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도덕과의 전통 관련 내용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

        정환희 ( Jeong Hwanhui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3

        본 연구자는 도덕과 교육과정이 서구 교육학의 용어와 논리에 점철되어 있음에 문제의식을 느끼면서, 한국적 내지는 전통적 내용이 도덕교육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의 연장선상에서, 연구자는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반영된 전통 관련 내용을 분석·종합·평가하였다.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몇몇 전통철학적 진술이 모호함을 지적하였고, 도덕교과서에서 전통 관련 내용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음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는 초등 도덕과에서 전통 관련 내용을 진작시킬 수 있는 몇몇의 제언을 덧붙였다. The main as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traditional content should be treated as important part in moral education, and that the moral curriculum dotted with terms and logics of Western pedagogy is problematic. As an extension of this awareness, I analyze, synthesize, and evaluate the traditional content in the 2015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I point out that some traditional philosophical statements are ambiguous in the curriculum, and observe that traditional content is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Based on this analysis, I propose some suggestions that can promote traditional content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전략

        정환희(Jeong, Hwanhui)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6 No.-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전략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의 확대로 통합학급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합교육을 위한 학습 전략을 연구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화 교육과 교수 적합화 개념을 탐색함으로 교육과정과 교실공간에서 장애학생에게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제한 뒤,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적합화 방안을 강구하였다. 이를 위해 도덕과 수업에서 학습목표, 학습조직, 학습방법, 평가방법 상의 교수적합화 방안을 탐색한 뒤 그 예시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본 논문은 교수 적합화에 근거한 도덕과 교수학습 지도안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통합교육과 도덕교육 사이의 다양한 간학문적 연구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methods of teaching-learning in moral education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 With expansion of special education in schools, there are more and more inclusive classes being introduced today, which makes it necessary to study strategies for inclusive educat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 idea of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instruction adaption in order to establish a premise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i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ducational programs and actual classes. Also instructional adap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moral education class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various methods for instructional adaption such as study goal, study organization, study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in ethics class were explored and the possible examples for implementation were suggested. In addition, this paper made additional suggestions for creating a guideline for lesson plan for ethics class based on such instructional adaption. Finally, the paper argued for the necessity of cross-disciplinary research on mor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본성과 감정의 동이 문제 - 맹자의 `내약기정(乃若其情)`과 후학들의 이해방식을 중심으로

        정환희 ( Jeong Hwanhui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2

        본 논문은 유가 사상사의 성정 관념의 변화를 조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맹자의 `내약기정`은 그가 본래 인간 본성과 감정을 일원적으로 보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맹자 후학들이 그 문장을 해석하는 방식에 있어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첫째는, 조기, 손석, 장구성과 같이 맹자의 본의에 충실하여, 본성과 감정을 합간적으로 살피는 방식이다. 둘째는 주희와 같이 본성과 감정을 분합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이다. 주희의 이러한 관점은 맹자의 본의와는 상충되기는 하지만, 궁극적으로 유가의 성정 관념을 발전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nxing (人性) and feeling (qing, 情). The famous paragraph `Nairuoqiqing` (乃若其情) from Mencius originally meant a monistic relationship between renxing and feeling. This paragraph was interpreted in two different ways by later Confucian thinkers. Both renxing and feeling were understood in an organic way in Zhao Qi (趙岐), Sun Shi (孫奭) and Zhang Jiucheng (張九成). In contrast, Zhu Xi(朱熹) was concerned with the blending of the two concepts. This phenomenon clearly shows chang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nxing and feeling in Confucian intellectual history.

      • KCI등재

        조선 후기 사대부의 일일지침서 연구: 성리학적 공부론을 중심으로

        정환희 ( Jeong Hwanhui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7 동방학 Vol.36 No.-

        조선 후기에 이르러 성리학적 원리를 `하루` 생활 속에서 규율한 일일지침서가 본격적으로 출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일지침서에 담지된 성리학적 공부론을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안정복의 『下學指南』「日用」, 윤최식의 『日用指訣』, 최동익의 「齋居日用三十五首」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이들 지침서의 특징을 개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일일지침서에서 담지된 성리학적 공부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범도덕주의적 관점을 채택하고 있다. 2) 도덕적 실천공간이 가(家)에 집중되어 있다. 3) 경 공부, 4) 격물 공부, 5) 성 공부가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의 수양론의 그 실제적 모습을 파악하려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In late Josen dynasty, lots of daily manuals based on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was published. This thesis discusses educational factors in these daily manuals. In order to this, I use An jeong-bok, Yun choi-sik, Choi dong-ik`s articles as objects of this thesis. This thesis summaries some contexts in these manuals and concludes that neo-confucianism theory of education is based on pan-moralism and family structure, putting emphasis on sincerity(cheng), mindfulness(jing), investigations of things(gewu).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can understand the theory of cultivation and its practical appear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등 예비교사교육 운영 사례연구

