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의 실존 앞에서 완전히 선하고 전능한 하나님을 말하다: 알프레드 화이트헤드와 존 힉의 신정론을 중심으로

        제해종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8 문학과종교 Vol.23 No.3

        악의 문제는 선하고 전능한 하나님을 믿는 이들에게 난해한 주제가 되어 왔는데, 이는 둘의 공존이 모순이 되기 때문이다. 악을 죄의 결과로 보는 전통적 견해는 하나님의 선하심에 상처를 입힌다. 화이트헤드와 힉은 하나님의 선하심을 옹호하면서, 전능성을 희생하는 또 다른 신정론을 제시한다. 화이트헤드는 악을 우주의 창조성의 원천이자 통제 불능의 능력으로 봄으로써, 하나님조차 그 악과 고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쓰는 분으로 인식한다. 힉은 악을 하나님의 창조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과정에서 한 인간의 성장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 저자들은 악의 문제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지만, 실제적인 해결책보다는 악의 문제에 대한 재해석을 제공하는데 그쳤다는 평가를 면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욥의 고난을 통해 현상 이면의 영적 및 종말적 관점의 이해를 추구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roblem of evil has been a difficult subject for those who believe in a good and omnipotent God, because their coexistence is contradictory. The traditional view of evil as a result of sin hurts the concept of God’s goodness. Whitehead and Hick present a theodicy that advocates God’s goodness while costing his omnipotence. Whitehead sees evil as a source of creativity and uncontrollable power in the universe, and thus his God is trying to solve the problem of evil. Hick recognizes evil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human growth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creative ideals of God. The se authors provide important insight s into the present issue, but they can hardly avoid the criticism that they only present reinterpretations of the problem of evil rather than the actual solutions. Accordingly, as an alternative, the researcher has presented a new model that pursues an understanding of the spiritual and eschatological perspectives behind the phenomenon through Job’s sufferings.

      • KCI등재

        로잔 운동과 공적 신학을 통해 고찰한 교회의 사회 참여 모델

        제해종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6

        The church needs to fulfill its mission both in regards of humanities’ sin problem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eing the light and salt of society. If the former problem is related more to evangelism as the private sphere, the latter is social involvement as the public sphere, and the church assumes responsibility for both private and public life. Traditionally, Christianity has lost its social influence by focusing only on evangelism and neglecting social involvement. Recognizing that the nature of the church is a holistic mission, the issue of social involvement is emerging as a new concern due to the spread of awareness of the public domain. Awareness of responsibility in the public sphere and various movements took place in Christianity, with roughly three approaches: 1) Traditional Christianity: Social involvement is a means of evangelism. 2) Public theology: Social involvement itself is the gospel. 3) Lausanne Movement: Social involvement is a gospel partner. This study focuses on the Lausanne movement representing the evangelical camp and the public theology representing the ecumenical camp among various positions on social involvement. The Lausanne Movement, while adhering to the traditional Christian identit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its evangelism-first model and understands social involvement as a partner instead of simply looking at evangelism. On the other hand, public theology is deeply related to political theology and liberation theology, but as a weakened form of it, the church’s social involvement itself is seen as evangelism. We compare these two models and then knot the research together by makingthree suggestions based on insights from these comparisons. First, social involvement is of equal importance to evangelism as part of God’s mission. Second, social involvement is not a means of evangelism, or evangelism itself, but a partner of evangelism in terms of total mission. Third, social involvement need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paradox of the Kingdom of God, which ultimately is not of this world, but it does not rule it out. 교회는 인간의 죄 문제를 다루는 선교적 사명과 사회의 빛과 소금이 되는 사회적 책임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전자가 사적 영역으로서 전도라면, 후자는 공적 영역으로서 사회 참여인데, 교회는 사적인 동시에 공적 책임을 동시에 진다. 전통적으로 기독교는 전도에만 집중하고 사회 참여를 소홀히 하면서 사회적 영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교회의 본질이 총체적 선교 사명임을 자각하면서 공적 영역에 대한 인식의 확산으로 사회 참여 문제는 새로운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공적 영역에서의 책임 을 자각하고 다양한 움직임들이 기독교 내에서 일어났는데, 대략 다음과 같은 3가지 접근법들이 있었다. 1) 전통적 기독교: 사회 참여는 전도의 수단이다. 2) 공적 신학: 사회 참여 그 자체가 복음이다. 3) 로잔 운동: 사회 참여는 복음의 파트너다. 본 연구는 사회 참여에 대한 다양한 입장 중 복음주의 진영을 대표하 는 로잔 운동과 에큐메니컬 진영을 대표하는 공적 신학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로잔 운동은 전통적인 기독교의 정체성을 고수하면서도 그것이 가진 전도 우위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회 참여를 단순히 전도의 수 단으로 보는 대신 파트너로 이해한다. 반면 공적 신학은 정치신학이나 해방신학과 관련성이 깊은 것이지만 그것의 순화된 형태로서 교회의 사회 참여 자체를 선교로 본다. 이들 두 모델을 비교 분석한 다음 이들에게서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세 가지 제안을 함으로써 연구를 매듭짓는다. 첫째, 사회 참여는 하나님의 선교의 한 부분으로서 전도에 상응하는 중요성을 지닌다. 둘째, 사회 참여는 전도의 수단도, 전도 자체도 아닌, 총체적 선교의 관점에서 전도의 파트너다. 셋째, 사회 참여는 궁극적으로 이 땅은 아니지만, 이 세상을 배제하지 않는 ‘하나님의 나라의 역설’이라 는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Lacto-Ovo-Vegetarian과 Non-Vegetarian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제해종,신경옥,Je, Haejong,Shin, Kyung-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2

