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oly(hydroxyalkyl methacrylate) hydrogel의 합성과 Controlled drug release에의 응용

        정숙자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Poly(2-hydroxypropyl-methacrylate) [P(HPMA)]와 poly(hydroxypropyl methacrylate-co-N-vinyl-2-pyrrolidone) [p(HPMA-co-NVP)hydrogel은 HPMA조성과 가교제 농도에 따라서 합성 하였다. 팽윤실험, 열적, 기계적, 굴절율등의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위의 합성한 hydrogel로 부터 5-fluorouracil(5-Fu)의 swelling controlled drug release를 연구했다. P(HPMA)와 p(HPMA-co-NVP) hydrogel의 팽윤도는 가교제와 P(HPMA-Co-NVP) hydrogel 에서 HPMA조성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 하였다. P(HPMA-co-NVP) hydrogel 로부터 5-FU방출량은 HPMA조성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P(HPMA-co-NVP), P(HPMA) hydrogel로 부터 5-FU 방출 속도는 가교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Poly(2-hydroxyprophyl methacrylate [P(HPMA)] and poly(hydroxypropyl methacrylate-co-N-vinyl -2-pyrrolidone) [P(HPMA-co-NVP)] hydrogels were snthesized according to composi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and HPMA composition. The swelling test, thermal, mechanical and refractive properties were performed. Swelling controlled release of 5-fluorouracil(5-FU) from the above hydrogels was investigated. The swelling degree of P(HEMA) and P(HPMA-co-NVP) hydrogels decreased with increasing crosslinking agent and HPMA composition in the P(HPMA-co-NVP)hydrogel. Cumulative 5-FU release from P(HPMA-co-NW)hydrogel decreased with increasing HPMA composition and release rate of 5-FU from P(HEMA) and P(HPMA-co-NVP) hydrogels decreased with increasing crosslinking agent.

      • 모의 양육태도 유형이 유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숙자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 양육자인 모의 양육태도 유형이 유아 자녀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로부터 유아 공격성을 낮추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을 지녔다. 즉, 선행연구로부터 유아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살펴보고 비교함으로써 유아 공격성을 예방하고 낮추는데 도움이 될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나아가 이로부터 유아 공격성을 예방하고 낮추기 위한 사회복지적인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함에 의의를 둔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안양시 소재 어린이집 3곳과 유치원 1곳에서 위탁 중인 자녀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2013년 11월 4일부터 2013년 11월 12일까지 조사를 진행되었다. 최종 분석에는 총 설문지 155부에서 응답이 불확실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3부를 제외하고 유효설문지 152부를 사용하였다. 조사를 통해 측정된 변수들은 오류검토 작업과 coding 작업을 거쳤다. 이후에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의 실태를 살펴보면 모의 양육태도에서 ‘애정적 양육태도’의 평균이 높게 나타나 권위적인 과거의 양육방식보다는 자녀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양육하고자 하는 현대 어머니들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거부적 양육태도’의 평균은 낮게 나타나 ‘애정적 양육태도’의 대조적인 개념이 잘 드러났다. 상반된 개념의 ‘자율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는 비슷한 평균값을 보였다. 이는 구체적인 문항으로 살펴보았을 때 기본적으로 어머니들이 ‘자율적 양육태도’로 자녀를 양육하고 있으나 특정 부분, 자녀의 또래관계와 학습적 부분에서는 ‘통제적인 양육태도’를 고수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유아 공격성 실태에서는 타 공격성 유형보다 ‘언어적 공격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설검증 부분을 살펴보면 모의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유일하게 ‘애정적 양육태도’만이 유아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77, 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 공격성을 감소 및 예방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어머니들을 포함한 주 양육자들이 ‘애정적 양육태도’로 자녀를 양육하도록 체계적인 부모교육과 양질의 양육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형성이 필요하다. 기존에 부모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건강지원센터, 보육정보센터, 드림스타트센터 등에 접근성을 높이도록 노력하며 적절한 양육정보와 교육이 제공되도록 유치원과의 연계도 추진하도록 하겠다. 둘째, 높은 공격성을 지니고 있는 유아들에게 개입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효과적으로 이끌어가는 전문가들의 양성이 필요하다. 