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건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인지성 향상을 위한 외국정책 고찰: 미국과 유럽연합의 사례

        정진주 ( Jin Joo Chung ),최성수 ( Seong Soo Choi ) 한국보건사회학회 2008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3

        정부는 막대한 예산을 보건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에 투자해 오고 있으며 생명공학, 신약개발이 강조됨에 따라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하는 연구인력의 성별 현황 및 형평성과 연구주제/대상/내용/결과에 대한 젠더적 관점의 평가는 거의 시행되고 있지 못하다. 사업이 보다 과학적이고 윤리적이고 형평성 있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연구인력 및 연구자체에 대한 젠더적 관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미국의 임상연구정책과 유럽연합의 보건분야 국가연구 개발사업의 성인지적 정책을 고찰하였다. 각 국이 강조점을 두고 있는 사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한국 상황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아보기 위해 (1) 보건연구 분야에서 성인지적 정책이 시행된 계기와 과정, 정책의 기초가 된 법이나 지침, (2) 연구 및 임상 실험사업에서 성 인지적 정책의 주관 조직, 주된 적용 대상 및 구체적 지침, (3) 성인 지적 정책의 구체적인 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특히, 연구사업 및 임상실험에 참여하는 연구진 및 연구결과가 여성 혹은 남성에게 주는 수혜의 측면을 검토하였다. 두 국가의 주요 정책 보고서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본 결과, 각각의 역사 및 법적/정책적 강제성, 초점과 정도의 차이는 가지고 있으나 모두 성인지적 관점과 정책, 성별영향에 대한 평가와 제고, 이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상황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So far, only a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Korean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s in health areas from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They reported problems of unbalanced gender participation and fund distribution, and they also pointed out that most national R&D projects have not considered gender seriously. Addressing this absence of gender in the Korean national R&D programs, this study examines gender-sensitive policies in the national health R&D project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We mainly focus on three aspects for our examination: (1) historical conditions and processes of the introduction of gender-sensitive policies, founding laws or principles, (2) contents of the policies such as organizations in charge, policy targets and concrete provisions, (3) outcomes of the policies. In particular, we pay attention to participations of researchers in research projects and clinical trials on the one hand, and gender effects of the R&D programs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exploration of policy documents, we found that both countries have gender-sensitive perspectives and policies, gender-impact assessment systems and considerations, and increasing interests in mainstreaming gender issues in common although their policies vary in some characteristics, detailed legal obligations, focuses and ranges Finally, we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 for improving the current Korean situation.

      • KCI등재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정진주(Chung Jin-Joo) 한국여성연구소 2010 페미니즘 연구 Vol.10 No.1

        지난 몇 달간 우리 사회에 낙태가 쟁점이 되고 있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낙태단속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한편, 외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산부인과 의사 간의 낙태 논쟁 및 고발이 진행 중이고 여성계와 정부도 이에 대한 대응을 내놓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의 목적은 낙태의 정책방향을 여성건강의 관점에서 제시하기 위해 유럽의 사례를 고찰하는 데 있다. 낙태의 법적·사회적 수용도 및 안전한 낙태시스템 보장 수준을 기준 삼아 아일랜드, 영국, 네덜란드 세 국가를 선정하여, 개별 국가의 낙태에 관한 국가정책, 법적 기준, 의료체계, 시민사회 등의 역학이 여성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들 국가의 경험은 여성의 요청에 의한 낙태 시행, 낙태를 위한 의사의 복잡한 입증을 전제로 하지 않는 낙태제도, 투명하고 익명성이 보장되는 정보제공 및 상담, 임신 초기단계의 빠른 낙태 결정, 의료진의 질 높은 낙태를 위한 교육 및 훈련, 낙태 서비스의 공공지원을 통한 모든 여성의 낙태 접근도 향상, 안전한 낙태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체계구축 등과 같은 장치가 안전한 낙태를 위해 한국 사회에서도 시급하다는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여성의 요청에 의한 ‘안전한 낙태’와 원치 않는 임신의 예방정책이라는 두 가지 전략을 통해 건강한 여성과 사회가 재생산될 수 있다. For the last several months, abortion debates have sparkled in Korea. The government has escalated the need of active punishment of illegal abortions to solve low fertility problems, while some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 have proclaimed stoppage of illegal abortions suing colleague doctors who has conducted illegal abortions. Women’s rights groups and researchers have also responded to the abortion debate claiming that women’s decisions over their pregnancy are important in making of abortion policies. To contribute to Korean abortion debates, his paper aims to analyze European experiences of abortion polices in relation to the consequences on women’s health. For the analysis of European abortion experiences, three countries ? Ireland, U.K, and Netherland ?are chosen. These three countries are selected since their legal and social acceptance of abortion and the level of safe abortion system are different. Each country is reviewed by national abortion policy, legal regulation, medical system and the role of civil society. The analysis shows several implications for abortion debates occurring in Korea. Various systematic policy mechanisms - abortion on women’ request, abortions without complicated doctor’s referrals, transparent and anonymous counseling and information provision regarding abortion, training and education for medical professionals to guarantee high quality abortion, abortions funded publicly for women to improve their access to abortions, steady monitoring and auditing abortion procedures and outcomes for safe abortion and so on ? are required in Korean society. Two track procedures - safe abortion on women’s request and prevention of unwanted pregnancy ? are needed for reproduction of healthy women and society.

