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의 공감능력과 독거노인의 정서 안정과의 관계 : 죽음에 대한 두려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정영아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7

        국문초록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의 공감능력과 독거노인의 정서 안정과의 관계 -죽음에 대한 두려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정 영 아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상담복지학과 지도교수 황 춘 화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전반적인 실태와 사회적 지원 파악을 바탕으로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의 공감능력과 독거노인의 정서 안정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죽음에 대한 두려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변인을 중심으로 이들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Y, I 시에 위치한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수행기관인 노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 100명과 그들의 서비스를 이용하신 독거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노인들은 독해력, 시력, 인지 기능이 약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반응 왜곡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노인에 의한 자기보고 방식보다 평가자에 의한 직접 질문 방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는 연구 결과(정인과 외, 1997)에 따라 독거노인의 설문을 조사자 기입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17년 2월 27일부터 3월 9일까지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의 공감능력이 독거노인들의 정서 안정에 관계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들 간의 관계에서 공감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독거노인의 정서 안정에 기여하여 노인돌봄기본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요인변수로서의 매개변수를 찾아내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정서 안정을 위하여 독거노인의 정서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해결책이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심리적인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적용하려는 시도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독거노인의 노인돌봄기본서비스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독거노인은 독거노인생활관리서비스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변인에 따른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공감능력을 살펴본 결과,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서 공감이 나이에 따른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즉 독거노인생활관리사는 40대에 비해 50대가 정서 공감 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주요변인에 따른 독거노인의 정서 안정 차이를 살펴본 결과, 먼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성별, 나이, 종교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죽음에 대한 두려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에 따른 독거노인의 정서를 살펴본 결과, 먼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공감능력의 하위변인인 정서 공감 요인만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문제들로 인하여 독거노인들은 더 쉽게 죽음에 대한 두려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의 저하에 빠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특성들을 중요하게 여겨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인 문제가 노인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노년기에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를 경험함으로써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들이 노인들의 자아 완성과, 삶의 만족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린다. 특히 현재 우리 사회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발생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사회적 문제 중 하나가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문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인돌봄기본서비스의 수행기관에서 서비스를 수행하는 독거노인을 보호하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에 대한 공감능력이 독거노인의 정서 안정에 관련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논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반 노인보다 독거노인들이 심리 ‧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정서적으로 불안하고 취약하여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점을 고려할 때, 공적 지지가 부족한 독거노인의 정서 안정을 위해서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과 직무 만족에 대한 처우 향상 등을 통하여 독거노인에게 필요한 공적 서비스를 확대하여 공식적 지지망을 넓혀나가는 것이 필요하여 본 연구의 한계점과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주제어 : 독거노인, 독거노인생활관리사, 공감능력, 정서 안정

      • 새터민 어머니의 양육지식에 대한 탐구

        정영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 사회에 새터민의 수는 점차 늘고 있다. 새터민의 양육에 대한 긍정성을 드러내는 데 양육지식을 매개로 하였다. 양육지식은 아동 전반 발달과 부모의 발달 지원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양육행동을 설명하는 데 중요 예측변인이 된다. 이렇듯 새터민의 어머니들의 경험에서 축적된 양육지식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사회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새터민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고취하고자 하였다. 질적연구 방법으로 자료수집은 Witzel의 문제 중심 인터뷰를, 자료분석에는 Mayring의 모델을 참고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눈덩이 표집을 통해 양육지식, 남한적응기제 모두 높은 점수를 만족하는 어머니들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새터민 어머니들의 양육지식으로는 훈육에 대한 양육지식으로 개인별 성향에 따른 훈육형태가 나타났고, 양육스트레스 해결에 대한 양육지식으로 삶에 대한 위기감을 바탕으로 한 존재에 대한 긍정성이 나타났다. 양육지식 형성과정은 세대 간 전이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남한에 와서 대학의 수업형태로 양육지식을 형성하고, 미디어를 통해 양육지식을 형성하였다. 이에 양육지식 형성과정에서 반응으로는 이론과 현실 차로 실효성 없는 교육을 거부하였고, 사춘기의 접근 차이에 대한 염려는 보였으며, 기존 양육지식과 부합할 때는 긍정적인 수용을 나타냈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arenting knowledge for mother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concept can show us accept positive perspective about them. Method is chosen qualitative research. Participant gathered by snowball sampling. Data gathered to interview by Witzel's method, and material analysis followed Mayring'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odel. The results is parenting knowledge of mothers from North Korea shows us discipline style following from personal tendency, solution of rearing stress facing to sense of crisis for life like resilience. Process of formation for parenting knowledge is intergeneration transmission. They came to South Korea, had a experience to class of development for human in university and to media. Their reaction to these process rejects invalid parenting training because of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concerns about adolescence, and accepts well when correspond to personal tendency.

