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욤 아폴리네르의 영화 사유 : “이미지의 책”

        조경희(Kyoung Hee CHO) 프랑스학회 2021 프랑스학연구 Vol.- No.97

        기욤 아폴리네르(1880-1918)는 영화를 ‘이미지의 책Livre d’images’으로 정의하고, “미래의 예술”로서 예견했다. 그의 사후 100주년을 맞은 2018년에 카롤 오루에의 기욤 아폴리네르의 영화Le cinéma de Guillaume Apollinaire와 장뤽 고다르의 <이미지 북Livre d’image>이 소개되어 아폴리네르의 영화 사유를 환기했다. 아폴리네르는 기고문과 인터뷰를 통해 영화 진흥 제도의 필요성을 알렸고, 문학 창작으로 영화를 조명했다. 세상을 떠나기 한 해 전인 1917년은 그가 영화 작업을 활발히 펼친 시기다. 강연문 “새로운 정신과 시인들L’esprit nouveau et les poètes”에서 대중성과 예술성을 충족할 장르로 영화를 선언하고, 시인 공동체에 영화 창작자의 실험 정신을 본받자고 호소했다. 또한, 영화 시나리오를 처음 집필한 시인의 한 사람으로 “라 브레아틴느 : 시네마-드람La Bréhatine : cinéma-drame”과 “이것은 프랑스에서 날아온 새 한 마리다.C’est un oiseau qui vient de France”를 집필했다. 문학과 연극 각색이 아닌 창작 시나리오를 고집했으며, 클로즈업, 디졸브, 생략 등 다양한 영화 언어를 기반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아폴리네르의 영화 글쓰기를 중심으로 그가 추구한 영화 형식과 의미를 질문한다. Guillaume Apollinaire (1880-1918) définit le cinéma comme “un livre d’images”. En 2018, Carole Aurouet publie un ouvrage intitulé Le cinéma de Guillaume Apollinaire. Dans le même temps, Jean-Luc Godard présente un film, Le livre d’image qui s’apparente à une référence implicite au poète. Ces deux œuvres mettent en lumière le rapport méconnu mais pourtant profond qu’entretient Apollinaire au cinéma et sont à l’origine de cette étude. Apollinaire évoque la nécessité d’une politique culturelle pour le 7e art dans des articles de presse tout en évoquant le cinéma dans ses romans et poésies. Dans son manifeste intitulé “L’esprit nouveau et les poètes”, il déclare le cinéma comme genre idéal. Il écrit ainsi deux scénarios intitulés “La Bréhatine : cinéma-drame” et “C’est un oiseau qui vient de France”. Cette étude se fonde sur l’hypothèse dans laquelle Apollinaire aurait découvert une puissance poétique au cinéma notamment pour la possibilité d’une esthétique de rupture créée par le montage qui lie entre elles des images hétérogènes, favorisant ainsi l’apparition de métaphores poétiques. À travers ses écrits sur le cinéma, nous interrogerons sur la forme et le sens du cinéma chez Apollinaire.

      • KCI등재

        조르지오 샌 앤젤로(Giorgio Sant` Angelo) 바디수트(Bodysuit)의 스타일 분석 및 다기능적 특성 연구 -뉴욕 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의 Archive Center에 소장된 샘플 분석 중심으로-

