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급성 호흡곤란 중후군 환자에서 염증 표지자의 예후 예측인자로서의 역할

        정재욱 ( Chae Uk Chung ),황재희 ( Jae Hee Hwang ),박지원 ( Ji Won Park ),신지영 ( Ji Young Shin ),정선영 ( Sun Young Jung ),이정은 ( Jeong Eun Lee ),박희선 ( Hee Sun Park ),정성수 ( Sung Soo Jung ),김주옥 ( Ju Ock Kim ),김선영 ( S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2

        연구배경: ARDS는 다양한 원인으로 초래되는 급성 염증성 폐 질환으로서 인공호흡기 치료 등의 여러 의학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40~60%로 예후가 좋지 않다. 이러한 환자들의 예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APACHE, SPAPS, MAM 등 방법이 있지만 간편하지가 않아서, ARDS가 염증성 폐질환이란 점에 착안하여서 염증 지표로 흔히 사용하는 ESR, CRP의 ARDS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서의 역할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87명의 ARDS 환자들의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ESR, CRP 결과와 APACHE II score 그리고 추적 검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대상 환자를 생존한 군과 사망한 군으로 나누어서 생존한 환자군에서 총 입원기간, 중환자실 입원기간, 인공 호흡기 치료 기간과 ESR, CRP, APACHE II score들과의 상관관계 및 ESR, CRP의 변화 추이와 사망률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결과: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ESR, CRP로는 ARDS 환자의 사망률을 예측하기가 어렸다. 하지만 CRP는 ARDS로 중환자실 치료 후 생존했던 환자군에서 사망했던 환자군에 비해서 치료 초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중환자실 입원 당시 ESR이 높을수록 ARDS 환자들의 총 입원 기간 및 중환자실 입원기간이 길었다. 결론: CRP의 초기 변화 및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ESR은 ARDS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Backgrou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is ultimately an inflammatory state.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and C-reactive protein (CRP) level are inflammatory mark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ESR, CRP and APACHE II score as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 with ARD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87 ARDS patients. The predictors (APACHE II score, ESR and CRP) and outcomes (mortality and length of the total hospital stay, the ICU stay and mechanical ventilator care) were obtained from the patients` records. The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survival as the Survivor and Non survivor groups. We compared the APACHE II score, the ESR and the CRP level between the survivor group and the nonsurvivor group.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ors and the outcomes. The initial ESR, CRP level and APACHE II score were checked at the time of ICU admission and the second ESR and CRP level were checked 3.3±1.2 days after ICU admission. Results: Thirty-eight (43.7%) patients remained alive and 49 (56.3%) patients died. The APACHE II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survivor group than that for the non survivor group (14.7±7.6 vs 19.6±9.1, respectively, p=0.006). The initial ESR and CRP level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survivor and non-survivor groups (ESR 64.0±37.8 mm/hr vs 63.3±36.7 mm/hr, respectively, p=0.93, CRP 15.5±9.6 mg/dl vs 16.3±8.5 mg/dl, respectively, p=0.68). The decrement of the CRP level for the survivor group was greater than that for the non survivor group (-8.23±10.0 mg/dl vs -1.46±10.1 mg/dl, respectively, p=0.003).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e initial ES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ngth of the total hospital stay and the ICU stay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total hospital days: R=0.43, p=0.001,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ICU stay: R=0.39, p=0.014). Conclusion: The initial APACHE II score can predict the mortality of ARDS patients, and the degree of the early CRP change can be a predictor of mortality for ARDS patients. The initial ESR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RDS patients` duration of the total hospital stay and the ICU stay. (Tuberc Respir Dis 2008;65:99-104)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간질성 폐질환에 대한 수술적 폐생검의 의의 및 안전성

        이유진 ( Yu Jin Lee ),정미경 ( Mi Kyong Joung ),정재욱 ( Chae Uk Chung ),박지원 ( Ji Won Park ),신지영 ( Ji Young Shin ),정선영 ( Sun Young Jung ),이정은 ( Jeong Eun Lee ),박희선 ( Hee Sun Park ),정성수 ( Sung Soo Jung ),김주옥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1

