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譯官이 다투어 읽던 중국인의 편지, 『海隣尺素』의 가치

        정후수(Chaung, Hoo Soo) 동악어문학회 2012 동악어문학 Vol.59 No.-

        譯官들이 使行길에 오르기 전에 중국에 관한 정보는 어디서 얻었을까? 그것은 중국인들이 보내왔던 편지가 한 몫을 했을 것이다. 1830년 1월 25일 청나라 文人韓韻海가 보낸 편지부터 1863년 5월 15일 孔憲庚이 보낸 편지까지 모두 61명이 보낸 279통의 편지가 朝鮮의 譯官 李尙迪에게 전해졌다. 무려 35년 간에 걸친 양국 간 교류의 모습을 보여주는 실증 자료라고 하겠다. 이상적은 이 편지를 모아 10帖으로 裝幀한 뒤 보배처럼 간직하고 이 편지첩을 『海隣尺素』라고 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해린척소』 원본은 언젠가 모르게 자취를 감췄다. 다행스럽게도 이 『해린척소』를 보고 베껴 쓴 전사본이 15종이나 전하고 있다. 15종의 전사본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 『해린척소』를 읽었다는 전제가 깔려있고, 필요에 의해 轉寫했다는 말이 될 것이다. 무슨 필요에 의해서 『해린척소』를 읽고 그것을 전사했을까. 그 필요성은 바로 『해린척소』에 담긴 정보 그 자체이고, 그것은 곧장 『해린척소』가 지니고 있는 가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는 이러한 논지로 출발해서 譯官들이 『해린척소』를 읽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정보의 가치를 몇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청조 인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둘째, 청조 인사들의 문화적 취향을 알 수 있다. 셋째, 문예적 가치가 있음을 볼 수 있다. 넷째, 당시 사회에 대한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문물 교류의 구체적 모습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몇 가지가 바로 『해린척소』가 지니고 있는 가치라고 하겠다. Lee Sang-jeok, a Joseon translator, received 285 letters from 61 people from the one by Han Yunhai(韓韻海), a literary figure in Qing Dynasty, on January 25, 1830 to the one by Kong Xiankyung(孔憲庚) on April 24, 1864. Those letters are empirical data to show the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over a period of 35 years. Lee bound the letters in ten cheops, kept them like treasure, and called them Haerincheokso. It is very unfortunate, however, that the original had disappeared one day, and it is fortunate that there are 15 different transcripts of the book. The fact that there are 15 different transcripts indicates that people read Haerincheokso and transcribed it for their needs. What needs would have driven them toward reading and transcribing it? The key is the information it holds. It is no exaggeration that the information defines its very values. Starting with that point of argument, this study classified the information values one could obtain by reading Haerincheokso. The classif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one can have information about the figures of Qing Dynasty. Second, one can have access to the literary tastes of the figures of Qing Dynasty. Third, one can identify its value as literary art. Fourth, one can grasp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s. Finally, one can have a look at the specific aspects of exchanges of civilization. Those outline the values of Haerincheokso.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낙건지영樂健志詠)』으로 본 17세기 한강(漢江) 하류(下流)의 새로운 문화 공간 행호(杏湖)

        정후수 ( Hoo Soo Chaung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5 동방학 Vol.32 No.-