      • 현대건축의 입구공간 디자인 표현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정영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를 통해 현대건축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경계 표현을 고찰하고 입구공간 디자인 표현 방법을 모색하였다. 현대건축의 입구공간 디자인은 애매모호해진 내•외부의 경계 사이에서 실용적인 개구부 이상으로 형태 미학적인 표현 경향을 보인다. 입구공간은 명확한 형태와 때로는 조각적인 형태를 취함으로써 방문객과 내부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인 초점의 역할을 수행한다. 조각적인 형태의 입구공간은 사용자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도 한다. 입구공간은 단순한 출입을 통제하는 의미를 넘어서는 다차원적인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입구공간은 ‘실(室)’로서 존재하며, 도착하든가 출발할 때 건물 내•외에 걸쳐 통과하게 된다. 그 공간은 공적과 사적, 내부와 외부, 초대와 거절, 교류와 방어, 확신과 유보 등 양극단의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으며, 완만하게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매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입구공간의 기능은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내부와 외부를 연결해주는 통로로 사람들이 드나드는 개구부의 역할을 한다. 둘째 사회적•물리적으로 누구나 출입할 수 없는 통제의 역할을 하며 이는 거주자의 안전성과 관련이 있다. 셋째 입구공간은 거주자의 사회적인 지위나 건물의 용도, 사회적인 구조, 공동체와의 관계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입구공간의 형성은 공간의 경계와 관련이 있다. 공간의 경계는 공간의 한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공간을 한정하려면 공간의 중심을 지시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윤곽으로 에워쌀 필요가 있다. 즉 공간의 중심과 공간을 둘러싸는 벽, 덮는 지붕, 떠받치는 바닥이 강조되고, 이 공간으로 들어서는 입구가 명확해진다. 그 이유는 사람이 사는 공간에서는 중심과 함께 입구가 강조되기 때문이다. 공간의 경계(Boundary of Space)는 어떤 공간의 한계를 의미하며 동시에 서로 다른 두 공간이나 영역 사이에 놓이게 된다. 평면상 혹은 공간상의 선과 면은 그것을 기준으로 하며 안과 밖 이쪽과 저쪽 등과 같은 영역의 분리를 유발하게 한다. 건축은 내부와 외부의 작용이며 벽은 안과 밖을 구획하는 경계선으로 작용한다. 1980년대 접어들면서 기존의 정치, 경제, 문화 구조가 해체되면서 그 동안 위계적이고 획일화 된 중심체제하에서 억압된 다양한 주체들과 요소들이 스스로의 다원적인 정체성을 주창하기 시작하였다. 건축에 있어서는 형태를 극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더 이상 형태를 매개로 연결되는 외부 혹은 과거와의 단절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건축적 관습에서는 내부와 외부는 대립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그 경계가 점차 모호해지기 시작하였다. 현대건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경계의 개념은 내부와 외부의 그 사이의 경계 공간이 되고, 현대 건축가들은 이러한 공간의 표현에 집중하게 된다. 건축은 본질적으로 내부를 만들기 위한 시도이기 때문에 현대 건축의 이러한 개념에서 내•외부 공간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현대건축의 내•외부 경계의 특징은 내-외부공간으로의 확장성, 불확정성, 투명성을 들 수 있다. 첫째 경계의 확장성의 특징은 폐쇄적인 공간과 개방적인 공간의 극적인 연출로 나타난다. 폐쇄감을 느끼게 하는 공간에서의 빛의 도입과 개구부는 안과 밖의 영역 설정으로 나타난다. 개방감은 안과 밖의 구별이 다양한 형태의 과정적 공간과 내부 공간이 공존하면서 내부 공간은 외부 공간이라는 또 다른 보호층을 가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공간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경계의 불확정적인 특징은 모던 건축이 가진 투시도적인 중심을 깨뜨림을 통해 경계를 흐릿하게 만든다. 또한 면들의 중첩을 통해 내•외부공간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하고, 가상의 이미지들을 만들어 냄으로써 내부와 외부의 긴밀한 얽힘을 이루어낸다. 즉 내-외부 공간의 경계에서는 애매모호한 상태가 나타나게 된다. 셋째 경계의 투명성은 오늘날 공간을 형성하는데 구조보다는 공간을 덮는 피막 개념으로서 클래딩(Cladding)을 통해 표현된다. 건축의 내•외부를 구성하는 건축의 재료와 마감처리에서 물질감이 배제됨으로써 내•외라는 개념을 애매한 상태로 만들고 있다. 이상으로 현대건축은 내•외부공간의 경계가 애매모호해지고 흐려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내부와 외부공간의 애매모호한 경계에서 형성이 되는 입구공간은 전체 건물에서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명확한 건축적 형태를 지녀야 한다. 입구공간이 전체 건물에서 지니는 특성으로 전이성(轉移性), 접근성(接近性), 조형성(造形性), 상징성(象徵性)을 들 수 있다. 첫째 입구는 공적인 세계로서의 외부와 별로 공적이 아닌 내부 세계로의 전환을 이루는 전이공간의 역할을 한다. 둘째 내•외부공간으로 이동의 시작은 일반적으로 입구이며 그 건물 전체와의 위치와 관계가 있다. 내•외부공간의 문턱 역할을 하고 있는 입구는 내부와 외부로의 움직임을 관여하기 때문에 길 찾기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입구공간은 조소적인 형태를 통해서 내부와 외부공간을 분리하고 연결한다. 이러한 조소적인 형태는 조각적으로 보이며, 사람의 시선을 끌어당기는 시각적인 초점을 형성한다. 넷째 건축환경은 사람들에 대하여 잠재된 상징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징성은 영역을 구획하는 방식을 통해 나타난다. 전체 건물에서 입구공간은 인식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징적인 표현이 더욱 강조된다. 연구에서 살펴본 네 가지의 입구공간 디자인 표현 유형은 공간 조직적인 관점에서 공간 안의 공간조직에서 형성되는 입구공간, 서로 다른 공간을 연결해줌으로써 형성되는 입구공간, 서로 다른 공간과 상호 맞물림을 통해 형성되는 입구공간, 건물 전면부에 완충공간으로 형성되는 입구공간으로 분류하였다. 이 네 가지의 유형은 입구공간이 전체건물에서 가지는 기능인 조형성(造形性), 상징성(象徵性), 전이성(轉移性), 접근성(接近性)으로 표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현대건축의 입구공간 디자인 표현 유형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안의 공간 조직에서 형성되는 입구공간은 조각적인 형태를 취함으로써 입구로서의 그 이미지를 강하게 부각하고, 공간의 기능적 차이와 내부 공간의 상징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둘러싸고 있는 공간은 재료의 투명성과 개방성의 정도, 문의 형태와 스케일에 따라 외부와 내부의 중요한 공간 사이의 전이공간의 역할을 하며 내부공간으로의 위계적인 동선축을 형성한다. 둘째 입구공간은 성격이 다른 두 공간 사이에서 두 공간의 볼륨에 순응한 형태로 형성된다. 입구공간은 서로 다른 두 공간사이를 시각적, 공간적 연속성 등의 변화, 두 공간사이의 표면이나 질감의 대조, 높이의 변화 등에 의해 상호 연관된 두 공간으로 분리하고 연결한다. 셋째 입구공간은 서로 다른 공간과 상호 맞물림을 통해서 형성된다. 서로 다른 공간과 맞물려 있어 입구공간은 보다 역동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각 공간은 입구공간과 부분적인 공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입구로의 방향성을 지니게 된다. 넷째 입구공간은 가로와 건물 전면부 사이에 완충공간으로 형성된다. 입구공간은 개방성이 클수록 건물 사용자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외부 이용자들은 개방적인 가로환경을 체험할 수 있다. 이 공간의 크기가 클수록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상호 관계 속에서 유력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내부와 외부공간의 완전한 분리가 아닌 내부와 외부로 사람의 시선을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현대건축의 입구공간의 표현은 내•외부공간의 경계가 애매모호해짐에 따라 독립된 실(室)로서 더욱 명확한 건축적 형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전체 건물에서 조형성과 상징성이 강조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입구공간이 조형성과 상징성에 의한 다양한 표현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 연구자는 입구디자인 표현의 유형을 제안함으로써 디자이너들의 실무에도 유용하게 활용되어 질 수 있는 것에 가치를 두고자 한다. Through this research, the Investigate interior space of modern architecture and border expression of outside space, groped for entrance space design expression method. The Entrance space has multi-dimensional symbolism as well as mean of control for the in and out. It exists as the room and pass building as start with reaching. It has personality of public and public, inside and outside, invitation and refusal, interchange and defense, confidence and reservation, and has role of intermediate gradually. It has three meaning as follow; First, it is way connecting indoor and outside and bridge role. Second, it role