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백석 시의 생태문학적 가치 연구

        정은아(Chung, Eun-Ah)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논총 Vol.44 No.-

        현대 인류는 생태계 파괴로 인한 위기감과 인간 소외로 인한 고독감을 지니고 있다. 인류가 그것을 극복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피적 방책보다는 심층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백석의 시에는 유기적 전일성(全一性)의 충만함이 녹아있는 공동체 삶을 환기하는 요소가 다 각도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백석 시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가족이나 친족, 지역 공동체 등의 작은 공동체적 삶이 즐겁고 풍요롭다는 점 등을 환기하며 생태적 인식을 일깨우는 부류이다. 둘째, 인간과 비인간, 생물과 비생물까지 포괄하는 확장적 공동체의 삶이 조화롭고 평등하다는 점 등을 환기하며 생태적 인식을 일깨우는 부류이다. 이들이 함축하고 있는 존재의 다원성에 의해 형성된 전일감은 진솔한 생태의식이다. 이러한 백석의 시를 읽고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인간의 생태적 인식은 진솔하게 자극될 수 있으며, 생태계의 위기 극복이나 인간의 소외를 구원할 저변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Comtemporary human beings have a crisis of ecological destruction and a loneliness of human aliena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expand deep ecological awareness rather than surface improvement. Bak-Suk’s poem has various communal imaginations to evoke deep ecological awareness. This study, Bak-Suk’s poem categorized the community life onto two categories. Firstly, small community life such as family, relatives, and local communities is pleasant and rich, and awakens deep ecological consciousness. Secondly, the life of the expanding community, beyond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tween living and non -living, is reminiscent of harmony and equality and awakens deep ecological consciousness. So, Bak-Suk’s poem has a value of ecological literature to overcome a crisis of ecological destruction and a loneliness of human alienation. As a result, Bak-Suk’s poem should be widely read by comtemporary human beings as an ecological literature.

      • KCI등재

        ‘인상 깊은 자기소개서’ 작성법 연구 -공통교양 대학 글쓰기에서의 구체적 과정 제시를 중심으로-

        정은아 ( Chung¸ Eun-ah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본고의 목적은 인상 깊은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되 그 방법에 있어서 구체적 단계와 세부적 활동 배치를 통해 학생들이 느끼는 글쓰기의 막막함을 최소화하고 몰입하도록 하는 데 있다. 자기소개서는 심사관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다면 힘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인상적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인생의 직·간접 체험 탐색하기’, ‘주제(혹은 소재) 선정하기’, ‘얼개 작성하기’ 활동을, 작성하기 단계에서는 ‘초고 작성하기’, ‘초고 조율하기’, ‘사례 글분석 후 2차 조율하기’ 활동을, 작성을 마무리하는 단계는 ‘피드백 주고받기’, ‘3차 조율하여 완성하기’ 활동을 배치하였다. 해석학자 딜타이가 ‘체험’이 바로 그 사람을 이해하도록 하는 가장 완벽한 자료라고 한 것처럼, 학생들은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고 떠올린 직·간접 체험을 주제에 맞춰 선택하고 배치하여 자신의 내면이나 세계관을 드러내도록 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이때 주제 선정에서 다른 사람과 차별성 없는 소재나 주제라도 고유의 내면이나 세계관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을 짚어 주제 선정의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초고 조율하기’에서는 ‘표현 대상, 사건, 의도 등 구체화하기’, ‘당시 감정 활성화하기’, ‘스토리 덩어리 구분하기’, ‘소재, 체험 등의 의미화하기’ 등 4가지 조율점을 제시하여 자기소개서가 심사관의 공감이나 동일시를 이끌어내 ‘심리적 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1차 조율 후 사례 글 논평을 통한 2차 조율, 학생 본인의 글에 대한 피드백 등의 논평을 통한 3차 조율에 이르는 n차 조율이 지속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활동을 제시하고 완성된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n차 조율의 방식은 그때그때의 개선 사항을 짚어주고는 효력을 상실하고 마는 근시안적인 것이 아닌 주체적인 사고와 표현의 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궁극적 교수학습법이다. 본고의 단계별 활동을 자기소개서 작성수업에 적용한다면, 학생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글쓰기 과정을 따라가면서 인상깊은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수 있는 여건을 형성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write an impressive self-introduction letter, but in the method, it is to minimize the clutter and immerse the students in writing through specific steps and detailed arrangement of activities. Self-introduction letter needs to be impressive, as it's hard to gain power if you can't move the examiner's heart. Therefore, in the preparation stage for writing such a self-introduction letter, 'Exploring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life', 'Selecting a topic (or material)', 'Writing an outline' activities, and in the writing stage, 'writing the draft', 'coordinating the first draft', and 'secondary coordination after analyzing case texts' activities, and at the final writing stage, 'exchanging feedback' and '3rd coordination to complete' activities was placed. Analyst Diltai said that ‘experience’ is the most perfect data to help you understand that person. In this way, this paper discusses the need for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lives and to reveal their inner self by selecting and arranging the experiences they remembered according to the theme. At this time, it was made to alleviate the difficulty of selecting a topic by pointing out that even a subject or subject similar to other people can reveal a differentiated inner side. In 'coordinating the draft', four coordination points were suggested: 'Refine the object of expression, events, intentions, etc.', 'Activation of emotions at the time', 'Segmentation of story chunks', and 'Semanticization of material, experience, etc.' This made it possible for the self-introduction letter to elicit empathy or identification with the examiner and form a 'psychological bond'. After the 1st coordination, the nth coordination from the 2nd coordination through case text commentary to the 3rd coordination through feedback on the student's own writing can be continued by presenting specific and step-by-step activities to write a completed self-introduction letter. The nth coordinating method is the ultimate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aims to improve the ability of independent thinking and expression, rather than shortsightedness, which loses its effectiveness after pointing out the improvements from time to time. If these step-by-step activities in this paper are applied to the selfintroduction class, students will be able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write impressive self-introductions while following the writing process with a comfortable mind.

