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

        김백운(Kim, Baeck-Oon),이창경(Lee, Chang-Kyung)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9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1 No.5

        본 논문은 매립지에서 과거의 해안선을 산정하는 방법과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해안토지의 미등록 실태는 공유수면 매립 시 복잡한 토지소유권 분쟁을 초래할 수 있다. 과거의 해안선은 지적경계와 달리 해안선 정의에 대한 제도적 미흡과 더불어 해안선 변화의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위치의 해안선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는 해안빈지 및 포락지의 면적 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안정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해안선 조사 방법을 제시하였다. 해안선 변화가 없는 암반해안을 대상으로 매립 이전에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조위에 근거하는 해안선을 산정하였다. 이를 지상 지형 측량 성과와 비교한 결과,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해안선의 정확도는 신뢰할 만한 수준이었다. In this paper, we discussed methods and problems for estimating historical shorelines on a reclaimed land. Since many of coastal lands are unregistered in Korea, reclamation of public waters could cause complicated land ownership dispute. Unlike cadastral boundaries, historical shorelines can be represented by those of various locations due to lack of legal definition of shoreline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shoreline changes, which directly influence on the calculation of coastal and submerged land areas. Through a case study for Anjeong industrial complex, a systematic method of investigating historical shorelines was suggested to resolve the problems. For a rocky coast where shoreline changes are not likely to occur, a shoreline based on tidal datum was retrieved using aerial photographs taken before the construction of reclamation. Compared with ground survey data, the shoreline was accurate, indicating that the digital photogrammetry was reliable.

      • KCI등재

        Analysis of Shoreline Changes from Aerial Photographs at Oregon Inlet Terminal Groin

        Hwang, Kyu-Nam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7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9 No.3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Pea 섬 북단에 위치한 해안선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를 연구/조사하기 위하여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현장관측이 시작되었다. Pea 섬의 북단 끝에 위치한 US 해안 경비대로부터 남단으로 6 mile에 걸친 해안선이 2달에 한번씩 항공 촬영되었다. 촬영된 항공사진은 해안선 위치 자료를 도출하기 위해 디지털처리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해빈상에 보이는 wet-dry line이 해안선 위치 식별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해빈상의 wet-dry line은 정확한 해안선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항공사진을 촬영하는 그 시점에서의 도파고조와 조위의 변화로 인한 오차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초기에 디지털 처리 된 해안선 위치 자료로부터 조석과 도파에 의한 영향을 삭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FRF 잔교 끝에서 관측된 조석자료와 4 km 떨어진 심해에 설치된 파랑 계측기에서 관측된 심해파랑 자료를 사용하여, 항공사진이 촬영된 시점에서의 해빈에서의 도파고와 조위가 평가되었다. Hunt(1957)의 도파고 산정공식이 주어진 심해파랑에 대한 해빈상에서의 도파고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도파와 조석에 따른 오차에 대해 수정된 해안선 위치 자료를 사용하여 현장관측 지역에서의 해안선 이동의 지역적인 차이와 시간에 따른 변화 정도를 조사함으로써 해안선의 공간적 시간적 변위가 분석되었다. 1-mile 평균을 취한 해안선의 6년치 자료 분석 결과는 Pea 섬에서는 여름에는 해안선이 전진하고 겨울에는 후퇴하는 상당히 큰 계절적 변화가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 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수정이 안된 해안선 위치자료 사용시 파악하기 어려운 결과였다. 도파와 조석의 영향을 무시한 항공사진으로 부터의 해안선 위치결정은 공간적 시간적 해안선 변화양상의 해석시 큰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field monitoring program was initiated since October 1989,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horeline position at northern part of Pea Island, North Carolina. Aerial photographs were taken every two months on the shoreline extending from the US Coast Guard Station at the northern end of Pea Island to a point 6 miles to the south. Aerial photographs taken were digitized initially to obtain the shoreline position data. in which a wet-dry line visible on the beach was used to identify the position of shoreline. Since the wet-dry line does not represent the “true" shoreline .position but includes the errors due to the variations of wave run-up heights and tidal elevations at the time the photos taken, it is required to eliminate the tide and wave runup effects from the initially digitized shoreline .position data. Runup heights on the beach and tidal elevations at the time the aerial photographs taken were estimated using tide data collected at the end of the FRF pier and wave data measured from wave-rider gage installed at 4 km offshore, respectively A runup formula by Hunt (1957) was used to compute the run-up heights on the beach from the given deepwater wave conditions. With shoreline position data corrected for .wave runup and tide, both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the shoreline positions for the monitoring shoreline were analyzed by examining local differences in shoreline movement and their time dependent variability. Six years data of one-mile-average shoreline indicated that there was an apparent seasonal variation of shoreline, that is, progradation of shoreline at summer (August) and recession at winter (February) at Pea Island. which was unclear with the uncorrected shoreline position data. Determination of shoreline position from aerial photograph, without regard to the effects of wave runup and tide, can lead to mis-interpretation for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horeline changes.nges.

