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선통제연구의 적용을 통한 취침시간 지연행동 감소를 위한 BED-PRO 프로그램에 대한 효능 검증

        정선혜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the first time, to verify the efficacy of BED-PRO,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bedtime procrastination by applying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men and women in their 20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function of bedtime procrastination for individuals. In order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BED-PRO program, research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 and a wait-list control group, respectively 20 people, and comparative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pre/post measurement.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treatment for the BED-PRO program for 4 weeks after the first visit, and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waited for 4 weeks without treatment and then were given the same BED-PRO program as the treatment group. Bedtime Procrastination Scale (BPS), Insomnia Severity Index (ISI), and sleep diary were collected to compare results.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function of bedtime procrastination, a functional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research participants in each group within 1 session of BED-P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post comparative verification result according to BED-PRO program treatment, meaningful interactions between groups were confirmed by measurement time, from the extent of perceived bedtime procrastination, bedtime procrastination duration, insomnia severity, sleep efficiency, feeling refreshed after wakeup. As a result of the simple main effect verification, for only treatment group, the extent of perceived bedtime procrastination, bedtime procrastination duration, insomnia severity, sleep efficiency, and feeling refreshed after wakeup were meaningfully improved. In particular, the treatment group treated with BED-PRO decreased bedtime procrastination duration by about 67% after treatment, while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decreased by about 0.59%. so the efficacy of the BED-PRO program was verified. Second, as a result of the function assessment on bedtime procrastination, the main function of bedtime procrastination was confirmed as a function of mood regulation that can mitigate negative emotions in an individual or avoid it from situations/thoughts/emotions that cause such emotions. Besides that, various functions such as 'reward sense' and 'social interaction/belonging' were also confirmed. by putting together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the subsequ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국내외 최초로 무선통제연구를 적용하여 취침시간 지연행동 감소를 위한 심리적 개입 프로그램 BED-PRO의 효능을 검증하고, 취침시간 지연행동이 개인에게 어떠한 기능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BED-PRO 프로그램의 효능검증을 위해, 연구참가자들을 치료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각 20명씩 무선 할당하고 사전-사후 측정을 통해 비교검증을 실시하였다. 치료집단은 첫 방문 이후 4주간 BED-PRO 프로그램의 처치를 받았고, 대기통제집단은 4주간 무처치 상태에서 대기한 후 치료집단과 동일한 BED-PRO 프로그램을 제공받았다. 결과비교를 위해 취침시간 지연행동척도(BPS), 불면증 심각도 척도(ISI), 수면일지(sleep diary)를 수집하였다. 또한,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각 집단의 연구참가자들을 대상으로 BED-PRO 1회기 내에서 기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ED-PRO 프로그램 처치에 따른 사전-사후 비교검증 결과, BED-PRO 프로그램 처치 전 치료집단의 하루 평균 취침시간 지연행동 시간은 84.46분으로 나타났지만, 처치 후에는 27.29분으로 약 57.17분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BED-PRO 처치를 받은 치료집단은 처치 후 취침시간 지연행동 시간이 약 67% 감소한 반면, 대기통제집단은 약 0.59% 감소하였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취침시간 지연행동 정도, 취침시간 지연행동 시간, 불면증 심각도, 수면 효율성, 기상 후 상쾌감에서 측정 시점별로 집단 간 유의한 상호작용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른 단순 주효과 검증 결과, 치료집단에서만 지각된 취침시간 지연행동 정도, 취침시간 지연행동 시간, 불면증 심각도, 수면 효율성, 기상 후 상쾌감이 유의미하게 개선됨을 확인하였고 이로써 BED-PRO 프로그램의 효능을 검증하였다. 둘째, 취침시간 지연행동에 대한 기능 평가 결과 취침시간 지연행동은 개인의 부적 정서를 완화하거나, 부적 정서를 유발하는 상황/생각/감정 등으로부터 회피할 수 있는 정서조절의 기능을 가장 많이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보상감’과‘사회적 상호작용 및 소속감’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미술중심의 융합예술치료가 맞벌이가정 자녀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정선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맞벌이가정 자녀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치유하기 위해 설계된 미술중심의 융합예술치료가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가에 관심을 두고 있다. 따라서, 연구의 대상 집단은 맞벌이가정 자녀들로 구성된 집단이고 일상적 스트레스의 구체적 조사대상은 맞벌이 가정의 자녀이다. 맞벌이가정 자녀들의 일상적 스트레스 출처로 부모, 친구, 개인, 학업, 교사가 고려되고 이들 범주와 관련한 스트레스가 주된 요소들로 조사되었다. 일상적 스트레스로 간주되는 이들 요소의 스트레스를 해소 또는 감소하는 데 적용된 미술중심의 융합예술치료가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자료분석의 결과로 뚜렷이 입증하고 있다. 자료는 스트레스 출처와 관련된 문항들로 구성된 리커트 5점 척도의 설문지조사를 통하여 구해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이 행해졌다. 