내용으로는 공격성 문제 자체를 낮추는 방식과 상승된 공격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또래와의 관계문제를 더불어 다루는 것이 중요하겠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해 자녀를 둘러싼 부모-자녀와의 관계, 자녀의 문제 등을 총괄적으로 파악하면서 프로그램을 진행가능한 유능한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더불어 안정적인 인력풀 제도를 구축함으로서 각 기관들과 연계하여 행정적 효율성도 높이도록 해야겠다. * 핵심어 : 모의 양육태도, 유아 공격성, 모의 직장 The purpose of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types of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 on the aggression in infants and finds the way to relieve the aggression in infants and prevent from its increase. The study, in short, examines the different results by the tye of parenting attitudes on the infants’s aggression and compares them to discover implications. It would be the materials for making policy and developing program for prevention and decrease infants’s aggression. The survey was done from Nov. 4th to Nov. 12th to mothers using kindergartens placed in Anyang. The available 152 cases was analyzed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8.0, statistic program. The primary results are that only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among the parenting attitudes significantly have effects on the aggression in infants. Implication, from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make the policy for providing the systematic parents education and high-quality parenting information. Second, it needs to develop the concrete intervention program for decreasing aggression and training the experts who can effectively manage developed programs.

      • 근·현대 한국 차인의 차문화의식 연구 : 호암·효당·아인을 중심으로

        정숙자 원광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ea has been utilised by mankind for medication, food, and drinks for a long time. Drinking tea was considered as a tao (dao), not merely like consuming drinks. Tea ceremony was treated as a way to develop personality and reach the peak of virtue. As a result, tea culture in which people and tea come together to co-existed with mankind, and widely impacted humanity. Anyone can drink the tea, but there are certain skilled people that have the ability to be mentally in tuned with the tea. The tea culture in Korea has a proud and respectful long histor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ulture have been feat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people and era. Throughout the history, many Koreans from royals, monks, scholars to general population enjoyed tea, and sometimes, were consoled with tea. Therefore, Korean tea includes the spirits of the era as well as cultural view of various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ultural conception on tea of modern and contemporary skilled people with tea, based on the fundamental idea that the human should be the centre of the tea culture. The reason for focusing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skilled people with tea lies in the distinctiveness of the period during which they lived in. From the perspective of tea cultur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sation and liberation were the time where faint Korean tea culture and strong Japanese tea culture collided and contradicted one another. However, during these difficult times, the skilled people with tea, strived to find identity of Korean tea culture, and enlighten national spirituality through it. Tea was first introduced in Silla Dynasty and since then it accompanied the Korean nation, and endured diverse changes and fluctuations. During late Joseon Dynasty (eighteenth century), Dasan showed his affection towards the nation through tea, and Choi discovered Korean tea and led to enlightenment from everyday life, using tea consciousness called “Jungjung”. Modern era had changes and turbulence across the whole society. Korean tea culture was in danger of extinc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sation. This was due to the Japanese forcing their culture, including tea culture, and imprinting their superiority to justify Japanese imperialistic ideology. As a result, some still have tendency to believe traditional Korean tea ceremony is the same as the Japanese tea ceremony. Despite these challenges, Korean tea ceremony, which had faded into the mists of history, re-established as our own culture after the independence. This was achieved