      • KCI등재

        맹방해빈의 일 년에 걸친 대순환과정 수치해석 2017.4.26부터 2018.4.20까지의 해안선 변화를 중심으로

        조영진,김인호,조용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9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1 No.3

        In this study, we carry out the numerical simulation to trace the yearly shoreline change of Mang-Bang beach, which is suffering from erosion problem. We obtain the basic equation (One Line Model for shoreline)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by assuming that the amount of shoreline retreat or advance is balanced by the net influx of longshore and cross-shore sediment into the unit discretized shoreline segment. In doing so, the energy flux model for the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 is also evoked. For the case of cross sediment transport, the modified Bailard’s model (1981) by Cho and Kim (2019) is utilized. At each time step of the numerical simulation, we adjust a closure depth according to pertinent wave conditions based on the Hallermeier’s analytical model (1978) having its roots on the Shield’s parameter. Numerical results show that from 2017.4.26 to 2017.10.15 during which swells are prevailing, a shoreline advances due to the sustained supply of cross-shore sediment. It is also shown that a shoreline temporarily retreats due to the erosion by the yearly highest waves sequentially occurring from mid-October to the end of October, and is followed by gradual recovery of shoreline as high waves subdue and swells prevail. It is worth mentioning that great yearly circulation of shoreline completes when a shoreline retreats due to the erosion by the higher waves occurring from mid-March to the end of March. The great yearly circulation of shoreline mentioned above can also be found in the measured locations of shoreline on 2017.4.5, 2017.9.7, 2017.11.7, 2018.3.14. However, numerically simulated amount of shoreline retreat or advance is more significant than the physically measured one,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discrepancies become more substantial for the case of RUN II where a closure depth is sustained to be as in the most morphology models like the Genesis (Hanson and Kraus, 1989). 현재 상당한 침식이 진행되고 있는 맹방해빈을 대상으로 년 간 해안선 변화량을 수치모의 하였다. 수치모의 는 이산화된 해안선 단위 격자에 표사 순유입량과 해안선 전진 혹은 퇴각량은 서로 균형을 이룬다는 개념으로부터 유도한 해안선 모형(One Line Model for shore line)에 기초하여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안 표사량의 경우 Energy flux 모형, 횡단 표사량의 경우 Bailard와 Inman(1981) 계열의 수정 모형(Cho and Kim, 2019)을 활용하였다. 수치모의 과정에서 closure depth는 파랑에 종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였으며, closure depth는 Shiled’s parameter에 기반 한 Hallermeier(1978)의 해석모형을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모의결과 너울이 우세한 2017.4.26부터 2017.10.15까지는 횡단 표사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해안선이 전진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또한 10월 중순과 10월 말 사이에 연이어 발생한 년 최대 고파랑 내습에 따른 침식과 이로 인한 해안선의 일시적 퇴각, 이 후 파랑이 잦아들면서 다시 출현하 는 너울에 의한 횡단표사 유입과 이로 인한 해안선 복원, 삼월중순부터 삼월말까지 연이어 발생한 고파랑에 의한 해 안선 퇴각 등 일 년에 걸친 해안선 대순환과정이 상세하게 모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해안선 대순환 과정은 2017년 4월5일, 9월 7일, 11월 7일, 2018년 3월14일에 실측된 해안선 위치에서도 유사하게 관측할 수 있다. 그러나 해안선이 전진 혹은 퇴각되는 양은 실측치에 비해 수치모의에서 크게 관측되며, 이러한 차이는 대부분의 지형 모형(Genesis: Hanson and Kraus, 1989)처럼 closure depth를 h c = 8.09 m로 일정하게 유지한 경우에 더욱 증가하였다.