      • KCI등재

        백석 시 교육 방법론 연구

        정은아(Chung, Eun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백석 시의 특성인 수많은 ‘낯선 어휘’가 그에 대한 ‘선지식’이 부족한 고등학교 학습자에게는 시 이해로의 정상적 진입을 방해하는 요소임을 짚고, 그 해소 방법으로서 작품에 대한 적절한 ‘읽기 전 활동’을 논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그 과정은 백석 의 대표적 시 <여우난곬族>을 매개로 이루어졌다. 백석 시에 대하여 실제 학습자가 감상의 난점으로 느끼는 바를 설문을 통해 확인하고, 설문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선지식’ 조성에 적합한 어휘 선정의 준거를 논하였다. 다수의 낯선 어휘로 인한 시 내용의 구체적 이해 불가라는 대부분 학습자의 반응에도 불구하고 시에 대한 흥미를 느낀 학습자군의 ‘알아챔’ 요소를 바탕으로, 모든 학습자들이 적합한 선지식을 형성할수 있는 활동의 방향을 논하였다. 작품 내의 수많은 낯선 어휘 중 시 해석에 유용한‘선지식’ 형성에 ‘적합한’ 어휘를, 그리고 ‘낯설게 하기’의 미학적 효과 또한 살릴 것을 지향하여 ‘소수의’ 어휘를 선정하고, 그 어휘를 활용하여 학습자를 백석 시 감상에 있어서 최적의 여건으로 준비시킬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한 것이다. 이는 일반 학습자군도 알아챔 학습자군과 같은 선지식을 형성하도록 하여 시감상의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스스로의 감상 능력을 작동시킬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confirm that many ‘unfamiliar vocabulary’ which is characteristic of Bak-Suk s poem is a factor that hinders the normal entry of poetry understanding into high school learners who lack the ‘knowledge of poetry’, and suggestion the proper ‘pre - reading activity’. The process is mediated by Bak-Suk s representative poetry, “The family of the village where the fox was born”. The questionnaire confirms what real learners perceive as the difficulty of appreciation about Bak-Suk s poem. Based on the questionnaire, a few criteria for vocabulary selection suitable for composition of the priori knowledge were discussed. Most learners responded that they can not understand the contents of poetry due to many unknown vocabularies. We discusses the direction of activities in which learners can form appropriate priori knowledge based on the learners motivation of learners who are interested in poetry. Among the many strange vocabularies in the works, we selected a few of vocabularies useful for the formation of ‘priori knowledge’ that can be useful for the interpretation of poetry and to bring out unfamiliar aesthetics. And we proposed the activity to prepare the learners as the optimal conditions for appreciation to Bak-Suk by utilizing the vocabulary. This is to create a condition for a general learner group to form the same a priori knowledge as a good learner group and to be able to operate their own appreciate ability with interest.

