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갓(Brassica juncea L.)에 있어서 기능성 황화합물의 생합성 경로와 품종간 차이

        정효정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배추과의 갓(Brassica juncea L.) 품종에 있어서 항산화와 항암에 효과가 있는 황화합물 생합성 대사의 품종간 차이와 기능성 황화합물로서 allylisothiocyanate(AITC)와 글루타치온(glutathione)의 함유량에 근거하여 30개 갓 품종을 구분하고 그 생장특성을 15, 30, 45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시니그린, AITC 및 글루타치온 함량이었으며, 30개 품종 대부분이 파종 후 15일인 초기에 성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글루타치온 함량은 얼청갓 품종군이 높았고 시니그린과 AITC 함량은 돌산갓 품종군이 높았다. 갓은 항산화 물질인 글루타치온의 함량이 높아 기능성 식물소재로 가능성을 보였다. AITC 및 글루타치온 함량의 차이가 있는 4가지 갓 품종(AJ, JE, DC, NC)의 황 동화에 따른 글루타치온 합성 경로에 있는 물질을 분석했다. 글루타치온을 합성하는데 sulfite, thiosulfate, sulfide 및 시스테인이 주요 물질이며, 글루타치온의 함량이 충분해지면 흡수단계의 물질함량이 줄어들었다. 시스테인(Cysteine)은 글루타치온 생성의 전구체이면서 AITC의 생성에 있어 황산기를 전달해주는 중심에 있는 물질이다. 황 경로의 조절에서 시스테인은 황동화의 중심에 있으며 최적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조절된다. APSR과 APSK는 모두 일차 및 이차 대사 사이에서 조절이 되지만 효소의 활성보다 시스테인의 항상성 유지를 위한 조절이 더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 갓의 AITC와 글루타치온 함량은 파종 후 15일째 가장 높았고, 갓은 기능성 식물 물질의 함유 가능성을 보였다. 천연 항산화 화합물의 합성으로 고부가가치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유황 흡수량의 각 단계 사이의 차이를 통해 AITC와 글루타치온 함량의 기능성 물질의 증가를 위한 제안으로서 시스테인의 조절은 AITC와 글루타치온의 축적을 유도해 갓의 영양 품질을 향상시킬 잠재력 전략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시스테인의 축적은 항산화 및 항암과 생리 활성 물질인 글루타치온과 AITC의 함량 증가를 유도해 갓의 영양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rieties of sulfur compounds in the biosynthesis metabolism select varieties of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L.) plants that contain chemicals that hav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30 varieties of leaf mustard (15, 30, and 45 days after sowing, DAS) func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allylisothiocyanate (AITC) and antioxidants in glutathione (GSH) with high content, groups and varietie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leaf mustard 30 cultivars at different development stages. Most of the cultivars showed high contents of sulphur compounds in 15 DAS than that of 30 and 45 DA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glutathione contents of Redgreen leaf mustar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Greendolsan, Red, and Green leaf mustard groups. Whereas, the sinigrin contents of greendolsan leaf mustard groups was higher. Moreover, the AITC content of green leaf mustar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leaf mustard groups. Leaf mustard varieties (AJ, JE, DC, NC) differ in the AITC and GSH content was analyzed by absorbing sulfur from synthetic route to assimilation. Sulfur absorption is generated, and the APS, APS is generated by two enzymatic conversion of the substrates APSR and APSK. Two enzymes control the sulfur assimilation did not differ. Cysteine (Cys) is the precursor of the generation of GSH and to pass this to the material in the production of the sulfate group AITC. The effects of both reduced and increased Cys contents on flux through primary sulfate assimilation thus confirm the important role this enzyme has in the control of the sulphur pathway. The regulatory mechanisms described here contribute to the demand-driven control of sulphate assimilation, and may be important for plant in general for maintaining optimal Cys concentration. They are especially important when plant grow in environments that induce low or high internal GSH levels, such as exposure to low or high external sulphate concentrations. Although both APSR and APSK participate in the control of partitioning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metabolism, the control is not a straightforward ‘push and pull’ mechanism, and requires further components, presumably involved in provision of sulfur accep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tent of the functional material in the leaf mustard is AITC was the highest on 15 DAS, the GSH content of antioxidants is also high on the 15 DAS showed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plant material. Therefore, leaf mustard demonstrated interesting biological properties that suggest its use as a potential source and high value added of natural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y. Besides, to a proposal for an increase in the functional material of AITC and GSH content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each step of the sulfur absorption amount. On the other hand, induces the accumulation of GSH and AITC accumu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with antioxidant and anti-cancer Cys will be a potential strategy to improve the nutritional quality of the mustard leaves.