with the effort of people who directly faced circumstances of difficult era, and attempted to recover the pride of the nation through tea movement which emphasised making tea a way of life. Among many,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Hoam (Mun, Ilpyeong 1888-1939), Hyodang (Choi, Beomsul, 1904-1979) and A-In (Park, Jonghwan, 1925-2012). In the tea culture, they discovered a way to heal the sprit and mind of people who were experiencing frustration and a sense of loss during Japanese colonisation. Hoam (Mun, Ilpyeong 1888-1939) was a journalist as well as a historian. He intended to raise awareness of superiority of Korean national spirit by emphasising excellent Korean history and “spirit of Joseon”. His remarkable achievement in tea was his work “Chagosa”. Through “Chagosa”, he discovered and succeeded the tea culture as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forming the excellence of Korean tea. Furthermore, he wished to establish identity of Korean tea culture by apprehending the implicit concept of tradition and tea ceremony. He acted as a bridge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of tea in the history of Korean tea culture. By informing history of Korean tea culture, he contributed to raise the national pride. “Chagosa” has a hidden purpose to express Joseon spirit. Hyodang (Choi, Beomsul, 1904-1979) was a skilled person with tea, who developed modern Korean tea culture. He took the lead to popularise tea ceremony’s which can be performed in everyday life by writing “Tea ceremony of Korea”. Tea life at Dasolsa was a place for point of contact between generalisation and national spirit of tea. He endeavoured for cultural succession and training of many leader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tea culture at the time when the tea culture had a weak ground. Hyodang’s view on the tea culture could be summarised as “Dadomumun”, which defines the essence of tea is concord, and insists that tea ceremony is a way of peace. He found the origin of this concord from Wonhyo. His admiration for Wonhyo influenced him to name himself as “Hyodang”. A-In (Park, Jonghwan, 1925-2012) was a pottery artist, an educator aiming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pirit and a tea member expanding formative art and tea ceremony to aesthetic areas. He tried to train outstanding leaders by actualising national and patriotic educ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whole- person education called “Omindado”. A-In promoted personality educ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on the young students based on the spirits of “Ohseungdado” and “Kyongeijungdado”. As a part of this, he was the first person to implement tea ceremony education in schools. A-In recognised tea ceremony education as a component of national education by having independent self-awareness of Korean tea culture. Furthermore, his revival movement led to popular tea ceremony. As above, all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skilled people with tea had extraordinary pride and affection towards the tea culture. They have a common denominator of following historical vocation for national independence during the miserable times of Japanese imperial rul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skilled people with tea attempted to elevate independent and national spirituality through the tea culture education. They also awakened outstanding Korean national character by reinventing the culture from ancient and profound national tradition based on inherent lifestyle of the nation. However, they all had different approaches and attitudes on the views of the tea culture. They accepted Japanese tea ceremony to some extent instead avoiding it, and also aimed to recover authentic Korean tea culture by reinterpreting it. It is considered that they exerted efforts to recreate Korean tea culture from their own perspectives and heightened the pride of Korean people. Korean skilled people with tea strived for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tea culture because they believed that cultural independence is critical for national liberation. 