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난관결찰술후 발생된 난관자궁내막증 및 난관루에 관한 연구

        조경훈,김정구,장윤석,Cho, K.H.,Kim, J.G.,Chang, Y.S. 대한생식의학회 198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endometriosis and tuboperitoneal fistula in remaining tubal segments after tubal ligation. We reviewed 936 tubes which were obtained from 474 patients who received tubal reanastomosis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June, 1980 to June, 198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tuboperitoneal fistula was 9.31% of the total 936 tubes (87 tubes) and cautery was the most frequent technique of sterilization in fistula formation (15.20%). 2. The incidence of tubal endometriosis was 2.03% of the total 936 tubes (19 tubes) and cautery was the most frequent technique of steri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tubal endometriosis (2.73%). 3. The incidence of tuboperitoneal fistula in the remaining proximal tubal segment within 4 cm was 11.25% and the incidence of endometriosis in the remaining proximal tubal segment above 4cm was 5.54%. 4. The incidence of tuboperitoneal fistula within 3 yrs after tubal ligation was 11.92% and the incidence of endometriosis over 6 yrs after tubal ligation was 5.73%.

      • 원격탐사 영상을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기법 연구 : 세가지 관점에서의 연구 고찰

        조경훈(Cho Kyung Hun),허준(Heo Joon),정재훈(Jung JaeHoon),유수홍(Yoo SuHong),김경민(Kim KyungM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3

        최근 지구의 기후 및 환경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떠오르는 가운데, 친환경적이고 재생 가능한 산림바이오에너지는 대체 에너지로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대기와 토양 사이의 탄소 교환하여 국제적인 탄소순환에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산림바이오매스 측정이 필요하다. 산림바이오매스에 관한 연구는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에서도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산림 바이오매스 측정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생태군계, 원격탐사영상, 추정방법 등 3가지 범주로 해석해 본 후, 그 경향과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 전문가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요인 연구

        조경훈 ( Kyunghoon Cho ),김진명 ( Jinmyoung Ki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2

        다문화사회 전문가의 육성이 이루어진지 10년이 지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그간의 운영 현황 및 한계를 확인하고 개선을 위한 자료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현재 다문화사회 전문가 교육과정이 사회에서 요구하고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자격을 갖춘 전문가가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고 있는 현실에서, 교육 과정을 개편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기 위한 본 연구가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 전문가 제도의 개선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로서 필요한 역량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이루어졌다. 다문화사회 전문가 및 교육생의 인식을 수집하여 필요한 역량을 탐색적으로 분석한 결과 9개의 역량요인이 도출되었다. 다문화 실천기술, 문화 다양성, 정책전문성, 한국역사 이해, 법률전문성, 현장상담 역량, 한국사회 이해, 타문화 이해, 연구역량이 도출되었다. 즉, 다문화에 대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역량과 우리나라의 생활에 필요한 각종 제도 및 지식에 대한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를 바탕으로 추후 다문화사회 전문가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st operating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and to produce data for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iculum of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is not enough to fulfill the roles required in society. The reality that limited scope of qualified professionals is limited also makes it difficult to operate the multicultural social expert system properly.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ocial professionals and students, the following competence factors were derived: multicultural practice skill,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policy expertise,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legal expertise, field counseling competence,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research capability. It is hoped that discussions on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will be made actively using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부인과감염증에서 유나신과 세프라딘/겐타마이신의 치료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조경훈(KH Cho),강순범(SB Kang),장윤석(YS C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

        1988년 1월부터 7월까지 7개월간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 부인 감염증으로 입원한 환자 에서 Unasyn투여군 20명과 대조군으로 Cephradine/Gentamicin투여군 20명을 비교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대상환자의 부인과 감염증으로는 Unasyn투여군과 Cephradine/Gentamicin투여군에서 골반염이 각각 12예, 13례로 가장 빈도가 높았다. 2. 세균배양에서 분리된 균주에 대한 항생제 예민반응검사에서 unasyn은 92.0%의 감수성을 Cephradine은 86.0%, Gentamicin은 60.0%의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3. 세균학적 판정효과는 unasyn군에서는 91.3%의 치유율을 Cephradine/Gentamicin군은 81.5%의 치유율을 나타내어 Unasyn군이 유의하게 우수함을 보였다. 4. 임상효과의 판정을 보면 Unasyn군은 95%의 치유율을 , Cephradine/Gentamicin군은 85%의 치유율을 보였다. 5. 종합판정에서도 Unasyn군이 Cephradine/Gentamicin군보다 유의하게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6. 투약중 양군에서 특이할만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7. 결론적으로 부인과 감염증에서 Unasyn단독투여는 Cephradine/Gentamicin병합 투여보다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To compare the efficacy of unasyn(sulbactam/ampicillin) in gynecologic infections with that of Cephradine plus Gentamicin a clinical study was done at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unecology , Seoul National Unviersity Hospital from January to July , 1988. Twenty patients were treated with Unasyn and the other twenty patients were treated with Cephradine plus Gentamicin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elvic inflammatory disease was the most frequency gynecologic infection in both study group . 2. Unasyn was sensitive to 92% of isolated organisms, Cephradine was to 86.0% and GM was to 60.0%. 3. In bacteriological response Unasyn group showed cure rate in 91.3% and Cephradine/Gentamicin group showed in 81.5%. 4. In clinical response Unasyn group was more cure rate in 95% and Cephradine/Gentamicin group revealed in 85%. 5. In global assessment Unasyn group was more superior to Cephradine/Gentamicin group . 6. no remarkable adverse effect was seen in Unasyn group and Cephradine/Gentamicin group 7. In conclusion Unasyn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than Cephradine/Gentamicin combination treatment in gyneclogic infections.