      • 국내산 김, 다시마, 미역, 톳의 생산지역에 따른 미네랄 함량 분석 및 영양평가

        정효정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to evaluate nutritional value of seaweeds: laver (Porphyra tenera), Japanese kelp (Saccharina japonicus),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and hijiki (Sargassum fusiforme). Proximate composition, fatty acid composition, total amino acid and mineral contents were measure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laver, Japanese kelp, sea mustard and hijiki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Moisture contents were ranged from 85.34 g/100 g to 92.68 g/100 g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ranged from 0.05 g/100 g to 0.45 g/100 g. Crude lipid contents were ranged from 1.20 g/100 g to 5.14 g/100 g.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laver, Japanese kelp, sea mustard and hijiki by production area, the content of saturated fatty acids was mainly palmitic acid (C16:0) and that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was oleic acid (C18:1).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noleic acid (C18:2), arachidonic acid (C20:4) and eicosapentaenoic acid (C20:5) were the major components of laver, and brown algae like Japanese kelp, sea mustard, hijiki were mainly composed of stearidonic acid (C18:4), arachidonic acid (C20:4), and eicosapentaenoic acid (C20:5). Total amino acids were analyzed for 17 amino acids except tryptophan. Among the amino acids, leuc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nd alanine appeared high contents in the analyzed samples. Among them,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was the highest.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s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were laver 24.66-25.71 g/100 g, Japanese kelp 9.63-11.16 g/100 g, sea mustard 12.36-17.96 g/100 g and hijiki 9.93-10.21 g/100 g.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laver was highest and the amino acid content of each sample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was not different. As a result of mineral contents in four Korean seaweeds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macro minerals content was highest in K (462.82-2,066.65 mg/100 g), followed by Na (123.61-360.76 mg/100 g), Ca (18.00-131.29 mg/100 g), Mg (28.10-61.43 mg/100 g) and P (28.10-61.43 mg/100 g). The contents of micro mineral per 100 g were the highest in I (0.23-94.82 mg), followed by Fe (0.46-3.59 mg), Zn (0.14-0.93 mg) and Cu (0.00-0.07 mg), and Se and Mo were detected in trace amounts. In order to evaluate nutritional assessment of mineral intake of laver, Japanese kelp, sea mustard and hijiki, the maximum and minimum mineral intakes were calculated and nutrient uptake ratios were calculated in comparison with the Korean nutritional intake standard. Nutrient uptake proportion of mineral intakes was (in descending order): K (157.29±222.74%), Na (75.06±85.83%), Mg (62.19±71.54%), Ca (39.43±47.81%), P (26.11±28.51%), I (141,284.39±348,022.06%), Fe (69.48±98.09%), Zn (14.95±20.85%), Cu (6.58±7.54%). Japanese kelp showed high nutrient uptake rate in most minerals. To consume mineral usefully, it was judged that healthy diet based on the recommend and adequate nutrient intake should be maintain. Also, through this study, it was expected to utilize as base data in order to secure a nutritional excellence and to establish a standard of intake laver, Japanese kelp, sea mustard and hijiki of Korea.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방문지도사의 한국어교육 실태 연구

        정효정 진주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방문지도사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실태를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방문지도사의 교육현황과 다문화 학습자의 학습적 환경요인에 따른 한국어교육서비스의 개선과 방문지도사의 한국어교육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창원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종사하는 방문지도사 1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한국어교육실태 조사를 통하여 교육 현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여성결혼이민자들로 구성된 다문화 학습자들의 학습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문지도사의 한국어교육 실태조사를 위하여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한 도구 측정으로 모두 8문항을 설문 조사하였는데, 선행연구 Hackman & Oldham(1980)이 분류한 교육의 중요성(significance), 수업 기능의 다양성(variety), 수업의 정체성 (identify) 등의 세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문화 학습자의 학습요인으로는 학습자의 개인 요인에 대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하였다. 다문화 학습자의 교육수준과 한국어 수업 참여 횟수, 그리고 수업 참여도가 한국어 실력 향상에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만큼 본 연구를 위해 실시한 설문지에서 다문화 학습자의 기초학력을 한국어 수업 영향력 요인으로 정하 였다. 다음으로 수업 참여 횟수에 대한 필요성이 방문지도사와 다문화 학습자에게 모두 요구되기에 수업 횟수를 학습자의 요인으로 정하였다. 