      • SCOPUSKCI등재

        작업조건이 출산결과에 미치는 영향: 전향적 코호트연구

        김지용,정진주,고경심,조정진,Kim, Ji-Yong,Chung, Jin-Joo,Ko, Kyung-Sim,Cho, Jung-Jin 대한예방의학회 2002 예방의학회지 Vol.35 No.3

        Objectives :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Korea. Methods : We obtained data on health history, lifestyle, housework and Working conditions, such as shift work, hours standing, working time, job demand, lifting at work and at home,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2000,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 group of 344, occupationally active, pregnant women from 51 industries were studied. Of the women studied, 328 women were further interviewed by telephone between November 2000 and September 2001. Result : Compared with daytime work, shift work increased the risk for preform birth (an adjusted risk ratio of 2.74, 95% CI=1.02-2.62) and low birth weight (an adjusted risk ratio of 2.74,95% CI=1.02-2.02).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was found for prolonged standing, with an adjusted risk ratio of preform births of 6.80 (95% CI=2.01-23.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spontaneous abortion between the occupational working conditions, with the enception of a previous history of spontaneous abortion.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ternal working conditions, such as shift work and prolonged standing, contribute significantly to preterm birth and low birth weight.

      • KCI등재후보

        저소득층 아동의 ‘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서상희(Suh, Sang-Hee),정진주(Chung, Jin-Joo)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4 비판사회정책 Vol.- No.45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이 일상생활에서 ‘밥’을 어떻게 경험하며,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굶는다는 것은 어떤 맥락과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것인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아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정책대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지방 중소도시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층 초등학생 8명을 대상으로 집단 면담, 개별 심층면담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현장 관찰, 아동이 그린 그림, 참고인 면담 방법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층 아동은 시간ㆍ공간, 생애주기, 공적지원체계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고 경험하는 ‘밥’의 경험을 보여주었다. 아동의 관점에서 ‘밥’의 경험은 총체적 박탈 경험으로서의 ‘집 밥’, 긍정적 경험 구축 계기였던 ‘학교 밥’, 어중간함 속 의미 있는 ‘공부방 밥’으로 구분되었다. 아동은 “맛있고” “함께”하는 밥을 좋은 경험으로 인식하여 포괄적인 식품보장 개념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참여 아동들은 정기적 영양교육이 제공되고 있었고, 영양가 있게 먹어야 한다는 인식도 하고 있었지만, 적절한 돌봄을 제공하지 못하는 환경으로 인해 유아기부터 시작되어 체화된 나쁜 식습관을 변화시키지 못했다. 이는 영양교육이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운 이유로 파악됐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식이 행태를 아동의 환경과 삶의 맥락에서 바라봐야 함을 강조하고 사회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내기 어려운 아동의 관점을 드러내 아동의 욕구에 맞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experiences of meals of the low-income family children. By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group interview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ield observation, children’s drawing, and referee interview, the study shows experience of meals from children’s perspective. Children in the low-income family experienced and perceived meals according to time-space frame, life cycle, and public support system. They perceived home meals as one being severely deprived, school meals as new entry to having ‘delicious’ meals in a friendly environment, and meals provided in the children community child centers as being ambiguous but meaningful. From children’s experiences, school meals were the best one. In addition, children showed the bad eating habits embodied through life span from the infancy to the current. It means that food behavior must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 and life of the children. The findings of the study enable us to understand children’s experience which could not easily revealed due to their age and powerless positions, and we hope their opinions should be inserted in the making of food security policy.

