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스포츠복지를 위한 "복지"의 개념 분석 -사회복지, 교육복지, 그리고 스포츠복지를 중심으로

        조남용 ( Nam Yong Cho ),유진 ( Jin Yoo ),김상범 ( Sang Bum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스포츠복지의 핵심인 ``복지``의 개념 분석을 통하여 정부부서, 시도교육청, 장학사, 그리고 교사 및 학부모 등 주요 당사자들의 정책(이론)과 실천을 연결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복지의 개념을, 둘째, 교육복지의 개념을, 셋째, 스포츠복지의 개념을 조사한 후 각각의 개념이 학교체육에 시사하는 점을 파악하였다. 넷째, 국내·외 학교체육 관련 정책의 동향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스포츠복지의 개념을 구성하였다. 복지국가는 국민의 인권(건강권, 교육권, 평등권 등)이 자연스러운 존중되는 상태를 말하며, 생존적 복지, 소극적 복지, 그리고 적극적 복지의 단계로 발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육복지와 스포츠복지는 주로 소극적 복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학생스포츠복지의 개념은 교육복지와 스포츠복지의 공통부분으로, 그 목적은 학생 인권의 소극적 복지에서 시작하여 궁극적으로는 적극적 복지를 추구하는, 그 대상의 범위는 공간적으로는 초, 중, 고등학교 등 공교육기관에서 일어나는, 시간적으로는 학령기의 학생에 해당하는, 마지막으로 신체활동을 매개로 하는 경우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학교체육은 적극적 복지를 추구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내재적으로 갖고 있으므로, 체육교육의 목적에 학생의 전인적 발달과 더불어 ``인권``의 옹호 및 증진이 포함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후속연구로 첫째, 이러한 수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업 설계, 교육과정,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둘째, 학교체육에 관한 정책의 엄격한 비판과 문제점 그리고 합목적적인 대안을 논하는 연구담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which can connect policy (theory) and practice of the party concerned through analyzing concept of ``welfare`` which is the core of student sports welfare. To achieve this, We researched into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first, second into the concept of education welfare, third into the concept of sport welfare, forth into domestic and foreign school P. E. policies and then have comprehended what each of the concepts implies to the school P. E. Based on this, We have composed the concept of student sport welfare. We were able to recognize that a welfare nation means one of natural respect for civil rights (right of health, right of education, equal rights) and a welfare nation develops from the stage of basic welfare through narrow welfare to broad welfare. And also we have noticed education welfare and sports welfare focused on narrow welfare. We defined the concept of student sports welfare as the intersectional part of education welfare and sports welfare, and the purpose of student sport welfare as to pursuit broad welfare from narrow welfare of student rights, spatiall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case of using physical activity and we set range of target as students in school age. And also, we have suggested that holistic development of students, as well as support and enhancement of ``human rights`` should be included on purpose of physical education, because school physical education has appropriate environment which can pursuit broad welfare. As a follow-up research, we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struction,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and we pointed out the need of research that discusses about the problems and the teleological alternatives of school P. E.

      • KCI등재

        구성주의를 활용한 대학교양 체육수업 사례

        조남용(Nam Yong Cho),강신복(Sin Bok Ka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1 No.2

        수업을 보다 더 잘하고 싶어 하는 것은 모든 체육 교수자들의 고민일 것이나, 이에 관련한 수업연구는 체육 교수자들의 수업개선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아 보인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한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하게 되었다. 구성주의는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이라기보다 지식이 어떻게 형성되는 것이며, 학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이론이다.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설계원칙에서는 행하면서 배우기, 반성을 통한 학습, 협동적 학습, 실제적 과제를 통한 학습, 그리고 학습촉진자이며 동료학습자로의 교사를 제시하였고, 수업 적용 사례와 학생의 반응을 `학생이 관심갖는 과제를 제시하기: 자신감 확인`, `기초개념으로 학습을 구조화하기: 경영은 물속에서 재빠르게 이동하는 것`, `학생들의 관점을 탐색하고 중시하기 과제물을 통해 대화하기`, 그리고 `교수의 맥락에서 학생의 학습을 평가하기: 코멘트, 실기 시험, 그리고 수업반성` 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수업개선이라는 것은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보다 더 잘 가르치려는 노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하나로 구성 주의적 체육수업이 어떠한 모습을 그려질 수 있는지 사례를 제시하였고 이는 수업개선을 위해 분투하는 체육 교수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We, as a sport pedagogiest, have been interested in pursuit of educational excellency and always struggled with the idea of teaching better. The education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social changes.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of teaching physical education issues recently. This study purports to summarize the basic principles for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o describe the process of designing constructivist physical education in the case of butterfly swimming class and report the students` feeling from interviews and tasks.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for action researcher are outlined for future inquiry and research.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의 표현활동 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교육학’수업 사례연구