또, 설문지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이해도 및 방문지도사와의 원만한 의사소통 연계가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의지와 언어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 요인으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한국어 방문지도사의 교육 현황에서 교육의 중요성과 수업의 다양성 및 수업의 정체성은 한국어교육서비스 개선방안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결혼이민자인 다문화 학습자의 학습요인으로 작용한 학습자의 학 력과 한국어 수업 횟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에 따라 한국어교육서비스의 개선방안 인식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총체적인 결과인 방문지도사의 교육 현황인 교육의 중요성, 수업의 다양성, 수업의 정체성이 한국어교육서비스 개선방안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학습자의 학력 영향력이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러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횟수는 방문지도사가 진행하는 수업의 다양성과는 무관하였다.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도 방문지도사가 진행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체성에는 한국어교육서비스 개선방안 인식에 매개요인으로 작용 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학습자는 한국어교육에 대해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생활 중심의 이해력을 요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초등학생의 사교육 의존도와 영어 학업 성취도, 학습 동기 그리고 흥미도 사이의 상관 관계 연구

        정효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생들이 영어 사교육에 의존하는 정도와 그에 따른 학업 성취도, 학습 동기 및 학습 흥미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동시에 영어 학습 동기 및 흥미도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초등 영어 교육의 발전 및 공교육 정상화의 실현을 위해 학교 영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영어 사교육 의존도와 학업 성취도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사교육 의존도와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사교육 의존도와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흥미도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영어 학습 동기와 흥미도, 학업 성취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를 위해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에 위치한 초등학교 3, 4, 5, 6 학년 322명을 대상으로 사교육 실태, 사교육 의존도 및 그에 따른 영어 학습 동기, 흥미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성취도 측정을 위하여 2013년도 대전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 학년말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여기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및 상관 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 대상의 80%에 육박하는 학생들이 현재 영어 사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영어 사교육을 시작한 시기는 초등학교 1, 2학년 때, 주당 영어 사교육 시간은 1시간 미만이, 월 평균 사교육비로는 10~20만원을 지출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다. 사교육을 받는 목적은 학교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약 80%의 학생들이 향후 지속적으로 사교육을 받겠다고 응답하였다. 위 분석 결과를 통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사교육 실태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교육 실태에 대하여 기대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어 사교육을 받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영어 학업 성취도가 높았다. 특히 사교육을 받는 학생 중 영어 사교육을 시작한 시기가 빠를수록, 주당 영어 사교육 시간이 많을수록 학업 성취도가 높았다. 이는 학업 성취도가 사교육을 받는 정도에 비례하고, 사교육에 의해 좌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적으로 바람직하다고만 볼 수 없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와 학교 그리고 교사의 고민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영어 사교육을 받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영어 학습동기가 높았다. 사교육 시작시기가 빠를수록, 주당 영어 사교육 시간이 많을수록 영어 학습동기가 높았으나 월평균 영어 사교육 비용에 따른 학습 동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교육을 피하기 어려운 현재의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저렴한 비용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학습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영어 사교육을 받는 학생이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영어 학습 흥미도는 초등학교 이전인 유아기부터 조기에 사교육을 받을수록, 주당 영어 사교육 시간이 많을수록, 월 평균 사교육 비용 이 높을수록 높았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영어 수업에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어 수업 활동을 계획․운영하고, 영어에 대한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고안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학습 흥미도, 학업 성취도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 동기가 높을수록 학습 흥미도가 높았고, 학습 동기 및 흥미도가 높을수록 학업 성취도도 높았다. 따라서 학교 및 교사는 학생의 영어 학습 흥미도와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연구․개발하고, 나아가 학교 현장에서 교육 과정의 탄력적인 적용․운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교육 의존도는 영어 학습 동기 및 흥미도 나아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과도한 사교육이 공교육의 역할을 무력화시키고 교육 양극화를 조장할 우려가 있으므로 사교육 문제가 심각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즉, 사교육의 문제점 및 사교육이 학교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면밀히 파악하여 이를 통해 학교 영어 교육의 부족한 점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고, 대신 학교는 학생들이 학교 영어 교육에 더욱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다각적인 연구와 노력이 요구된다. 그 방법으로 현재 일선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방과 후 영어 교육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의 질 관리와 일관성의 확보가 쉽지 않은 방과 후 영어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학교, 교사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gree of students' dependence on English private educ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Simultaneousl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aim for a desirable direction on the development on Elementary school's English education and actualization on public school normalization.