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이오뱅크 내 동의서 없는 폐기용 인체유래물 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정당성 모색

        정창록,허유선,JEONG, Chang Rok,HEO, Eusun 대한의료법학회 2017 의료법학 Vol.18 No.1

        생명공학 연구자들의 중요한 이해 관심 중 하나는 연구를 목적으로, 현재 사용될 수 있거나 미래를 위해 보관될 수 있는 인체유래물을 다루는 것에 관한 논의이다. 본 논문은 인체유래물 연구에서 동의서 없는 폐기용 인체유래물의 재활용을 위한 정당성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미래의료가 유전체 연구를 통해 예방 의료로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선진국들은 인간 유전체 연구를 위해 바이오 뱅크를 설립하여 연구자들을 지원해 오고 있으며, 한국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현재 한국의 인체유래물 연구자는 기증자의 동의서가 미비된 경우, 인체유래물을 보관할 수는 있으나 사용할 수는 없다. 뿐만 아니라, 인체유래물 연구 자원이 사용 기간이 한정 표시된 동의서로 인해 폐기되기도 한다. 그러나 필자들은 동의서 미비로 인해 현재 폐기되기만을 기다리는 바이오뱅크의 인체유래물이 매우 제한된 조건 하에서는 활용가능하며, 이러한 재활용에 정당한 근거가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바이오뱅크 및 인체유래물 활용과 관련된 법조문을 고찰하며 동의없는 인체유래물의 활용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검토하고, 바이오뱅크의 폐기용 인체유래물의 재활용 근거를 모색한다. A topic of particular interest for biotech researchers are handling of human tissue specimens that may be used for present, or stored for future, research purposes. This article examines the ethical and legal legitimacy of using human materials for research purpose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issues of informed consent and confidentia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moral and for law legitimacy exploring of the utilization of the human material without donator's consent. It is a known fact that future medical care should be exchanged a paradigm by preventive health care through a human meterial research. The developed country have established a biobank for a human meterial research and supported a researcher. Korea is the same, too. When it is done a defect, as for the thing researcher derived from the Korean human meterial research. The written consent of the donator can keep a human meterial research origin thing, but cannot use it now. I will justify morally and for law that researcher can use the human material without written consent. We can change the concept of recycling of human material. It is not mean only burning that recycling of human materials for research.

      • KCI등재

        《교과내용학》 :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

        정창록 ( Chang Rok Jeong ),이일학 ( Lee Il Ha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본 논문의 목적은 에이즈 환자가 갖는 인권에 관해 정리하고 현재 한국의 에이즈 환자 인권 현황에 관해 살펴본 후에 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에이즈 환자의 인권 보장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에이즈에 관한 편견을 바로 잡는 것이라고 본다· 병에 대한 편견의 역사는 인류보편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우리는 과거에 결핵 환자를 두려워하고 격리시켰으나 현재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결핵은 약으로서 얼마든지 다스릴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보건의료를 위시한 사회의 적극적인 대처로 인하여 HIV·AIDS는 관리 가능한 질병이 되었다· 그러나 그 기전은 감염인을 국가적으로 관리 감독하는 방식이다· 감염인은 다른 질병과 달리 격리되고, 동시에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가족들에게도 버림받고 취직도 할 수 없는 이들은 어디에도 의탁할 곳이 없는 궁(窮)한 처지에 있다· 연구자가 볼 때 에이즈 환자를 돕기에 가장 적합한 대상은 의료인이다· 의사들은 의료 목민관으로서 이들의 오해를 풀어주고, 이들이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권리인 인권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공자(公子)를 계승하며 강조한 인(仁)의 덕목을 맹자(孟子)의 삼덕(三德)인 효제자(孝悌慈)로 설명한 것에 근거하여 자신의 저서 『목민심서(牧民心書)』에서 특히 자(慈)의 원리를 강조했다고 보았다· 이것에 관해서는 선행논문에서 다산이 『목민심서』에서 강조했다고 연구자들이 생각하는 자(慈)의 원리가 어떻게 의료인의 윤리로 설명될 수 있는가를 밝혔다고 여기고, 본 논문에서는 그 원리를 구체적인 한국적 의료 문제 상황 중에서 특히 에이즈 환자의 인권 보장을 위한 의료인의 책무를 부각시키는 것에 적용해 보려 한다. HIV·AIDS Patients` Human rights have been abused by strong prejudice in South Korea. This paper is based on the Dasan(茶山) Jeong Yakyong`s Mokminsimseo(牧民心書) which may lay ground work for medical professionals that provide health care to these patients. Firstly, the authors tried to show current status of human rights among HIV·AIDS patients in Korea. Nextly, this paper emphasizes the moral role of Korean medical professionals based on Dasan(茶山) Jeong Yakyong`s Mokminsimseo(牧民心書) in medical practice. We believe that Jeong Yakyong`s concept of Mercy(慈) can be the principle of caring for the patients that are in desperate needs(窮). And we developed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medical professionals to apply, that they can protect HIV·AIDS` Human rights.