        조남용(Cho Nam 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예비교사의 내용교수법지식 습득은 사범대학의 중요한 교육목표이다. 표현활동은 국가수준 교육과정 5대 영역 중 하나이며, 실제로 체육교사교육기관에서는 건강, 도전, 경쟁 및 여가 활동의 내용교수법 연구와 지도에는 활발한 관심을 보이곤 있지만, 표현 활동의 내용교수법에 대한 관심은 저조하다. 이는 표현활동이 체육과의 입장에서는 무용이라는(혹은 스포츠가 아니라는) 이유로, 무용과의 입장에서는 그들이 체육교사 가(혹은 공연예술이) 아니라는 이유로 체육과와 무용과 그 어느 학문에서도 깊게 다루 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표현활동 수업 개선을 위한 스포츠교육학 수업의 설계 및 실행 과정을 공유하여, 첫째, 이들의 표현활동 지도에 필요한 심층적 경험을 제공하고, 둘째, 표현활동 지도에 관심 있는 교수자에게 하나의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수업개선에 의미 있게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맥락에서 수행되었다. 스포츠교육 학 수업은 10주간의 이론수업과 4주간의 실제(협동과제 발표)수업으로 진행되었으며 협동, 탐구, 직접수업전략이 활용되었다. 대화와 면담, 수업소감문,(비)참여관찰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정리되었다. 이론수업에서는 체육수업과 국가수준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대안 에 대해 다루었으며, 실제수업에서는 국외의 전통표현(티니클링)과 한국의 전통표현 (탈춤)을 소재로 ‘창의적 표현’과 ‘한국문화정체성’의 목표를 통합적으로 달성하기 위 한 수업 설계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7차 때 실기편의 무용이었던 표현활동이 개 정교육과정에서는 하나의 대영역으로 제시되어 그 비중이 커졌으므로, 사범대학의 교 과교육학 관련 강좌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심층적인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Preparing pre-service PE teachers fo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an important goal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ly, to experience the expression activity in order to expand pre-teacher s knowledge and secondly, to introduce the sport pedagogy class design process and the pre-teacher s feeling or thoughts after weekly class for helping the readers as a sport pedagogist practice their job more effectively. Sport Pedagogy class is consist of 10 weeks-theoretical lectures and 4 weeks of practical lectures (cooperative project presentation). Collaborative, inquiry, direct instruction strategies were used during sport pedagogy class. The data were collected by dialogue and interview, personal journal (diary) after class,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analyzed by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oretical lectures contained the national curriculum objectives, contents, methods, evaluation of the realities and issues dealt with and the alternatives. Practical lectures contained foreign traditional expression (tinikling) and Korea traditional expression (mask play) and through these lectures, the goal of creative expression and Korea cultural identity were accomplished inclusively. True-false , or superiority-inferiority, and same-different and congruential teaching process were categorized from pre-teachers qualitative data. Expression activity , only regarded as a subtitle in one of 3 large part of P. E., was expanded by the range and the depth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port pedagogist in PETE ha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course in various and depth aspects.