        한강변에는 동호를 비롯한 용호, 서호 지역에 많은 누정과 별서(別墅)가 자리잡고 있었다. 그리고 그 누정들은 대체로 조선 초기에 생성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임진란 이후로는 세인들의 관심사도 덜해지기 시작하였고, 폐허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임진란 이후 새로운 누정이 생성된 곳이 있었으니 그곳이 바로 경기도 고양의 행주산성 일대의 행호 부근이다. 『낙건지영』이란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이곳에는 약 22개소의 누정과 별서가 자리잡고 있었는데 모두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양란 이후에 생성된것으로 추측된다. 이곳의 누정 혹은 별서 중 특히 樂健亭은 白下 尹淳의 글씨가 현판 혹은 주련으로 걸려 있던 듯하다. 그리고 謙齋 鄭敾의 그림으로도 남아있어 그 당시의 모습을 추측하기에 어렵지 않다. 더구나 그 곳 행호 일대 사방 십리에 걸친 지리에 대한 『杏湖八景圖』라는 지도까지 남아있어 과거의 화려했던 행호의 문화공간 모습을 상상하기에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행호 일대는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문인들의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으며 한강 하류의 마지막 정착지임이 틀림없을 것이다. 이 사실만 갖고도 매우 큰 문화사적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는 셈이다. 이 밖에 왜 하필 양란 이후에 생성되었는지 등에 대해서는 앞으로 후속 논문에서 밝힐 일이다. There were many Nujeongs(樓亭) and Byeolseos(別墅) in the Yongho(龍湖) and Seoho(西湖) areas as well as the Dongho(東湖) area along the Han River, and many of the Nujeongs started to emerge in early Joseon(朝鮮). After Japanese Invasion in 1592, however, they lost the interest of the public and were ruined. There was one area that built a new Nujeong after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it was Haengho(杏湖) near the Haengju Mountain Fortress in Goyang, Gyeonggi Province. Nakgeonjiyeong(樂健志詠) recorded that there were approximately 22 Nujeongs and Byeolseos there. It is estimated that all of them were built after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Of the Nujeongs and Byeolseos, Nakgeonjeong particularly seems to have hung up the calligraphy of Yun Sun as a signboard or verse couplet carved or written on a plank which was put on a pillar. There are also the paintings of Gyeomjae(謙齋) Jeong Seon(鄭敾) depicting them, and they make it easier to estimate what they were like those days. There is even a map called "Haenghopalgyeongdo(杏湖八景圖)" covering the Haengho area in a 10-ri radius in every direction. It is thus not difficult to imagine the splendid cultural spaces of Haengho in the past. Those materials suggest that the Haengho area must have settled down as a place of culture for literary figure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and been the last settlement on the lower Han River. Those facts alone raise very big curious questions about it in the cultural history. Follow-up studies need to figure out why it was established after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 KCI등재후보

        행주산성과 행주서원의 한자 표기

        정후수 ( Chaung Hoo-so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6 漢城語文學 Vol.35 No.-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행주산성’과 ‘행주서원’의 올바른 표기에 대해서 그 해답을 제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행주산성과 행주서원에서 ‘행주’를 동일한 한자로 착각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많은 혼란이 있음을 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하나하나 살펴보기로 한다. ‘幸州서원’과 ‘杏洲서원’ 중 어느 것이 올바른 용어인가, 행주서원은 한자로 ‘杏洲書院’으로 표기해야한다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간략히 말하다면, ‘杏洲書院’이란 ‘살구꽃 피는 섬 마을에 있는 서원’이란 뜻이 된다. 그리고 그 ‘杏洲書院’은 ‘幸州’라고 하는 지역에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따지고 보면 ‘행주 지역 안에 있는 살구꽃 피는 섬마을 서원’이란 말이 되겠다. 幸州산성은 幸州라는 고양시 관내에 있는 지역에 있는 산성이라 하겠다. 여기서 幸州는 단순한 행정지역의 명칭이므로 杏洲와 혼동되어 사용해서는 안된다. This abstract of the Chinese character notations of Haengju Mountain Fortress and Haengju Confucian Academy (in Korean) started the research to straighten out the Chinese character notations of Haengju Confucian Academy and Haengju Mountain Fortress as they are confusing.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ich of ‘幸州Confucian Academy’ and ‘杏洲 Confucian Academy’ would be the correct term? I analyzed it one by one.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Haengju Confucian Academy should be written as ‘杏洲書院’ in Chinese Characters. To be brief again, ‘杏洲書院’ means ‘The confucian academy in the apricot blooming island’. And I confirmed that ‘杏洲書院’ is located in the area called ‘幸州’. Therefore, as a matter of fact, it is the word that says ‘The confucian academy in the apricot blooming island in Haengju area’. And Haengju Mountain Fortress should be written as ‘幸州山城’. In here, ‘幸州’ is the nam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is area. Even though the character of ‘幸’ has various meanings, if examined considering ‘州’ as well, it refers to the geographic region of administrative unit that contains the meaning of ‘幸’. Then why was there a confusion over whether ‘幸州書院’ or ‘杏洲書院’ is right? It can be answered easily. That It started from a mere misunderstanding. Because the letters are the same when ‘幸州’ and ‘杏洲’ are written in Korean. Therefore, the group of speakers brought that kind of misunderstanding since they simply cared about the pronunciation in Korean only and did not think about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If the confucian academy was name as ‘松柏書院’ not ‘杏洲書院’, there would have been no problems at all.

