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IP 주소 할당 기법 연구

        정선화(SunHwa Jung),박석천(SeokCheon Park)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7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7 No.1

        지금까지의 MANET에 대한 연구는 노드들이 이미 구성되어있다는 가정하에 MANET의 특징인 제한된 파워와 통신 범위 그리고 노드의 이동성 등을 고려한 라우팅 프로토콜 연구가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라우팅 프로토콜이 표준화되면서 라우팅을 위한 IP 주소 할당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MANET의 주소 할당 메커니즘들은 대부분 DAD 기법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주소 할당에 따른 지연과 효율적이지 못한 주소 공간 활용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주소 활용도를 높이고 주소 할당에 있어 DCDP를 사용함으로써 주소 중복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IP 주소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 Mobile Ad-Hoc Network에서 IP 주소 회수 알고리즘 설계 및 평가

        정선화(SunHwa Jung),박석천(SeokCheon Park)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7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7 No.1

        최근 지금까지의 MANET의 연구는 노드들이 이미 구성되어있다는 가정하에 MANET의 특징인 제한된 파워와 통신 범위 그리고 노드의 이동성 등을 고려한 라우팅 프로토콜 연구가 중심 이었으나 최근에는 라우팅 프로토콜이 표준화되면서 라우팅을 위한 IP 주소 할당에 관심이 모아져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MANET의 주소 할당 메커니즘들은 대부분 DAD 기법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주소 할당에 따른 지연과 효율적이지 못한 주소 공간 활용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주소를 sequence하게 회수시킴으로써 주소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IP 주소 회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자기점검 중재가 장애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 정확률에 미치는 효과

        윤혜정(Hye Jung Yun),정선화(Sunhwa Jung)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이 연구는 두 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점검 중재를 실시하여 과제 수행 행동과 과제 수행 정확률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국어과제 수행 기술을 습득하였으나 지속적이고 정확한 과제 수행이 필요한 자폐성 장애 학생 한 명과 지적장애 학생 한 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실험은 사설 아동발달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 학생들의 국어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 정확률의 향상을 위해 자기점검 중재가 강화전략과 함께 실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 학생들은 기초선 조건에서 낮은 수준의 과제 수행 행동을 보였으나 중재가 실행되자 국어과제 수행 행동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 학생의 과제 수행 정확률은 기초선 조건에서 매우 낮은 수준으로 관찰되었으나 중재 실행과 함께 과제 수행의 정확률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참여 학생들의 향상된 과제 수행 행동과 과제 수행 정확률은 중재가 제거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강화전략과 함께 사용된 자기점검 중재가 두 명의 연구 참여 학생들의 독립적인 국어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의 정확률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기능기반의 중재가 지적장애 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과제 완성도, 과제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정지혜(JIhye Jeong),정선화( Sunhwa Ju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23 행동분석․지원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기능기반의 중재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과제 완성도 및 과제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수업 시간에 과제 이탈 행동을 보이는 지적장애 학생 두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하였고,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중재를 계획하고, 제공하였다. 중재에 대한 효과는 상황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은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의 순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실험 단계에서 일반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가 제공되자 연구 참여 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과제 완성도 및 과제 정확도가 향상되었고, 중재가 제거된 후에도 중재 효과가 유지되었다. 연구 참여 학생의 보호자와 담임교사는 중재 목표의 중요성, 절차의 적절성, 효과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 평가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unction-based intervention on active task engagement, task completion, and task accuracy. 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exhibit off-task behavior in class participated in the study.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s were conducted, the function-based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to improve the participants’ behaviors,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evaluated using a multiple baseline across settings desig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s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during each experimental con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tive task engagement, task completion, and task accuracy of both participants were increased after providing the intervention and maintained after removing the intervention. The parents of the participants and classroom teachers highly evaluated the social validity in terms of the intervention goals, the appropriateness, and the outcomes of the intervention.

      • KCI등재

        그림 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 훈련이 장애유아의 요구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전혜령 ( Jeon Hye Ryeong ),정선화 ( Jung Sunhw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그림 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 훈련이 장애유아의 요구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자발적 발화가 거의 없고,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유아 세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 유아들에게 PECS 3단계를 교수하였고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 유아들은 기초선 조건에서 그림을 사용한 요구 행동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PECS 훈련을 시작하면서 그림을 사용한 독립적인 요구 행동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중재를 실시하지 않은 통합학급에서 일반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중재가 제거된 후에도 중재 효과가 유지되었다. 또한 PECS 훈련의 부가적인 효과로 참여 유아들의 부적절한 행동이 감소되었고, 중재 제거 후에도 유지되었으며 일반화 환경에서도 부적절한 행동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연구 참여 유아들의 통합학급 교사는 PECS중재의 사회적 타당도에 대해 중재가 유아들에게 적절하였고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PECS) on the independent mand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ee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who have communication difficul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PECS phases I through III B were taught to the children, and the effects of the PECS training were evaluated using a multiple-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three children demonstrated increases in independent mand using pictures.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maintained after th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and generalized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In addition, the inappropriate behavior of the children decreased with the intervention as a collateral effect, and the effect was maintained and generalized as well. The social validity evaluated by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 was appropriate and was effective.