      • KCI등재

        창의적 표현을 위한 무용 수업 사례연구

        조남용(Nam Yong Cho),김형숙(Hyung Sook Kim)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표현을 위한 무용 수업이 어떠한 과정으로 진행되는지 그 과정과 결과를 공유하여 무용수업 개선에 기여하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참여 및 비참여관찰과 면담, 그리고 수업소감문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4주간의 수업을 통해 결론을 교수자와 학습자의 두 측면에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교수자 측면인 수업의 설계에 있어서, 각 절차(도입, 전개, 정리)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즉, 수업의 목표가 명제적이거나 내용의 양이 많거나 혹은 시간이 부족하고 효율성을 최고의 목표로 삼을 경우 직접적인(direct)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수업의 목표가 창의성이나 자기주도성 등 방법적이며 학업성취에 있어서 장기간이 소요된다면 간접적인(inquiry; 탐구중심)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과정을 보이려고 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만족도 혹은 성취감 측면에서 살펴보면, 수업 내내 보여준 모습은 재미와 열정이었다. 학습자의 내적동기(재미)가 자극되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또한 수업 목표로서 창의성의 필요조건인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생겼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자신의 삶을 무용교수자의 길로 선정한 이들은 기존 무용교육의 장단점과 향후 미래 무용교육의 나아갈 바를 스스로 다짐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aring the whole process of dance instruction for creative expression and effect of students were attended that instruction. This dance instruction was held a day per week during 4 weeks in some university. 10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clas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participated observation, interview, inducive categorizing etc. were used. We, as teachers, designed class 2 parts. The first was theoretic lectures consist of "what is the core of education", "3 aspects of human-beings", "the concept of knowing how and knowing that" and "constructive methodologies of education". The second was performing lectures based on "Laban theory and motif writing symbols". The data were selected by dialogue, in depth interview, observation, and students" journals and analyzed b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university dance education had little contingency with the educational goals. so they must have the congruence among the goal, contents, method and evaluation. Diversity was the necessary condition of creativity. if there were no diversity and self-directed, no creativity existed. Second, intrinsic motivated class. the student showed the 4 elements of intrinsic motivation,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The students have specific and expert pre-dance teacher image for their entire life-long teacher. Finally, the implications of develop of dance teacher expertise was discussed.

      • KCI등재

        일반 대학생의 움직임 수업 사례연구

        조남용(Nam Yong Cho),김형숙(Hyung Sook Kim)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1 No.-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움직임 표현 교육의 가치를 이해시키고, 대학 교양수업에서 리더십과 자기개발의 함양을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움직임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8년 1학기 S대학교 기초교육원에 개설된 "학생자율세미나-움직임놀이와 상상력표현" 수업에 참여한 전공이 서로 다른 15명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든 수업의 과정을 수업시간 마다 현대무용실에 비디오 촬영 기구를 설치하여 수강생들의 활동 사항을 비디오 촬영을 통해 기록하여 관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초교육원에서 제공한 양식을 통해 매회 실시한 설문지와 매시간 수업 후 한 학생씩 작성한 결과보고서를 통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업 진행방법의 결과 측면과 개별적 학습 결과 측면에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움직임교육이 대학 내 학교 교육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전문인 양성의 무용교과가 그 자체로 있는 것보다는 교양과정으로서 다양한 주제와 소재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무용관련학과에서 개설한 움직임수업이 교양 교육을 통해 최상의 교육 효과를 창출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수업의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은 움직임의 중요성과 움직임을 통하여 창조적 과정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에 대학의 교양수업으로서 무용교육이 얼마나 가치 있는가를 인지시켜, 단순히 교양교육이 아닌 사회 속에 평생교육으로 그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normal college students understand the value of educ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movement, from the College of Liberal Arts classes for cultivating leadership and self-development of effective instructional model can be applied to suggest the movement is aimed. In this study, normal college students' movement and imaginative play as expressed in the teaching proceed with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class how to proceed in terms of the results were as follows. ① Unlike conventional seminars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to move the body of his body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s well as to widen this year, students with direct experience momyiraneun understand itwas a representation of the text. ② recommend students to participate in a free manner is done, a variety of classes at the beginning of the movement has to play. Representative classes of students to guide teaching jidogyosuna progress is starting, slowly, to lead students to the power in this class or went voluntarily. ③ voluntary movement of students to maximize expression, the body in the first part of the class develops a sense of movement and expression by providing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issues to discuss and share their imagination by creating a culture has exerted play. ④ about their lives and communities of interest and the subject creates an opportunity to express actively, students work together through their own self, life, society has to share a common awareness of issues. ⑤ Through a joint project with the concept of play performances, arts activities as a form of cultural unity throughout the movement expressed their thoughts about that expression of joy and confidence to actively induced. Second, in terms of individual learning outcomes were as follows. ① basic learning about their body, and movement through the body and representation theor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ility to obtain improved ride. ② several new understanding of their body movements to play and let. ③ momgwaui me other than their own body movements to play and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living with others woodorok stance times were derived. ④ their awareness of issues about life and society, the body has learned how to express imagination. ⑤ density through the co-operation to share and refine their own sense of the problem was. ⑥ released through public projects, indigenous games were learning how to create a culture. ⑦ through body movements as a new perspective to the whole society to express their concern to the developed. ⑧ movement through education, representation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art has become. In conclusion, we move through the educational development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to train professionals in the course of the dance itself, not only would be best accomplished through education and the role of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create the effect. In addition, as a dance education and training that is valued by how much, rather than simply a liberal education to lifelong learning society should establish the foundation is considered.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개별화수업모형의 설계 및 적용 사례