        조경희 ( Kyoung Hee Ch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3 No.2

        조르지오 샌 앤젤로는 스트레치 소재를 사용하여 활동이 편안하고 자유로운 옷을 디자인한 미국 디자이너이다. 특히 바디수트의 여러 다양한 스타일들과 착장 변화를 통해, 현대생활의 다양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다기능성 미를 완성시켰는데, 본 연구의 목적은 1960-80년대까지 샌 앤젤로가 발표했던 바디수트의 스타일을 분석해보고, 그 안에 내포된 바디수트의 다기능성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뉴욕의 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의 아카이브 센터에 소장되어 있는 샌 앤젤로 바디수트 샘플을 통해 진행되었다. 샘플을 스타일에 따라 캐주얼 룩과 섹시 룩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캐주얼 룩은 다시, 스포츠 스타일, T-셔츠 스타일, 셔츠 스타일로 세분해서 그룹별로 특징을 먼저 살펴보았다. 스포츠 스타일 바디수트는 운동복 스타일로서 주로 라운드 또는 홀터 네크라인에 가로 줄, 세로 줄이 강조되고, 기하학적 무늬가 많았으며, 앞 또는 뒤에서 X자로 교차된 디테일들도 많았다. T-셔츠 스타일은 T-셔츠에 팬티가 연결된 모양으로서, 거의 라운드 또는 터틀 네크라인에 지퍼를 단 것도 있었다. 셔츠 스타일은 대부분 셔츠칼라에 커프스가 달린 형태에 앞 중심에 지퍼가 달렸다. 이상, 캐주얼 룩 바디수트는 대부분 밑단선이 낮게 내려와 힙에 여유를 줌으로써 활동을 자유롭게 한 것이 특징이었고, 주로 라이크라, 스판덱스, 니트 등 실용적인 소재를 많이 사용하였다. 섹시룩 바디수트는 주로 노출과 투시 효과로써 표출되었는데, 노출 효과는 깊게 파인 힙 노출과 가슴 노출, 끈 없는 디자인에 의한 어깨 노출, 윙(wing)처럼 연장된 천을 몸에 두르면서 가슴과 등이 노출된 것이 보였다. 투시효과는 대부분 스트레치 시스루 소재에 의해 이루어졌고, 따라서 주로 스트레치 메쉬, 레이스, 거즈, 저지, 루렉스 등 얇고 투명하게 비치는 소재를 많이 사용하여 노출과 투시 효과를 동시에 내도록 디자인되어 있었다. 샌 엔젤로 바디수트의 가장 두드러진 점은 하나의 바디수트로 여러 다른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착용할 수 있는 다기능적 특징을 지닌 것이다. 이러한 다기능성의 특징은 랩핑(wrapping)과 레이어링(layering)에 의해 완성되었다. 랩핑은 몸판, 목, 어깨 등에서 연장된 천을 몸에 감거나 또는 옆 솔기선에 윙처럼 긴 천을 삽입하여 몸에 두르거나 감아 입음으로써 변형 스타일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레이어링은 바디수트를 다른 아이템과 함께 착용함으로써 완전히 다른 착장 기능을 완성시킨 방법이다. 이러한 다기능적 특성은 캐주얼 룩과 섹시룩 바디수트에서 모두 나타났다. Giorgio Sant` Angelo was known for clothing design using stretch fabrics and particularly for creating multi-functional clothing, including bodysuits.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styles of his bodysuits from the 1960`s to the 80`s and examine their multi-functional features. Bodysuit samples kept in the Archive Center of 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 and articles as well as photographs in fashion news papers and magazines were analyzed. First, 49 bodysuit samples were categorized by style. 29 were comfortable, casual looks, while 20 were sexy outfits. Most of the casual bodysuits used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Lycra, spandex and knit, and had low hem lines, which made it easy and free for wearers. For the sexy look bodysuits, in general, much exposure and see-through elements were observed, mostly made of thin and transparent stretch materials such as mesh, lace, gauze, jersey and lurex. The most distinguished feature of his bodysuits was flexible design so that a wearer could wear i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ccasion. These features were observed both in casual and sexy looks. One of the ways to complete the multi-functionality was wrapping. Sant` Angelo created extra material by extending the fabric pieces or by inserting a long cloth into the side seam, like a wing. When it comes to wearing the clothes, many of the bodysuits were found to be multi-purpose depending on how a bodysuit would be wrapped around body. Another way to complete the multi-functionality was layering. By combining the bodysuit with other items, Sant` Angelo offered various changes in styling, so the wearer could be greatly satisfied with different images for different occas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유아 어머니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경희 ( Kyoung Hee Cho ),이지연 ( Jee Yon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발달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심리적 적응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는 S장애전담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어머니 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10명은 실험집단, 10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매주 2회 9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았다. 심리적 적응훈련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각각 실시 한 후 SPSS/WIN 15.0을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 평균의 차에 대한 비모수 대응표본 평균 차이 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적응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 실험집단의 우울 정도도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심리적 적응훈련프로그램은 발달장애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정도를 경감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sychologic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to relieve parenting stress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sample of this research is 20 mothers whose children are recently going to kindergarten for handicapped children , and 10 of them are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as a control. In terms of experimental group, 90-minute session was performed twice a week for 8 consecutive weeks and at the same time controllable group did not receive any measure.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both group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initiation of program, collected data from the test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nonparametric test of SPSS 15.0,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means from the pre test and post test. As a result, parenting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has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controllable group. At the same time, degree of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also h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of controllable group who did not receive any measure. The result implies that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used for this research is effective to relieve the parenting stress and degree of depress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 KCI등재