      • KCI등재

        생명 윤리론에서 피터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창록(Jeong Chang-Rok) 한국생명윤리학회 2012 생명윤리 Vol.12 No.2

        싱어(Peter singer)는 생명 윤리론의 분야에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을 일으키려고 한다. 필자가 보기에 싱어가 주장하는 혁명의 두 축은 ‘동물로서의 인간관’과 공리주의 사상에서 유래한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이다. 이 두 축은 싱어의 동물 해방론과 의료 윤리론의 배후에 있다. 본 논문은 두 축을 중심으로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이 과연 성공적인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생명 윤리론에서 전개되고 있는 동물 해방론과 의료 윤리론에 나타난 그의 주장과 문제점을 각론적으로 간단히 살펴본다. 그 다음에 필자는 혁명의 두 축을 총론적으로 고찰해 본다. 우리가 생태계 문제에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의 첫 번째 축인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을 적용시킨다면, 아이러니하게도 원칙의 천칭과 같은 성질에 의해 전체를 위해 행동할 수 있는 인간을 동물 보다 더 고려해야 한다. 이 후에 필자는 싱어의 인간관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해 본다. 싱어는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인격성의 특징을 받아들여 동물들 중에서도 인격체로 여길 만한 개체가 있으므로, 인간과 동물에게는 정도의 차이만 있지 질적인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필자는 플레처의 인격성 징표 대신에, 피터스(R. S. Peters)가 주장하는 인격의 세 가지 특징을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밝히는 기준으로 제시한다. 피터스의 인격성 특징에 의한다면 우리는 동물을 인격체로 볼 수 없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필자는 생명 윤리론에서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이 우리가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성공적이지는 못하다는 것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looking through the conformity of ethical revolution suggested by Peter Singer and finding out if proper alternatives are suggested for contemporary ethical dilemma. He would give up the traditional morality and intend to achieve a Copernican Revolution on the ethics. Singer is going to challenge that all human being life is holy through Copernicus revolution on the ethics. This paper intend Singer’s clams that a human being and an animal is qualitatively different at a point of view of a soul and the reason. I examine that his claim is conformal and show the alternative plan appropriate for modern ethical dilemma. In addition, I thinks all human being life that an existing point of view to be holy can be maintained. The life of all human beings is what is holier than animal life by the phase that I made the peculiarity that a human being occupies in ecosystem not an existing theological viewpoint. This article will examine what is human being on Singer’s ethics. Singer solves a problem of the medical ethics with his peculiarity position on what is human being. He thinks that the concept to be called a human being must define it in a meaning called person again. The standard that is decisive for God for human life here is rational person with the self-consciousness immediately. Singer insists that Joseph Fletcher’s list of personality is enough to be indicater of person. However I consider it whether I should be able to accept self-consciousness, oneself control, a future feel ing, the past feeling, another ability, interest in another person.

      • 실질주의 윤리설에 대한 칸트의 비판과 문제점

        정창록(Jeong Chang-Rok)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07 동서사상 Vol.3 No.-

