacity of an impounding reservoir is proposed with due considerations to the durations and return periods of the low flow series at the reservoir site. For more reliable probabilistic analysis the best-fit stochastic generation model of Monte Carlo type was first selected for the generation of monthly flow series, the models tested being the Month Carlo Model based on the month-by-month flow series (Monte Carlo-A Type), Monte Carlo Model based on the standardized sequential monthly flow series (Monte Carlo-B Type), and the Thomas-Fiering Model. Monte Carlo-B Model was final1y selected and synthetic monthly flows of 200 years at Hong Cheon dam site were generated. With so generated 200 years' monthly flows partial duration series of low flows were developed for various durations. Each low flow series was further processed by a nonsequential mass analysis for specified draft rates. This mass analysis furnished the storage-draft-recurrence interval relationship which gives the reservoir storage requirement for a specified water demand from the reservoir during a drought of given return period. Illustrations are given on the application of these results in analyzing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a particlar reservoir, existing or proposed.

      • KCI우수등재

        소하천유역(小河川流域)의 계획홍수량(計劃洪水量) 산정방법(算定方法)의 개발(開發)

        윤용남,안태진,Yoon, Yong Nam,Ahn, Tae Jin 대한토목학회 198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 No.1

        본(本) 연구(硏究)는 단위유량도이론(單位流量圖理論)에 근거하여 소하천유역(小河川流域)의 계획홍수량(計劃洪水量)을 결정할 수 있는 일련(一聯)의 경험적(經驗的)인 절차(節次)를 개발한 것이다. 특정재현기간(特定再現期間)의 홍수량(洪水量)은 유역면적(流域面積)에 재현기간(再現期間)에 해당되는 강우능계수(降雨能係數)와 강우특정기간별(降雨特精期間別) 유출능계수(流出能係數) 및 첨두홍수량(尖頭洪水量) 감소계수(減少係數)의 곱으로 표시(表示)하였다. 강우능계수(降雨能係數)와 유출능계수(流出能係數)의 결정방법(決定方法)은 본(本) 연구이전(硏究以前)에 수행된 연구(硏究)(13)에서 정립(定立)된 바 있어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첨두유량감소계수(尖頭流量減少係數)를 결정하는 방법(方法)을 개발(開發)한 후 경안천(慶安川)의 한 지점유역(地點流域)에 대한 50년홍수량(年洪水量)을 이 방법(方法)으로 산정(算定)하여 이를 타홍수량(他洪水量) 추정방법(推定方法)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첨두홍수량(尖頭洪水量) 감소계수(減少係數)는 면적집성법(面積集成法)에 의해 유도된 소유역별(小流域別) 단위도(單位圖)로부터 산정(算定)된 유역(流域)의 지체시간(遲滯時間) 대비(對比) 강우(降雨)의 특정시간(特精時間)을 변량(變量)으로 하여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수립되었으며, 지체시간(遲滯時間)은 유역(流域)의 지형인자(地形因子)인 유로연장(流路延長) 및 평균유로경사(平均流路傾斜)와 상관(相關)시켰다. This study is an effort to develop a series of empirical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of design flood for a small watershed based on the unit hydrograph theory. It is shown that a flood discharge of a watershed with a specific return period can be expressed as a product of its watershed area, rainfall factor, runoff factor and flood peak reduction factor. Since the procedures for the determination of rainfall factor and runoff factor were already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y (13) a series of step-by-step procedure is devised to empirically determine the flood peak reduction factor in the present study. Using the methodology developed herein the 50-year design flood, which is of concern in the drainage of agricultural lands, is estimated for a watershed on upper Kyungan River and compared with the design floods by the existing methods now in use. The flood peak reduction factor was correlated with the dimensionless parameter consisted of the rainfall duration divided by the basin lag time, which was computed from the derived unit hydrographs by the method of moment. The unit hydrographs of various durations were synthesized by the method of build up and S-curve. A multiple correlation was also made between the basin lag time and the physiographic parameters of the watershed, i.e., the stream length and the average stream slope.

      • KCI우수등재

        FESWMS-2DH 모형에 의한 한강 하류부의 수리특성 분석

        윤용남,박무종,Yoon, Yong Nam,Park, Moo Jong 대한토목학회 199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미국 교통성에서 개발된 2차원 수리계산모형인 FESWMS-2DH를 갈수기 감조구간인 잠실수중보와 신곡수중보 구간에 적용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수위관측자료와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유속과 수위를 계산하였다. 이 모형은 Galerkin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부정류 해석을 할 수 있으며 삼각형 요소와 사각형 요소를 혼합하여 요소망을 구성할 수 있다. 모형의 적용결과 유속분포 및 수면형과 질량 유출입 보존 등의 면에서 정밀성과 안정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는 수질관리 및 새로운 인공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본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FESWMS-2DH developed by th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based on two-dimensional shallow water wave equation is used in this study to simulate the flow characteristecs of the river reach between Chamsil and Shingok submerged weirs, which acts as a tidal river under low flow conditions. The model uses Galerkin F.E.M and meshes are composed of triangular or quadrangular elements. The model shows accurate and stable results concerning mass conservation as well as velocity distribution and water surface eleva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s on the planning of river pollution abatement measures and artificial structures.

