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oT 기반 글로벌 스마트 시티 기술 개발 동향

        정승명,이지호,김재호 한국통신학회 2017 정보와 통신 Vol.34 No.9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세계의 주요 도시들은 새로운 디지털 도시 건설과 대 시민 서비스 강화, 복잡한 도시문제 해결 등을 위하여 스마트 시티를 어떻게 추진해 나갈 것인지에 대하여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도시에 해당 전략을 적용해 나가고 있다. 최근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의 발전으로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미래 스마트 시티의 정보통신 인프라로써 사물인터넷 기술을 선택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시스템들의 시스템 (System of Systems)으로 불리며 다양하고 복잡한 인프라와 기술, 서비스가 융합된 거대하고 복잡한 시스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 스마트 시티 서비스도 기존 도시의 개별 응용 서비스 중심에서 서로 다른 응용 도메인의 서비스가 복잡하게 융합되는 매시업 혹은 크로스커팅(cross-cutting) 서비스와 이를 기술적으로 지원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구축된 스마트 시티에 사용된 주요 IoT 플랫폼 기술들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물인터넷 기반 미래 글로벌 스마트시티 구조를 제시하고 관련기술 개발 및 검증을 통하여 글로벌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EU중심의 대규모 실증 사업인 SynchroniCity 프로젝트에 대하여 소개한다.

      • KCI등재

        서남해에서 해상풍력구조물의 건설에 의한 해저지형의 변화예측

        정승명,권경환,이종섭,박일흠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9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1 No.6

        In order to predict the seabed topography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in the west-southern sea of Korea, field observations for tides, tidal currents,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and seabed sediments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ese data could be used for numerical simulation. In numerical experiments, the empirical constants for the suspended sediment flux were determined by the trial and error method. When a concentration distribution factor was 0.1 and a proportional constant was 0.05 in the suspended sediment equilibrium concentration formulae, the calculate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were reasonably similar with the observed ones. Also, it was appropriate for the open boundary conditions of the suspended sediment when the south-east boundary corner was 11.0 times, the south-west was 0.5 times, the westnorth 1.0 times, the north-west was 1.0 times and the north-east was 1.0 times, respectively, using the time series of the observe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In this case, the depth change was smooth and not intermittent around the open boundaries. From these calibrations, the annual water depth change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the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was shown under 1 cm. The reason was that the used numerical model for the large scale grid could not reproduce a local scour phenomenon and they showed almost no significant velocity change over ± 2 cm/s because the jacket structures with small size diameter, about 1 m, were a water-permeable. Therefore, it was natural that there was a slight change on seabed topography in the study area. 서남해에서 해상풍력구조물의 건설에 따른 해저지형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조석, 조류, 부유사 그리고 해 저질 등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들 자료를 수치실험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치실험에서 표사량 산 정은 관련 상수를 시행착오적으로 변화시켜 관측된 부유사농도에 대해 계산치의 오차가 적당할 때에 경험상수들을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어떤 농도분포인자가 0.1 그리고 부유사 평형농도 공식의 비례상수가 0.05일 때, 관 측치와 계산치가 합리적으로 유사하였다. 부유사농도에 관한 개경계조건은 관측된 부유사농도에 대해 남동측 경계점 에서 11.0배, 남서측 경계점에서 0.5배, 서북측 경계점에서 1.0배, 북서측 경계점에서 1.0배 그리고 북동측 경계점에 서 1.0배이었을 때, 개경계와 서로 인접한 계산영역 내의 수심변화 계산결과가 단속적이지 않고 매끄럽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간침식퇴적량은 해상풍력 구조물의 건설전후에 대하여 그 변화가 ± 1 cm 이상 발생하는 해역은 거의 나타 나지 않았는데, 사용된 대격자 수치모형은 세굴과 같은 국지적 현상을 재현할 수 없고,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이 직경 1 m 정도의 자켓타입의 투과식이어서 이들에 의하여 ± 2 cm/s 이상의 유의미한 유속변화역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해저지형변화가 미미한 것은 당연한 결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실조석에 의한 한국 서남해 연안역에서 해수유동의 재현특성