        이 논문의 목표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칸트가 윤리학에서 형식주의를 주장한 이유를 살펴보는 것, 둘째, 기존 실질주의 윤리학에 대한 칸트의 비판점을 살펴보는 것, 마지막으로 다른 윤리학을 비판한 그 잣대들로 칸트 윤리학을 살펴봤을 때 문제점은 없는가 하는 것이다. 칸트의 형식주의 윤리학은 윤리학에서 객관성, 보편성과 필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는 이론 철학에서 학의 특성이 보편성에 있음을 보여주었고 실천 철학에서도 보편적 지식의 가능성을 해명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먼저 윤리학에서 그가 경험적인 요소라 부르는 실질적인 요소들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경험적인 것을 포함한 실질주의 윤리학은 에피쿠로스의 도덕론과 허치슨의 도덕 감정론과 스토아와 볼프의 이성적 도덕론을 포함한다. 칸트는 이성적인 윤리학은 ‘실질적인 것’을 포함해서는 안 된다고 보았고 그 실질적인 것은 ‘행복’을 목표로 한다고 보았다. 칸트의 도덕 이론에는 과연 ‘실질적인 요소들’이 전혀 없을까? 칸트 윤리학에는 중대한 문제점이 두 가지 있다. 첫째, 실질주의 윤리학은 보편적이지 않은가 하는 점이다. 둘째, 형식주의 윤리학에는 실질적인 요소가 없는가 하는 점이다. 이 논문은 ‘목적 그 자제로서의 존재’와 ‘최고선’ 개념에 실질적인 요소가 포함된다고 본다. 우리가 실질적인 부분을 갖는 인간인 이상 실질적인 요소는 윤리학에서 배재하기 힘들 것이다. This paper has three aims. They are: 1)to explore the reason why Kant adopts formalism in his ethics; 2)to examine the correctness of Kant's critique on Material Ethics; 3)to seek material element in Kant's ethics in which he finds fault with those existing other Ethics. Kant's formal ethics tries to establish objectivity, universality and necessity in ethics. Now only he shows that the knowledge on form can have universal validity in theoretical philosophy, also he tries to explain the possibilities of universal knowledge in practical philosophy. He, therefore, wants to exclude material elements in ethics that it has empirical things. Material ethics was divided into empirical includes Epikouros's moralism and Hutcheson's theory of moral sense, and rational ethics includes Stoics and Wolff's ethics and thedogical moralism. Additionally Kant argues that the rational ethics can not exclude 'material' perfectly in that the ethics ends up with 'happiness', though it starts from the concept of 'reason'. Are not the any 'material elements' in Kant's moral theory at all? Also are not there any 'material' in Kant's arguments on universal validity? There are two controversial problems in Kant's ethics : 1)Whether material ethics have universal validity or not; and 2)is there any possibilities to find out universal validity in material one. This paper argues that concepts of 'the formula of end in itself and 'the highest good' of Kan's ethics include material. As long as we human being who has material part, the 'material' never can be exclude from ethics.

      • KCI등재

        서남대 의대 졸업생 학위 취소 요구 사태와 도덕적 책임의 문제

        정창록(Jeong, Chang-Rok)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5 No.1

        2013년 1월에 각종 언론 매체는 교과부가 부당한방법으로 재학생들에게 학점을 수여한 서남대 측에 의대 졸업생 148명에게 부여한 학점의 취소와 졸업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134명의 학위 취소를 요구한 사건을 보도하였다. 그런데 당시 졸업생들은 이미 일선 병원에서 인턴과 레지던트로 근무하고 있었다. 만약 서남대 측이교과부의 요구를 받아들여 134명의 의학사 학위를 취소할 경우에는 해당 학생들의 의사 면허도 취소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졸업생들은 교과부의 이러한 조치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를 하고 있다. 그들은 이미 2001년에 교과부에상경하여 학교의 부당함을 알렸으나교과부가 그 요구에 대한 조사를 하지않았다고 주장한다. 졸업생들은 대학을 제대로 관리 감독하지 않은 교과부가 어째서 피해자인 학생들에게 가해자의 책임까지 떠맡기는지를 질타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시사적인 문제 상황의 배후에 있는 도덕적 책임의 요소를 몇몇 도덕적 이론들로 고찰해 보려 한다. 즉 도덕의 사회 계약론과 현대 공리주의 윤리학자 피터 싱어(Peter Singer)의 이익평등고려의 원칙(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을 본 사태의 책임 문제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상식적으로 교과부에서 폐쇄 조치를 할 만한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이 어떻게 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할 수 있었느냐는 문제를 다루어 보려한다. 철학이 사태의 전제를 검토하는 활동이라면 철학적 고찰을 통해 이번 사태의 배후에 우리나라의 의사 자격 발급 체계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교과부와 더불어 우리는 의사 자격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보건복지부에게도 도덕적 책임을 물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본 논문에서 필자는 서남대 의대 사태를 둘러싼 도덕적 책임의 요소들을 실제적인 철학적 활동을 통해 규명해 보고자 한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ked Seonam University to cancel degree of 134 graduates from medical school in the university. Seonam University students awarded medical degree to 134 graduates from the medical school, because they did not meet the required time for clinical practice due to school misconduct. If Seonam university accepts such request from the ministry and revokes the degree of 134 graduates, it will be followed by that license for doctor which related students can be cancelled. But the graduates are strongly protesting against such measur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graduates insist that in 2001, they visit the ministry and let them be know about injustices of school education, but the ministry did not investigate allegations of the injustices. Since then, the university held related students back in grade so that the atmosphere was formed - if a student says injustice of university, the student can have damage. Though, students have not received education properly and they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on their own efforts. Who is most responsible for the problem? Who and how should be responsible for this problem to solve it most wisely? This study deals with problem of moral responsibility surrounding accident of Medical School in Seonam University.