      • KCI등재

        젠더와 건강: 성인지적 보건정책을 위한 시론

        천희란 ( Hee Ran Chun ),정진주 ( Jin Joo Chung ) 한국보건행정학회 2008 보건행정학회지 Vol.18 No.2

        This review paper is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mpirical evidence for gender sensitive health policy in Korea. We explore how sex and gender are implicated in health disparities. After reviewing major concepts regarding sex, gender, and health, the study moves on to describe the ways in which gender interacts with other social determinants (socioeconomic position, workplace, stress, social support, and violation) to show disparate health outcomes. Next, suggested health models considering gender and social process are introduced. The article concludes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gender sensitive policy consorted with social programs in tackling health equity.

      • KCI등재

        제조업 외국인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과 사업장 변경의 딜레마

        김혜선 ( Hye Son Kim ),정진주 ( Jin Joo Chung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5 산업노동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외국인근로자의 안전보건이 ‘외국인’이라는 특수성을 어떻게 담보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법ㆍ제도 차원, 조직적 차원 그리고 개인의 행위차원에서 실제 안전보건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제까지 이들의 안전보건은 주로 이들이 겪는 언어적 차이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접근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안전보건의 문제는 언어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근로자로 일하는 이주노동이라는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한국의 이주법체계에서 규정하는 한국어능력, 송출국의 취업교육과 외국인근로자의 직업경력이 실제 하는 일이나 안전보건과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으며, 사업주의 관리감독과 안전보건교육, 안전보건정보제공 등 사업장 안전보건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사업장 안전보건문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외국인근로자의 행위는 크게 네 가지의 방식으로 나타났다. 첫째, ‘자기가 알아서’ 조심하는 방식이다. 둘째, 안전보건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는 경우이다. 셋째, 사업장을 변경하거나 이탈하는 방식이다. 넷째, 사업주가 사업장변경에 동의하지 않아서 이를 체념하고 일을 계속하는 경우이다. 이중에서 외국인근로자가 사업장을 변경하거나 이탈하는 경우는 이제까지 외국인근로자는 주로 높은 임금을 위해 이직을 하고 미등록 체류자격으로 남게 된다는 사회적 통념을 깨는 행위이며, 외국인근로자의 안전이 위협받을 때 안정적인 고용 역시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끝으로 외국인근로자의 안전보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f migrant workers are ensured. We focus on law and institutional/organizational aspects, and personal behaviors. In many cases, issues of migrant workers’ OSH have been dealt in terms of cultural and language difficultie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grasp the migrant worker’s OSH related problems. We examine how the institutional requirements such as Korean Language ability test, employment education and migrant workers’ job career secure OSH for migrant workers before they arrived in Korea. We also discuss whether employers appropriately provide migrant workers with appropriate OSH training. There are four types of migrant workers’ responses when OSH doesn’t work properly. First, migrant workers take care of themselves. Second, they don’t realize the risk of industrial accident and the necessity of OSH. Third, they change or leave the workplace without legal permission. Forth, they give up changing workplace due to their boss’s disapproval and continue to stay at the same workplace. The last case do not match with the common social notion that migrant workers change their jobs for higher wage. Since workplace change or departure often results in disadvantage such as the restriction on re-entry to Korea in the future, migrant workers are not likely to change their workplace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previous job career of migrant workers in their own country should be linked to their job ability required for current work tasks. It is necessary to heighten the recognition of the OSH among both employers and migrant workers. Either improvements of working conditions or endowment of rights of changing their workplace in case of confronting health hazard is necessary for occupational health for migrant workers.

      • KCI등재

        의무기록지 분석과 간호사 면담을 통한 유치도뇨관 관리에 관한 간호활동 및 환자결과

        장금성(Jang Keum Seong),경희(Chung Kyung Hee),최자윤(Choi Ja Yun),진주(Yang Jin-Ju),박순주(Park Soon Joo),류세앙(Ryu Se-Ang),김남영(Kim Nam Young),심재연(Sim Jae Youn) 기본간호학회 2008 기본간호학회지 Vol.1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ing activities and to analyze patient outcomes related to indwelling urinary catheterization. Method: A review was done of 628 medical records from five units for patients admitted between January 1 and June 30, 2006. Twelve nurses who worked in the same units were interviewed. Results: In the interviews, nurses reported considering several non-invasive interventions prior to catheterization but there were no medical records of this activity. Results from the in-depth interviews showed that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such as urinary bag management were conducted but again there were no medical records. Seventy-five percent of the catheters were removed without prescription. In the medical records there were no notes for approximately 15%, on the time of first voiding and 80%, on volume of first voiding after removal of cathet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ospitalization days between the group catheterized for 5 days or less and the group catheterized for 6 days or more. Conclusion: Results indicate a need to close the gap between recorded and described activities and between current and best evidence based practice.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a standard recording system and guidelines related indwelling catheterization to decrease the gap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 KCI등재후보
      • 임신·출산 관련 산업안전보건 및 산재보험 정책의 개선방안