      • KCI등재

        동엄초당(東엄草堂) 석각(石刻)의 조선(朝鮮) 유입(流入)과 이상적(李尙迪)에 대한 왕홍(王鴻)의 우정(友情)

        정후수 ( Hoo Soo Chaung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8 No.-

        19세기 초반 燕京의 청나라 詩人 王鴻에게 李尙迪은 어떤 인물로 인식되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李白이나 杜甫에 비견되는 詩人으로 인정을 받았다. 본고에서는 王鴻이 이상적에게 石刻을 보내면서 거기에 題詩를 부탁하고, 이상적이 그것을 수용하는 과정을 살피면서, 왕홍이 이상적을 조선의 훌륭한 시인으로 인식하고 대우하였음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왕홍이 이상적의 시적 재능을 인정하면서 이상적의 시를 받아 중국 내에 널리 알리겠다는 의지를 실현하려는 노력도 살피려고 하였다. 본고는 단지 이상적 한 사람의 시인만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관계를 살피는데 그쳤으나, 앞으로 더 많은 사례를 모아 거기서 일반적인 이론을 추출하겠다는 계획의 기초 작업이라는데 더 큰 비중을 두고 연구하였음을 밝힌다. 1837년 가을 이상적은 연경에서 평생의 知人 王鴻을 만났으나, 이후 그 두 사람은 다시는 만날 기회를 갖지 못했다. 하지만 그들은 다른 누구보다도 많은 교류를 하였다. 왕홍은 이상적에게 무려 44통이나 되는 편지를 보내면서 각종 시문, 문집, 문방류 등을 보내는 동시에 이상적에게도 그만큼의 교환을 요청하였다. 특히 이상적의 詩才를 칭송한 왕홍이었기에 누구보다도 이상적의 시문을 인정하였고 그러한 시문을 요청하였다. 그 중에는 강소성 소주에 있는 徐傅의 東엄草堂 벽에 石刻된 <東엄草堂圖>와 <東엄草堂記>도 포함되었다. 이 두 가지 석각을 보내면서 왕홍은 이상적에게 題詩를 요청하였고 그 제시가 동엄초당 벽에 걸려 세상에 유포되기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동엄초당 벽에 석각이 완성되기까지 이상적의 題詩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는 사이에 동엄초당 벽에는 각종 그림과 시문이 석각으로 제작되어 게시되었고 거기에 석각되지 못한 수많은 시문은 『東엄草堂詩초』란 이름으로 발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홍은 계속해서 제시를 요청하였다. 그것은 석각이란 계속해서 추가로 보충해 나가면 될 것이라는 것과, 또 문집 같은 것은 추가로 증보판을 발간하면 될 것이라는 왕홍의 생각에서 나왔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것은 이상적의 詩才를 인정하는 동시에, 이상적에 대한 그의 우정의 발로라고 생각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s with a question, "How was Lee Sang-jeok perceived by the Qing intellectuals of Yan Jing in the early 19th century?" To tell the answer, he was recognized as an outstanding poet. The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Wang Hong, a Qing poet, sending Lee his work of stone carving and asking him to write a poem for his work and Lee accepting his request. Thus the study set out to confirm that Wang Hong recognized Lee as a marvelous poet of Joseon and treated him so. The study also shed some light onto Wang Hong`s efforts to implement his determination of promoting Lee`s poetry throughout China based on his recognition of his talent as a poet. The study thus would present a specific case on exchanges between Joseon intellectuals and Qing intellectuals. The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concrete relationships that Lee developed, but the study was intended as a basic work for extracting a general theory from many more cases of the sort. In the fall of 1837, Lee Sang-jeok met Wang Hong, who would remain his friend for the rest of his life, in Yan Jing. Since their first encounter, however, they were to never meet again. Despite no further encounter, they made more exchanges than anyone else. Wang Hong sent Lee as many as 44 letters along with all sorts of contemporary writings, anthologies, and stationery and asked him to send him the equal amounts. In particular, he praised Lee`s poetic gift, saying "His poetry is comparable to that of Li Bai, and his prose to that of Zhang Qing." He recognized Lee`s poetry and prose and asked for his works of poetry and prose, which includes <Dong Yan Caotang Tu> and <Dong Yan Caotang Ji> carved in the western walls of Dong Yan Caotang in Suzhou, Jiangsu. Sending Lee the two pieces of stone carving, Wang Hong requested him to send him his poem and expected the poem to be hung on the wall of Dong Yan Caotang and further to be spread all over the world. However, Lee`s poem was not written until the completion of the stone carving in the walls of Dong Yan Caotang. Meanwhile, all kinds of paintings, poetry, and prose were carved in the walls of Dong Yan Caotang, and the ones left out were gathered and published in 『Dong Yan Caotang Shi Chao』. Despite the development, Wang Hong continued to ask Lee to send him his poem, probably believing that more works of stone carving could be added to the walls and that more works could be added to the anthology. It was the expression of his recognition of Lee`s poetic talent and his friendship with Lee.