        조남용(Nam Yong Ch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1 No.1

        현재 수업연구의 동향은 수업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측면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업을 보다 더 잘하고 싶어 하는 것은 모든 체육교수자들의 고민일진대, 수업연구는 체육교수자들의 수업개선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아 보인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개인차를 고려한 개별화수업모형을 설계하게 되었다. 설계과정을 구체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수업개선 욕구를 지닌 체육교수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다. 서울 D 교육청 소속의 5 중학교의 정교사를 사례교사로 선정하여 중학교 3학년 1개 학급을 1년 동안 연구자와 함께 개별화수업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수업의 효과보다는 수업설계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수업설계상에서 겪은 어려움과 그 해결방안은 구체적으로 상술하였다. 교육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공개수업을 2회 실시하였고, 긍정적인 반응과 향후 수업개선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받았다. 수업설계과정은 문제의식과 모형선정, 학습단원의 선정 및 조직, 개인학습지의 구성, 동영상자료의 수집, 교육전문가들의 의견, 수업설계과정의 반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개선의 구체적인 흐름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ea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objec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o design the Personalized System for Instruction(PSI), an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PSI. PSI empowers students to be self-directed learners and does teachers to be experts. Because PSI allot the role to each individual(teacher and student). The personal workbook and making workbook process were given for the teachers trying to teacher better. The applicability of PSI was verified Experts group(principal. vice principal. supervisor, and other P. E. teachers) from around the D educational district .They also commented this was a nice try and it would be provide physical education with bright future. Finally, the considerations from the case teacher`s experience were summarized for the future research and inquiry.

      • KCI등재

        한국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공교육 내에서 전통예술문화교육의 실태, 현황분석 및 대안 탐색

        조남용(Nam Yong Cho),김형숙(Hyung Sook Kim)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2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인 정체성 교육"을 확립하기 위한 공교육 내에서의 전통예술문화교육 의 실태와 현황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탐색하려는 데 있다. 전통예술문화교육의 실태와 현황분석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전통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은 제시하고 있으나, 이를 달성하기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추상적으로 제시할 뿐이었다. 더불어 그 할당시수 역시 턱없이 부족하여 전통예술문화교육에 대한 우선순위가 뒤로 밀려있다고 볼 수 있다. 전통예술문화교육의 대안으로 세 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 유형은 서로 계열적이며, 첫 번째가 교과내유형, 두 번째가 교과간유형, 세 번째가 탈교과유형이다. 이러한 유형을 통해 첫째, 전통 문화에 담겨진 우리 민족의 세계관, 정서, 의식에 대한 교육을 강조하고, 둘째, 전통 문화의 내용이나 형식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며, 셋째, 전통 문화의 이해가 교과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한국인의 정체성 확립에 한발 다가설 것이다.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raditional art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and to suggest supporting plans for "identity education for Korean".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lthoug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uggests the need and goal of traditional art and culture education, there is not any specific plan for it. Furthermore, sessions for art and culture education are lacking in education program. Secondly, In this research, 3 types of program were suggested to apply alternative direction in public education. These three types of program are systematic, which are in depth-disciplinary, multi-disciplinary, and meta-disciplinary.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alternative plans for traditional art and culture education were as follows. Firstly, perspective of world, emotion, and awareness of Koreans in traditional culture need to be focused. Secondly, education of contents and forms in traditional culture need to be applied for creative development. Finally,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needs to integrated with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중학교 체육교사의 성과 연령에 따른"표현활동"수업에 관한 가치정향 우선순위 분석