      • KCI등재

        평형해빈단면이론을 이용한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후퇴율 산정

        강태순(Kang, Tae Soon),조광우(Cho, Kwangwoo),이종섭(Lee, Jong Sup),박원경(Park, Won Kyung)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해수면상승에 따른 연안침식을 평가하는 데 있으며, 미래 해수면상승에 따른 해안후퇴율을 산정하였다. 해안후퇴율은 23개 사빈해안(동해안 12개소, 남해안 5개소, 서해안 6개소)에 대하여 각 해안별 3개의 단면자료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방법은 평형해빈단면이론이며, 우리나라 해안에서의 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5개 해빈단면에서 검토하였다. 미래 해수면상승의 4가지 시나리오는 38 cm, 59 cm, 75 cm 그리고 100 cm가 적용되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해안에 대한 해안후퇴율은 38 cm 해수면상승시 43.7%, 59 cm일 경우 60.3%, 75 cm일 경우 69.2%, 그리고 100 cm일 경우에는 80.1%로 나타났다. 동해안의 해안후퇴율은 38 cm 해수면상승시 29.6%, 59 cm 상승시 45.1%, 75 cm 상승시 56.0%, 그리고 100 cm 상승시 69.9%로 나타나 남해안(51.9%, 67.6%, 77.2%, 87.3%)과 서해안(53.8%, 71.0%, 78.5%, 86.4%)의 해안후퇴율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모든 사빈해안은 해수면상승이 증가함에 따라 취약해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의 평가결과는 미래 기후 시나리오와 마찬가지로 평가모델의 한계, 해빈단면의 시공간적 자료부족 등의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빈해안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통합적인 모니터링과 더불어 해안침식에 대한 과학적 불확실성을 줄이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oastal erosion due to a sea-level rise. The shoreline retreat rate was calculated due to future sea-level rise. Shoreline retreat rates were quantified with the cross-sectional data of 23 sandy coasts (12 sites from east coast, 5 sites from south coast, and 6 sites of west coast) and 3 cross-sectional profiles from each side of the coasts in Korea. The theory of equilibrium beach profile was employ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theory into the coast of Korea and was tested with 15 cross-sectional beach profiles. Four scenarios of future sea level rise such as 38 cm, 59 cm, 75 cm, and 100 cm were adopted to estimate the shoreline retreat rates. Overall shoreline retreat rates for the coasts in Korea were predicted as 43.7% for 38 cm, 60.3% for 59 cm, 69.2% for 75 cm, and 80.1% for 100 cm sea level rises, respectively. Retreat rates in the east coast (29.6% for 38 cm, 45.1% for 59 cm, 56.0% for 75 cm, and 69.9% for 100 cm) showed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south coast (51.9%, 67.6%, 77.2%, 87.3%) and the west coast (53.8%, 71.0%, 78.5%, 86.4%). However, all sandy coasts in Korea were assessed to be vulnerable with increasing sea-level rise. There are uncertainties in the assessment of this study, which include the limitation of the assessment model and the lack of the spatio-temporal data of the beach profile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spend integrated efforts to respond coastal erosion including comprehensive observations(monitoring)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understanding on the field.

      • KCI등재

        안면도의 면적 변화와 연안침식지역 해안선의 속성 분포

        김백운(Kim, Baeck-Oo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0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2 No.3

        1910년대에 제작된 지형도와 2003년에 구축된 해안선 조사측량 DB를 비교하여 안면도의 해안선 길이 및 면적 변화와 해안선의 속성 분포를 산정하였다. 안면도의 해안선은 수많은 간척사업으로 단순화되어 58%정도 감소하였으나, 면적은 36%정도 증가하였다. 2003년에 자갈 해안선의 분포가 가장 우세하였다. 방조제 해안선의 길이도 전체 해안선의 33%에 달하였다. 자갈 해안선은 안면도 동측 해안에, 모래 해안선은 안면도 서측 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안선 속성을 연안침식지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과거의 해안선이 요구되는 바, 1910년대에 제작된 지형도는 이러한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Changes in coastline length and land area as well as coastline attribute distribution in Anmyondo were quantified by comparing topographic map produced in 1910's with coastline survey database compiled in 2003. Numerous reclamation has simplified complicated coastline, which resulted in reducing coastline length by 58% but increasing land area by 36%. In 2003, gravel coastline was mostly dominated. Coastline of tidal barrier also reached up to 33% of overall coastline. Gravel coastline occurred dominantly at the eastern side of Anmyondo, whereas sand coastline at the western side. An application of coastline attribute to coastal erosion zone required accurate coastline data, but it was conceived that the topographic map produced in 1910's was not useful for this purpose.

