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흰쥐 해마박편에서 veratrine과 고농도 포타슘자극시 칼슘이온이 glutamic acid 유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role of calcium

        조무길,김형룡,김관식 대한구강생물학회 1990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Vol.14 No.2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effect of calcium on the release of glutamic acid employing hippocampal slices. Hippocampal slices(300∼400㎛ thick) were prepared by the method of Kim et al.(1988) and pre-equilibrated in Krebs-bicarbonate medium(KBM, pH 7.4) for 1hr at 37℃. In case of veratrine induced glutamic acid release, pre-equilibrated slices were incubated in fresh KBM and then veratrine(25μM)-containing KBM for 10 min perio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2.5mM Ca^++. In case of potassium-induced glutamic acid release, pre-equilibrated slices were incubated in fresh KBM and then potassium(50mM)-containing KBM for 5 min perio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2.5mM Ca^++. Basal and veratrine and potassium-induced release of glutamic acid was determined from recovered medium by HPLC. Th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lease of glutamic acid induced by the 10 min-exposure of 25μM veratrine and 5 min-exposure of 50mM potassium in the presence of 2.5mM Ca^++ was 330.9±25 nmol and 129.6±20.6 nmol,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released amounts of glutamic acid during the corresponding spontaneous periods, these were 7.8 and 5.1-fold increase respectively. 2. the release of glutamic acid induced by the 10 min-exposure of 25μM veratrine and 5 min-exposure of 50mM potassium in the absence of Ca^++ was 361.8±31.9 nmol and 62.5±7.5 nmol,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released amounts of glutamic acid during the corresponding spontaneous periods, these were 8.2 and 2.4-fold increase respectively.

      • KCI등재

        울산지역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조무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2 No.2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장애인들의 여가활동 실태, 즉 뇌졸중 장애인들이 주로 참여하는 여가 활동, 여가활동 이용실태, 여가활동을 하는 이유, 여가활동을 위해 지출되는 비용, 그리고 여 가활동 만족도 등에 관한 실태 도출을 통해 뇌졸중 장애인들의 여가활동을 활성화 시키는데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장애인복지관에서 여가활동을 이용해본 경험 이 있는 뇌졸중 장애인 70명을 대상으로 2010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방문을 통한 직 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for Windows ver 12.0(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결과 : 첫째, 장애인복지관에서 뇌졸중 장애인이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여가활동으로는 수영, 게이 트볼, 요가, 기체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졸중 장애인이 한 달에 여가활동을 위한 비용 은 5만원 이하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뇌졸중 장애인의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한 여 가활동 만족도는 63.1%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첫째, 장애인복지관에서 뇌졸중 장애인을 위한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둘째, 여가활 동 프로그램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신체적 기능향상을 위한 여가 프로그램의 개 발과 전문가참여가 필요하다. 넷째, 지역사회의 교류 참여이다. Objective : The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e of leisure activity in people with stroke (including leisure activity that people with stroke participate and hope, the reason why people with stroke paticipate in leisure activity, the cost that spent in leisure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Method :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e SPSS 12.0 statistics package program. Result : First, the findings showed that leisure activity participated most of people with stroke disabled appear as 'swimming', and appear sequence 'gate ball', 'yoga', 'energy gymnastics' on sports leisure activity. Second, the findings showed that leisure activity costs are fifth thousand won a month on average, most of people with stroke experienced satisfactory state in leisure activity. Third, the findings showed that leisure activity appeared to satisfaction 63.1% people with stroke disabled used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Conclusion : First,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must develop leisure activity for people with stroke. Second, Leisure activity needs to support financial affairs. Third, leisure activity need professor for body function improve. Fourth, leisure activity must participates with the community sociaty

      • KCI등재

        시에예스에서 다시 홉스로— “우리(들) 대한국민”의 정치사상—

        조무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2 개념과 소통 Vol.- No.29

        이 논문은 “우리(들) 대한국민”이 두 가지 곤경에 직면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첫째, 루소에 의해서 제기된 인민과 헌법 사이의 역설적 관계다. 헌법의 저자로서 인민이 헌법에 의해서만 그 정체성을 부여받게 된다면 헌법은 민주적으로 정당화 될 수 없는가? 둘째, “우리(들) 대한국민”의 정체성을 둘러싼 논쟁이다. 헌법제정기에는 논란이 되지 않았던 건국과 제헌의 시점이 왜 새삼 문제가 되는가? 이 논문은 외부적 권위에 의존하지 않고 인민과 헌법의 관계가 정립되는 방식을 사회계약론의 전통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인민과 헌법의 관계 속에서 “우리(들) 대한국민”의 정치사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자연과 대표라는 개념을 둘러싼 사회계약론 담론을 재해석하면서 시에예스적 인민과 홉스적 인민이라는 상이한 ‘우리, 인민’의 개념을 제시한다. “우리(들) 대한국민”이 시에예스적 인민에서 홉스적 인민으로 이행하고 있다는 해석을 통해 ‘우리, 인민’이 직면한 두 곤경에 대한 해법을 제시함으로써 대한민국 건국과 제헌을 둘러싼 논쟁의 장에 기여하는데에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작업치료사의 보건소 취업활성화를 위한 기초조사 연구

