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열화와 안정성

        조경진(Kyungjin Cho),김성탁(Seongtak Kim),배수현(Soohyun Bae),정태원(Taewon Chung),이상원(Sang-won Lee),이경동(Kyung Dong Lee),이승훈(Seunghun Lee),권구한(Guhan Kwon),안세원(Seh-Won Ahn),이헌민(Heon-Min Lee),고민재(Min Jae Ko),강윤묵(Yo 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16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Vol.4 No.2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perovskite solar cells has remarkably increased from 3.81% to 22.1% in the past 6 years. Perovskite solar cells, which are based on the perovskite crystal structure, are fabricated using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The advantages of these solar cells are their low cost and simple fabrication procedure. Also, they have a band gap of about 1.6 eV and effectively absorb light in the visible regio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perovskite solar cells in the field of photovoltaics, the issue of their long term stability cannot be overlooked. Although the development of perovskite solar cells is unprecedented, their main drawback is the degradation of the perovskite structure by moisture. This degradation is accelerated by exposure to UV light, temperature, and external bias. This paper reviews the aforesaid reasons for perovskite solar cell degradation. We also discuss the research directions that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perovskite solar cells with high stability.

      • KCI등재

        ‘과학하기(doing science)’를 위한 놀이에 나타난 교사의 지원과 유아의 과학적 경험

        조경진 ( Cho Kyungjin ),( Plummer Julia. D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유아의 ‘과학하기(doing science)’를 위한 놀이에서 나타난 교사의 지원과 유아들의 과학적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를 위한 과학 그림책 개발 및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 활동을 개발하여 미국 북동부의 소도시에 위치한 어린이 과학 박물관과 유치원에서 만 3-5세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과학하기’를 위한 놀이 활동에서 교사는 ‘관찰과 예측을 통한 탐구과정 격려하기', ‘질문을 통해 유아들과 함께 논의과정에 참여하기', ‘새로운 어휘 사용하기' 지원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놀이 맥락을 지원하는 ‘내러티브 기반의 가상놀이 맥락 제공하기', ‘또래와의 협력 격려하기' 지원양상이 나타났다. 유아들의 과학적 경험은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상호작용하기', ‘관찰 및 예측을 통해 탐구과정에 참여하기', ‘과학적 설명구성에 참여하기', ‘표상을 통해 교류하기'의 교육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질 높은 과학교육을 위하여 놀이를 배움으로 이끌 수 있는 교사의 다양한 지원양상을 살펴보고 동시에 유아들의 과학적 경험 및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들의 의미 있는 과학적 경험을 지원하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teacher support and the meaning of young children’s science experience in a playful learning context for ‘doing scienc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children’s science picture and a play activity using the picture book.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 3- to 5-year old children at a local preschool and a children’s museum in a small North Eastern U.S. c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uring the play for doing science, the teacher provided opportunities to ‘encourage children to make observations and predictions’, ‘engage discussion through asking questions’, and ‘use new language’ to support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vestigation. The teacher also provided ‘narrative-based pretend play context’ and ‘collaborative play opportunities’ to support their play context. Young children’s scientific experience involved ‘using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engaging in making observations and predictions’, ‘engaging in constructing scientific explanations’ and ‘generating representations to share their ideas’ during scientific inquiry process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investigating the aspects of teacher support and young children’s science experience and the educational meaning for high-quality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support young children’s meaningful science experience in play-centered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화이트헤드의 존재론을 통한 표현론의 확장 가능성

        조경진 ( Cho Kyungji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8 예술과 미디어 Vol.17 No.1