        정승명,박일흠,Jeong, Seung-Myong,Park, Il-Heum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6 No.5

        우리나라 서남해 연안역에서 해수유동을 재현하기 위해 모든 분조를 포함하고 절점변조진폭, 위상보정인자 및 천문인수를 적용한 완전한 형태의 실조석(Real Tide)을 도입하였다. 실조석으로 해수유동을 재현한 결과, 조석의 관측치와 계산치의 상관계수는 1.0으로 진폭 및 위상의 정확도가 매우 우수하였고, U성분 및 V성분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조류는 각각 평균 0.883과 0.936의 높은 상관도를 보여 실조석으로 재현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잔차류의 관측치와 계산치의 차는 평균 0.006 m/s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그 진행방향은 서로 매우 유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계산결과에서 관측치와 계산치 간에 나타난 유속성분 오차는 주로 고파랑이나 폭풍을 비롯한 남풍계열의 강한 바람과 같은 기상적 요인에 의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해수유동 수치모형 실험에서 하나의 변수로 작용하는 기상적 요인을 고려하고 본 연구의 실조석을 재현한다면 계산결과는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a computed tide of a real tide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numerical solutions for tides and tidal flow simulations. The real tide was defined considering the nodal modulation amplitude, phase correction factor, astronomical argument, and tidal harmonic constants of all the constituents.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real tide parameters for the west-south coastal waters of Korea, where the observation data for tides, tidal currents, waves, and winds over two seasons exist. The tidal flow simulation of the real tide was simulated successfu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observed and calculated values was 1.0, which indicated both accurate amplitude and phase. The U- and V-components of the tidal current obtained for the real tide had average valid correlations of 0.83 and 0.936, respectively. The speed error for the residual current was 0.006 m/s on the average, which indicated an in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directional behavior of the residual current was very similar. In addition, the velocity error was attributed to various weather effects, such as high waves and wind storms. Therefore, this model is expected to improve current solutions provided that weathering forces, such as waves and winds, are considered.

      • KCI등재

        oneM2M 표준 IoT 플랫폼 기반 스마트시티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설계 및 구현

        정승명,김성윤,이인송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6

        oneM2M has been adopted to national and global smart city platforms leveraging its benefits, oneM2M platform assures interoperability to devices and services with standard APIs. Existing access control mechanisms in the standard should be extended to easily distribute smart city data. Compared to the as-is standard, this paper proposes a new access control method with minimum human interventions during data distribution between data sellers and buyers. The proposal has been implemented as the new data marketplace APIs to oneM2M platform and used for data marketplace portal interworking. This also has been demonstrated with smart city PoC service. oneM2M은 표준 API를 통해 디바이스 및 서비스 간 상호호환성을 보장하여 국내외 스마트시티 플랫폼 구축에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시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손쉽게 유통하기 위해서는 기존 표준에 있는 접근 제어 기능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기존 oneM2M 표준의 접근 제어 기법과 비교해 데이터 판매자와 구매자 간 데이터 유통 시 사람의 개입이 최소화된 방안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안을 통해 oneM2M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API로 플랫폼에 확장 개발하고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포털과 연동하였다. 또한 스마트시티 시범 서비스를 개발하여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활용 예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지명사십리 해수욕장에서 현장조사에 의한 해빈변화와 퇴적물이동 특성

        정승명,박일흠,Jeong, Seung Myong,Park, Il Heum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7 No.5