        조무,김영희,양영애,오혜원,홍재란,노종수,정현애,채경주 대한작업치료학회 200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 본 연구는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보건소의 물리치료실과 작업치료실의 개설 현황과 치료사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비교를 통하여 작업치료사의 보건소 취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2005년 9월 1일부터 동년 11월 30일까지 전국의 242개 보건소 중에서 75개 보건소의 소장을 직접 만나 설문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dows 10.0 version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보건소 취업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5년 9월부터 2005년 11월 30일까지 전국의 75개 보건소에 있는 보건소장을 대상으로 하여 물리치료와 작업치료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75개의 보건소 중에서 70개(93.3%) 보건소에 물리치료실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작업치료실이 설치된 곳은 전무한 실정이었다. 물리치료사는 정규직 68명(77.3%)과 임시직 18명(20.5%), 기간제(1.1%)와 기타 1명(1.1%)으로 총88명이 고용되어 있지만 작업치료사는 임시직으로 1명이 고용되어 있다. 작업ㆍ물리치료실의 필요성은 물리치료실의 경우 응답자의 90.7%가 필요하다고 조사되었지만 작업치료실은 응답자 중 60%만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재활방문 서비스는 보건소 75곳 중 50곳(66.7%)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전문 인력으로는 간호사(35.5%), 의사(28.3%), 물리치료사(26.8%), 기타(8.7%) 순으로 조사되었고 작업치료사는 1명(0.7%)에 불과하였다. 재활방문서비스 대상자는 대부분 65세 노인들로 이들의 질병유형은 뇌졸중(40.2%), 만성퇴행성 질환자(33.9%), 치매912.5%), 척수 손상자(10.0%)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연구의 결과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제안 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역 보건법에서 보건소 내 작업치료실의 개설과 작업치료사의 고용과 역할에 관한 법제정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에서 작업치료의 참여를 위한 공청회 및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확대를 위한 홍보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esent condition of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on community health center in whole country. And in other to offer basic survey of revitalize of employ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 Methods : The way of this study was face to face question of 75 head of community health center in whole 254 community health center on September. 1, 2005 to November. 30, 2005. A statistic analysis program used generated by SPSS for Windows 10,0 version.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follow: 1) Although physical therapy center was established in the 50 public health centers among 75 public health center, occupational therapy room did not exist to be. 2) physical therapist employed 88 people that is 1 person(1.1%) with full-time job, 68 people(77.3%) temporary employee, 18 people(20.5%) period employee, but 1 person of occupational therapist employed by temporary post. 3) Responded that 90.7% need to be physical therapy center but responded that only 60% need to be occupational therapy center. 4) Rehabilitation-visit therapy service enforced in 50 places(66.7%) of public health center 75 places, professional manpower examined by a nurse, a doctor, a physical therapist, other (Oriental doctor) but occupational therapist was not more in 1 person(0.7%). 5) The type of disease in rehabilitation-visit therapy examined by elderly people more than most 65 years old by a stroke(40.2%), chronic degeneration disease(33.9%), dementia(12.5%) and spinal cord injury(10.0%).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1) Need to establish a law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employment and line of duty in community health center. 2) Need to hold public forum and debate etc, for particip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and need awareness conversion about occupational therapist role.