맞벌이가정의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맞벌이가정 자녀에게 굉장히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자녀와 아동에 관한 스트레스 연구는 미비하므로 이에 관심 있는 연구자와 치료사를 위해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며 맞벌이가정 자녀의 스트레스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cerns the effect of a painting-oriented convergence art therapy on the reduction of daily stress of children from dual-income families. So, the population of the study is going to be the children in a set of dual-income families and each child will be an object to be studied on its characteristics. Several variables are measured on each child. The sources related to daily stress are due to parents, friends, teachers, schools, and academic achievements. The stress from these sources are taken to be main components of daily stres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painting-centered convergence arts therapy is significantly effective on decreasion of daily stress of children in dual-income families. Data are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comprising questions each being measured by Ricart's 5-point scale about the daily stress, and analyzed by SPSS 25.0 statistical software. Although parental stress in dual-income families is very closely related to children in dual-income families, stress studies on children and children are insufficient, so more research is needed for researchers and therapists who are interested in it and more research on the stress of dual-income children is expected.

      • 동남아시아 석조문화재 생물풍화 진단 및 생물막 제어용 마이크로캡슐의 적용

        정선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자연환경에 노출된 석조문화재는 온·습도, 비와 바람, 대기오염, 생물 등의 영향을 그대로 받게 되며,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풍화가 발생하게 된다. 풍화 요인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물 풍화는 다양한 생물들이 석재 표면에 생장하면서 표면 오염 및 물리·화학적 손상을 유발하는 것이다. 생물이 생장하면서 영양원, 온·습도, 광원 등과 같은 조건들이 매우 중요하며, 이는 기후 조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열대 기후인 동남아시아는 생물이 빠르게 생장하고 천이되기에 좋은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석조문화재가 위치한 곳 중 생물 풍화가 가장 활발하게 발생하는 곳이다.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 3개국에 있는 석조문화재의 생물풍화 상태를 진단하고, 생물 발생과 문화재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발생한 생물피해를 줄이기 위해 친환경 살생물제를 적용하였고,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여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라오스 홍낭시다 사원, 캄보디아 프레아피투 사원의 온도, 상대습도, 표면온도를 모니터링 하였고, 사원 표면에 발생한 생물막에서 생물체를 분리, 동정하였다. 미얀마 파야똔주 사원은 외벽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생물 피해 상태를 진단하였고, 내부에 있는 벽화의 생물피해 상태를 검토하기 위해 미생물을 포집, 동정하였다. 석조문화재 생물막 제거용으로 제조한 친환경 살생물제를 사원 3기 모두 적용하였고, 육안관찰과 ATP 활성 측정을 통해 처리 결과를 모니터링하였다. 또한 기존에 적용한 친환경 살생물제 기술을 보완하고,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마이크로캡슐이라는 새로운 제형을 제조하였다. 생분해성 고분자인 PCL을 이용하여 벽물질을 형성하고, 심물질로 천연 식물성 오일 성분인 유제놀, 카바크롤, 신남알데히드를 선정하여 캡슐화 하였다. 제조된 캡슐의 크기, 형태, 제조 상태를 검토하고, 석조문화재에서 분리한 미생물을 대상으로 효과를 평가하였다. 사원이 위치한 3개 지역의 환경 모니터링 결과, 열대 몬순 기후와 열대 사바나 기후로 건기와 우기의 기후적 특성이 뚜렷하다. 최한월의 평균 온도는 18℃ 이상이고, 열대 몬순 기후인 라오스 홍낭시다 사원과 캄보디아 프레아피투 사원은 월평균 상대습도가 50% 이상으로, 무기질인 석재 표면에서 생물체들이 생장하는데 최적화된 환경이다. 두 사원의 주변 환경과 식생의 차이로 인해 미기후에서도 차이가 발생했다. 라오스 홍낭시다 사원은 온도 20℃~30℃, 상대습도 80%~100%, 캄보디아 프레아피투 사원은 25℃~35℃, 상대습도 60%~80%가 주요 환경으로 이는 포집, 동정된 미생물 종에서도 차이가 발생했다. 라오스 홍낭시다 사원은 표면온도, 일조의 영향에 따라 조류(Trentepohlia martius)에서 지의류(Lepraria sp., Pyxine limbulata), 남세균(Lyngbya sp.)으로 생물 천이가 진행된 상태이다. 캄보디아 프레아피투에서 유사한 속으로 나온 지의류는 Caloplaca sp., Pyxine sp. 2종이었고, 다른 종의 지의류들도 앙코르 사원 내에서 주요 종으로 확인된 바 있다. 미얀마 파야똔주 사원은 열대 사바나 기후로 몬순 기후 대비 최한월과 최난월의 온도차가 크고, 건기와 우기의 강우량과 상대습도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사원 내부에 벽화가 존재하나 별도의 밀폐 시설이 없이 외부 환경이 쉽게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외부와 내부의 미생물 개체수와 종은 유사하였다. 사원 내부 벽화에서 곰팡이 11종, 세균 9종이 분리·동정 되었고, 벽화가 있는 공간은 Alternaria alternata, Penicillium sp.와 같은 곰팡이가 우세하였고, 벽체만 있는 공간은 토양미생물인 Bacillus와 같은 세균이 우세하였다. 우점균들의 생장 온도 범위는 20℃~40℃이나 공간 내 환기, 건기의 저습한 환경으로 인해 미생물이 창궐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원 3곳에 친환경 살생물제를 적용한 결과, 생물막의 변·퇴색이 확인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사된 생물체가 건조되어 표면에서 탈락하였다. ATP 측정 결과, 처리 후 60.1%~99.5%의 저감률을 보였고, 생물 재발생율은 0.3%~12.4%로 매우 낮았다. 마이크로캡슐화를 위해 심물질로 천연 식물성 오일 성분 3종인 유제놀, 카바크롤, 신남알데히드를 선정하였고, 석조문화재 분리 미생물 6종에 대한 항균·항진균력 활성이 매우 높았다. PCL을 기반으로 한 생분해성 마이크로캡슐 제조를 위한 유화제:벽물질 농도는 1%:2%로 확인됐다. 제조된 3종의 캡슐의 크기는 12.19 µm~14.32 µm로 균질하게 제작되었고, FT-IR 분석 결과 벽물질인 PCL과 심물질인 오일 성분 3종의 특성 피크가 마이크로캡슐에서 모두 확인되었다. 제조된 캡슐의 미생물 생장 억제 평가 결과, 세균은 카바크롤 마이크로캡슐에서 효과가 좋았고, 곰팡이는 카바크롤, 신남알데히드, 유제놀 마이크로캡슐에서 효과가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의 열대 기후에 있는 석조문화재에 발생한 생물풍화 현황과 보존환경을 모니터링하여 피해 상태를 진단하였다. 또한, 생물피해 저감을 위해 친환경 살생물제를 현장에 적용, 모니터링하여 효과를 확인하였고, 새로운 제형으로 마이크로캡슐을 제작,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동남아시아의 생물 풍화 진단과 제어 기술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생명과학I 수업지도안 개발 : ‘사람의 유전과 유전병 ' 단원을 중심으로