        조형숙(Cho, Hyoung Sook),정환희(Jeong, Hwanhu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세계화가 진행되고 한국이 주도한 세계시민교육이 UNESCO의 교육의제로 채택됨에 따라 세계시민교육에 대한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 세계시민교육이 확산되고 있지만 글로벌 시민성과 세계시민교육에 대한교사교육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글로벌 시민성,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태도 및 세계시민교육 교수 효능감 측면에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운영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예비교사교육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2021학년도 1학기 중부권의 교원양성기관 예비교사 148명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예비교사교육을 운영하였다.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 소수자(장애학생) 이해, 다문화 탈북학생의 이해, 2015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을 주요내용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예비교사교육의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 예비교사의 글로벌 시민성,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태도, 세계시민교육 교수 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을 논의하고 제언을 덧붙였다.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led by Korea, was adopted as UNESCO’s education agenda, interest in GCED has gradually been increasing in the mid of globalization. GCED is spreading and implemented at schools, but there is a lack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GCED.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a college course on GCED and sharing the case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During the 2021 Spring semester, 148 pre-service teachers, in a college of education located in Chungbuk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curriculum include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isability and human right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culturally diverse learners, and GC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statistical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training program, pre- and post-survey were conducted and analyzed with t-tests. The results show that 1) global citizenship of pre-service teachers, 2) attitudes toward GCED, and 3) GCED teaching efficacy have been significantly improv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develops discussions of GCED curricula and adds further sugges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국민성 연구

        김병환(Byoung hwon Kim),정환희(Jeong Hwanhui)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8

        이 연구의 목적은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국민성 내용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국민성 교육을 모 색하는 것이다. 도덕 윤리과는 가치교육을 주관하고 있는 교과로, 궁극적으로 국민성 계발을 목 표로 삼고 있는 교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도덕 윤리과에서 한국인의 국민성을 어떻게 이해하 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한국인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 3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논의 대상으로 해서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전통 한국인의 국민성과 현대 한국인의 국민성을 주제로 삼고, 수용해야할 국민성과 지양해야 할 국민성을 그 하위 영역으로 삼아 도덕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을 바탕으로 하여 본 논문은 기존 국민성 교육이 본래 목적인 국민의 인성 계발에 주목하지 못 하였으며 정치적 중립을 지키지 못하고, 영향을 받았음을 구명하였다. 또 각 교육과정에서 이루 어진 국민성 교육이 체계적이지 못하고 자의적인 경향이 있음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국민성 교육이 새로운 형식과 내용으로 탈바꿈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며, 이를 위해 양적 질적 연구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on national characters shown in the highschool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The moral education is the subject in charge of value education with an ultimate aim to develop national character.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he subject of morality on a school curriculum looks upon the Koreans’ national character. On the subject of the high school textbooks of moral eduction from the 3rd curriculm to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this thesis analyzes its content.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are analyzed with the theme category of national character for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Koreans and its subarea of national character to be accepted and refrained from. Based on such analysis, this thesis verified that the existing education of national character has failed to pay attention to developing the human nature for the people as originally intended but has been politically affected without keeping political neutrality. It was also found that national character education made in each curriculum is not just unsystematic but has an arbitrary inclination, too.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have our national character education transformed into a new form.

      • KCI등재

        『근사록』「관성현」 편이 도덕과 인물학습에 주는 함의

        김병환(Byoung hwon Kim),임명희(Lim, Myunghee),정환희(Jeong, Hwanhui)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1

        『근사록』은 성리학적 사상의 집약체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주요한 교육교재로 활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근사록』「관성현」편이 다양한 인물에 대해 소개·평가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하고자 한다. 먼저 『근사록』의 체제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 본 뒤 「관성현」 편의 인물학습 형태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관성현」편의 인물학습에서 보이는 ‘인물의 덕성’과 ‘배움의 자세’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근사록』「관성현」 편에서 함의하고 있는 인물학습의 원리를 현행 도덕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논문은 『근사록』「관성현」 편에 대한 일련의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Jinsilu』is a summing-up of Neo-Confucianism, which has been used for a chief educational textbook in East Asian culture. Noticing that 『Jinsilu』 「Guanshengxian」describes and evaluates diverse figures, this thesis is aimed to carry out the following: First, after a brief view of the structure of 『Jinsilu』, we analyze the form of the figure learning in 「Guanshengxian」. Then, based on this, we investigate focusing on the moral character of persons and their attitude of learning shown in the figure learning of 「Guanshengxian」. Through this, this thesis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figure learning implicated in 「Guanshengxian」 to the current moral education. This thesis also suggests a further need for a series of studies on 『Jinsilu』 「Guanshengxi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