      • KCI등재

        <해객금준제이도(海客琴樽第二圖) 제사(題辭)> 제작 과정

        정후수 ( Hoo Soo Chaung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9 청람어문교육 Vol.40 No.-

        현재 그 소재를 알 수 없는 <海客琴樽第二圖>는 李尙迪이 秋史 金正喜의 <歲寒圖>를 청나라에 가져갔을 당시 그곳의 知人들이 이를 관람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따라서 <세한도>를 감상하던 일자와 장소, 그리고 人士가 일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더구나 <세한도>에 16人의 제찬이 첨부되어 두루마리로 표구된 것과 마찬가지로 <해객금준제이도>에도 여러 명의 題辭가 첨부되어 표구된 점은 매우 흥미있는 일이다. 본고는 이 두 폭의 그림 중 <해객금준제이도> `題辭`에 초점을 맞추어 그 題辭의 제작 과정과 행방에 대해서 찾아보기로 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해객금준제이도>에는 모두 23人의 題辭가 첨부되었고, 이것은 1845년 1월부터 약 15년에 걸친 張曜孫의 노력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 그림과 題辭의 원본은 장요손이 소장한 채 同人들의 題辭만 복사해서 1861년 장요손이 조선에 있는 이상적에게 보내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해객금준제이도>에 대한 관심은 조선의 이상적보다 청나라 지인들이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실제 그렇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기록의 빈도가 더 많다는 일이다. 그것은 청나라 지인들이 조선의 이상적이란 인물과의 교유를 매우 비중있게 생각하고 있다는 말이 아닐까. 12차례 연행과정에서 그곳 지역 문물의 표면적인 모습보다는 그 곳 인사들과의 관계를 더욱 중요시 여겼던 이상적과 그들의 관심이 일치하는 장면이라 하겠다. Haegaekgeumjunjeido is a painting that depicts a group of people appreciating Sehando(歲寒圖) by Chusa(秋史) Kim Jeong-hee(金正喜), which means it`s just natural that the two paintings are exactly the same in the date, place and people of the appreciation. It`s very interesting to notice that just like Sehando was mounted on a scroll with 16 individuals` jesa (題辭), Haegaekgeumjunjeido was also mounted on a scroll with 23 individuals` jesa. This study set out to focus on the "jesa" of Haegaekgeumjunjeido and investigate its making process and trace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Haegaekgeumjunjeido had total 23 individuals` jesas added. In 1861, Jang Yo-son(張曜孫) gathered them together and mounted the painting on a scroll before sending Haegaekgeumjunjeido Gwon(券) to Lee Sang-jeok(李尙迪) in Chosun(朝鮮).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its traces since then. It`s also interesting to see that Lee`s acquaintances in Qing Dynasty(淸朝) showed more interest in Haegaekgeumjunjeido judging from more records left by them although there is no assuring the argument. It suggests they must have placed huge significance on exchanging with Lee of Chosun. They might have shared interest with him, who put more significance on his relationships with them than the superficial aspects of the country over his 12 envoy missions to the country.

      • KCI등재후보

        『해린척소(海隣尺素)』 발신자 61인의 이력(履歷)

        정후수 ( Hoo Soo Chau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09 漢城語文學 Vol.28 No.-