        본 연구는 노원구 S대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lacto-ovo-vegetarian과 non-vegetarian으로 나누어 신체계측, 건강상태,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교하여 건강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실시하였다. 1. Lacto-ovo vegetarian과 non-vegetarian의 신장은 차이가 없었지만, 체중은 non-vegetarian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Lacto-ovo vegetarian은 종교적인 이유로 채식을 하고 있었으며, 영양학적으로 채식 식사의 만족도는 86.0%를 차지하였다. 3. Lacto-ovo vegetarian과 non-vegetarian은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영양제 복용율은 낮은 편이었으며, 운동을 하는 비율은 lacto-ovo vegetarian 64.0%와 non-vegetarian 61.4%가 한다고 답하였다. 4. Lacto-ovo vegetarian은 non-vegetarian에 비해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였으며,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전체 조사대상자들은 모두 외식을 한다고 답하였으며, 외식 시 선호하는 음식으로는 한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Lacto-ovo vegetarian은 non-vegetarian에 비해 우유나 유제품(요구르트, 요플레 등)을 매일 1병 이상 마시는 점, 김치 이외의 채소를 식사할 때마다 먹는 점, 과일(1개)이나 과일주스(1잔)를 매일 먹는 점, 식사는 매일 세끼를 규칙적으로 한다는 점 및 모든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점에 대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에 비해 non-vegetarian은 달걀, 콩 및 두부 등으로 된 음식을 끼니마다 먹는 점과 튀김이나 기름에 볶는 요리를 주 2회 이상 먹는 점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6. Lacto-ovo vegetarian의 경우, 에너지, 비타민 $B_2$, $B_6$ 및 니아신 섭취율이 낮은 반면에, 식이섬유는 충분히 섭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non-vegetarian은 식이섬유는 부족하게 섭취하였으나, 소디움, 콜레스테롤 등의 영양소는 과잉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건강관련사항이나 식습관에 있어서는 두 군 간에 큰 차이는 없었지만, 영양소 섭취상태에서는 lacto-ovo vegetarian과 non-vegetarian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Lacto-ovo vegetarian의 경우에는 육류나 생선 섭취를 하지 않는 것을 고려하여 열량을 비롯한 다른 영양소의 섭취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신중한 식사계획이 필요하며,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대체식품의 이용률을 증가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non-vegetarian의 경우는 지속적인 영양소의 과잉 섭취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health status, and nutrients status of 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ccording to vegetarian habits. The heights of lacto-ovo vegetarian and non-vegetarian stud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vegetarians. The lacto-ovo-vegetarians were vegetarians for religious reasons, and indicated 86.0% satisfaction with their meals. However, the lacto-ovo vegetarian and non-vegetarians showed concerns about low nutrient intakes. Lacto-ovo vegetarians displayed a higher proportion of meal regularity and daily breakfast as compared to non-vegetarians. In addition, their favorite food when eating out was Korean food. Lacto-ovo vegetarians showed higher intakes of milk or other dairy products (yogurt, etc.), vegetables, and fruit, as well as more regular eating habits. In contrast, the non-vegetarians showed higher intakes of high-protein foods (eggs, beans, tofu, etc.) and fatty foods. Lacto-ovo vegetarians showed lower intakes of total energy, as well as vitamins $B_2$, $B_6$, and niacin. Non-vegetarians showed in sufficient dietary fiber intake. In conclusion, lacto-ovo-vegetarians need a meal plan to consider the intake of other nutrients, while non-vegetarians should try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health problems due to excessive intake of nutrients.

      • KCI등재

        도토리의 일반 성분과 도토리 추출물의 기능에 관한 연구 고찰

        제해종,신경옥,Je, Haejong,Shin, Kyung-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alth effects of the general components of acorns in animals. In Korea, acorns have been used as food material in the form of acorn starch. Acorns contain tannin, gallic acid, digallic acid, and gallotannin. Therefore, the health effects of acorns as functional food are actively being studi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corns may vary according to the harvest time, region, and breed. Acorns have excellent antioxidant properties and might be beneficial in controlling hyperlipidemia, obesity,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mentia, as well as strengthening immune competence.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better understand the benefits of acorns, as it is expected to represent a large part of the food industry.