        연구배경: 수술적 폐생검은 간질성 폐질환의 확진 및 환자의 치료와 예후 예측에 도움을 주며,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간질성 폐질환의 확진을 위해 수술적 폐생검을 한 환자들을 분석하여,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 있어서 수술적 폐생검의 안전성 및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에서 간질성 폐질환이 의심되어 확진을 위해서 수술적 폐생검을 시행 받은 70예 중, 간질성 폐질환으로 진단된 40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령 분포는 21세에서 77세까지로 평균은 56.4±16.1세이며, 총 40명의 환자 중 28명(70%)은 최소 개흉술을 시행하였고, 12명(30%)은 흉강경으로 폐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수술적 폐생검 후 30일 전체 사망률과 90일 전체 사망률은 각각 15%와 20%이였다. 수술 후 90일 사망자(8명)와 생존자(32명)를 비교해 보면, 수술 전 추가적인 산소 요법이 필요했던 경우는 술후 90일 사망자가 100%(8명)이고, 생존자가 28.1%(9명)이었으며 (p=0.000), 수술 전 기계적 환기 요법을 하였던 경우는 술후 90일 사망자가 62.5%(5명)이고, 생존자가 12.5%(4명)으로 (p=0.000) 수술 후 사망률과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론: 수술적 폐생검은 간질성 폐질환이 의심되는 환자 중에서 산소 공급을 하고 있거나, 기계적 환기 요법을 하고 있는 경우 술후 사망할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임상에서 수술적 폐생검이 환자의 치료 및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신중하게 생각하고 결정해야 한다. Background: Surgical lung biopsy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etiology and stage of interstitial lung disease(ILD). and this procedure can be safe and meaningful for making clinical decisions. We wanted to determine the safety of surgical lung biopsy(SLB)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IL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40 patients with suspected ILD and they underwent surgical lung biopsy from January 2001 to June 2006 at Chungnam University Hospital. We analyzed retro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age, gender, pulmonary function, chest tube duration, the arterial blood gases, the procedural technique, and the requirement for supplemental oxygen and mechanical ventilation(MV) at the time of SLB.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6.4±16.13 years(range: 21 to 77 years). Overall, the 30-day and 90-day mortality rates were 15% and 20%, respectively. The predictors of perioperative mortality were either the need for mechanical ventilation(MV) at the time of SLB or the need for supplemental oxygen prior to undergoing SLB. Among the 32 patients who were 90-day survivors, the proportion of those patients using the oxygen supplement was 28.1% (n=9). All 8 patients who were 90-day non-survivors used oxygen supplement (p=0.000). The use of the MV was 12.5% (n=4) in the 90-day survivors (n=32) and 62.5% (n=5) in the 90-day non-survivors (n=8);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90-day survivors and non-survivors (p=0.000). Conclusion: Patients who require MV and supplemental oxygen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for death following SLB. (Tuberc Respir Dis 2007; 63: 59-66)

      • KCI등재

        증례 : 호흡기; 선천성 낭성 선종양 기형에서 발견된 악성 변화 1예

        최재우 ( Jae Woo Choi ),송승택 ( Seung Taek Song ),박연희 ( Yeon Hee Park ),박동일 ( Dong Il Park ),정재욱 ( Chae Uk Chung ),이충식 ( Choong Sik Lee ),정성수 ( Sung Soo Jung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4

        폐에서 발생한 CCAM은 전형적으로 신생아에서 나타나는드문 선천성 기형이다. 성인에서는 type I CCAM이 다른 호흡기 이상들과 관련하여 극히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만성 기침과 같이 서서히 발생하는 증상들이 있거나 영상의학검사에서 낭종 병터가 있는 경우에는 악성 변형 가능성이있는 선천성 이상 병터일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검사가필요하다. 이러한 병터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전산화 단층촬영과 수술적 생검이 고려되어야 한다. 저자들은 수술적 절제한 CCAM에서 국내 처음으로 악성 변형을 관찰하였기에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CCAM) of the lung is a rare condition with the potential for malignant transformation. Several cases that presented with malignant chang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However, no report about a malignant transformation case in a CCAM in Korea has been published. We report the first patient who had a malignant change in a CCAM. A 32-year-old female underwent a bilobectomy for a cystic lung lesion that was a type 1 CCAM associated with malig-nant transformation. A biopsy specimen from the resected cystic lesion showed foci of adenocarcinoma. (Korean J Med 2014;8 6:500-504)

