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음원시장을 중심으로 살펴 본 현대 음악 산업과 음악 소비자에 관한 고찰

        정환호 한국음악교육학회 2017 학술세미나 및 연수회 Vol.2017 No.-

        이 글에서는 오늘날 시장경제 속에서 산업화된 음악의 제작과 소비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디지털 음원시장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음악 청취자들의 소비 이슈를 알아봄으로서 창작자와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만나는 1차 플랫폼으로서의 음원서비스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 산업의 가치사슬 구조 및 오늘날 음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음원 소비자(청취자)의 사용 경향을 다섯 개 이슈로 요약하여 알아보았다. 현대 콘텐츠 산업의 혁신은 원천기술인 순수예술로부터 시작된다. 음악 산업도 마찬가지로, 예술 장르로서의 순수음악은 응용과 활용의 범위가 무한한 원천기술과도 같다. 따라서 산업을 이해하는 실용적 교육 담론을 통해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직업적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급변하는 음악 생태계 속에서 순수예술에 기초를 두고 오늘날의 문화와 산업을 균형 있게 이해할 때에 시대가 필요로 하는 양질의 음악을 창작할 수 있을 것이다.

      • 음악전공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적 직무분류

        정환호 한국음악응용학회 2014 음악응용연구 Vol.7 No.-

        본 논문은 기존 음악대학 전공자들이 처해있는 진로 장벽의 관점에서 학생과 교사들에게 진 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음악관련 진로에 대한 포괄적인 영역을 다루었다. 또한 기존 의 정책 분류에서 담고 있지 못하는 음악의 특수성과 장르 구분에 의해 누락된 광의의 음악적 직무를 모두 포함하고자 하였다. 가치사슬 분류법을 기반으로 2가지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1) 음악 산업, 예술음악, 음악교육, 콘텐츠 산업의 세부분야 구분과 2) 창작, 매개, 지원의 3분류 방식을 설명하였다. 기존의 제한된 진로 정보는 접근이 어려우며, 학생이 직접 진로 정보를 탐색한다 하여도 연주 위주의 교육을 이수한 대다수의 음악대학 학생들이 단시간에 이해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학생의 관점에 서 학생들이 스스로 선택하고 본인의 역량에 맞는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진로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과정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진로문제는 음악대학의 정체성이자 핵심인 순수 예술교육을 지속하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로 인식되어져야 한다.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음악을 원천 기술로 생 각하여 이를 응용하고 적용하고자 하는 개방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다양한 논의 들이 발생되는 것이 중요하며 교육-산업 간 연계를 통한 연구와 적극적 협력을 통해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실제적 교육을 실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tinguish the job types within the music industry. Despite the success of the industry, there has been an unresolved issue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career they reside in. Therefore, this study was focused on resolving that issue by providing the career information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to music majors in Korea. This result indicated that colleges of music need to revise current curriculum and provide more information for music major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career. Recommendation and conclusion were provided for music majors and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음악과 경영학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요인 및 교과과정의 진로 적합도 비교분석

        정환호,최진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4 음악교육공학 Vol.-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ived factors that the influenced career choice and curriculum applicability toward the actual filed after graduation between music and business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n=178). The music majors indicated that they chose music as the college major because of their affection for music while job achievement and income were perceived as the least influential factors impacting their career choices. On the other hand, the business majors pointed out that job achievement and income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mpacting the their career choices. Regarding their occupational expectation for the future career, there was a gap between music and business majors in that music majors rated curriculum applicability relatively low compared to business majors. This result indicated that colleges of music need to revise current curriculum for music major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career. Recommendation and conclusion were provided for music majors and Korean univers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음악전공 재학생과 경영전공 재학생을 대상(n=178)으로 이들의 전공 선택 요인과 현재 공부하고 있는 대학의 교과과정에 따른 진로와의 적합성을 비교 조사하여, 음악대학과 음악전공자들에게 교과과정 개발 및 졸업 후 진로지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음악전공 대학생들은 음악이 좋아서(흥미), 타고난 음악적 재능 등의 내적요인들에 의해 음악을 대학전공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과 진로의 보장, 수입의 보장 등 현실적 직업요인들은 음악을 대학전공으로 선택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학 전공자들은 취업과 진로의 보장이 가장 큰 선택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실제 전공 선택에 있어서는 음악전공자들이 보다 큰 진로 장벽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진로의 문제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과정 진로 적합도는 경영학 전공이 보다 높게 나타났고, 정규직 가능성 역시 경영학 전공자가 높게 나타났으나, 음악전공생들에게도 연주가 아닌 다른 분야의 직업적 수요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들에 대한 이해와 진로교육의 실천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요인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교과과정 적합도 분석