      • KCI등재

        문학교육과 사고력(Ⅰ)

        정은아(Chung, Eun-ah) 국어교육학회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7

        Research on literary education and thinking skills so far has remained introductory or theoretical. Therefore,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discuss the time when there should be a specific discussion about what kind of text will develop what kind of thinking power.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d on literature for thinking education, ‘defamiliarization’ and ‘observation’ which is the basis of it. I looked into the possibility of thinking education to get away from ideas and conventions by allowing some objects to be seen by themselves. By analyzing the ‘dinggedicht’ of Francis Ponju and O Gyuwon, which are well expressed as ‘defamiliarization’, we discussed that ‘observation’ can directly meet the object and the subject and make it possible to speak and write ‘truth’. A reader who has been trained in the ability to see “the stranger side” of things through the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will accumulate the ability to truly see what the reader is seeing.

      • KCI등재

        문학교육과 사고력(Ⅲ) - 동화 속 ‘외로움’의 형상화와 감정수용력의 확장에 관하여 -

        정은아 ( Chung Eun-ah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9

        본고에서는, 문학교육에서의 사고교육이 각론적 전개로 나아가기 위한 작업의 세 번째로, ‘동화’를 통한 독자의 감정수용력 확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간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으로 지녀야 하는 ‘외로움’이라는 어려운 감정을 수용하는 능력의 확장을 위해, ‘외로움’을 형상화한 다양한 작품을 분석·분류하고, 그에 따른 감상과 인식 과정을 논하였다. 그 분류 기준은 크게 ‘외로움’의 ‘해결’과 ‘미해결’이다. ‘외로움’은 ‘원인 제공자’, ‘당사자의 깨달음’, ‘우연’, ‘승화’ 등에 의해 해결될 수도 있고 혹은 끝내 해결되지 못하고 ‘기다림’, ‘추모’, ‘맞닥뜨리기’ 등으로 다가서야 할 수도 있다. 이렇게 감정의 형상화를 다양하게 이뤄 낸 작품을 통해 어린이 독자는 현실에서 경험할 수 있는 세상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거나 통찰을 얻고, 스스로에 대한 깊은 이해도 아울러 획득하게 되면서 자신의 감정을 잘 다스릴 수 있게 되고 성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감정수용력의 확장이 독자의 사고를 성숙시키는 바를 짚는 것은 문학교육에서의 사고교육의 지평을 하나 더 구체화시킨 것이라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expansion of the reader’s emotional capacity through ‘fairy tales’, as the third part of the work for thinking education in literary education to advance into a concrete development. In order to expand the ability to accommodate the difficult emotion of ‘loneliness’, which is essential for human survival, we discussed the process of classifying, analyzing, appreciating and recognizing various works embodying ‘lonelines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largely ‘solved’ and ‘unsolved’ in ‘loneliness’. ‘Loneliness’ can be solved by ‘cause provider’, ‘the person directly involved’s enlightenment’, ‘accident’, ‘sublimation’, etc. ‘Loneliness’ cannot be resolved in the end, and you may have to approach with ‘waiting’, ‘memorial’, ‘encounter’. Through the works that express emotions in various ways in this way, children’s readers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at they can experience in reality, gain insights, and acquir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It can be thrilling and it can grow. The expansion of emotional capacity through this process can be seen as one more concrete horizon of thinking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As such, concrete suggestions on areas that can develop thinking skills in literary education should continue to be made in educational research.