      • KCI등재

        경남해안지역 연약점토의 토질특성과 압축지수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장정욱,최성민,박춘식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3 No.4

        본 연구는 경남해안지역 연약점토의 토질특성과 압축지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김해지역 82개소, 진해지역 18개소, 거제지역 27개소의 불교란 상태의 시료를 채취하여 물성실험 및 역학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남해안지역 연약점토의 압축지수는 Terzaghi & Peck이 제안한 경험식을 적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경남 해안지역 연약점토의 압축지수는 자연함수비, 액성한계, 초기간극비와 상관성이 있었으며, 이들 중 압축지수는 초 기간극비와 상관성이 가장 컸다. (1) 경남해안지역 연약점토의 압축지수는 C<sub>c</sub>=0.74(e_o-0.7로 나타낼 수 있다. (2) 경남해안지역 연약점토의 압축지수와 팽창지수와의 관계는 C_s=(1/8-1/15)C<sub>c</sub>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the compression index of the soft clay in Gyungnam coastal region. Tests o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oil have been carried out under the undisturbed condition at 82 Gimhae, 18 Jinhae and 27 Geojespecimens. The result showed that Terzaghi & Peck's empirical equation of the compression index were not applicable. The compression index of soft clay in Gyungnam coastal region was correlated with the water contents, the liquid limit and the initial void ratio. Among these, the initial void ratio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compression index of soft clay in Gyungnam coastal region and the relationship is shown in the following. (1) The compression index of soft clay in Gyungnam coastal region is represented as follows: C<sub>c</sub>=0.74(e_o-0.7 (2)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on index and the swelling index in Gyungnam coastal region is represented as follows: C_s=(1/8-1/15)C<sub>c</sub>.

      • KCI등재

        해안침식 환경평가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조광우(Cho, Kwang-Woo),맹준호(Maeng, Jun-Ho),신현화(Shin, Hyun-Hwa),주용준(Joo, Yong-Ju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9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1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환경평가제도에서 해안침식 문제를 합리적으로 다루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기존 환경평가서를 대상으로 해안침식 환경평가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기술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안침식 검토가 필요한 개발계획은 전체 검토사업 중 약 20%를 차지하였으며 사업규모가 클수록 그 비율은 증가하였다. 환경평가 대상사업 중 해안침식 검토가 필요한 사업에 대한 재정비와 함께 현재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에 대해서도 항목설정, 영향예측, 및 사후관리 등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황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작성규정 재정비, 관련 가이드라인 개발, 누적영향평가 실시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해안침식 영향평가의 과학적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사후관리가 주요한 과정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해안침식과 관련하여 사후관리 기간의 재검토, 과학적 보상방안 도입 및 사후관리 기관의 설치 등의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연안토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가종합정책의 개발이 필요하며, 전략 환경평가를 통한 이들 정책 및 계획의 합리성을 검토하고 사업환경평가를 통하여 일관성이 유지되는 과정이 구축되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is a preliminary attempt to effectively incorporate the environmental issue of coastal erosion into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process of Korea. We assess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n coastal erosion for the previous development plans and provide potential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The considerable project plans should be screened for the impact of coastal erosion, which occupies about 20% of the total project plans reviewed, and the ratio increased with project scale. In addition to screening process, most process including scoping, baseline study, impact assessment, and follow-up need to be improved. The potential directions of improvement are provided in terms of appropriate guideline development, employment of cumulative impact assessment, follow-up improvement and rearrangement of the preparation regula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Emphasis is given for follow-up process to review post-monitoring period, to employ science compensation, and to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institution. Final suggestion is made for the establishments of comprehensive national plan to manage coastal erosion and streamlined environmental process from strategic to project levels based on the national plan.

