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 장면에서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방략

        정희섭 ( Hee-sup Jung ),조인수 ( In-soo Ch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2

        통합교육이 지속적으로 주창되고 있는 현재, 통합교육 장면에서 장애학생 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즉, 교육과정적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과정 실행 방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교 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 착목하고, 통합교육 장면에서 장애학생에게 적용되는 교육과정 유형을 일반형, 변환형, 보완.대체형의 구분을 전제로, ‘절차’와 ‘방법’이라는 두 차원이동시에 작동하는 교육과정 실행 방략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절차’는 교육과정사정, 교육과정 구성실행, 수업전환 실행이라는 단계로 진행되고, ‘방법’은 강령, 숙의, 실행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이들 절차와 방법이 맞물려 작동할 때 교육과정적 통합이 이루어지고,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통한 표면적 및 잠재적 효과를 성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것의 정당성 및 타당성의 근거는 교육과정 분야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제성’ 이론에 그 기반을 두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ategie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inclusive setting. This study is to present strategie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order for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share manifest and hidden effects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urriculum implementation strategies in inclusive setting should be processed as ``procedure`` in order of curriculum assessment, curriculum construction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for converting the curriculum into teaching. Substantial and uncertain curriculum problems at every stage of implementation should be solved through application of ``method`` in order of platform, deliberation and adapt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emises, the factors, and the strategie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inclusive setting can assure the impartiality and validity based on curriculum ``the practica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ollow-up studies about the field effects of the strategies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practicality of curriculum as a common study paradigm for both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education.

      • KCI등재

        역량기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실행과 과제

        정희섭(Jung Hee-sup)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역량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는 현행 기본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를 위한 실행 과정과 그 해결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우선, 실행 과정은 ‘요구 분석’, ‘교육과정 재인식’, ‘단원 재구성’, ‘수업 및 평가, 피드백’의 단계로 이루어질 것을 제안하였다. 다만, 전제 조건은 전개적 일체화와 내용적 일체화가 모두 포함되고, 교사와 학생 간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 전개되며, 교육활동의 각 단계에서 장애로 인한 다양한 교육적 요구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해결 과제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성공적인 학교현장 안착과 내실 있는 실행을 위해 특수교사 차원과 조직·법률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수교사 차원에서는 교육과정 문해력의 습득과 신장, 다양한 수업 방법과 적합한 평가 방안의 활용 및 실행 능력의 확대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반면, 조직과 법률 차원에서는 ‘장애 특성’ 중심에서 ‘교육과정’ 중심으로 개별화교육계획(IEP) 전환, 협력적 팀 접근을 위한 학교 운영과 개별 학생의 성취 역량 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특수학교(급) 학교현장의 구체적인 실천 사례에 관한 연구, 특수교사의 실행 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이해와 분석 연구 등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ecution process for a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record) integration and the solution tasks thereof based on the present basic curriculum where the focus is on the competency education. First, the execution process goes through the following stages: need analysis, new understanding of curriculum, unit restructuring, and class, evaluation, and feedback . However, as the prerequisite, both development integration and content integration should be included, there should be meaningful interac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a variety of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each stage of educational activities. Meanwhile, the solution tasks can be divided into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organizational and legal level for a successful settlement of a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record) integration in the school field and its substantial execution. At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btainment and increase of curriculum literacy and improvement of abilities to use and execute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are required. On the contrary, the school organizational and legal level requires the conversion from the education centered on disability characteristics to that o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 a school operation for cooperative team approach,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ystem for competency management of individual student with disability.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on specific practice cases of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class) field and on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xecution process.

      • KCI등재

        장애의 다중 패러다임에 근거한 통합교육 관련 법률의 성격

        정희섭 ( Jung Hee-sup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1

        본 연구는 장애의 다중 패러다임을 통해 우리나라 특수교육법의 통합교육 관련규정이 가지고 있는 성격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장애의 다중 패러다임별 기본 관점과 법률(정책) 지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근거해서 특수교육법의 전면 개정 시점을 중심으로 통합교육 관련규정의 성격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특수교육법의 통합교육 관련규정은 손상과 장애를 결부시키되 장애와 사회를 결부시키는데 부족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현상은 인식적-표상적 요인으로 해결하기 보다는 물리적-기능적 요인을 통해서 해결하려는 의도에 집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향후 특수교육법의 통합교육 관련 규정은 사회적 모델에 입각해서 `손상과 장애`의 관계보다 `장애와 사회`의 관계로 중심을 이동하는 보완이 필요하고, 관념론적 관점을 반영해서 물리적-기능적 요인과 인식적-표상적 요인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개정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egulations on the inclusiv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Act in Korea by multiple paradigms of disability. To do so, the basic viewpoints and policies were reviewed by multiple paradigms of disab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gulations on the integrated education were analyzed at the time of complete revision for Special Education Act based on these.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regulations on the inclusiv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Act were relat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pairment and the disability with limited views between the disability and the society. Also, they concentrat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disability with physical and functional elements rather than with perceived and representational elem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upplement the future regulations on the inclusiv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Act more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the disability and the society than that between the impairment and the disability based on the social model. This study suggested the amendment be desirable to make balance between physical/functional elements and perceived/ representational ones applying the viewpoint of idealism.