        김영택(Young-Taek Kim),이인선(In-Seon Lee),정진주(Jin-Joo Chung),유혜경(Hye-Kyung Yoo)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Korea has faced serious social problem on low birth rates. Yet, it is not sufficient for our government to care for female workers when they go through pregnancy and delivery. Recently, Korea has witnessed that nurses lost the court case, even though they got diseases due to unsafe working places which has been proved through the epidemiological study. Under the context above, this study aimed for examining environment of working places among female workers as well as their exposure to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affecting physical, m?uscloskeletal, and mental diseases as well as degree of hard work during their pregnant periods. For speaking of methods, this study employ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used the secondary data to prove the study goals quantitatively. Also, the study used an in-depth interview for possible victims suffering from risky working pla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wo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law and institutional impracticality in providing assistance to female workers during their pregnancy and delivery period, although we found evidence such as increasing rates of abortion up to now and existing exposure to the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etc. Thus, the study suggested policy agendas for better law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safety and health of female workers.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최근 간호사의 유산 및 선천성 이상 질환아 출산 사례가 집단적으로 발생하였고, 역학조사 결과 업무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에도 불구하고 산재보험의 적용은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음 - 이는 임산부의 건강 및 태아의 건강이 손실되었을 경우 모든 책임은 임신한 근로자에게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질 수 있음 - 이는 직장 내에서 여성근로자들이 근무 기간 안전하게 출산을 하게끔 근무환경 조성 및 관련 법 및 제도적 정비라는 정부의 저출산 위기방지 전략에 분명히 위배됨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임기 여성근로자의 보건안전통계 현황 및 근무환경에 따른 가임기 여성 임금근로자 건강상태 원인 분석, 임신·출산 관련 산업재해 피해자 사례 조사 및 국내외 법 및 제도 분석을 통하여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함 2. 연구 내용 □ 기존 자료 활용 가임기 여성근로자 안전보건통계 현황 분석함 -「산업재해통계분석」보고서를 활용하여 2013년∼2014년 여성근로자 산업재해 통계 현황을 비교 분석함. - 사업장 규모별, 연령별, 근무기간별, 발생형태별로 여성근로자 산업재해 현황 분석을 실시함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 제공 아래 2006년∼2015년 기간 동안 업종별 및 연령별 유산 현황을 분석함 □ 제4차 근로환경조사(2014)를 활용하여 양적 통계분석 실시함 - 사업장에서의 가임기 여성 임금근로자의 물리적 위험, 근골격계 위험, 정신적 위험 노출여부를 산업별로 분석함 - 작업장에서 노동 강도, 안전·건강 위험 정보를 받았는지 여부와 일이 가임기 여성 임금근로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을 실시함 □ 임신 중 및 출산 후 산업재해 피해자를 대상으로 임신·출산 여성의 근무환경을 파악하고 근무환경이 근로자와 태아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조사 분석하였음 - 임신 중 또는 출산 후에 업무상의 이유로 건강상의 위험이나 불안을 경험한 14명의 여성근로자 및 근무지의 노조원으로 소속되어 있는 여성근로자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함 □우리나라와 외국의 임신·출산 여성근로자 보호 관련 법제에 관하여 분석하였음 -우리나라 여성근로자 보호에 관한 우리나라 법제의 주요 내용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모자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주요내용을 고찰함 -태아의 산재인정 여부에 대한 판례 및 태아에 대한 불법행위 손해배상청구권 인정 판례 임신·출산 여성근로자와 태아보호를 위한 국제기준과 주요국의 법제를 고찰함 □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정책개선방안을 제시하였음 3. 연구 방법 □ 임신 및 출산 시기 여성근로자의 안전보건 관련 근무환경과 유산과의 상관성 관련 문헌연구 및 관련 선행 연구 조사를 고찰함 □ 문헌연구 및 관련 선행 연구 조사를 통하여 국내외 법·제도 분석을 실시함 □ 본 보고서에서는 혼합연구방법론을 활용함 □ 산업안전보건 전문가 집담회를 개최함. 여성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 관련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전문가 집담회를 실시하여 정책개선방안을 마련함 □산업안전보건 및 산재보험 정책의 전문가와 함께 관련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포럼을 3회 개최함. 이를 통해 임신·출산 여성근로자 보호 법제의 기본방향과 개선방안에 관한 경험 및 정보를 교류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