차는 오래전부터 인류에게 약용, 식용, 음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한편 차를 마시는 일은 단순하게 음료를 마시는 일이 아닌 道의 차원으로 여겨지면서 인격을 수련하고 선의 경지에 이르는 또 하나의 길인 茶道로 그 영역을 확장시켜 왔다. 따라서 차와 사람의 만남인 차문화는 인류 전반에 폭넓게 영향을 미치며 존재하여 왔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차문화는 긴 역사를 자랑한다. 차문화의 특징은 사람과 시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우리는 역사를 통하여 왕실과 귀족, 승려와 선비, 그리고 일반 백성 등 다양한 계층들은 자신들의 상황에 맞게 차를 마시고 즐기며 차를 통해 위로를 받으며 살아왔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차는 다양한 문화와 시대정신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차는 하나의 문화이므로 사람이 중심에 있어야 한다. 오늘날 우리 문화의 과제가 민족문화의 수립이라는 사실에 근거하여 근 ‧ 현대를 살아간 차인들의 차문화의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근 ‧ 현대의 차인들에 주목한 이유는 그들이 살다간 시대의 특수성 때문이다. 차문화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일제강점기와 해방의 시기는 우리의 전통 차문화와 일본차문화의 충돌과 모순으로 점철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시련 속에서 한편으로는 우리 자신의 차문화적 정체성을 찾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통하여 민족의식을 일깨우고자 하는 차인들의 노력이 있었다. 우리나라의 차는 신라시대에 도입된 이래 다양한 변화와 굴곡을 견디면서 우리 민족과 함께 해왔다. 18세기에 이르러 茶山(丁若鏞, 1762-1836)은 차를 통해 愛民精神을 발현했고, 草衣(意恂, 1786-1866)는 우리나라 차의 우수성을 찾아내고, ‘中正’이라는 차의 哲學을 통하여 일상에서의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하였다. 근대는 사회 전반에 걸쳐 전환과 격동의 시대였다. 차문화의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미약하게나마 유지해오던 한국 차문화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소멸위기에 처했고, 일제는 일본식 다도 교육을 통해 그들 문화의 우월성을 인식시킴으로써 일본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를 합리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영향으로 일부에서는 일본식다도를 우리의 전통다도라고 여기는 경향이 남아있기도 한다. 이러한 시대상황 속에서도 우리의 차문화를 굳건히 지켜온 여러 차인들이 있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던 차가 광복 이후 다시 우리의 문화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것은 시대와 상황을 직시하고 어려운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차를 통하여 우리 민족의 자존심을 회복하고 긍지를 되살리자는 취지로 차생활운동을 전개한 이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들 중 湖岩(文一平, 1888-1939), 曉堂(崔凡述, 1904-1979), 亞人(朴鐘漢, 1925-2012) 등이 본 연구의 대상이다. 이들은 일제하에서 좌절과 상실감으로 지치고 상처받은 백성들을 일으켜 세우고 영혼과 정신을 치유하는 방편으로 차문화에서 그 길을 찾았다. 호암은 언론인이며 사학자이다. 한국역사의 우수성과 ‘조선심’을 강조하여 우리 민족의식의 우월성을 알리고자 했다. 그의 업적 중에서 차와 관련하여 돋보이는 것은「茶故事」의 저술이다. 그는 이「茶故事」를 통해서 우리의 전통문화인 차문화를 발굴 ‧ 계승하고 한국차의 우수성을 알렸다. 또한 우리 차문화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과 다도라는 개념을 파악하여 한국 차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다. 그의「茶故事」에는 차문화를 통하여 조선심을 드러내려는 보이지 않는 의도를 포함하고 있다. 한국 차문화사 전반을 살펴볼 때 호암은 한국차의 과거와 현대를 이어주는 가교역할을 하며, 우리의 차문화 역사를 알림으로써 민족의 긍지를 높이는 데에 이바지하였다. 효당은 한국의 현대 차문화를 중흥시킨 차인이다. 그는『韓國의 茶道』라는 저술을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도의 대중화를 선도하였다. 다솔사에서의 차생활은 그가 차문화의식을 대중화하는 접점의 장소였다. 차문화의 불모지였던 당시, 한국 전통차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할 많은 지도자를 육성하여 차문화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의 차문화의식은 ‘茶道無門정신’으로 요약된다. 효당은 이를 통하여 차의 본질을 和로 규정하고, 茶道가 평화로 가는 길임을 역설하였다. 효당은 그 和의 연원을 원효에게서 찾았으며, 원효에 심취한 나머지 자신의 이름을 효당이라 자칭할 정도였다. 아인은 민족의식 함양에 노력한 교육자이자 조형의식과 다도를 미학의 세계로 끌어올린 뛰어난 차인이었으며 도예인이었다. 그는 오민교육이라는 전인교육 체계를 창안하여 민족교육, 충혼교육을 실현하여 사회의 우수한 지도자를 양성하는 데에 노력하였다. 아인은 五性茶道 교육과 敬義情 茶道정신을 통해서 자라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서안정 및 인성교육을 실천하였으며, 그 일환으로 우리나라 최초로 학교에서 茶道교육을 실시하였다. 아인은 우리 차문화에 대한 주체적 자각을 통하여 茶道교육을 민족교육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아인은 차문화 부흥운동을 통해 대중적인 茶道를 선도했다. 이상과 같이 근 ‧ 현대 한국의 차인들은 모두 우리의 차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이 남달랐던 인물들이다. 일제강점기라는 참담한 시대를 산 그들은 조국의 독립이라는 역사적 사명의 부름에 외면하지 않았다는 점에 공통점이 있다. 근 ‧ 현대 한국의 차인들은 차문화를 통해서 민족의식을 함양하고 차 교육으로 우리 자주의식을 고양하려고 했다. 그리고 우리 민족에 내재하고 있는 삶에 근거한 유구하고 심원한 민족의 전통에서 문화를 재창조하여 우수한 우리의 민족성을 자각시켰다. 그러나 차문화관에 있어서는 태도와 방법을 달리했다. 그들은 일본의 다도를 피하려 하지 않고 정면으로 돌파하여 그들 나름대로 수용하고 재해석하여 한국인다운 참된 차문화를 회복하려고 했다. 한국인의 시각에서 우리의 차문화를 재창조하여 한민족으로서의 자존감을 세우는 일에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그들은 민족의 독립을 위해서는 문화적인 독립도 중요하여 우리의 차문화를 수립하고 그것을 보급하려고 노력을 하였다.