        조남용(Nam Yong Cho)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서 무용수업의 개선을 위해서 체육교사들의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가치정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또 이 가치정향이 성과 경력의 개인적인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체육교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비확률적표집인 유목적적 표집과 눈덩이표집법으로 전체 4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고 이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281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가치정향 설문지-Ⅱ (Ennis & Chen, 1995; Ennis & Zhu, 1991)를 활용하였고, 빈도분석과 카이제곱검정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성에 따른 표현활동 수업의 가치정향 우선순위에는 전반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령에 따라 표현활동 수업의 가치정향 우선순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체육수업 가치정향 분석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다 심층적인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 teachers value orientation priority who are responsible for "express activity" class and improve teaching dance at the middle school. Also the priority was influenced by individual factors such as gender and age. For this purpose,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eoul,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to the entire population of 400 were sampled, except in a dual slacker 281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earch tools Value Orientations Inventory-Ⅱ (Ennis & Chen, 1995; Ennis & Zhu, 1991) was used and the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as uti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E teachers' priority of value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was generally significantly different. Secondly, the PE teachers' priority of value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ag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cause this results were the opposite to the researches from previous studies, More multiple approaches like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will be necessary.

      • KCI등재후보

        중학교 체육교과서의"한국무용"단원 분석 연구물의 논리 검토와 교과서 개발에의 시사점

        조남용(Nam Yong Cho)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3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무용교육의 개선을 위해서 "한국무용"단원을 중심으로 첫째, 학교현장에서 무용교육의 일차적 매개물로 활용되는 교과서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고, 둘째, 비슷한 맥락에서 수행된 선행연구의 결과에 관한 논리를 검토하여, 본 연구결과와 입장이 비슷한 주장과 엇갈린 주장을 구분하여, 셋째, 보다 설득력 있는 대안으로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현행 제7차 체육교과서의 "한국무용"단원에는 내용지식에 오류, 동작용어의 비일관성, 그리고 학습내용의 중복성에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2007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개발에 한국무용 교육전문가가 직접 참여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렇게 된다면 지금보다 알찬 교과서가 개발될 것이고, 이를 통해 무용교육의 개선이 점진적으로 시작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Korea Dance" unit teaching, for the first, the primary medium of Dance Education in schools being used as a textbook to review whether there are any problems, secondly, similar to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a logical outcome of the study by exam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in a position to classify similar claims and cross claims, thirdly, more plausible alternative to the revised curriculum i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future textbook development. The current stud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7th "Korea Dance" unit details the error in content knowledge, and inconsistency of behavior terms, and there was a problem of duplication of learning contents, consider these issue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extbooks, Korea Dance If educators directly involved will now be developed more advanced textbooks, which are gradually improving through the Dance Education will begin.

      • 제주해녀물질실태조사

        조남용 ( Cho Nam-yong ),장영미 ( Jang Young-mee ),임명호 ( Lim Myung-ho ),양희범 ( Yang Hee-bum ) 제주대학교 해양스포츠센터 2019 해양스포츠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easure the number of dives, depth of dives, diving time, and break time for Jeju haenyeo’s muljil, and to find patterns according to skill-class. To achieve this goal, one of the 102 fishing villages was recruited to conduct the survey with the consent of 20 haenyeos. The survey period is from 15 April to 24 May 2015, and was measured for 7 days. The measuring tools were three diving computers purchased at the same time by the same company.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uljil was carried out by alternating between 40 seconds of muljill and 20 seconds of rest for Sang-gun, 30 seconds of muljil and 30 seconds of rest for Joong-gun, and 20 seconds of muljil and 40 seconds of rest for the Ha-gun. Second, in the case of a Sang-gun, it is repeated with a 5 second descent based on one minute, a 35 second catch, a 5 second rise, and a 15 second break. As the Joong-gun, and the Ha-gun, we could observe the pattern of shorter collection times in and longer breaks out. Third, it was found that Sang-gun haenyeo dives 12 meters deep between 9 meters to 14 meters deep, Joong-gun dives 7 meters between 5 meters to 9 meters deep, and Ha-gun dives bwtween 2 to 4 meters deep. Third, there must be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it directly measured the muljil of the haenyeo, and secondly, it targeted all the haenyeo at a selected fishing village out of total 102 fishing vill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