      • KCI등재

        교회의 5대 본질적 기능 재고찰을 통한 포스트 코로나 교회론

        제해종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0

        After the COVID-19 crisis, the world’s terrain has changed completely to the extent that it has been divided before and after Corona. We are living in the era of new normals, things we never thought of before Corona19, such as wearing masks everywhere, maintaining social distance, sitting on one side in the cafeteria, and online face-to-face classes. Perhaps the most seriously affected by the COVID-19 incident is the church. How should the church respond to the various problems caused by COVID-19? This study intends to re-examine the five essential missions of the church in the post-Corona19 era. The five essences are the three essential functions of the intangible church: didake (teaching), kerygma (declaration), diakonia (service), and the two essential functions of the tangible church: koinonia (association) and leiturgia (worship). Of these, koinonia and leiturgia are the most seriously threatened by the restraint of face-to-face worship in the incident of COVID-19. In times of crisis, the church needs to strengthen its vertical koinonia with God in order to perform its didake function well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horizontal koinonia among believers. However, in the situation where face-to-face worship is desired due to social distance, teaching and proclaiming the Bible is the most important part. For this, it is considered that a specialized ministry is needed to produce high quality contents. 코로나19 사태 이후 세상의 지형은 코로나 이전과 코로나 이후로 나뉠 정도로 완전히 바뀌었다. 마스크, 사회적 거리 유지하기, 구내식당에서 한쪽 편에만 앉기, 온라인 비대면 수업 등과 같이 우리는 지금 코로나19 이전엔 생각도 못한 것들이 이제는 일상이 되어 버린 뉴 노멀의 시대를 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부터 가장 심각하게 영향을 받은 곳은 다름 아닌 교회일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직면하면서 교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교회의 5대 본질적 사명의 재성찰 하고자 한다. 5대 본질에는 무형교회의 3대 본질적 기능인 디다케(가르침), 케리그마(선포), 디아코니아(봉사)와 유형교회의 2대 본질적 기능인 코이노니아(교제)와 레이투르기아(예배)가 있다. 이들 중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예배가 자제됨으로 인해 가장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것은 코이노니아와 레이투르기아이다. 위기의 때에 교회는 디다케적 기능을 잘 수행하고, 신자들 간의 수평적 코이노니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하나님과의 수직적 코이노니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대면예배가 소원해진 상황에서 무엇보다 노력이 필요한 부분은 성경을 가르치는 것과 선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다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할 전문 사역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기독교적 관점에 따른 존 힉의 신중심적 종교다원주의 비평

        제해종 ( Hae Jong Je ) 한국조직신학회 201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4 No.-

        This study is about the theocentric religious pluralism of John Hick, who has offered one of the most sophisticated and influential interpretations of religious pluralism. According to John Hick religious pluralism is the view that the great world religions are different responses to the ultimate real, and thus the transformation of human existence from self-centeredness to Reality-centeredness is taking place in different ways within the contexts of all the great religious traditions. Hick`s main thesis is that there is not merely one way, but a plurality of ways to salvation or liberation. Since Hick`s thought that each of the great world religions is a response to the divine Real and is thus salvific is theocentric (or realocentric) in nature, God is at the center of all religious traditions in Hick`s theology of world religions. In fact, Hick`s theocentric religious pluralism, which offers salvific transformation for all religious adherents, seems to be the solution for the apparent problem of the plurality of religions and their tensions in relation to each other. Therefore, to critically evaluate Hick`s religious pluralism I have focused primarily on how Hick`s theocentric model of world religions works as a theory both in itself and in its relationship to Christian theology. Though theocentric religious pluralism seems to offer a valid answer to the problem of religious diversity today, it has several critical implications that are fatal to Christian theology. This study points out three critical problems of Hick`s theocentric model of world religions that weaken his concept of pluralism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1) the problem of the inaccessibility of the Real is never overcome by his Kantian epistemological insights ; 2) the theocentrism proposed inevitably implies the denial of the doctrine of incarnation; and 3) the theological problem of universal salvation is implied in this theocentric model of world religions. Accordingly, Hick`s theocentric model of world religions cannot be considered as the answer to the problem of religious d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