      • 亞人 朴鐘漢의 茶道思想에 관한 硏究

        정숙자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진주지역의 현대 茶人 亞人朴鐘漢(1925-2012)의 다도사상을 조명한 것이다. 지금까지 박종한의 다도사상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전무하다. 박종한은 한국의 차문화에 대한 주체적 인식을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인성교육에 한 평생을 바친 교육자였다. 1953년에 진주지역에 대아중?고등학교를 설립하고 33년간 교장을 역임하였다. 1970년에는 民性?民族?民本?民生?民福의 사상을 담은 ??五民敎育??을 저술하고 대아중?고등학교에서 이상의 내용을 교육을 통해 실천하였다. 이 보다 앞서 1969년부터 학교에서 다도교육을 실시하면서 오민교육을 함께 실시하기도 하였다. 아울러 그의 다도정신의 원천이 된다고 할 수 있는 南冥曺植(1501-1572)의 ‘義’와 ‘敬’의 정신을 이어받아 이것이 올바른 사학의 건학정신에 심어져야 한다고 보고, 1977년 8월 10일 조식의 475회 생신을 맞아 경남체육관에서 ‘남명제’를 개최하고, 1978년에는 최초로 ??남명집??을 발간하기도 하였다. 1969년 당시 최초로 실시했던 학교에서의 다도교육은 그의 가장 큰 업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박종한은 1970년부터 전통 사발을 재현하기 위해 다완 제작을 시작하기도 했다. 이는 그에게 미래를 내다보는 선구안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당시는 차문화에 대한 인식이 적었으나 앞으로 차인들이 늘어날 것이고, 그렇다면 그들이 올바른 차사발과 차도구를 필요로 할 것임을 예상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박종한은 도예가로서도 잘 알려지게 되었다. 이는 대아고등학교 교장실내에 있는 고려다완 전시실은 물론이고, 오민박물관 등의 업적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리고 그가 만든 찻잔에 남명의 정신인 ‘敬義’라는 글자를 새겨 이를 ‘경의잔’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박종한의 업적을 통해 볼 때, 그가 남긴 한국 현대 차문화 발전에 대한 업적은 마땅히 학문적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부진했던 가장 큰 이유는 한 인물의 생애에 대한 평가는 그의 사후 본격적으로 진행되어왔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그가 2012년에 작고했기 때문에 앞으로 박종한의 차문화관에 관한 연구가 봇물처럼 터져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박종한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이다. 박종한의 교육정신, 조형의식, 民藝를 중심한 민학운동, 다도정신 등 어느 하나 중요치 않은 점이 없다. 박종한은 차를 통해 민족 주체의식을 함양하고 국민정신의 순화와 건강관리, 외화 절약 등을 추구한다고 했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국제사회에 한국의 문화를 선전하고자 했던 인물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 다도를 두고 있었던 것이다. 그의 다도사상은 학생들의 교육에 목표를 두고 있음이 특징이다. 그가 제작한 다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 못했지만, 이 또한 오행사상에 맞춰 색깔을 중시하면서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박종한은 오행사상을 통해 새로운 茶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ea ceremony of modern Tea man A-In Park Jong-Han(亞人朴鐘漢; 1925-2012) in Jinju area. Synthetical study on Tea ceremony of Park Jong-Han is totally nonexisting. Park Jong-Han is the educator who had devoted his life for the educating the youth based on independent recognition of Korean tea culture. He had found Daea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Jinju area in 1953 and had a chair for 33 years as the dean. He had written O-Min-Kyo-Yuk(五民敎育) containing the principle of The nature of the Nation(民性)?Nation(民族)?The fundamental of the Nation(民本)?Livehoods of the Public(民生)?Public Welfare(民福) and practiced in his school through educating his student. He had executed Omin(五民) education together with tea education from 1969. He thought the principle of Righteousness and Honor of Nammyung Chosik(南冥曺植; 1501-1572) which is regarded as the origin of Tea ceremony should be planted to school foundation of private school and held ‘Nammyungje’ at the Gyeongnam gymnasium at 475th birth ceremony of Chosik in Aug 10 1977, and wrote Nammyungjib in 1978. Tea ceremony in the school which was firstly practiced is the most valuable achievement. He tried to make Dawan to realize traditional porcelain bowl from 1970. It means that he had a forecasting ability to see the future. He forecasted that recognition on tea was low at that time but tea people would be increased then they will need right tea bowl and tools. So he was also known as the potter. It could be seen from Korea Dawan museum located in Dean room of Daeah High School and Omin Museum etc. And he also called one of tea cup as 'Gyeongui cup' with inscribing the word of ‘Gyeongui' which is the spirit of Nammyung. Through his achievement, these were regarded as academic subject surely. But such study were not active since most of appraisal of one’ life was after his life. Since he had passed away in 2012, study on tea culture of Park Jong-Han would be very active. Academic study of Park Jong-Han is only starting stage. Any of educational principle, modeling rituals, civil movement centered with Folk arts(民藝), tea ritual is not trivial. Although he said that he sought promoting independent consciousness of people, purification of spirit and public health, and saving foreign exchange through the tea,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rying to market Korean culture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tea ceremony was its measure. His tea ceremony was purposed to the education of the student. I could not comprehensively studied for his tea equipment, but those were also made with giving importance to the color matched with the Five primary substance principle. That is, Park Jong-Han is suggesting new tea method through the Five primary substance principle.