      • 집단작업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효과와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

        조무신 ( Moo Sin Cho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0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작업활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장애인의 기능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지 분석하고, 실습교육으로서 학생들의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하여 중증장애인의 집단작업활동과 임상실습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뇌졸중 집단작업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인과 프로그램의 운영에 참여한 작업치료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1) 뇌졸중장애인은 2008년 4월~8월 동안 2차로 나누어 중재 전 평가-6주 중재-중재 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3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 작업치료과 학생들은 중재 전 평가, 중재프로그램 계획, 프로그램 실행, 중재 후 평가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 설문에 응답한 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목과 연결된 임상실습교육으로서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클라이언트의 전·후 변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윌콕슨 쌍대비교 검사(Wilcoxon matched-paired sign-ranks test), 학생들의 만족도 분석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1) 클라이언트의 기능향상에서는 전반적으로 호전되었으며, 균형능력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5).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좋아졌으며, 특히 일반적 건강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학생들의 실습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만족도는 전체평균이 4.39/5점 척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4.48±0.77로 가장 높았다. 결론: 지역사회중심 뇌졸중 집단작업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뇌졸중 장애인의 기능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학생들의 실습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만족도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다양한 집단작업활동과 임상실습교육프로그램의 개발운영을 통해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학생들에게는 학교 졸업 후 임상에서 초임 작업치료사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과 자신감을 제공할 수 있는 질적인 임상실습교육이 필요하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if a group occupational activities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lients`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an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for a community-based fieldwork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degree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field work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clients who participated in a group occupational activities program and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who took part in operating the program. 1) The stroke disabled had an initial evaluation, 6-week intervention, and re-evaluations from April to August, 2008. the number of clients subjected to this study was 32. 2)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intervention planning, program performancing, before and after evaluation. Their satisfaction analyzed the fieldwork education was concerned with their school subject was measured using 40 of the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A Wilcoxon matched-paired sign-ranks test was used to pr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lients` variabl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measure the students` satisfaction. Results: 1) There was improvement in client functionality overall, and particularly significant results were in balance ability(p<.05). Quality of life improved on the whole, and general heal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5). 2) The mean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field education was 4.39 out of 5, which was high, and that of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of an occupational therapy was 4.48±0.77(M±SD), which was the highest. Conclusion: The group occupational activitie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lients`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and the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managing of the field education. Therefore, a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 through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community-based stroke group occupational activities programs and high-quality field education where students can have enough experience to help them conduct their roles as occupational therapists after graduation is required.

      •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눈-손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조무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5 No.1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이 눈-손 협응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발달장애아동 6명을 대상으로 그 중에 3명을 감각통합 프로그램과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을 실 시하는 실험군으로 선정하였고, 나머지 3명의 아동들은 감각통합 프로그램만을 실시는 대조군으로 선정 하였다.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총 10회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 (K-DTVP-2) 중 하위 항목인 눈-손 협응을 사전-사후평가로 실시하여 결과로 나온 점수를 비교분석하 였다. 결과 : 가상현실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가상현실 프로그램 참여전보다 참여후가 눈-손 협응 능력의 평균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4). 감각통합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감각통합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가 눈-손 협응 능력의 평균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을 이용한 훈련이 발달장애 아동의 눈-손 협응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the influence of the training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on eye-hand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ed. Methods : Six children(5 males, 1 female)with developmental disordered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n=3) and the experimental group(n=3). Thre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 fifty minutes of SI program ten times for ten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three children underwent a fifty minutes of SI program and virtual reality game. K-DTVP-2(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was used to measure the eye-hand coordination. Results : After a ten weeks of training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ye-hand coordin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 The training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games influenced for improving at the eye-hand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ed.

      • KCI등재

        내・외 통제성이 시설거주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희정,조무,김동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1

        Objective : This study is to know how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of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affect the relational aggression’s perception. Methods : I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s perception through a survey of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For data collection, 148 of 165 questionnaires, excluding 17 questionnaires with missing questionnaire and middle-level abandonment,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negative and bullying behaviors, and controlled variables were general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depending on the length of a care facil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relational aggress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the period of admission, the presence of spouses, and the level of econom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relational aggression perceptions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Fourth,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ffected the recognition of relational aggression.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on percep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facilitie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ffected the level of relational aggression perception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목적 : 시설에서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내・외 통제성이 시설의 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 시설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내・외 통제성과 관계적 공격성 인식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 165부를 배부하여 결측지와 중도포기 17부를 제외한 총 148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독립변인은 내・외 통제성의 내적 통제성과 외적 통제성, 종속변인은 부정적 행동과 괴롭힘 행동의 관계적 공격성, 통제변수는 노인의 일반사회학적 특성으로 구성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시설 거주기간에 따라 내・외 통제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수준과 입소기간, 배우자의 유무, 경제수준에 따라 관계적 공격성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내・외 통제성에 따른 관계적 공격성 인식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내・외 통제성은 관계적 공격성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 :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시설거주 노인의 내・외 통제성과 관계적 공격성 인식은 차이가 있고 내・외 통제성에 따라 시설거주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인식도 차이가 있으며 내・외 통제성은 시설거주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인식 수준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