        정선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 rapidly, children are born by using of genetic manipulation methods, and society is changing day by day. In particular, as students become more interested in a variety of technologies, they need to have a basic knowledge of genetics in order to understand and judge bio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education. If you understand the concepts and laws of genetics through various scientific inquiry processes and develop logical thinking processes in the proces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d judge the phenomena related to biotechnology from the ethical and scientific viewpoint. However, based on several previous studies, it is shown that many high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Mendel's genetic laws, cell division processes, human genetic phenomena, and pedigree analysis, due to infant formula.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for the understanding of genetic unit, the learning concept should be formed by learning and enhancing the interest and involvement of the students and by giving appropriate feedback from the teachers. In addition,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logical thinking ability. The 4E & E cycle learning model introduced in several previous studies helps the students to motivate and participate in learning effectively, and the teacher gives feedback when learning contents integrated with concepts or principles. As a result, students showed an attitude of interpreting and solving problems from an integrated viewpoint based on the knowledge they learned.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out that it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learning but also in linking with the life outside the school because the teacher has feedback step by individual evaluation or group evaluation and achievement evaluation at each class stage.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the contents of 'human genetic' among the 'genetic' members in the second grade of Life Science I textbooks of high school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eaching plans for chromosome mutation for cell division of high school Life Science Ⅰ using 4E & E circular learning model were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s of 'human genetic and genetic diseases' by using lesson pla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onceptual connec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ur types of textbook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tent elements proposed by the Ministry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5) are evenly distributed. There are reading contents to help understand genetic phenomena in textbooks. However, most of them only introduced examples of genetic diversity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eaching plans using the 4E & E circular learning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lecture class and group learning were developed in order to help students understand 'human genetic and genetic disease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interested in the genetic phenomenon using these teaching plans. These teaching plans will also help students for understanding of the future biotechnology and form logical thinking through logical thought process with scientific inquiry method.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유전자 조작 방법을 이용한 아이가 태어나는 등 하루가 다르게 사회가 변화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이 생명공학 기술들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되었다. 과학교육의 관점에서 학생들이 생명공학 기술을 바르게 이해하고 판단하려면 유전학의 기본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다양한 과학적 탐구과정을 통해 유전학의 개념과 법칙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과정을 발전시킨다면 앞으로 계속 발전하고 빠르게 변화될 과학기술 중에서도 생명공학에 관련한 현상을 윤리적, 과학적 관점으로 제대로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유전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러 선행연구들은 많은 고등학생들이 주입식 수업으로 인해 멘델의 유전법칙, 세포분열 과정, 사람의 유전 현상과 가계도 분석 등을 이해하는데 어려워한다고 밝혀왔다. 학생들의 유전 단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를 늘려 학습하고, 교사의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올바른 학습 개념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논리적 사고력이 향상을 위한 과학적 탐구활동이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소개된 4E & E 순환학습 모형은 학생들의 동기유발과 학습 참여를 효과적으로 돕고 개념이나 원리를 중심으로 내용을 통합하여 학습하면 교사가 피드백을 진행하는 학습모형이다. 