      • KCI등재
      • KCI등재

        장애학생의 일반학급 수업참여를 위한 단원(unit)중심 교육과정 조정 전략

        정희섭 ( Hee Sup J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참여 확대와 학업성취 증진을 위한 현장의 적합성과 실제성이 높은 ‘단원중심 교육과정 조정 전략’을 제안하는데 초점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선행 연구물, 정책 자료, 관련 저서 등의 문헌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나라 통합교육 수업상황에서의 교육과정 조정은 일반교사에 의해 만들어지는 일반교과의 특정 단원계획에 근거해서 단원목표, 학습내용, 전개계획, 평가계획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절차 및 과정이 ‘특정단원의 교육과정 조정 일람표’, ‘조정단원 실행 계획’을 중심으로 준비단계, 숙의단계, 사정단계, 확정단계, 실행·평가 단계로 이루어질 필요를 있음을 강조했다. 그리고 ‘단원중심 교육과정 조정 전략’의 효과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일반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에 ‘교육과정 조정’ 관련 규정 보완 및 신설, 통합학교 문화의 확산을 통한 일반 학교의 조직과 운영 재구축,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지원활동과 보완활동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curriculum adaptation strategies focusing on unit with higher suitability and actuality of the filed for extending of participation in class and improving of academic achievement of disabled students who were integrated into general class. For this, the previous studies from the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es, policies sources and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for curriculum adaptation in inclusive class in Korea should be aligned with unit goal, contents, process planning and evaluation planning based on specific unit planning of subject matter. And then, the process and phase should be composed of preparation, consideration, assession, determination and execution and evaluation steps focusing on ``table of curriculum adaptation of a specific unit`` and ``aligned unit execution planning``. And, in order to rais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urriculum adaptation strategies focusing on unit``, supplement of the regulations about ``adaptation of curriculum`` on general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 re-establishment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general school through promoting integrated school cultures and invigoration of supporting and supplementing activities for disabled students` integrated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장애학생의 중등교육이후 “고용”으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전보성 ( Bo Sung Jeon ),정희섭 ( Hee Sup J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중등학교 과정에서 장애학생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용``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육 현실을 간략히 살펴보고, 그 이후 한국현실의 법령과 행정을 감안한 고용으로의 전환교육 성과확대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학교에서 지역으로의 성공적인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이 ``고용``이라고 한다면, 중등교육 이후에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장애성인들의 전반적인 고용률이 낮고, 고용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고용상태가 불량하며, 직장 적응의 문제로 이직률이 높고, 직업이동에 따른 훈련·알선 기회가 적고, 지역사회의 장애성인 고용을 위한 준비 및 지원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들이 도출되었다. 이에 기반하여, 중등교육이후에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고용으로의 전환교육은 전환 관련 법령의 체제적 정비, 직업 교육과정 운영의 유연성 확대, 학교와 직장을 연계하는 효율화 방안 강구, 현장 친화적 직업교육 모델의 구안 밑 실천, 취업 활성화를 위한 학교와 사업체 지원 등의 확대·적용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하편,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의 중등교육 이후 진로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성과 연도별 추이의 지속적인 추적조사 실시, 장애학생의 고용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해당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및 연계에 관한 천적인 체제구축 방안 등의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study was to review briefly educational situation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for disables student in secondary education course and to suggest plans to extended transition education to employment considering Korean legal and administrative circumstances. If the most important thing of many factors to affect successful transition from school to local community is 'employment', there are many prlblems: employment rate of disabled adults after second education who live in local society is generally low. Even though they are employed, the environment is poor and because of problems from workplace adjustment, rate of taking up another employment is higher. Even training courses and recommendations are rare and preparations and supports for their employment in local society are barely done. Based on them, transition education to successful employment for disabled students after their secondary education, needs systemtization of transition-related laws and regulations, extension of management of flexibility of job training courses. extension and application of supporting schools and busimesses for invigorating employment. This study also suggests future studies including to build practical systems for collaborations and liaisons between the schools and local society in order to conduct national level continual tracing surveys of general tendencies and annual changes about career situations after secondary education and to transit employment for disabled students.

      • KCI등재

        일반교사의 통합학급 내 장애학생의 수업통합 효율화를 위한 관련 수업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 조사

        강경숙 ( Kyung Suk Kang ),정희섭 ( Hee Sup J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일반교사들이 통합학급 내 장애학생의 수업통합 효율화를 위해서 수업 구성요인별로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과 현실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물을 통해서 공통 수업요인(학생, 교사, 교과, 환경)을 추출하고 일련의 절차를 거쳐 자체 개발된 조사지와 면담지로 현직 일반학급 교사 114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교사들은 수업 구성요인 전반에 대한 중요도 인식수준은 높은 반면, 실제 실행도 수행정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초등학교보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갈수록 그 폭이 커지는 학교과정에 따른 교사 집단 간 유의한 차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교사들에 대한 실제적 지식에 이론적 지식을 겸비하게 하는 조처방안 마련과 통합교육의 질적 수준의 상향 균등화를 위한 대책 마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ose recognized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be important for enhancing instruction effects and expanding classroom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in inclusive classroom per each instruction structural factor and compare those actually practiced by each school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common instruction factor(student, instructor, subject, environment) were extracted through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a survey was developed after going through a process to analyze the answers received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om 114 present instructors in regular classroom. As a resul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d high levels of recognition for the overall structural factors for teaching while showing low levels of performance for actual performance and such differences appeared regardful as the groups moved higher in grade level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Based on such results, measures were prepared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carry both the actual knowledge and theoretical knowledge and also suggested measures for upward equalization of quality standards for inclusiv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