      • KCI등재후보

        기관지내 전암성 병변 발견을 위한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의 유용성

        이연선 ( Yeun Seun Lee ),정미경 ( Mi Kyong Jeuong ),이유진 ( Yu Jin Lee ),장필순 ( Pill Soon Jang ),이정은 ( Jeung Eun Lee ),박희선 ( Hee Sun Park ),정재욱 ( Chae Uk Chung ),정성수 ( Sung Soo Jung ),김선영 ( Sun Young Kim ),김주옥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1

        목적: 형광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시 기관지 상피의 전암성 병변(dysplasia II-III & severe dysplasia)의 발견율의 향상을 가져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 추가하여 형광기관지 내시경 시행시 전암성 병변의 유병률 및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 단독 검사에 비교하여 추가 검사시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폐암 의증 하에 진단과정 중의 환자, 기존 폐암으로 추적관찰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Pentax; BP 3500, 일본) 및 형광 기관지 내시경(Richard Wolf, 독일) 시행 후 육안 소견상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었던 모든 병변에 대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사람에 대한 전암성 병변의 유병률은 전체 환자 169명 중 11명(6.5%)이었고, 암으로 의심하에 진단과정 중의 환자에서는 6.7% (9/134)이었고, WLB상 이상이 있어 추가 AFB를 시행하였던 군에서는 11.8% (2/17)이었지만, 이미 암으로 진단받고 추적관찰 중이던 환자중에서는 한명도 발견할 수 없었다. 조직결과에 따른 WLB+AFB와 WLB의 판정결과를 분석시 전암성 병변의 민감도는 77.8% vs. 22.2% (p=0.04, RR=3.5; 95% CI 0.93-13.24), 특이도 89.2% vs. 56.9% (p<0.01, RR=0.64; 95% CI 0.54-0.75), 양성 예측률은 5.6% vs. 2.8% (p=0.20, RR=2.0; 95% CI 0.43-9.37) 그리고 음성 예측률은 93.7% vs. 87.2% (p=0.06, RR=1.07; 95% CI 0.99-1,17)이었다. 결론: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 형광 기관지 내시경 검사의 추가시 전암성 병변의 발견율을 높일 수는 있으나, 전체적인 전암성 병변의 유병률이 높지 않아 고위험군에 대한 대상 환자의 선별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Autofluorescence bronchoscopy (AFB), when used as an adjunct to conventional white light bronchoscopy (WLB) improves the bronchoscopist`s ability to localized small intraepithelial lesions. Curr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prevalence of preinvasive intraepithelial lesions (dysplasia II-III & CIS) and efficacy of additional AFB system to WLB in comparison with WLB alone. Methods: In patients with suspicion of lung cancer or follow-up ones with known lung cancer, WLB (Pentax; BP 3500, Japan) and AFB (Richard Wolf, Germany) were done and all subjects with endoscopic abnormalities underwent biopsie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5. Results: 169 patients (134 suspected to have lung cancer radiologically, 18 with known lung cancer, and 17 with initial abnormal WLB visual findings) were enrolled. Overall preinvasive intraepithelial lesions were detected in 6.5% (11 persons). Biopsy based sensitivity of WLB+AFB and WLB alone for detecting preinvasive intraepithelial lesions was 77.8% compared with 22.2% (relative ratio 3.5, 95% CI 0.93-13.24). Corresponding specificity was 56.9% compared with 89.2% (relative ratio 0.64, 95% CI 0.54-0.75). The positive predicitve value was 6% and 3%, and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94% and 87%, respectively, for WLB+AFB and WLB alone. Conclusions: WLB+AFB was superior to WLB alone in detecting preinvasive intraepithelial lesions, but general use of AFB as a screening tool seems to be limited in suspected or known lung cancer group because of low prevalence. It is necessary of further study for precise indication for AFB among the lung cancer risk groups.(Korean J Med 71:67-74, 2006)