        『海隣尺素』는 1830년 余垣이 보낸 편지부터, 1865년 孔憲庚이 李尙迪에게 보내온 마지막 便紙까지 모두 61명 279통의 편지를 모은 편지 모음 첩이다. 본고는 『海隣尺素』 발신자 61명에 대한 인적사항을 중심으로 그들 개개인의 이력과 활동모습을 정리하였다. 첫째, 이상적과 특별한 교유 관계를 가진 사실이 발견되었다. 예컨대 이상적의 시문집인 『恩誦堂集』 출판을 대행해준 인물도 있었다. 둘째, 그들은 江蘇省, 山西省, 浙江省 출신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江蘇省 중에서도 특히 蘇州와 陽湖 地域 人士가 가장 많았다. 셋째, 밝혀진 인물만 대상으로 삼았을 때, 이상적이 교유한 인물들의 50% 이상은 당대 최고의 지식인인 進士와 擧人이었다. 넷째, 그들 중 僧侶 1인과 人蔘가게로 추측되는 1인을 제외하면, 모두가 당대 연경 지역에서 상당한 문화 활동을 하고 있었던 문화인이었다. 이런 정보를 토대로 『해린척소』를 읽는다면 다소 誤讀의 실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다. 나아가 19세기 韓中 文明 交流의 實態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약간의 자료를 제공해준다고 하겠다. 『Haerincheokso』 is a collection of 279 letters, including the last one Gong Heon-gyeong sent to Lee Sang-jeok in 1865, which were sent by 61 people from 1830. This study examined the career and activities of each of the 61 senders based on their personal detail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nders had special relationships with Lee Sang-jeok. One of them, for example, published 『Eunsongdangjip』, a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Lee Sang-jeok. Second, many of the senders were from Jiansu Province, Shanxi Province and Zhejiang Province. Third, more than 50 percent of people Lee Sang-jeok had a friendship with were outstanding intellectuals who were Jinsa or Geoin. Fourth, all of the senders except for a monk and the owner of a ginseng shop did vigorous cultural activities in Yanjing at the time. If the reader read 『Haerincheokso』 based on information above, he will be able to reduce mistakes of misreading the book. Furthermore, the book offers some materials necessary to grasp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해객금준제이도(海客琴樽第二圖)> 제작 과정

        정후수 ( Hoo Soo Cha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현재 실물이 전해지지 않는 <海客琴樽第二圖>는 1845년 1월 13일 秋史 金正喜가 李尙迪에게 그려준 <歲寒圖>를 燕京에서 관람하는 모습을 그림으로 옮겨놓은 `雅會圖`이다. 당시 이상적은 1844년 使行의 譯官으로 연경을 향해 가면서 淸의 文士들에게 `題辭`를 받아오겠다는 뚜렷한 목표를 갖고 출발하였다. 그리고 그 다음해인 1월 張曜孫과 吳贊을 중심으로 한 淸의 知人들에게 이 <세한도>를 펼쳐놓고 각자에게 제찬을 요구하였다. 이 모임을 주선한 장요손은 그림 관람 장면을 화가인 吳儁에게 부탁하여 하나의 그림으로 옮기게 하였다. 이 때 탄생한 그림이 바로 <해객금준제이도>이다. 이제까지 살펴본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그 장소는 燕京 宣武門 兵部窪中街에 있는 吳贊의 `留客納凉之館`이며, 그림을 그린 화가는 張曜孫과 같은 江蘇省 출신인 吳儁이다. <해객금준제이도>에는 모두 18명이 들어있다. 그리고 이 모임의 주선자는 張曜孫이다. 이와 같은 기초적인 자료를 토대로 앞으로는 <海客琴樽第二圖>에 추가로 附記된 `題辭`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Haegaekgeumjunjeido> is an "ahoido(雅會圖)" that depicts a group of people appreciating <Sehando(歲寒圖)>, which was painted by Chusa(秋史) Kim Jeong-hee(金正喜) and presented to Lee Sang-jeok(李尙迪), in Yanqing(燕京). Before heading for Yanqing as an interpreter for the envoys in 1844, Lee Sang-jeok had a clear goal of getting a "jechan(題辭)" from the Chinese literary men. In January of the following year, he presented <Sehando> to a group of Chinese people he knew including Jang Yo-son(張曜孫) and Oh Chan(吳贊) and asked each of them to give him a jechan. Holding the gathering, Jang Yo-son had an artist paint a picture depicting the group appreciating the painting, and that`s how Haegaekgeumjunjeido was created.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Haegaekgeumjunjeido is an ahoido that describes a group of people appreciating Sehando on January 13, 1845. The place was Oh Chan`s "Yugaeknapryangjigwan(留客納凉之館)" located in the Byeongbuwajungga(兵部窪中街) of Seonmumun(宣武門), Yanqing. The artist was Oh Jun who`s from Jiangsu like Jang Yo-son. <Haegaekgeumjunjeido> depicts total 18 individuals. The one who held the gathering was Jang Yo-son. Based on those fundamental data,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s about "jechan" added to Haegaekgeumjunjeido in future.