그 결과 학생들은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통합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해석하고,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각 수업 단계마다 개별평가 혹은 모둠평가, 성취도 평가 등을 통한 교사의 피드백 단계를 두었기 때문에 학습 개념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학교 밖의 생활과 연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고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생명과학Ⅰ 교과서 4종에 수록된 ‘유전’ 단원 중 ‘사람의 유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4E & E 순환학습 모형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생명과학 Ⅰ의 세포분열에 대한 염색체 돌연변이에 관한 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학습지도안을 활용하여 개념 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사람의 유전과 유전병’의 학습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4종의 교과서 분석 결과, 교육과학기술부(2015)가 제시한 내용 요소들이 골고루 수록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유전 현상의 이해를 돕고자 제시되어 있는 읽기 자료들이 있는데 대부분이 교과서의 수록된 유전적 다양성을 갖는 예시를 소개하는 것에 그쳤다. 본 연구는 이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사람의 유전과 유전병’ 대한 이해를 돕고자 강의식 수업, 모둠학습 등의 교수 학습 방법에 4E & E 순환학습 모형을 활용한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 수업지도안을 통해 학생들이 유전 현상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과학 탐구방법을 통한 논리적 사고과정을 통해 앞으로 발전하는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이해와 논리적 사고력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 관계

        정선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 관계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아 영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긍정적 자아개념 및 자녀가치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는 어떠한가? 1-1.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은 일반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는 일반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부모 41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은 김형분(2011)이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자녀가치는 심도담(2017)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기술통계를 산출하였으며, t-검증, F-검증,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고,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를 살펴보면 우선,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의 평균은 3.65점이며, 가정적 자아, 도덕적 자아, 사회적 자아, 능력적 자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학력, 자녀구성, 취학아동 자녀유무, 교육기관경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과 경제적 수준이 높으면 부모의 자아개념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는 평균 2,94이며, 정서적 가치, 부담적 가치, 도구·사회적 가치 순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성별, 학력, 교육기관경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정서적 자녀가치가 높으며,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도구·사회적 가치를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둘째,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 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는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분적으로는 부모의 자아개념에서 정서적 가치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도구·사회적 가치, 부담적 가치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부모의 자녀가치에서는 도구·사회적 가치와 부담적 가치가 능력적 자아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부모의 자아개념이 높으면 부모가 자녀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정서적 가치가 높고, 자녀를 부담적으로 생각하는 부담적 가치가 낮으며, 자녀를 가계계승이나 사회적 인정 등의 도구로 생각하는 도구·사회적 가치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건강한 자아개념을 가지는 것은 부모 스스로 성장하게 하며 자녀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긍정적 자녀가치인식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부모와 자녀의 긍정적 관계에도 도움이 되는 의미 있는 결과라 사료된다. 그러므로 부모가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부모 자신에 대한 통찰이 부모교육의 주된 목표로 설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부모의 자녀가치 증진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영유아기 부모 지원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nhancing the positive self-concept and child value in parents who have influence upon infants and young children, by examining what about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cept and the child value in early childhood parents?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blems that were established for this. 1. What about the self-concept and the child value perception in early childhood parents? 1-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self-concept of early childhood parents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s? 1-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child value of early childhood parents depending on general backgrounds? 2. What about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cept and the child value in early childhood parents?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412 parents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ere are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self-concept in early childhood parents was applied the test tool that Kim Hyeong-bun(2011) used. Parents’ value of children was used the test tool by Sim Do-dam(2017). Data analysis was used SPSS 24.0 program. To figure out the general backgrounds in research subjects,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T-test, F-test, and Scheffé test were carried out. To look into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cept and the child value in early childhood parents,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implemented. The main results that were sho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amining the self-concept and the child value in early childhood parents, the average of the self-concept in early childhood parents stood at 3.65 points to begin with. And it was indicated to be high in order of the family-based self, the moral self, the social self, and the competent self.