of the control in social, physical, this is mean a resident's safety. Third, it has symbolic meaning for resident's position, a use of building, social structure. The formation of entrance space has connection of space. It consists of qualification of space. The Limitation of space need to surround in contour because is not enough center of space. Its emphasized balance of space and wall that enclose space, roof, floor and the entry becomes definite. The reason, because entrance with center is emphasized from person's space. The Boundaryof Space means limit of some space and is relieved between at the same time different two spaces or area. The line and surface of space or place occurrence a separation of area, in and out, that and this by standard its. The construction is act of interior and external, and wall is vigilance for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1980, politics, economy, culture structure is taking and advocated the multi-Identity from uniformity thought. Because construction removes form extremely, appeared trend to cut the past and outside to connect form. The construction custom had meaning of confrontation at in and out but It is no been the border gradually in present. The Concept of the border is border space between interior and external, Modern architects converge the expression of space. The construction is attempt to make interior essentially and important about the space for in and out. The characteristic of the inside and outside border of modern architecture has extensity of outside space, indeterminacy sex, transparency. First, the characteristic of extensity of the border has incestuous space and open space. Introduction of light and room in the space feeling closed appeared the area of in and out. The opening subtraction is difference for in and out and be coexist various space and interior space. The Interior space has other protective layer that is outside space.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the border makes indistinct boundary though break perspective drawing center of construction modern. Also, reiteration of side makes indistinct the boundary of in & out, The Image of imagination has strict relation of in and out. So, it is vague in the space of in and out. Third, The transparency of the border is space membrane concept more than space structure and is expressed through cladding. Construction is making concept a vague to the exclusion of material of construction and finish processing. The Modern architecture, the border of indoor·outside space has characteristic to ambiguous. But, The entrance space must have form definite construction to achieve smooth49 function in whole building. The entrance space is first place that visitor arrives in the building. It is independent room to achieve function of building effectively and has partial functions of whole building and organic relation. The entrance space of whole building has former different nature, accessibility, symbolism. First, the entrance acts role of space that accomplish conversion to the interior world not public world. Second, beginning of transfer is related of position with the building whole being to indoor outside space. The Entrance that act as threshold of indoor·outside space acts of important role indoor outside for looking for a way. Third, the entrance space separates and connects indoor and outside though plastic form. It looks carving and form optical focus that pull person's divine poet. Fourth, construction environment has potentiality symbolic meaning about people. This Symbolism appeared the way to compose area. To entrance in whole building, symbolic presentation is more emphasized. The entrance space design of modern architecture looks expression tendency for the aesthetic form over the practical doorway between the border of inside and outside. The entrance space achieves role of optical focus to visitor and interior users adopting definite form and formation form. The form of Entrance space provide symbolic environment to user. This four type examined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for modeling (造形性), symbolism (象徵性), transition (轉移性), accessibility(接近性) in whole building. Result of entrance space design expression type analysis of modern architecture is as following. First, Entrance space in space embosses that image of entrance, express functional difference of space and symbolic heft of interior space. transitionenclosing space about transparency and patency of material, according to door form and scale, act transition space between importantly space of in and out, form the line of flow of interior space. Second, the entrance space is formed form of volume of two spaces between other two spaces. The entrance space connect separate to interconnected two spaces change of visual and time, contrast of surface and quality, change of high between the others space. Third, the entrance space is formed through different space and each others. The entrance space can adopt more dynamic form because in gear with different space. Each space has direction to entrance because share entrance space and partial space. Fourth, entrance space is formed to shock-absorbing space between building front. Entrance space provide a rest space to building users, as openness is big, outside users can experience open surrounding. Also, it’s act role that pull person's point to indoor and outside not perfectly divide in and out. The expression of entrance space of modern can know that is having characteristic of form more definite construction form. Specially, look tendency the formative and symbolism in whole building. This research, the entrance expressed about way to embody various expression method by formative and symbolism. By investigator proposes type of expression, desire to be utilized usefully to designers' business.