        이 논문은 예술에 관한 본질주의적 정의 중 하나이자 오늘날까지 예술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관점을 제공하고 있는 표현론(expression theory of art)을 화이트헤드의 미학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재검토하고 나아가 표현론의 외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안적 방식의 예술의 특성화를 시도하고 있다. 표현론의 핵심, 그러니까 표현론을 다른 이론과 분명하게 구별해 주는 지점은 예술에서 표현되거나 감상되는 것은 곧 정서에 관한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이 핵심 테제는 표현론을 다른 이론과 구별해주면서 동시에 그런 한에서 예술의 다른 측면을 포함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한다. 이를테면, 표현론은 정서의 표현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 작업, 혹은 정서가 아니라 개념적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작업들을 마주할 때 설명력을 잃고 만다. 그럼에도 이 논문은 표현론의 핵심 전제, 즉 정서적 측면이 예술에서 본질적이라는 점을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관점을 통해 방어하려고 했으며, 나아가 그 정서적 측면이 어떠한 절차로 명제적(개념, 아이디어) 측면까지 정당하게 포섭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이 논문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정서적인 반응과 비정서적인 반응에 관한 자의적 구별을 넘어 모든 경험이 근본적으로 정서적 경험임을 보임으로써 예술작품에 대한 경험이 본질적으로 정서적임을 주장하는 데 있으며, 다른 하나는 개념적, 명제적 요소라 할지라도 언제나 정서적 경험으로 주어지고, 나아가 개념적, 명제적 요소는 원초적인 정동적, 물리적 정서와 조화롭게 대비되는 한에서 미적 경험의 강도를 고양할 수 있다는 점을 화이트헤드의 체계안에서 논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끝으로 감각과 명제가 의식 안에서 종합되는 특징적 방식을 통해 예술을 특성화하려고 하였다. The expression theory of art,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ist definitions of art and provides the most basic view of understanding art until now.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it and characterizing art in an alternative way from the viewpoint of Whitehead's aesthetic ontology. The point of distinguishing the expression theory from other theories is that expressing or appreciating in art is about emotion. But this crucial thesis distinguishes expressionism from other theories and at the same time exposes the limits of not including other aspects of art. For example, the theory loses explanatory power when it faces artworks that do not focus on expression of emotions, or display conceptual ideas rather than emotions. Nevertheless,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defend the core premise of expression theory of art, that is, the emotional aspect, as essential in art, through the philosophical view of Whitehead, and furthermore argued the way in which its propositional(concept and idea) aspects can be legitimately subsumed to emotional aspects. One of the key tasks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all experiences are fundamentally emotional experiences, beyond the arbitrary distinction of emotional and non-emotional, and the other is to discuss that even conceptual or propositional elements in the works of art are always given as emotional experiences, and furthermore, they can enhance the intensity of aesthetic experience insofar as they are in harmonious contrast with the underlying affectional and physical emotions through Whiteheadian metaphysical system. Finally, in this paper, I tried to characterize art in the specified way which experience integrates senses and propositions in consciousness.

      • KCI등재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NT)의 미학적 적용 - 라투르를 매개한 크라우스의 ‘번역’ -

        조경진 ( Cho Kyungji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0 예술과 미디어 Vol.19 No.2

        이 논문은 크라우스의 비조각론, 즉 확장된 영역에서의 조각론을 라투르와 ANT(Actor Network Theory)를 매개해 읽음으로써 그 한계를 논함은 물론, 이에 대한 동시대적 대안으로서 ‘번역으로서의 예술’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모델은 과학학에서의 ANT의 모델을 예술적 관점에서 원용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시대에 예술 활동과 이미지의 본성을 논하기 위한 도구로서 제시된 것이다. 크라우스의 비조각론은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사물, 즉 모더니즘의 순수주의의 이념으로는 포착되기 힘든 이종적인 결합물들로서 비조각을 기존의 문화 공간과 그 체계의 확장을 통해 포섭할 수 있는 훌륭한 논리적 구조물을 제시한다. 그러나, 그의 논의는 동시대의 다양한 혼종들의 네트워크를 포착하기에는 너무 단순하다는 한계가 있다. 포스트미디엄 담론 안에서 기술적 지지체로서의 매체 개념 역시 마찬가지다. 다종의 매체를 인정한다고 해도 그것은 여전히 매체와 ‘별개의 대상’이라는 관점에 묶여 있다. 이 논문은 이에 대안으로서 네트워크 시대의 예술 공간에 부합하는 개념으로서 ‘번역으로서의 예술’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모델은 크라우스의 모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관계 미학과 예술, 포스트프로덕션에서 예술을 관계적, 네트워크적으로 정의하고 있지만, 여전히 인간중심적 관점에 머물고 있는 부리오의 관점을 발전시켜 관계 미학을 더 보편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즉 이 모델은 대칭적 관점에서 예술적 네트워크 구성에 인간 행위자(예술가)와 비인간 행위자 모두를 편입시킴으로써 탈인간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예술 행위를 바라볼 수 있게 한다. 둘째, 이 모델은 조슬릿의 경우처럼, 예술을 생산보다는 소비의 관점에서 보는 방식을 보완해 예술의 네트워크 구성 행위를 생산과 소비, 유통 전체를 포괄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게 한다. 이 모델을 통해 우리는 탈인간중심주의의 예술 행위와 네트워크 안에서 생산, 소비되는 이미지의 본성을 포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oposes an artistic model, ‘art as translation’. This model is an aesthetic application of ANT in science studies, and is presented as a tool for discussing the nature of artistic activities and images in the network era. Krauss' theory on non-sculptural things as heterogeneous combinations suggests an excellent logical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them through the expansion of existing cultural spaces and systems. However, his discussion is limited in that it is too simple to seize the various kind of hybrids produced in network era. The same is true of the concept of media as a ‘technical support’ in the post-medium discourse. Even if we admit a variety of medium, it is still tied to the viewpoint of being a ‘discrete objects’. As an alternative to this, ‘art as translation’ model not only provides an alternative to Krauss's model, but also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this model symmetrically incorporates both human actors (artists) and non-human actors in the composition of artistic networks, allowing us to look at artistic actions from a de-anthropocentric and post-humanistic perspective. Second, as in the case of Joselit, this model complements the way art is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umption rather than production, so that the act of constructing a network of art can be regarded as encompassing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as a whole. Through this model, we will be able to capture the nature of artistic action and image produced and consumed within the hybrid networks.