        뇌성마비 환자의 주거 환경과 재활 접근성에 관한 연구

        조경희(Gyeong Hee Cho),정진엽(Chin Youb Chung),이경민(Kyoung Min Lee),성기혁(Ki Hyuk Sung),조병채(Byung Chae Cho),박문석(Moon Seok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4

        목적: 뇌성마비 환자의 주거 환경과 재활 접근성을 조사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주거 관련 법률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고찰해보고 장애인 건강권에 관한 법률 제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주거, 재활, 접근성 3개의 키워드로 문헌을 검색하여 주거 환경, 재활 접근성이라는 2개의 아이템을 선정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문항은 총 51문항을 작성하였고 그중 24문항은 리커트 척도, 27문항은 다지선다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뇌성마비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 100명 중 재가보호 중인 환자는 93명, 시설보호 중인 환자는 7명으로 나타났다. 재가보호 중인 경우 65%는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었고, 주로 2층 이상의 지상층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그중 40%는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에 거주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단계에 따라 GMFCS I, II, III은 보행가능군, IV, V는 보행불가군으로 나누어 군별로 느끼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재가보호 중인 경우 두 군 모두 혼자서 재활센터 방문하는 것을 가장 어려워했고, 시설보호 중인 경우 보행가능군은 혼자 시설 밖으로 나가기, 보행불가군은 혼자서 화장실 이용하기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3%는 뇌성마비 환자에게 재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재활을 받는 뇌성마비 환자는 33%에 불과했다. 재활을 받는 경우, 평균 주 3.6회, 회당 39분 동안 치료를 받는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주거약자법은 접근로와 관련된 규정이 없고 장애인등편의법에서는 공동주택에 대한 주 출입구 접근로의 항목만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뇌성마비 환자는 18%로, 이들은 접근로가 확보되지 않은 주거 환경에서 살고 있다. 뇌성마비 환자들이 고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법률은 없으며, 실내로 진입하기 위한 접근로에 관한 법률은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시행 중인 장애인등편의법, 주거약자법 그리고 2017년 12월에 시행된 장애인건강권법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현실적으로 느끼는 어려움을 반영한 시행 규칙이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규모 설문을 통해 뇌성마비 환자의 주거와 재활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ccessibility of rehabilitation for cerebral palsy (CP)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residential laws pertaining to the disabled and provide basic data on the health legislation for the rights of the disabled. Materials and Methods: The literature was searched using three keywords: residence, rehabilitation, and accessibility. Two items were selecte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habilitation accessibility. The questionnaire included 51 items; 24 were scored using a Likert scale and 27 were in the form of multiple-choice questions. Results: This study included 100 subjects, of which 93 lived at home and seven lived in a facility. Of these 93 subjects, 65% were living in apartments, usually two or more floors above ground, and 40% of them were living without elevators. According to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subjects with I to III belonged to the ambulatory group and IV, V were in the non-ambulatory group. Subjects from both groups who lived at home found it most difficult to visit the rehabilitation center by themselves. In contrast, among those who lived at the facility, the ambulatory group found it most difficult to leave the facility alone, while the non-ambulatory group found it most difficult to use the toilet alone. Moreover, 83% of respondents thought that rehabilitation was necessary for CP. On the other hand, 33% are receiving rehabilitation services. Rehabilitation was performed for an average of 3.6 sessions per week, 39 minutes per session. Conclusion: There is no law that ensures secure and convenient access of CP to higher levels. Laws on access routes to enter rooms are insufficient. The disabled people"s law and the disabled person"s health law will be implemented in December 2017. It is necessary to enact laws that actually reflect the difficul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investigation of the housing and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P through a large-scale questionnaire will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