      • KCI등재후보

        19세기 연행(燕行) 노정(路程)의 몇 가지 의문

        정후수 ( Hoo Soo Chau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0 漢城語文學 Vol.29 No.-

        본고는 연행 노정에 나타난 세 가지 의문, 즉, 연행사 일행의 숙박문제, 연행사 일행의 사행 속도, 연행기록의 실제 기록 여부를 실증적으로 해명하는 데에 관심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연행길을 도보로 실제 답사하고 소결론을 내려 보았다.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행사 일행의 숙박 문제이다. 연행사 일행들이 연행길의 혹독한 추위를 극복하고 무사히 북경으로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은 만주지역 주민들의 난방 방식인 ``캉``을 이용했기 때문이다. ``캉``은 우리나라의 온돌과 유사한 방식의 난방 시설로 숙박할 자리에 땅을 몇 자 정도 파고 장작불을 지펴 그 자리는 물론 주위까지 따뜻하게 데운 뒤 널빤지를 덮고 ``∧`` 형의 장막을 치는 것이다. 연행사 일행들은 이 ``캉``이라는 난방시설에서 올라오는 온기로 몸을 녹이며 숙박을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이다. 둘째, 연행사 일행의 사행 속도이다. 연행사 일행이 45일 전후의 짧은 기간 동안 많은 인원과 짐을 가지고 3100리나 되는 북경에 도달할 수 있었던 것은 책문 부근 지방의 운송수단인 노새를 이용했기 때문이다. 이 노새는 실제 말보다 키는 작지만 힘은 말보다 더 센 말로서 노동에 익숙하였다. 따라서, 고갯길이 많은 연행길을 그들은 시간을 단축해가며 북경으로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이다. 『연행록』에 ``7∼8마리의 노새가 끌고 갔다.``는 언급은 바로 이러한 점을 방증한다. 셋째, 연행기록의 실제 기록 여부이다. 여행 노정이나 유적지에 대해 상세하게 작성된 연행기록은 기록자가 일일이 보고 실제로 자세하게 기록한 것이 아니라, 애초 하나의 원본 텍스트를 토대로 기록자의 견문을 가감하여 작성된 결과물이라 추정된다. 바쁜 연행과정상 노정이나 유적지에 대해 자세하고 치밀하게 묘사하는 일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했을 것이라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정황 증거로는, 여러 『연행록』에 특정 유적지에 대한 기록이 빠짐없이 존재한다는 점, 그 내용과 기술 방식이 비슷하다는 점, 그 유적지가 연행노정 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는 점, 박지원의 경우 연행길에 『노정록』이란 책을 가지고 가 미리 참조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본고는 현장 답사에 의한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자문자답식 보고물이다. 따라서, 문헌적 증거가 충분히 제시되지 못한 결점이 있다. 앞으로 전 코스를 답사한 후 완전한 논문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보완하고자 한다. 본고가 19세기 연행 상황을 실증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started with interest in the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three questions about the envoy journeys to Beijing in accommodation, speed of traveling, and actual recording of the travel books. The investigator personally surveyed the routes on foot and drew some conclusions, which are as follows: First, it concerns the accommodation of the envoy members to Beijing. They were able to overcome the fierce cold on the routes and enter Beijing safe thanks to the "kang", which is a form of house heating in Manchuria. Similar to Korean ondol, "kang" was created by digging up the ground for accommodation space, making wood fire in it to warm up the spot and the surroundings, covering the hole with a board, and then setting up a tent in the shape of ``∧``. The envoy members seem to have successfully warmed up themselves with the heat from the heating facility "kang" and met their accommodation needs. Second, it involves the speed of their traveling. They covered the vast distance of 3,100ris between Chosun and Beijing with all the staff and luggage in such a short period of 45 days or so. Their secret was the mules, which wer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round Chaekmun. Being smaller than horses, the mules were stronger and more accustomed to labor than them. Thanks to them, the envoy members were able to even cut down time along the routes with many hills and enter Beijing, which is proven by the record in Yeonhaengrok that says "7~8 mules pulled them". Finally, it is about whether their records were real or not. The records from envoy missions to Beijing usually contain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journeys and relics. However, the envoy members did not actually write them after personally seeing them but added their own comments to an original text.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that they would leave detailed and thorough depictions of the journeys and relics due to the hectic schedules. There are several pieces of circumstantial proof including that many Yeonhaengroks never missed out the records of certain relics, that the content and description methods were similar, that those relics were far from their journeys, and that Park Ji-won brought Nojeongrok on his journey for reference. The study presents a report of questions and answers based on the investigator`s experiences on the field survey and thus lacks full literary proof. The current limitations will be resolved in a complete paper after surveying the full routes. The study results will hopefully help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around envoy journeys to Beijing in the 19th century empir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