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a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and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and the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Fourth,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22 students ranging from 3rd, 4th, 5th, 6th graders from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Ojeong-gu, Bucheon-si, in Gyeonggi province. The current state of private education was conducted with the survey questions on the dependence on the private education along with the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To evaluate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implemented by the Daejeon Education and Science Research Institute was distributed. As for the research method,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T-test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based on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survey. First, 80% of the participants were currently receiving English private education. Most of the students started their English private education from 1st to 2nd grade, had less than one hour per week on private education and spent on a average of 100,000 won to 200,000 won every month. The purpose of receiving English private education was to enhance their school records and 80%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ill continue with their English private education in the future. From this result, there were no big difference with the general status of the private education and it's expectation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Seco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on students who currently received English private education were higher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didn't receive English private education. Students especially who started their English private education earlier and who took longer private education lessons per week showed higher resul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is shows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private education and may be influenced accordingly. However, this condition is not a desirable education and the government, school board, and the teachers must put effort to improve on this matter. Third, students who received English private education showed higher results on thei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students were higher among the students who started earlier on their private education and for those who studied longer hours per week. However, no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ed in how much they spent monthly on their English private education. Therefore, in a situation where private education is inevitable, there should be a proper way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effectively with more reasonable price. Fourth, students who received English private education showed higher results on their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mong the elementary students especially of those who started English private education in their early childhood years, the longer hours they received per week, the more they spent monthly on private education showed higher results on their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Moreover, the school must set a concrete and a specific plan for the students to enjoy and to participate English classes by having various activities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continue their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Fifth, a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between elementary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the learning motivation resulted with higher learning interest, and the higher results for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Therefore the school board and the teachers must put much effort to research and plan on conducting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enhance student's English learning interest and motivation. According to this study,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result o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nterest and moreover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matter of private education must not be worsen since excessive private education may incapacitate the role of public education and bring polarization. In other words, the problem of private education and it's influence on school education must be seen objectively and be examined thoroughly. Through this, the shortcomings of English education must be supplemented and the school board should strive to put forth a multilateral effort to satisfy the students' needs on English education. With this idea, of the schools that currently operate after-school English education must work to mange this system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the problem of the after-school English education must be comprehended and be reconstructed together with the government, the school board and the teachers for it is hard to grasp the current management of the quality and the consistency of after-school English education system.