      • KCI등재

        갈등영향분석의 개선방안에 대한 탐색

        조경훈(Cho, Kyung-Hoon),이선우(Lee, Sun-woo),박형준(Park, Hyung-Joon) 서울행정학회 2015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6 No.2

        갈등영향분석은 2007년 제정된 「공공기관의 갈등 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에 따라 지금까지 여러 사례에 적용되어 갈등의 예방과 진단에 활용되었다. 그러나 제도가 처음 제안된 이후 지금까지 거의 발전이 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무엇보다 복잡하고 다변화되어 가는 공공갈등의 특성에 대응하여 이해관계자 내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갈등에서 일반적으로 구분되고 있는 이해관계자 집단 내에서도 여러 인식의 특성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현재진행 중인 당진시 송전선로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Q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대상 집단의 주관적 인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Q 분석을 통해, 주민 집단 내에서 4개의 인식 유형, 지자체에서 3개 및 발전사에서 2개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해관계자 집단 내에서도 이해와 입장에 따라 다양한 인식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갈등영향분석에 있어 이해관계자의 파악과 인식을 보다 면밀히 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제안을 통해 갈등영향분석이 좀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되어, 정부의 공공갈등 관리 역량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 Conflict assessment has been widely utilized in Korea for the prevention and diagnosis of public conflict. Although conflict assessment ha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and diversified public conflicts, a limitation of the approach is its tendency to overlook the variety of opinions among stakehold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stablish whether recognition exists for stakeholder groups usually separated from public conflict. More specifically, a Q analysis was undertaken of the Dangjin City transmission towers case. The results reveal various types of recognition among the groups and confirm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uggestions are made for closer identification and recognition of stakeholders in conflict assessmen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uld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strengthening the public conflict management capacity of government through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conflict assessment.

      • KCI등재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국외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현황 및 비교분석

        조경훈(Cho Kyung Hun),허준(Heo Joon),정재훈(Jung Jae Hoon),김창재(Kim Chang Jae),김경민(Kim Kyung M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1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가 문제시 되고 있는 가운데,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탄소의 배출 및 저장량 추정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산림 바이오매스는 대기와 토양 간 탄소 순환의 중요한 매개체로서 전 지구적인 탄소 순환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산림 바이오매스의 각종 파라미터를 추정하고 정량화하려는 노력이 각국에서 진행중에 있다. 그러나 현장조사를 통한 추정은 시간 및 인력낭비가 심하고,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조사가 어렵기 때문에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은 총 41개의 해외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연구를 다섯 가지 관점(연구대상지역; 연구대상면적; 생태군계; 원격탐사자료; 추정기법)에 따라 분류하고, 연구사례 및 기반 기술이 제한적인 국내 관련 분야의 기반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연구대상지역으로는 북미지역이 39%로 가장 많은 연구 사례가 존재하였으며, 연구대상면적에 대한 조사에 있어서는 지역크기를 대·중·소로 분류 시 소규모 지역 (3,600km2)의 연구 수가 59%로 가장 많았다. 생태군계의 경우 북쪽 수림대/타이가 지역이 30%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었고, 원격탐사자료 사용 빈도는 Landsat 시리즈와 LiDAR가 각각 35%, 16%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기법에 있어서는 회귀분석 방법이 71%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Carbon emissions and storages that are strongly related to global warming has have emerged a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while many governments and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climate change and pollution. In this regards, forest biomass estimation is quite importance since forest biomass works as an important medium of the global carbon cycle between the atmosphere and soil. Forest biomass estimation through field survey needs lots of time and labors, and has accessibility issues. Hence,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forest biomass approaches based on remotely sensed data.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reviewed forty one international studies using remote sensing data according to five different categories (i.e., location of study area, size of study area, biome, used remote sensing data, and estimation technology).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suggesting domestic research directions; domestic research in this field is at the beginning stage in terms of level of technologies and useful materials. As results, 39% out of the reviewed studies used the areas located in North America. 59% out of the researches dealt with small size of the study areas (less than 3,600km2). In case of biome, around 30% of the studies focused on the boreal/taiga areas. Moreover, 35% and 16% of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using Landsat series and Lidar data, respectively. Finally,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most frequently used for forest biomass estimation by 71% out of 41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