        정환호,최진호 한국음악교육학회 2013 음악교육연구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대학 재학생(N=201)들을 대상으로 본인들이 음악을 대학전공으로 선택한 이유와 현재 공부하고 있는 음악대학의 교과과정과 졸업 후 진로와의 적합도를 조사하여, 음악대학과 음악전공자들에게 교과과정 개발 및 졸업 후 진로지도에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음악전공 대학생들은 음악이 좋아서(흥미), 타고난 음악적 재능 등의 내적요인들에 의해 음악을 대학전공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과 진로의 보장, 수입의 보장 등 현실적 직업요인들은 음악을대학전공으로 선택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음악전공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음악대학 교과과정 적합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공 선택 당시 고려하지 않았던 취업과 진로의 문제점을 점차인식해 나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전문연주자를 예상 진로라고 밝힌 학생들의 교과과정 적합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드러나 음악대학의 교과과정을 졸업 후 진로에 적합하도록 개정하고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음악전공자용 진로장벽검사도구(MCBI)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정환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usic Career Barrier Inventory (MCBI), a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tool that objectively measures the inner-environmental Career Barrier Factor perceived by music major college students. The study, which involved 147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sic, first conducted a data analysis (N=347) of Previous studies, which surveyed students' Career Barrier. Then we were able to get 11 subfactors and 65 items as a result by conducting an Open-ended survey and exit evaluation. Three expert evaluations were repeated, and because of this, each item could be classified as an accurate factor without overlapping items. Then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and after the item was modified, nine career barrier sub-factors and 46 items were selected. In the next step,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72)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alidity of inspection tools, and as a result, 30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ight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lack of career information, performance anxiety, lack of confidence, lack of interest, economic problems, unstable job environment, physical problems, and lack of musical ability)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career education in universities by clearly measuring career barriers that students perceive by applying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desired career path.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tool's validity should be verified by conducting a CFA(Certified Factor Analysis) on the extended population in subsequent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전공자들이 지각하는 내적·환경적 진로장벽 요인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다차원적 진로장벽 측정도구 MCBI(Music Career Barriers Inventory)를 개발하는 것이다.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장벽을 분석한 선행연구결과를 근거로 재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 및 전문가평가를 진행하여 기초검사문항을 도출하였다. 총 3단계의 유목분류과정을 거쳐 1차 기초검사를 위한 9개의 진로장벽 하위요인과 46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이후 검사도구의 유효성 분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n=72)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8개의 진로장벽 하위요인(진로정보 부족, 연주불안, 자신감 부족, 흥미부족, 경제적 문제, 불안정한 직업환경, 신체적 문제, 음악적 능력 부족)과 30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도구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므로 후속연구에서는 확장된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도구의 유효성 검증을 제언하였다. 본 검사도구는 음악대학의 진로지도 현장에서 실제 적용이 가능하며 개인이 희망하는 진로유형 및 개인적 변인의 특성에 따라 주요한 진로장벽의 유형을 분석할 수 있으므로 실증적 자료 누적에 따른 음악전공자 진로연구의 이론적 기틀 확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SAT#1 (Preliminary Integration) Test Results of KASS System

        정환호,장현진,김군택,이재은,이병석 사단법인 항법시스템학회 2021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Vol.10 No.2

        According to the 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KASS) system milestone, Site Acceptance Test (SAT) has three steps test until the end of the project. SAT#1 is the first time of SAT steps and verify the KASS Reference Station (KRS) and Sub System (S/S) for the monitoring and controllable. After the equipment and software were installed at the Mission Control Center (MCC) with Central Monitoring and Control Simulator (CMS) for the SAT#1, the 1:1 test was progressed when the KRS and S/S are ready to test. SAT#1 has a 10 steps test case and it was progressed each KRS sites. The test was finished throughout the real-time monitoring and the data collection including the data analysis all of the 7 KRS sites. Finally SAT#1 was completed on December 2020 with successful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