      •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에 근거한 철학상담 연구

        정숙자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Doctoral Dissertation A Study on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John Dewey's Pragmatism Jeong, Sook-Ja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Park, Zoon-Young Abstract Philosophical counseling is the study to solve difficult problems and help us in our daily life. It is to solve the problems of human life through philosophy. Along with curing counselees, philosophical counseling comprehensively handles all the human things such as logic, ethics, value, meanings, etc. However, various philosophical counseling methods were presented due to the varieties of philoso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hilosophical counseling necessary for our contemporaries in a postmodern world, through Dewey's pragmatism philosophy. Deviating from the rational thinking of the traditional world view, Dewey's empirical view of the world that has the intellectual world view, regards humans as the infinite of possibilities, not within certain regulations. Such philosophy by John Dewey makes our thought expand and our life grow.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er studied Dewey's pragmatism philosophical counseling. For this study purpose I understood philosophical counseling first, and then studied the concept, purpose and methodology in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I examined the world view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oroughly. Based on it, I studied Dewey's empirical view of the world and the possibility of Dewey's philosophy in counseling. As the result, I suggested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with the study of Dewey's pragmatism world view, or the world views in continuity and interaction of experience. Furthermore, I suggested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methodologies on the basis of Dewey's pragmatism, dividing into thinking training and reflective thinking. In thinking training, I studied the properties of thought that happen during the proces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with mining the properties of thought process such as thinking training processes, independence of thought, change of thought, continuity of thought, intellectual ability in thought, selectivity in thought, curiosity, hint, arrangement, etc. Thinking training is a training for reflective thinking, not separated from reflective thinking. However, these two things have to be separated in order to apply them into philosophical counseling, which is this researcher's belief, and accordingly I intend to study my thesis in such a point of view. And as the phase of reflective thinking, he proposed six phases such as hint and proposal, intellectual arrangement and problem set-up, initiative ideas and hypotheses, reasoning operations in a limited sense of the term, hypothesis test regarding action, and a vision of the future. In this study, I sequentially brought light to these six phases in priority. The thinking training in pragmatism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 method to know the flow of their thought and to be needed for the expansion of their thought during philosophical counseling with counselees. The reflective thinking as the pragmatism philosophical counseling method is a method to arrange thought intellectually for solving life's problems. I suggested it focusing on the cases at philosophical counseling scenes, and studied the usefulness of each phase. This study contributed to philosophical counseling with suggestions for the methodologies by introducing Dewey's philosophy as philosophical counseling. In conclusion, Dewey's philosophical counseling has opened building the empirical world view in the expansion of a new concept, recognizing human beings as the possibility of growth, the existence of intellectual thought, and the possibility of reflective thinking, which was presented as educational implications. Later, desirable follow-up studies are needed on the basis of Dewey's pragmatism philosophical counseling. Key words: Dewey, pragmatism, philosophical counseling, empirical view of the world, the world view of continuity, the world view of interaction, thinking training, reflective thinking.