      • KCI등재

        문학교육과 사고력(Ⅱ) - 소설을 통한 ‘인간에 대한 이해’ 확장을 중심으로 -

        정은아(Chung, Eun-ah) 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0

        지금까지의 ‘문학교육과 사고력’ 연구는 대체로 개론적이거나 원론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떤 문학 텍스트 자료를 통해 어떤 사고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가를 논하여 문학교육과 사고력 연구에 구체성을 부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선행 연구에서는 ‘시’를 자료로 삼은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설’, 그 중에서도 고전인 체홉과 류노스케의 작품을 그 자료로 삼아 ‘인간에 대한 이해’의 ‘편견성’이 ‘보편성’으로 확장되는 점을 살폈다. 구체적으로 그 고찰은, 첫째, ‘규범’과 ‘상황’의 천착을 통한 이해 확장과 둘째, ‘인물’과 ‘나’의 천착을 통한 이해 확장을 토대로 삼아 이루어졌다. 이는 문학교육의 다양한 사고력 성장의 측면 중 학습자가 작품을 읽고 반응하고 글을 쓰는 과정을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로 확장되는 사고력 범주를 두 가지 토대로 살핀 것이다. 이는 곧 문학교육이 지닌 또 하나의 훌륭한 사고교육적 측면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짚은 것이라 할 수 있다. Until now , the study of ‘literacy education and thinking ability’ was generally introductory or theoret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in detail what kind of text can develop the thinking ability. In the previous study, ‘poetry’ was used, and ‘novel’ was used in this study. In this article, we have used the classic novels “I want to sleep” of Chekhov and “Nose” of Ryuunosuke. And the thinking power to improve through the process of reading, responding and writing works is as follows. The bigger direction is the extension from ‘prejudiced’ understanding of humans to ‘universal’ understanding. Specifically, the focus was on expanding understanding through ‘norms’ and ‘situations’ and expanding understanding through ‘character’ and ‘me’. This is another example of a good thinking educational aspect of literary education through concrete examples.

      • KCI등재

        읽기 전 활동 ‘시 창작’을 통한 시 감상 교육

        정은아(Chung Eun ah)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2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사실에 기반하여 대상을 진실하게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은 세상을 바르게 통찰하기에 매우 중요한 능력이다. 한편, 시인은 사실에 기반하되 낯선 시각으로 대상을 관찰하고 형상화한다. 시는 익숙하고 관습적인 대상을 낯설게 인식하고 형상화하여 독자에게 신선한 인식을 일깨운다. 그러한 시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자주 접하는 것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시의 감상을 돕기 위해 본고는 시 감상 전 활동으로 학습자가 ‘시 창작’ 활동을 하도록 제안하였다. 대상에 대한 관찰과 형상화가 훌륭하게 이뤄진 시를 감상하기 위해 해당 대상을 스스로 관찰하고 형상화해 봄으로써 시인의 관찰과 형상화가 얼마나 새롭고 진실하게 완성되고 있는지 강하게 깨닫고 울림 있는 감상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시 창작을 통한 시 감상을 제안하여 시인의 대상 관찰과 형상화 과정의 체험을 강렬하도록 돕고 있을 뿐 아니라, 국어교육(혹은 문학교육)에서 시 창작이 자유롭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지평을 만드는데 일조하게 될 것이다. The ability to truly observe objects based on facts without being bound by custom is a very important ability to gain insight into the world. On the other hand, poets observe and objects based on facts but with an unfamiliar perspective. The poet gives readers a new appreciation of familiar things. This kind of poetry should be accessible and understandable in depth. Therefore, in order to help the impression of this poe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earner should do ‘poetry creation’ activity before ‘poetry reading’. In order to understand “a good poem that observes a subject”, let the student observe the subject and make a poem. This will allow the poet’s observation and formation to realize how new and true it is and gain sympathy. This work suggests poetry appreciation through poetry creation. In addition, it will help to create a horizon in which the creation of poetry can be applied freely and diverse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or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구현 패러다임의 점검과 전망

        정은아(Chung, Eun-ah) 국어교육학회 2017 국어교육연구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paradigm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the expected improvement direction. During the 10 revisions, major changes in the curriculum of recent years are introduction of the grade cluster to improve the irrationality of one year grade system hierarchy and repeated attempt of a quantitative reduction of 20% with the aim of optimizing the amount of learning. Also, textbook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the status of the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divides the way in which the curriculum is implemented in the textbook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the grade cluster. And the fact that the language teaching of Korean education in the past has been evaluated as ‘a view of language tool’, meanwhile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teaching and learning is aiming at ‘whole language’ is examined. Now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to the ‘a view of whole language’. It is time to escape from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achieving one achievement criterion directly in a single unit based on the language tool paradigm. Now, the textbooks should be able to materialize the integration between the areas or between the achievement criteria within the framework of good works. When implemen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s learning objectives, it is necessary to have a flexible attitude according to importance by mean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time and the level of the attention matter.