      • KCI등재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정창록 ( Chang Rok 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8

        개인별 맞춤의료는 환자중심적인 의학적 선택과 실천과 상품들을 포함하는 미래의학의 모델이다. 개인별 유전학은 개별 유전자 분석과 연관된 유전학의 한 분야이다. 유전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개인별 맞춤 의료의 어떤 측면들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왜 프라이버시가 본질적으로 중요한가? 의료의 초기부터 프라이버시의 개념은 환자와 의사간의 관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핵심이 되어 왔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서 어떻게 프라이버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증가시키는가이다.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 연구의 중요한 목적은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발생하는 개인에 대한 이득과 해악에 관한 것을 파악하는 것이다. 개인별 맞춤 유전체 치료는 개인의 유전적 정보 분석을 전제로 한다. 인간유전체 연구를 인간 유전자 정보에 관한 연구로 볼 수도 있다면 현재 인터넷 사회에서 정보 유출과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가 문제이듯이 인간유전체 연구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유전체 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목표를 위해 우선 인간유전체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의 문제를 다루어 본다. 이후 인간유전체 연구가 갖는 위험의 유형을 기술적 차원, 방법론적 차원, 인식론적 차원으로 분류하여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인간유전체 연구가 갖는 세 가지 차원의 유형에 따른 위험관리의 전략을 세워본다. Personalized medicine is a future of medical model that proposes the customization of healthcare with medical decisions, practices, and products. Personal genomics is the branch of genomics concerned with the sequencing and analysis of the genome of an individual. The use of genetic information has played a major role in certain aspects of personalized medicine. What is makes a privacy to fundamental importance in human genetic research? Since the earliest days of medicine, the notion of privacy has been the core of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crease awareness of how protecting privacy and maintaining confidentiality in human genetic research. There are looked very same problem of internet data leak and problem of genetic data. The problem of internet data leak could occur the same shape problem in the human genetic research. Implications of human genetic research involve privacy breach which may lead to benefit and harms to individuals. This paper addresses the properties of human genetic data provided for the research and the potential threats related to those research at technological, methodological and epistemological aspect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risk management strategies for protecting privacy in human genetic research at respective aspects.

      • 싱어의 이익평등고려의 원칙과 적용의 문제점

        정창록(Jeong Chang-Rok)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1 동서사상 Vol.10 No.-

        싱어가 동물해방론을 주장하는 근거에는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이 있다.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이란 감각(sentience)이 있는 존재들의 이익을 평등하게 배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한 개체가 느끼는 고통의 정도이다. 그러나, 싱어가 공리주의 윤리설의 결과중심적 입장을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에 적용하여 설명할 때 모순이 발생한다. 예컨대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 일반 피해자들의 이익보다 피해자가 의사일 경우 의사를 더 고려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 다른 환자들의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위기 상황에서는 개체가 느끼는 고통보다는 전체적 고통의 크기를 우선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은 원칙으로서의 정합성을 지니지 못한다. 또한,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을 현재 지구적 환경 위기 상황에 적용시킬 경우에 우리는 역설적으로 인간이익우선고려의 원칙을 발견하게 된다. 왜냐하면, 인간은 위기 시의 의사처럼 지구상에서 환경위기의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피터 싱어의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을 따랐을 때 발생하는 이러한 적용상의 문제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Singer’s claim of animal liberation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is that we must consider interests of all the sentient beings equally. With that matter, the important thing is the degree of pain that a creature feels. A conflict occurs in applying utilitarian idea to Singer’s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because general pain tends to be considered before individual pain in a serious crisis. If we act on the principle, if an earthquake happens, we must save doctors before anyone else because by doing so, we can provide more patients with chances to get their pains relieved. But in that case,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can not maintain integrity as a principle. And when we apply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to the current global environmental crisis, paradoxically, we will get to the principle of considering human interests first because humans are only creatures that can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like doctors in cris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problems that rise in applying Peter Singer’s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 KCI등재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문성학(Moon Sung-Hak),정창록(Jeong Chang-Rok) 새한철학회 2010 哲學論叢 Vol.62 No.4