      • KCI등재

        행동적 기술 훈련이 발달장애 성인의 대화 기술에 미치는 효과

        노소현(So Hyun Rho),정선화(Sunhwa Ju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23 행동분석․지원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행동적 기술 훈련이 발달장애 성인의 대화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제한된 의사소통 기술로 인해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장애 성인 두 명과 동료와의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보이는 발달장애 성인 근로자 한 명이 사회적 타당도 평가를 위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대화 기술의 향상을 위해 행동적 기술 훈련을 적용하였고,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기초선, 중재, 유지 조건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각 실험 조건에서 일반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행동적 기술 훈련을 통해 발달장애 성인의 대화 기술이 향상되었고, 중재가 제거된 후에도 습득된 대화 기술이 유지되었으며, 다른 대화 상대와의 대화에서 일반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연구 참여자, 참여자의 부모, 참여자의 업무 담당자의 중재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 평가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규준으로 참여한 동료 근로자의 대화 기술과 중재 효과를 비교한 결과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수행이 관찰되어 중재 효과 면에서 높은 사회적 타당도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ehavioral skills training on conversational skills i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wo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d difficulties interacting with others due to a lack of appropriate conversational skil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ong with one of their colleagues with appropriate conversational skills, who participated as a norm. Behavioral skills training was implemented to improve the conversation skills in the participants,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evaluated using a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The experiment consisted of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during each experimental con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versational skills of the participants were improved with the behavioral skills training, and the acquired conversational skills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removed. In addition, the generalization effect was observed when talking to other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intervention. The social validity evaluation by the participants, their parents, and their supervisor showed very positive results, and two participants indicated a similar or higher level of conversational skills than their colleague, which was the norm.

      • KCI등재

        비디오 모델링과 최소-최대 촉진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오윤미 ( Oh Yunmi ),정선화 ( Jung Sunhw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비디오 모델링과 최소-최대 촉진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 기술의 독립적인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일상생활 기술 수행에 어려움을 보이고, 성인의 촉진에 의존하는 지적장애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의 면도하기, 청소하기, 양치하기 기술의 독립적인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디오 모델링과 함께 최소-최대촉진 중재를 사용하였고,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 학생의 일상생활 기술의 독립적인 수행이 향상되었고, 중재가 제거된 후에도 향상된 독립적인 수행이 유지되었다. 또한 학생은 중재가 실시되지 않은 가정에서도 일상생활 기술의 독립적인 수행을 보여 일반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실험을 종료한 후 연구 참여 학생, 학생의 부모, 교사가 평가한 사회적 타당도 평가 결과, 중재의 목적, 절차의 적합성, 중재효과 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평가 결과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video modeling with least-to-most prompting on the independent performance of the daily living skill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high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e is enrolled in a special school, has difficulties with independently performing daily living skills, and is dependent on adult’s prompts. The video modeling with a least-to-most prompting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to increase the student’s independent performance with shaving, vacuuming, and bushing his teeth. A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 demonstrated increases in all three behaviors in comparison to the baseline. The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removing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increases in the same behaviors were observed in his home in which the intervention had not been implemented. The student, his mother, and his teacher were asked to assess the social validity on the intervention goal,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rvention,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and they responded very positively in all three aspects.

      • 웹 2.0 기반의 공정 모델링과 생산 시뮬레이션 연계에 관한 연구

        진유의(Yooeui Jin),조문빈(Wen-Bin Zhao),이언(En Lee),정선화(Sunhwa Jung),임수민(Soomin Lim),박양호(Yangho Park),강형석(Hyungseok Kang),이주연(Jooyun Lee),정연경(Yunkyong Jung),노상도(Sang Do Noh),조현제(HyunJei Jo),조용주(YongJu Cho) (사)한국CDE학회 2011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

        According to society has been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oduct life cycle has been extremely shorter, the way to satisfy variety demands from customer has become most important issues in manufacturing companies. In order to satisfy various customer demands, it is essential that time to market for new product is reduced by the reduction of product development time and cost, and the increase of product quality. Simulation is one of the core task in manufacturing engineering and it can be a solution to reduce the product development duration within complex environment. But, to implement simula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making simulation model. Besides, in most simulation softwares, process model is so dependent on its simulation model that reuse of simulation model is not easy.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fined an information scheme of process and simulation model. And we developed web based process modeling and manufacturing simula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