      • 최재륜 25현가야금 독주곡 작품경향 연구 : <香雲>과 <雨香>을 중심으로

        정효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창작국악은 1941년 김기수의〈세우영〉을 효시로 독주곡, 중주곡, 협주곡, 성악곡, 관현악곡, 무용반주음악, 영화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창작 작품들이 본격적으로 발표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가야금 창작작품들이 두드러지게 발전하였다. 가야금 창작곡은 1963년 황병기의〈숲〉을 효시로 여러 작곡가들에 의하여 다양한 가야금 창작작품들이 발표되었다. 본 논문은 최재륜 25현가야금 독주곡〈향운>과〈우향>의 전체 3악장을 대상으로 각 악장에 나타나는 선율 및 리듬, 화성 등의 선율구조를 분석하고 음악적 특징을 살펴본 후, 두 작품 간의 상호연관성을 비교ㆍ분석하여 전체적인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작곡가의 작품경향을 살피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율구조에 있어서〈향운〉제1악장∼제3악장의 조성은 f minor 이다. 제1악장의 선율은 굿거리풍으로 주선율(오른손)이 큰 도약진행 없이 완전4도 안에서 순차적으로 선율진행을 하였으며, 반주선율(왼손)은 한 옥타브로 크게 도약하면서 반복하는 선율진행이 특징이다. 제2악장에서는 정악풍으로서 단선율로 구성된 주선율과 반주선율이 순차적으로 상ㆍ하행하며 교차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3악장은 자진모리풍으로 주선율이 큰 도약진행 없이 단3도와 장2도로 순차적인 선율진행을 하였으며, 반주선율은 시작부터 종지까지 동일한 선율을 반복하는 선율진행이 특징이다. 제1악장의 리듬은 왼손 3연음의 리듬과 오른손 2연음 리듬을 3:2의 동일한 리듬으로 반복하는 리듬형태가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후반부에서는 전반부의 3:2의 리듬보다 더욱 세분화된 리듬형태가 특징적이다. 제2악장은 제1악장보다 단조롭고 규칙적인 리듬형태를 구성하고 있었다. 제3악장 주선율진행에서 리듬은 4연음을 한 마디 안에서 빠른 템포로 반복 진행하고 있으며, 반주선율은 3연음을 반복 사용하여 제3악장의 대부분은 4:3의 비율로 불협화적인 리듬형태를 사용함으로써 현대적인 음악적 표현을 강조하여 더욱 긴장감을 조성하였다. 화성에 있어서는 제1악장∼3악장은 Ⅰ도, ⅴ도, Ⅵ도 화성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Ⅰ도 화성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우향〉제1악장의 조성은 f minor이며, 제2악장의 조성은 E♭이다. 제3악장의 조성은 c minor를 사용하였으나 후반부에서는 f minor로 전조를 한 후 다시 원조인 c minor로 종지하였다. 제1악장의 선율은 보통빠르기의 서정적인 선율로 주선율(오른손)은 장2도, 단3도, 완전4도의 간격으로 순차적인 선율진행을 하였다. 반주선율(왼손)은 주선율의 리듬을 첫 박에 2분음표를 반주선율에서는 지속적으로 8분음표(♪)를 사용하여 동일한 선율을 규칙적으로 반복진행 하였다. 제2악장은 단선율로 구성된 정악풍으로 주선율은 상ㆍ하행하면서 규칙적인 선율진행을 하였으며, 단3도와 장2도의 간격으로 느리고 여유로운 선율진행을 하였다. 또한 반주선율에서는 주선율과 반주선율이 서로 주고받는 문답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제3악장은 자진모리풍으로 주선율은 큰 도약진행 없이 단3도와 장2도로 순차적인 선율진행을 하였으며, 주선율과 반주선율의 역할이 구분되어 있다. 반주선율은 동일한 선율을 반복하는 선율진행이 특징이다. 