      • KCI우수등재

        외부공급을 공간적으로 고려한 물수지 분석

        윤용남,김태균,Yoon, Yong Nam,Kim, Tae Guen 대한토목학회 199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3 No.1

        수자원시설물의 설계에 이용되는 기존의 물수지분석은 수자원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많은 수자원의 외부공급량이 있고, 공급 대상지역이 중복될 경우 기존의 물수지분석을 적용할 경우 설계치가 과대 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한 물수지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수자원이용이 대단히 복잡한 동진강, 만경강유역을 포함하는 새만금사업지역을 대상으로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였다. The conventional water budget analysis methods for major water works do not take the spatial variation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into account. There has also been a tendency of over-estim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when a significant inter-basin water transfer is involved. Therefore, a revised water budget analysis methodology is proposed which can take care of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water resources available within the basin and with the inter-basin transferable water. For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the Saemangeum project area is taken for the analysis, which includes both the Dongjin and the Mangyungs River basin, one of the regions with the most complex water utilization.

      • KCI우수등재

        소하천(小河川) 유역(流域)의 잠재유출량(潛在流出量) 결정(決定)

        윤용남,홍창선,Yoon, Yong Nam,Hong, Chang Seon 대한토목학회 198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2 No.1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 나라 전역(全城)에 걸쳐 자연상태(自然狀態) 혹은 농촌지역(農村地城)에 있어서의 소규모(小規模) 지역(地城) 배수(排水)를 위한 수문(水門)의 설계(設計) 배수량(排水量)을 결정(決定)하는 실용적(實用的) 방법(方法) 개발(開發)하기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장기간(長期間)의 비교적 정확한 단시간(短時間) 호우자료(豪雨資料)를 보유(保有)하고 있는 지표지점(指標地點)을 서울로 선택하여 단시간(短時間) 호우(豪雨) 최대우량(最大雨量)-지속기간(持續期間)-재현기간관계(再現期間關係)를 수립하고 전국(全國)에 산재해 있는 우량관측소(雨量觀測所)의 일우량(日雨量) 자료(資料)의 빈도분석(頻度分析)에 의해 전국(全國)을 몇 개의 유이(類以) 강우특성(降雨特性) 지역(地城)으로 구분(區分)하여 구분(區分)된 강우특성(降雨特性) 지역(地城)과 지표지점(指標地點)의 50년(年) 확률일우량(確率日雨量)에 의해 각(各) 지역(地域)의 강우능(降雨能) 계수(係數) 결정(決定)하였다. 또한 토지이용상태(土地利用狀態)와 토양형(土壤型)에 따라 그 유역(流域)을 대표(代表)하는 유출수(流出數)를 결정(決定)하고 재현기간별(再現期間別)로 유출수(流出數) 및 강우지속기간(降雨持續期間)에 따른 유출능계수(流出能係數)를 결정(決定)할 수 있는 노모그램을 작성(作成)하였다. 유역(流域)의 잠재유출량(潛在流出量)은 단위유량도(單位流量圖)의 기본이론(基本理論)에 의거 대상지역(對象地域)의 강우능계수(降雨能係數)와 유출능계수(流出能係數) 및 유역면적(流域面積)의 적(積)으로 표시하였으며 최대잠재유출량(最大潛在流出量)의 결정절차(決定節次)도 제시(提示)하였다. An effort of preliminary type has been made to develope a practical method for the waterway area determination of a drainage outlet in rural or agricultural areas. The Seoul meteorological station was selected as tile index station, and the maximum rainfalls-duration-frequency (R-D-F) relation of short-time intense rainfalls was first established. A frequency analysis of the daily rainfalls for the 75 stations selected throughout the country resulted the 50-year daily rainfall for each station. The rainfall factor, which is defined here as the ration of 50-year daily rainfalls of individual station and the index station, was determined for the 8 climatological regions divided in this study. Following the US SCS method the runoff number of a watershed was given based on the soil type, land-use pattern, and the surface treatment. With this runoff number and the R-D-F relationship the runoff factors for the index station were computed and hence a nomogram could be drawn which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runoff factor for a given rainfall number and a rainfall of specific duration and frequency. With this done, the potential runoff of a watershed for a given rainfall duration could be calculated, based on the unit hydrograph theory, by multiplying the rainfall factor, the runoff factor, and the drainage area of the watershed under consideration. Then, the maximum runoff potential was determined by varying the rainfall duration and finding out the duration which results the peak discharge of a gived retur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