        제해종(Haejong J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2

        이 논문은 오늘날 우리 사회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자살을 기독교적 입장에서 다루고 있다. 자살에 대한 역사적인 입장은 용감하고 명예로운 것으로 생각하는 찬성과 신이 부여한 생명을 버리는 것은 옳지 않다는 반대로 나눠진다. 성경의 자살은 대부분 명예자살이지만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의 영향으로 기독교 내에서 부정적으로 자리 잡다가 급기야 ‘자살자는 지옥행’이라는 생각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자살을 할까? 자살의 원인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대략 생물학적 원인, 정신과적 원인, 그리고 사회학적 원인의 세 부류로 나뉜다. 논자는 이들 각각 혹은 복합적으로 자살에 기여한 것을 인정하면서도 결국은 이들에 대한 개인의 대응이 결정적 요인이라는 입장을 취했다. 자기 해석적 존재인 인간이 자신의 절망적 현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가 자살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런 이해에 기초하여 논자는 자살 문제에 대한 본질적 해결책으로 자살에 대한 세 가지 새로운 인식과 실제적 제안을 제시함으로써 논문을 매듭지었다. 첫째, 인간의 생명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고, 하나님께 속한 고귀한 것이란 인식이 필요하다. 둘째, 기독교는 인간이 궁극적으로 영원한 생명이라는 희망의 미래를 조망할 수 있는 존재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셋째, 자살은 살인 금지규정에 대한 위반이지만 범죄행위라기보다는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라는 인식의 확산 역시 필요하다. 이 일을 위해 기독교가 실제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생명존중사상을 확산하는 캠페인을 진행할 뿐 아니라, 자살예방센터를 초 교파적으로 각 지역에서 운영하는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suicide that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our society as well as in the world today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Historical position regarding suicide is divided into two; some see it as a brave and honorable act and give approval to it, the others view it as act of giving up the life that is given by God and are opposed to it. Though suicides in the Bible are mostly committed to maintain honor, because of Augustin’s position it became negative in Christianity, leading to a thought that one who committed suicide goes to hell. Why then people commit suicide? The views of scholars on the cause of suicide are divided into three;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ological. My position is that though each or all of them contribute to suicide, yet the decisive factor is on how a person reacts to them. Major factor of suicide is how humans as interpretive beings accept the present despair.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of suicide and humans, I conclude this paper with three new recognitions as an essential answer to suicide. First, humans are made in God’s image and belong to Him, thus their life is precious. Second, Christianity views humans as ones look for the hope in the future as the eternal life. Third, suicide is a violation of the commandment ‘do not kill’ yet it is not an act of sin but a disease that needs to be cured. To achieve this Christianity must not only spread the idea of respect for life and also run suicide prevention center every city.

      • KCI등재

        유신진화론: 창조론과 진화론 사이에서

        제해종(Haejong J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우주와 인간의 기원에 대한 관심은 역사적으로 인간 탐구의 중심 주제 중 하나였다. 기원에 관한 문제는 단순한 지적 호기심의 문제가 아닌 인간 정체성에 관한 것이자 인간의 운명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다. 인간의 기원과 관련하여 제시된 전통적인 모델은 크게 만물이 창조주에게서 기인하였다는 기독교의 창조론과 모든 것이 우연히 발생하여 하등에서 점점 고등동물로 진화하였다는 진화론, 그리고 기원에 관하여 우리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불가지론이 있다. 본 연구는 창조론과 진화론의 결합인 유신진화론을 다루고 있다. 유신진화론이란 만물이 하나님에게서 기원하긴 했지만 즉각적 창조가 아닌, 오랜 세월 진화의 과정을 통한 창조를 통한 것이었다고 주장한다. 기원에 관한 두 상충하는 이론을 기독교적으로 결합하여 제시한 것이 유신진화론인데, 이는 여러 가지 본질적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를 지적하였다. 첫째, 성경의 하나님이 전능한 창조주가 아닌 자연의 법칙에 국한된 모습으로 축소된다. 둘째, 성경의 사건을 상징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역사성을 거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유신진화론보다는 오히려 진화론이나 창조론 둘 중 하나를 택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Interest in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man has historically been one of the central themes of human inquiry. The question of origin is not just a matter of intellectual curiosity, but a matter of human identity and an important matter of human destiny. The traditional model presented in relation to the origin of man is largely the Christian creationism that all things originated from the Creator, the evolutionary theory that everything happened by chance and evolved from lower to higher animals, and the agnosticism that we cannot know anything about the origin. This study deals with the theory of theistic evolution, a combination of creationism and evolutionism. It is argued that the theory of the evolutionary origin was not an immediate creation, although all things originated from God, but through creation through a long evolutionary process. The theory of theistic evolution was proposed by combining two conflicting theories of origin in a Christian way, which has several essential problems, but this study pointed out two. First, the God of the Bible is reduced to the image of being confined to the laws of nature, not the Almighty Creator. Second, by interpreting the events of the Bible symbolically, it results in rejection of historicity. Therefore, it is more rational to choose either evolutionism or creationism rather than the theory of theistic 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