        신지명사십리 해수욕장에서 해빈침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3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조석, 조류 및 파랑과 같은 외력과 표층퇴적물에 대한 현장조사가 계절별로 수행되었다. 그리고 이들 외력에 반응하는 해빈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해안선 및 해빈표고가 측량되었고, 과거에 간헐적으로 수행되었던 측량자료도 분석에 활용되었다. 대상해역에서 조류는 해빈변화에 영향을 줄 만큼 충분하지 않았으나, 남측으로 열려있는 이 해역에서 유의파고 1m 이상의 입사파들은 모두 S ~ SE 파향으로 춘하추계에 출현하였으며, 유의파고 2m 이상의 고파랑은 하추계에 태풍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태풍의 영향이 2년 동안 없었던 2018년 7월의 해빈면적은 2019년 3월에 비해 30,138m<sup>2</sup> 증가해 있었고, 이후 2차례의 태풍의 영향을 겪었던 2020년 3월은 해빈면적이 61,210m<sup>2</sup>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18년 7월 이후 2차례의 태풍 내습이 있었던 2019년 3월은 5.4%의 해빈체적이 감소한 상태였고, 이후 2019년 9월까지 다시 2차례의 태풍내습에 의해 해빈체적이 7.3% 감소하였으며, 2020년 3월은 해빈체적이 4.4% 감소로서 추동계동안 다소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GSTA에 의한 퇴적물 이동벡터는 해빈중앙의 소하천으로 부터 토사가 약하게 유입되며, 서측해빈에서 이동경향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으나, 동측해빈에서 육상역의 토사가 바다쪽으로 그리고 동측에서 서측으로 퇴적물이 이동하는 경향이 아주 우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퇴적물 이동경향벡터는 해빈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24° 기울어져 있어 연평균파향의 파랑이 입사할 때 서향의 해빈류가 발달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서측해빈역은 모래가 풍성하지만, 동측해빈역은 표사공급원의 부재로 자갈이 드러나고 곳곳에 사구포락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침식이 심각하였다. 따라서, 이같은 토사이동구조를 가진 동측해빈역에 양빈과 같은 새로운 표사원을 조성하고, 동측해안 끝단역에서 입사파를 저감시키는 것과 같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o evaluate the causes of beach erosion in Sinji-Myeongsasimni Beach, external forces, such as tides, tidal currents, and waves, were observed seasonally from March 2019 to March 2020, and the surface sediments were analyzed for this period. In addition, the shoreline positions and beach elevations were regularly surveyed with a VRS GPS and fixed-wing drone. From these field data, the speed of the tidal currents was noted to be insufficient, but the waves were observed to af ect the deformation of the beach. As the beach is open to the southern direction, waves of heights over 1 m were received in the S-SE direction during the spring, summer, and fall seasons. Large waves with heights over 2 m were observed during typhoons in summer and fall. Because of the absence of typhoons for the previous two years from July 2018, the beach area over datum level (DL) as of July 2018 was greater by 30,138m<sup>2</sup> compared with that of March 2019, and the beach area as of March 2020 decreased by 61,210m<sup>2</sup> compared with that of March 2019 because of four typhoon attacks after July 2018. The beach volume as of March 2019 decreased by 5.4% compared with that of July 2018 owing to two typhoons, and the beach volume as of September 2019 decreased by 7.3% because of two typhoons during the observation year. However, the volume recovered slightly by about 3% during fall and winter, when there were no high waves. According to the sediment transport vectors by GSTA, the sediments were weakly influxed from small stream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each; the movement vectors were not noticeable at the west beach site, but the westward sediment transport under the water and seaward vectors from the foreshore beach were prominently observed at the east beach site. These patterns of westward sediment vectors could be explained by the angle between the annual mean incident wave direction and beach opening direction. This angle was inclined 24° counterclockwise with the west-east direction. Therefore, the westward wave-induced currents developed strongly during the large-wave seasons. Hence, the sand content is high in the west-side beach but the east-side beach has been eroded seriously, where the pebbles are exposed and sand dune has decreased because of the lack of sand sources except for the soiled dunes.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efforts for creating new sediment sources, such as beach nourishment and reducing wave heights via submerged breakwaters, be undertaken for the eastside of the be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