      • MBTI 성격검사를 통한 운동선수와 비운동선수의 성격유형 분석

        정숙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한 체육회 각 가맹 단체에 등록하여 4년 이상 운동을 하고 있는 운동선수와 비 운동선수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운동환경이 성격유형과 성격적 특성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밝히고, 아울러 운동선수와 비 운동선수와는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인식과 판단과정에서 나타나는 사람들의 근본적인 선호성을 밝혀 운동선수에겐 운동 종목의 선택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 제공과 운동선수 와 비 운동선수와의 성격 특성적 차이점을 규명하여 갈등관리를 위한 객관적 틀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운동선수와 비 운동선수와의 성격유형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운동 선수와 비 운동선수와는 성격유형의 차이가 있었다. 운동선수는 ESTJ(외향성 사고형)형이 높고, 비 운동선수들은 ISTJ(내향성 감각형)형이 높게 나타났다. 2. 운동선수와 비 운동선수와의 선호지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E-I(외향형, 내향형) 성향은 차이가 있었다. 운동선수는 E(외향형)성향이 높고, 비 운동선수들은 I(내향형)성향이게 높게 나타났다. 3. 운동선수와 비 운동선수와의 선호지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S-N(감각형, 직관형) 성향은 차이가 있었다. 운동선수는 S(감각형)성향이 높고, 비 운동선수는 N(직관형)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4. 운동선수와 비 운동선수와의 선호지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T-F(사고형, 감정형) 성향은 차이가 있었다. 운동선수는 T(사고형)성향이 높고, 비 운동선수는 F(감정형)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운동선수와 비 운동선수와의 선호지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J-P(판단형, 인식형)성향은 차이가 없었다. 6. 운동선수와 비 운동선수와의 학년별 선호지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E-I(외향성, 내향성), S-N(감각형, 직관형), T-F(사고형, 감정형), J-P(판단형,인식형)성향은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shows what kind of relationship sports environment has with personality type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ith registered athletes in various organizations affiliated with Korea's Sports Association who has been playing sports for over 4 years, and non-athletes as the subject of stud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to discover the basic preferences that people show during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judging. This provides basic information that helps athletes in choosing their spor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bjective frame for the management of conflict by closely examining the difference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Based on this study's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1.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of personality types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there were differences of types of personality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Many athletes were ESTJ (Extroversial Thinking Types) types, and many non-athletes were ISTJ (Introversial Sensory Types) types. 2.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of preference indexes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there were differences of E-I dispositions. Many athletes had E (Extrovert) dispositions, and many non-athletes had I (Introvert) dispositions. 3.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of preference indexes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there were differences of S-N (Sensory, Intuitive) dispositions. Many athletes had S (Sensory) dispositions, and many non-athletes had N (Intuitive) dispositions. 4.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of preference indexes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there were differences of T-F (Thinking Type, Feeling Type) dispositions. Many athletes had T (Thinking) dispositions, and many non-athletes had F (Feeling) dispositions. 5.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of preference indexes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J-P (Judging Type, Perceiving Type) dispositions. 6.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of preference indexes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in each school grade,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E-I (Extrovert, Introvert), S-N (Sensory, Intuitive), T-F (Thinking Type, Feeling Type), and J-P (Judging Type, Perceiving Type) dispos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