      • KCI등재

        국어교육에서 ‘읽기 전 활동’의 유용성 개선 연구 * -‘읽기 전 활동’ 제작 시 점검 기준 제시를 중심으로-

        정은아(Chung, Eun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0

        국어교육이 학습자의 능동적 읽기 능력을 도모하는 것은 기본 과제이다. 그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읽기 전 활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읽기 전 활동’ 에 대한 ‘일반’ 연구에 의하면, 그것은 학습자에게 글에 대한 관심과 몰입을 이끌고 읽고자 하는 동기를 돋울 수 있다. 그런데 ‘읽기 전 활동’에 대한 ‘현장’ 연구는 그것이 교육적 유용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냈는데, 그 원인으로는 ‘다양성’과 ‘적절성’의 미비로 판단되었다. 이에 본고는 교과서 제작자 등이 ‘읽기 전 활동’을 제작·배치 시 타 단원과의 연계선 상에서 ‘다양성’과 ‘적절성’에 대한 인지를 높여그 점을 개선할 수 있는 체크표를 제안했다.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을 망라한 체크표를, ‘적절성 점검’을 위해서는 기존의 준거(내용 스키마, 형식 스키 마)에 읽기 작용의 중요한 부분인 스키마의 ‘인출’과 ‘보강’을 추가한 분류 준거 체크표를 제안하였다. 두 가지 체크표를 교과서 제작 지침서나 교사용 지도서 등에 제공하여 좀 더 적절한 ‘읽기 전 활동’을 제작·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읽기 전 활동’의 교육적 유용성을 개선하고 궁극적으로는 학습자가 주체적 읽기 능력을 작동하도록 돕게 될 것이다 Active reading skills in language education is a basic task. Nevertheles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id not accomplish that. ‘Pre-reading activities’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raising that effect. According to the general studies of the ‘pre-reading activity’, learner could get the best reading conditions through it. Therefore, this paper has proposed two checklists in order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e-reading activity’ and work an improvement its usefuln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ield studies on pre-reading activity pointed out the reason it have not been able to demonstrate its usefulness is the lack of ‘diversity’ and ‘adequacy’ of it. So, this paper presents a check table that can cover all types of ‘pre-reading activity’ to obtain the ‘diversity’. And this paper presents new classification criteria table to obtain the ‘adequacy’. The new criteria(‘withdrawal’ type & ‘reinforcement’ type) is based on a crucial part of reading acting(‘withdrawal’ & ‘reinforcement’ of scheme). If two checklists are provided in a textbook production guide or a teacher s guide, ‘diversity’ and ‘adequacy’ of ‘pre-reading activity’ could be promote easily. This means that activity will be used by deep understanding of that. This method would make selecting a more appropriate type of ‘pre-reading activity’. Ultimately,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be conducted in a more desirable direction.

      • KCI등재

        국어교육 제재로서의 생태문학

        정은아(Chung, Eun-Ah) 국어교육학회 2015 국어교육연구 Vol.59 No.-

        Environment education is conducted by reporting environmental disruption and improvement of that. But environmental problems couldn’t be solved by that way. It could do by deep ecology or deep eco-literature. People would get ecological sensibility such as good relationship of human and nature through the eco-literature. 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 education should be conducetd by deep ecology. And we suggest the ‘eco-literature’ that enables to grow ecological sensibility as works in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we suggest two works(The little gatekeeper by Lee tea June, 「The bicycle thief」 by Park wan seo) as eco-literature with review in perspective of ecology such as ‘the whole mind’, ‘internality’, ‘the right relationaship’. After this study, we should consistently excavate and select (deep) eco-literature for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or education of literature). And then we also in vest appropriate analysis of the work. Finally, we may redintegrate a hum an ecological sensibility and accomplish the ultimate education. These attempts will improve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