      • SCOPUSKCI등재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동시성 원발성 폐암의 진단

        권선중 ( Sun Jung Kwon ),이연선 ( Yun Seun Lee ),정미경 ( Mi Kyong Joung ),이유진 ( Yu Jin Lee ),장필순 ( Pil Soon Jang ),이정은 ( Jeung Eyun Lee ),정재욱 ( Chae Uk Chung ),박희선 ( Hee Sun Park ),정성수 ( Sung Soo Jung ),김선영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0 No.6

        연구 배경: 새로이 폐암으로 진단되는 환자에 대하여 기존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 더하여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 시행 시, 2차성 동시성 원발성 폐암 및 전암성 병변의 발견율 향상의 정도를 알아 보고자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에서 폐암으로 진단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 시행 후 날짜를 달리하여 형광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여, 원발성 병변과는 해부학적으로 다른 부위에 내시경 소견상 이상이 있는 경우 모두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새로이 폐암으로 진단되는 99명에 대하여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 및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이 시행되었고, 이들 중 46명의 환자에 대하여 84곳의 조직검사가 시행되었다. 이차성 암성 병변의 경우 6명의 환자에서 확인이 가능하였고, 이중 동시성 폐암으로 판단한 환자는 4명(4.0%)으로 모두 절제 불가능한 1차성 병변을 가지고 있는 환자이었고, 전이성 폐암으로 판단한 환자는 2명(2.0%)이었으며, 이 중 한명은 IIIB병기에서 IV병기로 병기상승을 가져왔다. 전암성 병변인 중증 이형성증은 초기 절제 가능한 비소세 폐암 환자 중 2명,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 환자 중 1명, 1명의 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발견 되었다(4/99, 4.0%).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 시행 전과 후의 발견율의 차이는, 이차성 암성 병변의 경우 3명(3%)에서 6명(6%)으로, 동시성 폐암만 살펴 보았을 경우 2명(2.0%)에서 4명(4.0%)으로 향상되었고, 중증 이형성증은 모두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 시행 후에만 발견되었다. 이러한 이차성 암성 병변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었는데, 이는 대부분이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한 진행된 1차성 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었다. 결론: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은 2차성 초기 암성내지 전암성 병변의 발견율 향상에는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 단독 검사보다 우수하나, 전체 폐암환자에서 진단 시 치료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Objective: Patients with lung cancer have a relative high risk of developing secondary primary lung cancers. This study examined the additional value of autofluorescence bronchoscopy (AFB) for diagnosing synchronous lung cancers and premalignant lesions. Methods: Patients diagnosed with lung cancer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5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underwent a lung cancer evaluation, which included white light bronchoscopy (WLB), followed by AFB. In addition to the primary lesions, any abnormal or suspicious lesions detected during WLB and AFB were biopsied. Results: Seventy-six patients ha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nd 23 had small cell lung cancer (SCLC). In addition to the primary lesions, 84 endobronchial biopsies were performed in 46 patients. Five definite synchronous cancerous lesions were detected in three patients with initial unresectable NSCLC and in one with SCLC. The secondary malignant lesions found in two patients were considered metastatic because of the presence of mediastinal nodes or systemic involvement. One patient with an unresectable NSCLC, two with a resectable NSCLC, and one with SCLC had severe dysplasia. The detection rate for cancerous lesions by the clinician was 6.0% (6/99) including AFB compared with 3.0% (3/99) with WLB alone. The prevalence of definite synchronized cancer was 4.0% (4/99) after using AFB compared with 2.0% (2/99) before, and the staging-up effect was 1.0% (1/99) after AFB. Since the majority of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advanced disease, the subjects with newly detected cancerous lesions did not have their treatment plans altered, except for one patient with a stage-up IV NSCLC who did not undergo radiotherapy. Conclusions: Additional AFB is effective in detecting early secondary cancerous lesions and is a more precise tool in the staging workup of patients with primary lung cancer than with WLB alone. (Tuberc Respir Dis 2006; 60: 645-65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