      • 미우라 아야코에 관한 고찰 : 특히 빙점과 속 빙점을 중심으로

        정영아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三浦綾子の文学は確然にキリスト教の信仰を母胎としている。また彼女の人生への姿勢や確固な信念などはキリスト教の信仰と一貫される。 本稿では三浦綾子の代表的な作品でありながらデビュー作である『氷点』と『続 氷点』を中心にこの小説の主なるテーマである「罪」と「ゆるし」について分析することでキリスト教の思想が三浦綾子の文学の中でどういうふうに表出されているかを考察してみた。 まず、序論では先行研究を調査、分析する方法を取り、今まで三浦綾子と彼女の作品に対して行われたさまざまな研究の跡を把握してみた。 本論では五つの項目に大きく分けて本格的に三浦綾子の生涯と文学について調べてみた。まず、1章では三浦綾子が敗戦による精神的な苦痛と13年間の闘病生活により虚無を感じ、その上自暴自棄して自殺を計った後の前川正との出会いを通してキリスト教の信仰と接するようになり、また彼の死後には三浦光世と出会い結婚することにより、信仰をもっと深めるようになった経緯について調べてみた。2章と3章ではキリスト教的観点と三浦綾子的観点での「罪」の概念について調べ、『氷点』の登場人物を通して責任転嫁形、自己中心形、驕慢形、そして自分の罪に気づかないまま他人を判断する形などの「罪の類型」に分析してみた。4章と5章では2章と3章で「罪」の概念を二つの観点から考察したように「ゆるし」の概念もそのカテゴリーに一貫して考察してみた。『続 氷点』の作中人物である陽子を中心に登場人物の会話と手紙などを通して「ゆるし」という課題について、人間同士のゆるしの形、他人をゆるせるか、本当の「ゆるし」とは何であるか、「ゆるし」を超え神様から「救われる」ことについてテキストの本文を引用して分析してみた。 このような調査と分析の過程を通じて、三浦綾子の作品で主に扱われている「罪」と「ゆるし」の考察は作家自身の深い過去の生の悔い改めと経験から始まっと考えられる。そのつながりで『氷点』と『続 氷点』ではキリスト教の立場で「罪」と「ゆるし」を描こうとしたことが考えられ、また自分が罪人であることに気づかないまま自己中心的な思考から他人を自分の尺度で判断しようとする「原罪」に訴えていると見られる。このような「原罪」をゆるされる道は自分の「原罪」に気づき、またイエス・キリストが背負った十字架を痛感し神様の「愛」と「ゆるし」に気づくことで自己中心的な人間の姿から抜け、神様の方向に向け選択することが本当の「ゆるし」の道であることが把握できることになった。 本稿では、三浦綾子の個人史と彼女の体表作である『氷点』と『続・氷点』の主な登場人物に限って「罪」と「ゆるし」の概念を分析してみた。日本には三浦綾子以外にもキリスト教の信仰を持つ作家がいるが、彼らの作品では「罪」と「ゆるし」がどのように定義されているかを研究し、彼らの作品を分析することにより日本のキリスト教文学の流れを把握していくことを今後の課題にしたいと思う。 미우라 아야코의 문학은 선행된 연구와 분석을 통해서도 나타나듯이 확연하게 기독교 신앙을 모태로 하고 있다고 말해질 수 있으며, 또한 그녀의 인생에의 자세나 확고한 신념 등은 기독교 신앙과 일관되어진다고 고찰되어진다. 본고에서는 미우라 아야코의 대표적인 작품이면서 데뷔작은 『빙점』과 『속 빙점』을 중심으로 이 소설의 주된 테마인 ‘죄’와 ‘용서’에 대해 연구, 분석을 통해 기독교 사상이 미우라 아야코의 문학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고찰해 보았다. 먼저, 서론에서는 선행연구를 조사,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며, 지금까지 미우라 아야코와 그녀의 작품에 대해 행해지고 있는 여러 가지 연구의 흔적을 파악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크게 5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본격적으로 미우라 아야코의 생애와 문학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먼저 1장에서는 미우라 아야코가 패전에 의해 정신적인 고통과 13년간의 투병생활에 의해 허무감을 느끼고, 거기다 자포자기하여 자살을 시도한 후 마에가와 다다시와의 만남을 통해 기독교 신앙과 접하게 되고, 그의 사후에는 미우라 미쓰요와 만나게 되어 결혼하게 됨으로 인해 신앙이 더욱 깊어진 경위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2장과 3장에서는 기독교적 관점과 미우라 아야코적 관점에서의 ‘죄’의 개념에 대해 조사하여 『빙점』의 등장인물을 통해 책임전가형, 교만형, 그리고 자신의 죄를 깨닫지 못한 채 타인을 판단하는 형 등의 ‘죄의 유형’을 분석해보았다. 4장과 5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죄’의 개념을 두 가지 관점에서 고찰했듯이 ‘용서’의 개념도 그 카테고리에 일관해서 고찰해 보았다. 『속 빙점』의 작중 인물인 요코를 중심으로 등장인물의 대화나 편지 등을 통해 ‘용서’라는 과제에 대해 인간끼리의 용서의 모습, 과연 타인을 용서할 수 있는가, 진정한 ‘용서’란 무엇이며, 인간의 ‘용서’를 넘어 하나님으로부터의 ‘구원’을 받는 것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본문을 인용, 분석해 보았다. 이와 같은 조사와 분석의 과정을 통해서 미우라 아야코의 작품에서 주로 다루고있 ‘죄’와 ‘용서’의 고찰은 작가 자신의 깊은 과거의 삶의 회개와 경험에서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그 연장선에서 『빙점』과 『속 빙점』에서는 기독교의 입장으로 ‘죄’와 ‘용서’를 묘사하고 있다고 생각되며, 또한 자신이 죄인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한 채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타인을 자신의 척도로 판단하려고 하는 ‘원죄’를 호소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은 ‘원죄’를 용서받는 길은 자신의 ‘원죄’를 깨닫고, 예수 그리스도가 진 십자가를 통감하여 하나님의 ‘사랑’과 ‘용서’를 깨닫는 것으로 자기중심적인 인간의 모습으로부터 벗어나 하나님의 뜻을 이해하고 선택함을 통해 진정한 ‘용서’의 길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미우라 아야코의 개인사와 그녀의 대표적인 작품인 『빙점』과 『속 빙점』의 주요 등장인물에만 한정하여 ‘죄’와 ‘용서’의 개념을 분석해 보았다. 일본 문학 중 에는 미우라 아야코 이외에도 기독교적사상을 문학에 결부시키고자 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었는데 과연 이들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죄’와 ‘용서’를 정의내리고 있는지 연구, 분석하여 일본의 기독교 문학의 흐름을 파악해 연구해 나가는 것을 앞으로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중심으로