      • KCI등재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안선의 잠재적 후퇴거리 산정

        손창배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9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1 No.1

        장기적 해면상승에 대한 해안선 변화 모델의 적용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한국과 일본 연안지역의 장래의 잠재적 해안선 후퇴량을 산정하였다. 모델의 적용성 검토 실험을 통해 해면상승에 의한 해안선의 후퇴는 수위 상승에 의한 정적 후퇴와 파도에 의한 부가적인 후퇴의 합으로 나타낼수 있으며, 고파랑 조건에서는 부가적 후퇴의 영향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검토 대상지역인 한국과 일본 연안의 41개 지역의 과거 약 30년 간의 해수면 장기 변동량을 분석할 결과, 29개 지역이 상승경향을 12개 지역이 하강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평균적으로 1.79mm/year의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구 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의 가속화를 고려하여 각 지역의 미래의 해수면 상승률이 과거 실측치의 2배라고 가정하고 50년 후의 잠재적 해안선 후퇴거리를 계산했다. 그 결과, 현재보다 해안선이 수 m에서 수십 m정도 후퇴하여 상당한 부분이 침수될 것으로 예상된다. Models of beach response due to sea level rise were verified by experiments and potential shoreline retreat around Korea and Japan was predicted. Wave tank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not only static retreat by water level rise but also additional retreat by wave a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otal retreat and additional retreat becomes important on the condition of high waves. The result of long-term analysis of tidal data over past 3 decades shows the tendency toward rise by an average of 1.79 mm/year, which is the result of rise in 29 regions and fall in 12 regions. Based on analyzed rate of long-term sea-level rise, potential shoreline retreats of study area after 50 years were calculated and the result shows serious loss of beach.

      • KCI등재

        해안선 변화로부터 연안표사량의 추정

        정지선(Jung, Ji Sun),이정렬(Lee, Jung Lyul),김인호(Kim, In Ho),권혁민(Kweon, Hyuck Mi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6 No.4

        해안 방재 또는 연안 개발 목적으로 축조되는 해안 및 항만 구조물은 건설된 후 건설 전의 연안 토사 이동의 양상을 변화시켜 해안선 침식은 물론 해안 환경까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후의 해안선 변화 예측을 위하여 필수적인 해안선 또는 해안 단면 자료를 이용하여 연안 표사 이동량을 예측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시하고 하와이 Kailua 해빈의 단면 관측 자료와 강릉 일대 해안선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연안 표사의 이동량 양상을 규명한다. Coastal and harbor structures, which are constructed for the beach protection and coastal zone development, often cause the severe beach erosion problem resulted from changes of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In this study, we present a new methodology to estimate the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s using the measured data of beach profiles or shorelines. The methods is applied for the prediction of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s along Kailua beach, Hawaii and shorelines in the vicinity of Anmok Harbor, Korea.

      • KCI등재

        가상시나리오에 따른 남해안 지진해일 특성 연구

        신범식,김동석,김동환,이상엽,조시범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6 No.2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지진이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동아시아일대의 지각이 긴장상태에 있으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지진 활동에 대한 우려와 불확실성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동해안 지진해일에 대한 대책으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동해안을 대상으로 지진해일 수치모의를 통해 지진해일의 범람 특성 분석 및 침수예상도 작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그러나 남해안의 경우 동해안에 비해 지진해일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남해안의 경우 조차가 1~4 m로 조석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기때문에 조석의 영향이 지진해일 전파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남해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진해일 발생지는 해저의 단층운동이 활발한 유구열도(Ryukyu lsland)와 난카이트러프 단층대이다. 과거 남해안은 지진해일의 직접적인 피해가 없었으나, 지진해일 발생 가능성은 항시 존재하기 때문에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연구가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진해일 가상시나리오에 대한 지진해일 수치모의를 하였다. 아울러 조석과 지진해일의 상호작용으로 연안에서 나타나는 해일 전파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남해안 지진해일 위험성 평가를 통해 남해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해일 대비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Large-scale earthquakes are occurring globally, especially in the South Asian crust, which is experi encing a state of tension in the aftermath of the 2011 East Japan Earthquake. Uncertainty and fear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further seismic activity in the near future have been on the rise in the region.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has previously studied and analyzed the overflow characteristics of a tsunami and the rate of flood forecasting through tsunami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East Sea of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Southern Coast tsunamis compared to the East Coast. On the Southern Coast, the tidal difference is between 1~4 m, and the impact of the tides is hard to ign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tid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n the tsunami. Occurrence regions that may cradle tsunamis that affect the southern coast region are the Ryukyu Island and Nankai Trough, which are active seafloor fault zones. The Southern Coast has not experienced direct damage from tsunamis before, but since the possibility is always presen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prepare precautionary measures in the face of a potential event. Therefore, this study numerically simulated a hypothetical tsunami scenario that could impact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In addition, the tidal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that emerge at the shore due to tide and tsunami interactions will be analyzed. This study will be used to prepare for tsunamis that might occur on the southern coast through tsunami hazard and risk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