        인간배아복제연구를 허용할 것인가 말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 크게 세 가지 입장이 있다. 전면적으로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 전면적 금지의 입장 그리고 제한적 허용의 입장이다. 배아를 단순한 세포 덩어리로 본다면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전면적으로 허용된다. 피터 싱어가 이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전면적 금지의 입장은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종교적 특히 기독교적 관점에서 배아는 완전한 인간이기에 인간배아복제연구는 금지되어야 한다는 입장과, 비종교적 관점에서 인간배아복제연구를 금지해야 한다는 입장이 있다. 하버마스가 이 경우에 속한다. 그리고 배아를 잠재적 인간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인간배아복제연구는 제한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필자는 제한적 허용의 입장에서 배아는 존중할 대상이기는 하지만 절대로 사용되어서는 안 되는 대상은 아님을 보여주고자 한다. There can be three positions about the morality of cloning human embryo. (1) Because human embryo is simply a mass of cell, it should be permitted to study cloning human embryo without any conditions. Peter Singer takes this position. (2) There is another position which is largely accepted by Christianity including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 According to this position human embryo is not a potential human being but a perfect actual human being. Therefore to study cloning human embryo shouldn't be permitted. In the course of studying, human embryo will unavoidably be destroyed. (3) The third position is a kind of eclecticism. Cloning human embryo can be permitted under some restrictions. In this paper, we will try to prove that the third position is right.

      • KCI등재

        우리나라 인체유래물은행의 유전체 정보 보호 현황과 제언

        이연호(Lee Yeon-ho),정창록(Jeong Chang-rok),김소윤(Kim So-yoon) 한국생명윤리학회 2017 생명윤리 Vol.18 No.1

        본 연구는 2015년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 ELSI 사업의 인체유래물은행의 현장 실태조사와 그 결과를 담고 있다. 방문대상은 국내 인체유래물은행 중 인체자원단위은행과 단위은행 외 인체유래물은행 등이다. 방문을 위해 이메일과 전화로 방문일정을 정하였고, 반구조화 면담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통해 인체유래물 제공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인체유래물은행의 유전체 정보 및 지침 보유 여부, 동의서 수집 및 보관, 정보 보안 현황, 자원 분양 절차, 분양 후 관리, 개인정보보호 교육 등 보안 교육과 홍보에 대한 사항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각 은행별로 인체유래물 제공자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 지침을 마련하여, 지침에 따라 관리,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인체유래물은행에 특화된 개인정보 보호관련 교육의 부재, 분양 후 관리방안 개선, 주 근무자가 계약직 위주인 점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This study on human material banks was conducted by the 2015 Center for 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As part of a field study, we visited human material banks and researchers and conducted research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It is focused on privacy protection, such as collection of human material, informed consent, security, training, and international data sharing. The results showed each human material bank is managed according to its own guidelines. However, the study also revealed a need to improve the training system focused on human material banks, managing system after distribution, and working system for main employee.

      • KCI등재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윤리교육의 모색

        백지연(Baek Ji-yeon),정창록(Jeong Chang-rok) 한국생명윤리학회 2017 생명윤리 Vol.18 No.1

        본 논문은 의료 영역에서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윤리교육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들은 사례를 기반으로 토론학습방법을 통하여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하나의 생명윤리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현대 한국의 의료사회는 생명과 관련된 기술 발전으로 인해 해결해 나가야 할 문제들이 여러 측면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복잡성은 의료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의 이해관계가 대립하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의료인 개인이나 의료 집단 간, 또는 의료 집단과 그 외 공동체가 비판적 검토와 토론을 통한 합의를 통해 해결점을 찾아나가야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특히 한국의 의료인들은 이러한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복잡한 윤리적 상황에 직면하여 각기 다른 이해와 가치를 검증하여 선택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을 가져야만 한다. 미래의 약학 관련 연구자나 약사가 될 약학대학원생들도 한국 의료계의 일원으로서 이러한 시대적 요청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 필자들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약학윤리교육의 목표로서 비판적 사고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사회의 사례를 활용한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제 수업안을 제시하고 있다. In this paper, authors were supposed to find solutions for a meaningful and valuable pharmacy ethics education for professional pharmacy graduated students. And this is on the basis of realization about pharmacy ethics educational problems on these days. We think that general ethics education has two ways, one is rationalism and another is sentimentalism. These ways are determined by considering how aspect important one of moral factors.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for ability of critical thinking in pharmacy ethics education including their meaning and characteristics. And this is based on rationalism ethics education improving moral judgment and ability of critical thinking. We suggest to have class focused on a reality case and discussion as way of pharmacy ethics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prog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