        정영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아프리카인들의 상상력과 관찰력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서 중요한 예술사적 지위를 갖는 콩고 지역의 전통가면은 해당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담은 조형적 가치를 드러내며 세계의 많은 예술가들에게 차별화된 영감을 안겨주었다. 현대의 패션 디자인 분야 역시도 아프리카 지역의 전통미술에 대한 관심과 응용의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었고, 앞으로도 꾸준하게 재해석이 시도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이미지를 패션 디자인 모티프로 활용하였다. 곡선적 표현, 단순화된 명도 단계별 면의 표현, 볼록하고 오목한 부조적 형태 등의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조형적 특징에 근거하여 2-3도의 색채로 단순화된 응용 모티프를 개발하였다. 또한 조형적 특징 중 부각되는 자연 지향의 재료, 질감과 색채, 형태 표현을 위해 다양한 가죽 소재를 활용한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패션 디자인에 적용하여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이미지에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접목하여 새로운 패션 디자인을 창출함으로써 독특한 소재 표현과 그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패션 디자인의 표현 영역을 확대하는데 있다. 이론적 고찰은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에 관한 자료 분석과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에 관한 자료 분석으로 나뉜다. 아프리카 미술, 특히 콩고의 전통가면을 중심으로 한 예술 문화서적, 선행연구논문, 각종 전자문헌 등을 수집하고 실제 콩고 전통가면의 이미지들을 수집하여 조형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아프리카 전통가면을 응용한 디자인 사례 역시 자료를 수집하여 참고하였다. 한편, 아프리카 전통가면을 평면으로 옮겨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표현기법으로서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의 정의와 종류별 특징을 고찰하고 실제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자료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이미지를 새로운 모티브로 재구성하여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이용한 총 6벌의 의상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선·면·형태, 재질, 색채의 요소로 나누어 살펴본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조형적 특징은 각 요소별 특징을 뚜렷하게 갖는다. 즉 선·면·형태를 중심으로 추출한 조형적 특징은 곡선적 표현, 단순화된 명도 단계별 면의 표현, 볼록하고 오목한 부조적 형태 등으로 압축된다. 재질을 중심으로 추출한 조형적 특징은 자연으로부터 추출된 소재감, 특히 나무와 같은 재료, 흙, 조개와 같은 재료가 가장 눈에 띄어 그 표현 방식에 주목해야 했다. 색채를 중심으로 한 조형적 특징 역시도 자연으로부터 추출된 다양한 색조의 브라운, 블랙, 화이트가 주요 색채로 관찰되었고 이 안에서 2-3도의 배색 관계가 관찰되었다. 둘째,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조형적 특징을 패션 디자인에 응용하기 위해서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이 채택되었는데,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실제 제작 실험을 통해서 당초 의도했던 모티프 표현에 대한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앞서 추출했던 모티프 원형이 갖는 조형적 특징 중 부각되는 자연 지향의 재료 성분, 질감과 색채, 형태 표현을 위하여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실현하는 재료를 천연가죽과 스웨이드, 천연 염색된 실크 등으로 제한하였고, 이를 통해 오랜 역사를 갖는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의 전통과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의미 있게 연결할 수 있었다. 셋째,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통해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조형성을 표현하고자 했던 시도는 전통가면의 조형적 특징을 대표하는 6종의 모티프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실제 제작 과정 중 가면이 갖는 부조적 입체감을 단순화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양한 질감과 색조의 가죽 소재를 활용하되, 원형 모티프가 갖는 입체면의 2-3도 단순화 과정에 근거한 배치가 본 연구의 주제 실현 및 의의를 실제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모티프에 어울리는 의상의 구성 및 실루엣 디자인 역시 전통가면의 조형적 특징에 근거한 재해석 과정을 필요로 했다. 기본적으로는 전통가면이 갖는 기원과 의미를 염두에 두면서도, 원형 모티프의 선·면·형태, 재질, 색채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디자인을 의도하였다. 특히 선·면·형태의 측면에서는 모티프의 형태가 의상 전체 실루엣과 곡선적 유사성으로 조화를 이루는 쪽을 지향하였고, 간혹은 강조의 효과를 누리는 좌우 비대칭적 배치도 계획하였다. 재질과 색채의 측면에서는 대부분 유사성에 근거하여 통일과 조화의 원리 등을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이라고 하는 테마 표현에 있어서 결과적으로는 자연을 원천으로 한 재료의 선택이 두드러졌고, 이를 통해 재질과 색채의 분위기가 결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선택된 모티프 원형의 특성과도 연관되는데, 보다 다양한 스타일의 가면들을 발굴하여 시도한다면 재료와 색채에 있어 또 다른 시도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대표적 일부 자료를 대상으로 실험적 제작을 시도한 것이며, 아프리카 전통가면에 대한 다양한 세부 주제의 발굴 및 표현 기법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준 작업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과정 및 결론을 통해, 아프리카 및 그 외 고유한 지역성을 탐색하는 다양한 주제 접근과 표현 기법 개발, 그리고 문화와 문화, 전통과 현대를 잇는 새로운 시도들을 기대한다. Modern fashion has constantly improved methodologies related to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on techniques, in order to present differentiated aesthetic senses. Through such development process, the reinterpretation of an exotic culture provides a good opportunity to discover new fashion design themes and to develop expression techniques. African primitive art, which has been genuinely keeping its uniqueness, is recognized as a unique inspiration source for the overall art as well as the fashion design field of the Western civilized society since the 19th century. The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ly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among African primitive art so that it could contribute to the discovery of expression techniques as a fashion design motif.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 theoretical research of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line, face, form, material and color showed that each element has distinctive featur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extracted in relation to line, face, and form, can be summarized into a curved expression, simplified expression of brightness level, and convex and concave sculpted shap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discovered mainly in terms of texture. Woody materials, soil, shells,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nature, stood out the most, therefore, these expression techniques received the most attention. In regards to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mainly of colors, it was clear that browns, blacks, and whites were the key colors, collected from the nature, and 2-3 hues of color arrangement relations could be seen. Second, the appliqué patchwork technique has been chosen in order to apply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formative characteristics to fashion design. It was possible to see the chance of an initially intended motif expression, through a theoretical research of the appliqué patchwork technique and practical production experiment. Expecially, in order to express the nature-oriented ingredients of the material, texture, color, and form, which stood out the most amo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otif's original form as described above, the materials utilized to realize the appliqué patchwork technique were limited to genuine leather, suede, and naturally dyed silk.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relate the appliqué patchwork technique with a long history to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in a meaningful way. Third, the attempt to express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formativeness through the appliqué patchwork technique began with 6 types of motives that represent the traditional masks'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process of simplifying the sculpted 3D effect during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was found to be extremely important. Making use of leather with various textures and colors yet arranging based on the 2-3-degree simplification process of a 3D structure from the motif in its original form will be able to practically support the subject realiz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Fourth, the composition and silhouette design of the clothing, that goes well with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motif, also required a process of reinterpreta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mask's formative characteristics. While fundamentally keeping the origin and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al mask in mind, a design that can effectively show the line, face, texture, and color of the motif in its original form has been attempted. Especially, in regards to line, face, and form, it was aimed to harmonize the motif's formation and the overall silhouette of the clothing, with curving similarities. Sometimes, a left-right asymmetrical arrangement was also planned to enjoy the effectiveness of emphasis. In terms of texture and color, the principle of uniformity and harmony was induced, mostly based on similarities. Lastly, in regards to the theme expression called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 the choice of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nature was prominent consequentially. It can be said that the atmosphere of the texture and color has been determined through it. This is also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osen motif's original form, and other attempts in terms of materials and colors should be possible if more of different mask styles are discovered and tried. The study attempted an experimental production of key references of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 It proposed a possibility of the discovery of various detail subjects and the application of a new expression technique. With the process and conclusion of the study, a variety of other approaches to subjects and expression technique developments for investigating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frica or other regions, and ways to connect a culture to another culture and tradition to modernity, will hopefully be attempted.