      • KCI등재

        관계 미학: 미학과 비평 사이

        조경진 ( Cho Kyungji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1 예술과 미디어 Vol.20 No.1

        이 논문은 니꼴라 부리오의 『관계 미학』을 관계적 형식론이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것의 요체, 문제, 그리고 대안적 가능성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반쯤은 분석적, 비판적 서평이며, 나아가 메타 비평이다. 논고의 제목이 시사하는 것처럼, 필자는 그의 예술론이 미학적 관점과 비평적 관점을 오가면서 일관성, 충분성 등의 관점에서 이론적 한계를 노출했다고 보며, 그 세부 사항들을 면밀히 분석하고자 했다. 여기서 미학적 관점이란 그가 저서의 앞부분에서 정립하려는, 보다 보편적 관점에서 다뤄지는 관계 미학을 의미하고, 비평적 관점이란 비평가의 입장에서 그가 ‘관계적 예술’이라고 지칭하는 90년대의 예술활동들을 위한 이론적, 비평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려했던 입장을 말한다. 요지는 그가 비평가적 입장에서 내세우고 설명하는 작업은 그가 관계적 예술이라 말하는 외연에 들면서도 동시에 관계 미학의 가능한 외연들을 축소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크게 두 가지를 비판했으며, 그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제시했다. 그의 관계 미학은 스스로 ‘관계적 형식론’으로 규정하지만, 이 형식의 행위자들은 인간 행위자들의 사회적 구성으로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당대의 예술작품들의 본성을 왜곡할 뿐만 아니라, 의도적으로 배제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필자는 이 관점이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그의 관계적 예술은 인간적 관점에서 규정될 것이 아니라, 오히려 관계 미학이라는 보다 보편적인 형식론의 관점에서 비인간 행위자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더 확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부리오의 관계 미학(BRA)의 한계는 그가 원래 제시한 관계 미학이라는 보편적인 입장에서가 아니라 관계적 예술론에 한정되면서 특정한 예술 형태들을 선택적으로 취합했을 뿐만 아니라 관계 미학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작업을 배제했다는 것이다. 한편, 그의 관계적 형식론은 더 구체적으로, 관계적 형식성의 그 관계성에만 주목할 것이 아니라, 과정성과 창발성의 형식적 특성에도 주목했어야 한다고 비판받을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essence, problems, and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Nicolas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by critically examining the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relational form. As the title of the thesis suggests, I saw that his art theory exposed theoretical limitations in terms of consistency, sufficiency, etc.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aesthetic and critical views, and tried to closely analyze what this was in. Here, an aesthetic point of view means relational aesthetics, which is treated from a more universal point of view, and a critical point of view is the position from the critic's point of view to define the artistic activities of the '90s, which he refers to as 'relational art.' The point is that the works he presents and explains from a critic's standpoint pose a risk of reducing the possible extensions of relational aesthetics while at the same time entering the extensions he calls relational art. In this paper, I criticized two major things, and presented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them. His relational aesthetics define themselves as 'theory of form,' but the actors of this form are limited to the social composition of human actors. However, this view not only distorts the nature of art works of the time, but also results in intentional exclusion. I pointed out that this view was problematic, and argued hat his relational art should not be defined from a human point of view, but rather should be further expanded to include non-human 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a more universal form theory of relational aesthetics. The limitations of his relational aesthetics(BRA) not only selectively collected certain art forms but also excluded other works that could be included in relational aesthetics, limited to the theory of relational art, as well as the universal position of relational aesthetics he originally presented. On the other hand, his theory of relational form should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emporality, processuality and emergent form, not only to its social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