리듬에 있어서 제1악장은 오른손 2분음표와 왼손 8분음표(♪)를 사용하여 동일한 리듬을 규칙적으로 반복진행 하였다. 제2악장의 리듬은 제1악장보다 단조롭고 규칙적인 리듬형태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제1악장과 제2악장은 전반부보다는 후반부에서 첫 박의 음을 세분화된 리듬으로 연튕김주법을 사용하여 그 음을 강조하였다. 제3악장 주선율진행에서 리듬은 4연음을 한 마디 안에서 빠른 템포로 반복하고 있으며, 반주선율은 3연음을 반복 사용하여 제3악장의 대부분이 4:3의 비율로 불협화적인 리듬형태를 사용하였다. 화성에 있어서는 제1악장 Ⅰ도, ⅱ도, ⅴ도, Ⅶ도의 화성을 사용하였으며, 제2악장은 Ⅰ도, ⅱ도, ⅲ도, ⅵ도, Ⅴ도 화성을 사용하였다. 제3악장은 Ⅰ도, Ⅲ도, ⅳ도, ⅴ도 화성을 주로 사용하였다. 둘째, 최재륜 25현가야금 독주곡〈향운>과 〈우향>의 작품경향은 제1악장∼제3악장에서는 f minor를 사용하였다.〈우향>의 제1악장만 f minor를 사용하였고 제2악장의 조성은 E♭이다. 그러나 제3악장 조성은 c minor를 사용하였으나 후반부에서는 f minor로 전조를 한 후 다시 원조인 c minor로 종지하였다.〈향운>과 〈우향>의 선율을 살펴보면 주선율(오른손)은 큰 도약진행 없이 장2도, 장3도, 완전4도의 순차적으로 선율진행을 하였다. 반주선율(왼손)에서는 옥타브 도약을 동반한 반복적인 선율요소가 많이 나타났으며, 주선율과 반주선율이 서로 주고받는 문답형식으로 구성되었다. 특히〈향운〉제3악장 제1∼2마디와〈우향〉제1악장 제1∼2마디에서는 주제선율을 제시하기 전에 반주선율에서 3연음을 세분화하여 짧은 인트로(intro)의 아르페지오(arpeggio)주법을 두 작품이 공통으로 사용하였다. 또한〈우향〉제1악장 제1∼2마디는〈향운〉제3악장 제1∼2마디보다는 3연음리듬을 더욱 세분화한 32분음표를 사용함으로써 저음에서 고음까지의 음역이 더욱 확장되었다. <향운>과〈우향> 두 작품의 리듬에 있어서 <향운> 제1악장은 굿거리풍으로 왼손 3연음과 오른손 2연음을 3:2의 동일한 리듬으로 반복진행 하였다. 〈우향>제1악장은 오른손 2분음표와 왼손 8분음표를 사용하여 동일한 리듬을 규칙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제2악장의 후반부에서는 <향운〉보다는〈우향〉에서 연튕김주법을 자주 사용하여, 주법적인 부분과 리듬적 부분을 동시에 강조하였다. 특히 <향운>과〈우향>의 리듬에 있어서 제3악장 주선율진행에서 리듬은 4연음을 한 마디 안에서 빠른 템포로 반복 진행하고 있으며, 반주선율은 3연음을 반복 사용하여 제3악장의 대부분이 4:3의 비율로 불협화적인 리듬형태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긴장감을 조성하여 작곡자의 독창성을 강조하였다. <향운>의 전체 3악장과〈우향〉제1악장의 조성은 f minor이며, 화성은Ⅰ도, ⅱ도, ⅴ도, Ⅶ도의 화성을 주로 사용하였으며,Ⅰ도 화성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우향〉제2악장의 조성은 E♭ Ⅰ도, ⅱ도, ⅲ도, ⅵ도, Ⅴ도 화성을 사용하였다. 3악장의 조성은 c minor로 Ⅰ도, Ⅲ도, ⅳ도, ⅴ도 화성을 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화성에서는 주화음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부화음은 주화음의 선율에 따라 다소 강조하는 부분은 있지만 대부분은 주화음을 도와주는 보조역할로 사용되었다. 이상과 같이〈향운>과〈우향〉 두 작품은 동일한 조성으로 반복된 선율구조와 유사한 선율구조가 자주 나타남으로써 공통점과 통일성이 있었다. 그러나 〈향운>과〈우향〉제3악장의 선율과 리듬에 있어서는 두 작품 모두 반복적인 선율형태와 빠른 템포의 불협화적인 리듬형태가 작곡가의 독창성을 나타내는 부분으로써 작곡가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적 특징을 살렸다고 볼 수 있다.