      • 선원의 식생활 행동에 관한 연구

        정영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9

        선원들의 일반적인 식생활 습관과 승선생활시의 선식과 급식 서비스, 영양사의 필요성, 건강상태를 조사하여 현재의 식생활 행동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선원들의 선식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조사를 거친 설문지와 현지조사로 국내 4개 해운회사와 해기연수원의 협조를 얻어 응답을 얻었으며 총 응답자수는 567명이었다. 이들을 SPSS 6.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1. 선원의 일반사항 연령별로 보면 21-30세와 41-50세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별로 고졸과 대졸이 가장 많았다. 생활 수준은 중위층이 가장 많았으며 불교신자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2. 선원의 식품 섭취 밥이나 면류, 단백질요리만이 섭취비율이 비섭취비율보다 높았으며 섭취비율순으로 보면 밥이나 면류, 단백질요리, 과일, 채소요리, 우유, 해조류순이었다. 모든 연령층에서 해조류와 우유의 섭취율은 매우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건강상태별로 건강한 응답자, 보통인 응답자, 건강이 나쁜 응답자 모두 밥이나 면류의 섭취율이 가장 높았으나 보통인 응답자는 그 비율이 다른 비율에 비해 매우 높았다. 새조류와 우유의 섭취율은 각 집단에서 모두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3. 선원의 식생활 의식 TV, 잡지의 영양에 대한 관심, 식사시 영양의 균형, 규칙적인 식사 시간, 소식, 당분의 섭취감소, 염분의 섭취 감소, 화학조미료의 기피, 동물성지방의 감소, 자극적인 음식의 삼가는 노력하는 비율이 더 높았으나 건강강연회의 참가는 무관심의 비율이 더 높았다. 건강상태별로 건강한 응답자와 보통인 응답자는 규칙적인 식사비율이, 건강이 나쁜 응답자는 소식비율이 가장 높았다. 4. 선원의 식생활 행동 가장 중점을 두는 식사로는 점심, 저녁, 아침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식습관이 불규칙하였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건강에 대한 의식이 증가하여 영양제를 복용하는 비율도 많았다. 연령별로 21-30세는 적당한 식사간격이, 31-40세와 41-50세는 식전 간식을 하거나 저녁을 너무 많이 먹는다가, 51-60세는 균형잡힌 생활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건강상태별로 건강한 응답자와 보통인 응답자는 적당한 식사간격의 비율이, 건강이 나쁜 응답자는 식전 간식을 하거나 저녁을 너무 많이 먹는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5. 선원의 음식에 대한 의식 식사의 정의에서 좋아하는 음식을 먹는 것과 영양의 섭취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먹는 일은 즐겁고 음식을 남기는 것은 아깝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입맛은 까다롭지 않으며 식사량은 거의 다 먹는다는 비율이 많았으며 좋아하는 음식으로는 담백한 음식을 선호하였다. 식습관 문제점은 폭식과 자극적인 식사로 나타났으며 점심시 주로 원하는 음식으로 밥이, 가끔 원하는 음식으로 양식류가 선택되었다. 6. 선원의 식습관 문제점과 그 해결책 가장 높은 비율은 폭식이었으며 식습관에 문제점이 있을 경우 고치려고 노력한다는 비율이 68.8%로 전반적인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보여 주고 있다. 연령별로 21-30세. 31-40세. 41-50세는 폭식이 가장 높았으며 51-60세는 자극적인 식사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7. 선내 음식과 급식 서비스 만족도 선식에 대한 만족비율은 10.2%로 매우 낮았으며 반면 선식이 선내 생활에 끼치는 영향정도는 30-90%의 영향이 75.3%로 매우 높아 선식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설문 결과 나타났다. 선식에서 가장 개선 해야 할 사항으로는 반찬의 맛과 음식의 영양이었으며 연령별로 21-30세와 31-40세는 반찬의 맛을. 41-50세와 51-60세는 음식의 영양을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선택하였으며 급식 서비스의 개선사항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음식위생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8. 선원의 영양사 인식도 영양사에 대한 인식도, 필요성, 영양사에 의한 식단제공을 원하는 비율도 80.0% 이상을 상회하는 결과를 보임으로서 제도적인 개선 역시 필요하였다. Today, the crew's food habits, food service, the necessity of nutritionist, and health condition have been studied. How was formed food behavior and satisfied with boarding food service. This investigation was drawn with a questionaire and an on-the-spot investigation by domestic's four shipping company and Korea Marine Training Institution(KMTI).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ose has been handled by an analysis through SPSS 6.0 for windows. 1) The crew's attainment in schoolarship surpass high school on the whole the standard of living is middle and most of crews are Buddist. 2) The crews are fond of rice and noddles, highly protein food and some fruits, vegetables and milks by turns. 3) Crews have concern of nutritional balance, regular eating time, the intake of sugar and salt, MSG, animal fat reduction by different three groups of health conditions. 4) More than ever an age group, more than the conscious of the health, more than taking the medicine of nutrition and tonic, this type of the crew seems to correct. 5) Therefore, in this paper I wanted to suggest a turning point of the new take off stage related to the necessity of the foodservice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dietitian system. The object of the study is, through the question paper results, mainly to show the nutrition under bad condition and to install the institution of the introduction of dietitian system. Eventually, the results obtained with this paper shows that the quality of the crews foods on board can improve by utilizing the foodservice system.

      • 영어의 동사 - 불변호사 구조 연구

        정영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b-particle construction(=VPC) after clarifying the partiicle's nature and role. VPC can be divided into phrasal verbs, prepositional verbs, and phrasal prepositional verbs. Apart from easily discernible phrasal prepositional verbs, this study attempts to distinguish phrasal verbs from prepositional ones. The particles are combined with either a verb or a noun phrase to comprise a semantic unit. The typical example is as follows: 1. Ed [relied [on the minister]]. 2. Ed [[backed up] the minister]. As the examples above show, the prepositional particle tends to comprise a grammatical unit with the following noun, and the adverbial particle with the preceding verb. Among the syntactic features which distinguish VPC's are passivizability, question transformation, and the separability of particle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phrasal and prepositional verbs is found to be separability. The adverbial particle can split from the object and obligatorily from the pronominal one in phrasal verbs. On the contrary, in prepositional verbs. the prepositional particl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object. The stress is put on the adverb of the former, while it falls on the verb of the latter. Finally, such semantic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as. the close cohesiveness between the verb and the particle, semantic emphasis of the particle, and semantic nature of the particle. And general dissimilarties of the phrasal and prepositional verbs are clarified according to their structural difference as well as syntatic and semantic peculiarities.

      • 청소년동반자의 요인별 직무만족이 전반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정영아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Youth Companion Program as a crisis expert professional services to help young teenagers need partners to help young people directly linked to ongoing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while federate relationships and institutions through linkages and to provide support and welfare services program. This study of a youth companion that affect overall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primary aim is to validat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Overall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s job satisfaction primary social recognition of compensation, supervisor relationship in human relations, working environment, workload and business-safe, professional skills development opportunities Therefore, overall job satisfaction of youth partner relationships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nsation for the care and support, and improvements to working conditions, professional support for the kidneys showed the results possible are met. When family are related ultimately with the young future, and you think about a duty of Youth- companion only, study regarding family has meaning important very, and you will do a job satisfaction.

      • 소비자의 시간지각과 여가소비행동 관계 : 20-40대를 중심으로

        정영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Upon arriving a time when humans can enjoy their leisure owing to developments of science and technologies, reduction in labor hours, and so forth, main interests of today’s consumers in life have been moved to leisure, not to work. Along this trend, people’s interests in leisure have increased more and more, and such changes have brought about necessity for researches on ‘Leisure’ and stimulated researchers to study more about the topic. Today, citizens living in this modern age show a strong tendency to get rid of complex and varied reality, so that such an inner and psychological factor has emerged as the most intensive variable. As a part of efforts to fulfill such necessity, this research paper aimed at investigating relationships between type of consumer perception of time and leisure spending behavior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PPSS 12.OK. As for basic analytical works, frequenc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and to analyze research topics, ANOVA, crosstab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ose research procedures above,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 perception of time and leisure spending behavior were analyzed. Based on such results from analysis, following topics were selected for further discussions. First,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leisure motivation and desires therefor according to development of leisure services market. In this study, researcher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 perception of time and leisure spending behavior. For significant meaning to these research works is to be found in making time be recognized as psychology resource of consumer. Results from researche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leisure spending behavior depending on where consumers had placed the value of their time.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ime percep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in leisure spending behavior. In other words, it would be very efficient to understand leisure spending behavior amid complex leisure environments, if we confirm the type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that exists inside the mind of consumers. And, by understanding leisure spending consumer behavior,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leisure market segmentation. Second,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in order to establish leisure spending environments or to devise leisure education program to fit the environments. Also, in the aspect of corporation, the resulting data and information could be utilized in time of designing leisure products so as to be suit each characteristic. Third, results from analysis revealed that consumer perception of time was closely related to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marital status, monthly individual income, occupation, and schooling, etc. It is thought that leisure spending behavior profile for any individual could be established by carefully reviewing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perception of time and leisure spending behavior. Considering the limits contained in this research relative to consumer perception of time and leisure spending behavior,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it is said that even though time perception is limited only to the extent that an individual feels the time within, however, that it shall be understood having been combined with cultural background where the individual belong to (Graham, 1981;Nixon & West, 1990). In this research, variety of other related variables including cultural variables were not considered, because types of time percep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of consumers were treated intensively excluding cultural backgrounds. It is thought that if other related variables will be included in time perception variables in further research works, it shall be a worthwhile effort. Second, the age of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as limited only to 20s to 40s, so, there are problems when the results are being interpreted in an extensive manner over to other adult age brackets. And, this research on leisure spending behavior was only focused on the aspect of time being consumed for leisure activities and of expenses. It is requested that, in subsequent research works, analysis of time perception of consumer group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in leisure industry, as well as of more variety of consumer groups such as, elderly consumer group, etc. that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though it is an alienated stratum, should be performed. And, it is thought further researches on specific leisure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variables of leisure spending behavior shall be required. Third, in this research, quantitative approach was attempted through questionnaire dealing with the type of time perception. As time perceptions is a cognitive aspect held by individuals within their inner world, it is required that both quantitative approach through questionnaire, and qualitative approach through in-depth interview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shall be carried out. And, it is judged that it should be desirable that those variables that affect formation of time perception of individual be identified through such works, and that relationships between those variables and leisure spending behaviors be analyzed. 현대 소비자들은 과학기술의 발달, 노동시간의 단축 등으로 인간이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시대가 오면서, 사람들의 주된 삶의 관심 자체가 일이 아니라 여가로 옮겨가고 있다. 그러면서, 여가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되고 있으며, 이 같은 변화는 학자들에게 ‘여가’ 연구의 필요성을 자극하고 있다. 오늘날 많은 현대인들은 다양하고 복잡한 현실로부터 벗어나고픈 성향이 강하므로 이러한 내적 심리적 요인이 가장 강한 변인으로 등장하고(곽한병,2003)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서 Cotte(2003)와 Bergadda(1990)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소비자의 시간지각유형과 여가소비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의 여가행동을 이해하고 여가 소비자를 세분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시간지각 유형을 분석하고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소비자의 인구통계변인과 시간지각유형별 여가소비행동특성을 알아본다. 셋째, 여가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의 영향요인을 알아본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증 분석 자료는 경제활동을 하기 때문에 시간에 제약을 받는 반면, 금전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여가소비행동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20~40대(통계청, 2007.3)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7. 4.15~30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최종 분석에는 350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PSS 12.OK를 사용하였다. 기초분석을 위해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AONOVA와 교차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시간지각 유형을 분석하고 특성을 보면, 우선 시간지각유형은 현재, 미래, 과거지향 군집으로 시간지각유형이 분류되었다. 각 유형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보면, 현재지향 군집은 다른 군집에 비해서 평균 연령이 40.16으로 가장 높으며, 미혼이 많으며, 주로 전문직과 사무직에 종사하며, 대학원졸업이상의 고학력과 월 개인 평균이 가장 높은 군집이다. 과거지향 군집은 여성이 많이 소속되어 있는 집단으로 평균연령이 31.36이며, 기혼이 주 구성원이다. 직업은 사무직과 전문직이 많으며, 학력은 대학교졸업이 가장 많이 소속되어 있으며, 소득이 가장 낮은 집단이다. 미래지향적 군집은 미혼과 기혼 집단이 비슷하게 속해 있으며, 사무직과 전문직을 주로 직업으로 가지고 있으며, 서비스직이 가장 많이 속해 있는 군집이다. 