      • 산정특례 보장성 확대가 중증 치매환자의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정효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patients with severe dementia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needs of health care because most of the patients are old persons with poor financial status. In order to secure the patients with severe dementia to use appropriate medical services,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the co-payment reduction policy for the patient with severe dementia from 20~60 percent to 10 percent in October 201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co-payment reduction policy on the length of stay and the cost of severe dementia since October 2017 when the policy was effectiv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DB of Korea Health Insurance Scheme on the volume of hospitalization, visit period, total cost and co-payment of the patients with severe dementia during 2015-2019, which include data before and after 2 years of co-payment reduction policy in 2017. Data were analyzed by pre-post comparison and interrupted time serie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AS 9.4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length of stay of patients with severe dementia in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Inpatients' total cost and co-payment also reduc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but the number of ambulatory care decreased. The co-payment reduction policy had different effects on the medical use of patients with severe dementia in terms of their income level. Specifically, the low-income patients are still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needs of medical services due to economic factors than high-income groups. In conclusion, the co-payment reduction policy needs to be revised to reflect the financial status of the patients. 치매는 복지욕구가 높은 질병이고 치매노인 자신의 삶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가족과 같은 사회 관계망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부정적 영향이 매우 강하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치매 노인은 여전히 경제적 문제로 미충족 의료를 경험하고 있으며 본인부담금을 낮추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해 정부는 2017년 10월 중증치매 산정특례 제도로 20~60%였던 중증치매 보장률을 10%로 낮추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 10월 시행된 산정특례 중증치매 보장 정책이 입원 및 외래환자의 의료이용량 및 의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에 필요한 연구 자료로는 국민건강보험 맞춤형 연구 DB를 이용해 입내원일수, 총 진료비, 본인부담금에 대한 데이터와 그 밖에 청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2017년 10월 이후 자료는 산정특례 중증치매 코드인 V800, V810 명세서를 추출하였고 2017년 9월 이전 자료는 중증치매 환자를 수집하기 위해 치매 명세서 자료에서 2017년 10월 이후 중증치매 환자의 개인 식별 코드를 대조하여 추출하였다. 분석대상 기간은 산정특례 중증치매 보장 정책이 시행된 2017.10.01.을 기준으로 전후 각 24개월, 즉 정책 시행 이전인 2015.10.01.부터 2017.09.31., 정책 시행 이후인 2017.10.01.부터 2019.09.31.까지 총 4년이다. 독립변수는 시간변수가 사용되었고 통제변수는 소득분위, 의료기관 종별이다. 단절적 시계열 분석을 이용하여 산정특례 중증치매 보장 정책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 입원환자의 경우 산정특례 중증치매 보장 정책 시행은 1인당 월 평균 입원일수를 즉각적으로 증가시켰고 증가 추세를 가속시켰다. 그리고 1인당 월평균 총 의료비, 1인당 월평균 본인부담금의 즉각적인 감소를 가져왔다. 외래환자의 경우, 산정특례 중증치매 보장 정책 시행은 1인당 월평균 외래 내원일수를 즉각적으로 감소시켰지만 상승추세를 가속시켰다. 1인당 월평균 총 진료비, 1인당 월평균 본인부담금의 즉각적인 감소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정책 개입 이후 증가율이 둔화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후 차이 분석의 통제변수별로 보았을 때 저소득층은 고소득층에 비해 여전히 경제적 요인에 의한 미충족 의료를 경험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위해 소득수준별로 본인부담금을 차등 적용하는 방법을 제언한다. 또한 입원환자들이 요양병원에 대한 요구도가 높고 상승 추세도 가파르므로 요양병원에 대한 급여 지출을 적극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산정특례 중증치매 보장 정책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거나 후속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의료 보장성 정책의 정책적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장애음 청취와 조음 특성 연구 : Kalvin과 Praat를 활용한 음성 실험을 바탕으로

        정효정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가 어려움을 겪는 한국어 장애음의 삼지적 대립, 즉 평음/경음/격음의 특징을 실험음성학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데 있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장애음 체계를 대조한 결과 조음 위치적인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조음 방법에서 한국어의 장애음은 기의 세기에 따라 삼지적 대립이 나타나는 반면에 중국어는 유무성의 차이에 의한 양지적 대립이 나타난다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한 학습자들의 어려움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고자 실험음성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소리의 입력과 생성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소리의 입력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Kalvin의 메뉴 중에서 ‘자음선택하기’를 선택하여 학습자들의 청취력을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 파열음과 파찰음에서는 한국어의 평음을 격음으로 인지하고 선택하는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고 마찰음에서는 평마찰음을 듣고 파찰음을 선택하는 오류가 많았다. 소리의 생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Praat를 사용하여 파열음과 파찰음의 VOT, 마찰음의 기식구간과 마찰구간을 수치화하였다. 학습자들의 VOT는 파열음과 파찰음에서는 평음을 격음에 가깝게 발음하였고 마찰음에서는 마찰구간과 기식구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파찰격음과 비슷한 발음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청취테스트의 결과와 VOT 수치를 종합해 보면 학습자들의 발음과 청취력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 장애음이 중국어와 다른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생기는 결과로 이 차이를 인지하고 교육한다면 학습자들도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frontation with lax,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in Korean obstruents through experimental phonetic analysis for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aring the Korean and Chinese obstruent systems, there is not a great difference in the articulatory lo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ifference in regmards to the articulatory method. In the Korean obstruent system, the confrontation presented in three ways by the strength of aspiration. On the contrary, the Chinese obstruent system showed confrontation in two ways by the existence of aspiration. To examine the difficulty of the learners caused by the above-mentioned reason objectively, this paper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put and output of sound through experimental phonetic analysis using Kalvin and Praat. To research the input of sound, the listening ability of the learners was examined by 'Choosing Consonant' from the menu of Kalvin. As a result of that experiment, many errors were shown. They recognized the fortis as lax in the area of affricates and plosives. In the area of fricatives, they recognized affricatives as fricatives. To investigate the output of sound, the section of aspiration and the section of friction of a plosive, and an affricate and a fricative in Praat, were expressed numerically. The learners' VOT of lax and affricate represented that lax was pronounced close to the fortis, and the VOT of fricatives was not shown the section of aspiration and friction clearly.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y pronounced a fricative like an affricative-aspirated consonant. The result shows that the learners' pronunciation is related to the listening ability. The consequence i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obstruents. If pronunciation training pronunciation is conduc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ould be a better 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 사이버 공간 내 디지털 증거 수집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정효정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이버 공간 내 디지털 증거 데이터는 수정 및 삭제되기 쉬우며 실시간으로 변경사항이 반영되므로 사건 발생 시점 이후 증거 데이터의 빠른 획득이 필요하다. 클라이언트 측에서의 증거 수집은 별도의 행정절차로 인한 시간 지연 없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용량 데이터의 수집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수집 시간 지연 문제에 취약하다. 증거 수집 이후에도, 증거 수집부터 법정제출 시점까지 수집된 증거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음 또한 보일 수 있어야한다. 사이버 공간 내 데이터의 수집 및 보존을 위해서 기존의 잘 알려진 웹 크롤링과 Open AP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수집을 위해 사용되거나, 웹 기록 아카이브를 통한 데이터 보존에 주된 목적이 있었고, 이를 통한 증거화 그 자체에는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사이버 공간 내 데이터의 수집과 보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 공간 내 주요 웹 기반 서비스를 중심으로, 클라이언트 측면에서의 자동화 된 증거 수집 방식을 제안하여 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증거 수집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제안한 방식을 사용하고 수집한 디지털 증거의 법정제출시점까지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사이버 공간 내 디지털 증거 수집 시스템을 제안하고,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제 서비스에서 제안한 증거 수집 방식을 활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