그리고 전문대졸이나 대학교졸업을 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득수준은 세 집단 중에 중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여가소비행동 분석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결혼여부, 연령대에 따른 평일, 토요일, 일요일 여가시간과 학력에 따른 평일여가시간, 직업에 따른 일요일 여가시간이었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여가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은 전체적으로 기혼집단이 미혼집단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에서 가장 많이 여가활동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대와 30,40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력, 소득에 따른 여가시간소비는 평일여가시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고졸 집단은 84.78분, 전문대졸 98.67분, 대학교졸 107.11분, 대학원졸 이상 60.00분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졸, 대학교졸 집단과 고졸, 대학원졸 이상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득별로는 200-300만원미만 집단이 112.33분으로 평일에 가장 많은 여가시간을 소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업에 따른 여가시간소비를 보았을 때, 일요일 여가시간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직 336.43분으로 전문직에 종사하는 조사대상자들이 일요일에 가장 많은 여가시간을 보냈다. 그리고 여가활동에 소비하는 비용을 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는 변인으로는 연령, 학력, 소득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여가활동에 소비하는 비용은 20대 19.62만원, 30대 19.24만원, 40대 27.28만원으로 확인되었으며, 40대와 20,30대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학력에 따라서는 고졸집단은 16.49만원, 전문대졸 집단은 19.62만원, 대학교졸 집단은 21.52만원, 대학원졸 이상 집단은 29.43만원으로 대학원졸 이상 집단과 나머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월 평균 개인 소득별로는 300만원 이상 집단이 29.21만원으로 가장 많이 여가활동에 비용을 소비하였으며, 다른 집단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시간지각유형별 시간지각 군집별 여가소비행동을 분석해 본 결과 여가시간 소비는 과거지향 군집과 미래지향 군집에서 전체적으로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여가활동에 지출하는 비용은 과거지향 군집이나 미래지향 군집에 비해 적은 여가시간을 보내는 현재지향 군집에서 높게 나왔다. 셋째, 여가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에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결혼여부, 현재지향성, 미래지향성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5.6%였다. 소비자가 현재지향성이 낮을수록, 미래지향성이 낮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이 여가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에는 월 개인 소득과 결혼여부, 직업변인 중 전문직이 유의한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월 개인 소득이 높을수록 여가활동에 소비하는 비용이 많으며, 기혼일수록 여가비용이 더 많으며, 사무직 종사자에 비하여 전문직 종사자들이 여가활동에 소비하는 비용에 영향을 더 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 변인의 설명력은 22.2%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소비자의 여가소비행동 중 여가시간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개인적인 변인보다는 주관적인 시간개념인 시간지각 성향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간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서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시간에 대한 지각이 여가소비행동에 선행변수가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시간지각과 여가소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논의가 가능하다. 첫째, 여가서비스 시장이 발달함에 따라 여가 동기 유발과 욕구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보다 중요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여가학 분야에서 현재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비자의 시간지각과 여가소비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는 여가 연구에서 소비자의 심리적 자원으로써 시간을 인식시켜 주었으며, 또한 각 개인이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시간 지각을 미래, 현재, 과거 3개의 개념을 가지고 시간 영역을 나누어 살펴본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 시간의 가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서 여가소비행동에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개인의 시간지각이 여가소비행동에 중요한 변수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소비자의 내연에 존재하는 인지적 특성 유형을 확인한다면 복잡한 여가환경 속에서 여가소비행동을 이해하는데 효율적일 것이다. 그리고 여가소비자행동을 이해함으로써 여가 시장 세분화의 근거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 결과를 보면, 현재지향집단의 경우 연령대가 높은 미혼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으며 소득과 학력이 높다. 이들은 여가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은 다른 집단에 비해 적으나 소비하는 비용은 가장 높다. 이 집단은 짧은 여가시간에 소비지향적인 여가활동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이들을 위해서는 짧은 여가시간이지만 자신에게 맞는 여가활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여가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과거지향 집단은 토요일 여가시간을 가장 많이 소비하며, 소득이 가장 낮은 집단이지만, 여가활동에 소비하는 비용은 19.77만원으로 소득의 10%를 넘게 여가활동에 지출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과거지향집단은 소득은 적은 편이나 여가활동에 대해 적극적인 집단으로 생각된다. 이 집단은 특히 기혼집단이 많이 소속되어 있는 집단으로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가족 지향적’ 여가활동을 위한 여가프로그램이나 상품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소득에 비해 여가활동에 지출하는 비용이 높기 때문에, 소득수준에 맞으면서 그들의 여가욕구를 충족 시켜 줄 수 있는 여가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미래지향집단의 경우 기혼, 미혼이 비슷한 비율로 소속되어 있으며, 서비스직이 가장 많이 속해 있다. 평일, 토요일, 일요일 모두 여가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있지만, 여가활동에 지출하는 비용은 가장 낮다. 여가 시간은 충분하지만 여가비용이 낮기 때문에 이들을 위해서는 적은 비용으로도 즐길 수 있는 여가소비문화 조성이 요구된다. 셋째, 소비자의 시간지각과 여가소비행동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여가소비행동 프로파일 설정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급격히 변화해가는 여가환경을 파악하는데 소비자의 프로파일 분석은 필수적이다.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정부는 시간지각 유형에 맞고, 개인별 다양한 여가요구와 수요를 반영하여 개인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업측면에서는 시간지각에 맞는 여가 상품 개발마케팅 전략의 수립이 가능 할 것이다. 소비자의 시간지각과 여가소비행동에 관한 본 연구가 지닌 제한점을 고려하여 앞으로의 후속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시간지각은 개인이 시간을 느끼는 정도이지만 이것은 한 개인이 속해 있는 문화적 배경과 관련되어 이해되어야 한다고 하였다(Graham, 1981;Nixon & West, 1990).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배경을 제외하고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시간지각 유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다양한 관련 변수와 문화적 변수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시간지각 변인과 다른 변인을 포함시켜 연구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되어 진다. 둘째, 연구 대상을 20-40대로 한정 시켜, 본 연구의 결과를 많은 성인 연령에 확대 해석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그리고 여가소비행동을 여가활동에 소비하는 시간, 비용 측면만 보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여가산업 내에서 활발하게 활동 하고 있는 소비자 계층과 소외계층이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노인소비자계층 등 보다 다양한 대상의 시간지각을 분석이 필요하다. 그리고 여가소비행동 변인에 구체적인 여가활동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시간지각 유형을 설문지를 통한 양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시간지각은 개인이 내면에 가지고 있는 인지적 측면이므로 설문지를 통한 양적 접근과 개인별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접근의 병행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개인의 시간지각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밝히고 이들과 여가소비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소득층 중학생의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정영아 동아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격차가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격차가 누적되어 저소득층 중학생이 낮은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이 연구는 저소득층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내 사회적 자본,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이 저소득층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이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초1 패널 7차연도(2016) 조사에 참여한 학생 가운데 저소득층 중학생 179명의 데이터를 활용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은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방법과 Sobel-test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와 그에 따른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적응, 가정 내 사회적 자본(부모자녀 관계, 부모 교육기대 수준, 형제자매 유무, 방과후 보호자 부재일수),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지역사회인식,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교외동아리 참여여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층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인 부모자녀 관계가 통제변인인 성별, 부모의 학력, 거주 지역과 별개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추가로 통제변인과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을 투입한 분석에서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 가운데 지역사회인식과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이 저소득층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이 저소득층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도 저소득층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인 부모자녀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인 지역사회인식과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이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사회적 자본이 직·간접적으로 관련을 맺어 저소득층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부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의 축적 및 확장과 함께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보완을 통해 저소득층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여 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격차를 해소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