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ccording to parents’ academic career, child composition, whether or not having school children, experience of educational institution, and economic level. It can be confirmed that their self-concept is high if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economic level are high. Subsequently, the child value in early childhood parents reached averagely 2,94 points. And it was seen to be in order of the emotional value, the burden-taking value, and the instrumental·social value. A meaningful difference was reflected depending on parents’ gender, academic career, experience of educational institution, and economic level. It can be checked that the higher academic background in parents leads to the higher emotional child value of perceiving children positively and that the lower economic level leads to the higher perception of instrumental·social value. Second, figuring out the self-concept and the child value relationship in early childhood parents, the parents’ self-concept and child value were not manifes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on the whol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value was partially shown in parents’ self-concept. A negative correlation was reflected with the instrumental·social value and the burden-taking value. In parents’ child value, the instrumental·social value and the burden-taking value were see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ompetent self. It can be verified that if parents’ self-concept is high, the emotional value in parents’ thinking of children affirmatively is high, the burden-taking value in feeling pressure about children is low, and the instrumental·social value in thinking of children as a tool such as family succession or social recognition gets low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at has a healthy self-concept makes parents grow themselves and has a positive impact even on children, thereby being able to be expected to lead to the affirmative child-value perception in parents who bring up children. And it is considered to be the significant outcome helpful even fo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refore, the insight into the parents themselves needs to be set up as the main goal of the parent education so that the parents can form the affirmative self-concept. A program of supporting the early childhood parents is demanded for possibly driving up the value of children in parents.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 탐구활동의 융·복합 요소 분석 : STEAM 요소를 중심으로

        정선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odern society, more people are demanding for creativity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promoted by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going beyond knowledge-based society and information society. In modern education, not only knowledge transmission but also its utilization is being emphasized. In the era of integrated globalization, creative convergence talent cultivation is essential for coping with the global change organically. In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of 2015 reflecting such national and social needs, high school’s「Integrated Social Studies」textbook was opened as required subject for enabling convergent thinking.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centering on STEAM elements, in order to identify in what forms and what content elements convergence factors were reflected into exploratory activity in five types of「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under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of 2015. The exploratory activities including more than one STEAM element, except liberal arts area and social science area under Social Studies, were selected in the STEAM content element analysis framework. For analyzing STEAM, this study modified and complemented Hong Minah(2014)’s STEAM framework that modified and complemented Kim Seongwon(2012)’s proposed STEAM framework according to the activity types of Social Studies and then made a classification into 10 types for analysis. For analyzing STEAM elements, this study modified and complemented Yakman(2008, 2010)’s framework and constructed new STEAM content areas and then classified them into five areas. For convergence type analysis, three convergence elements of Ewha-STEAM model proposed by Kim Seongwon et al. (2012) were utiliz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STEAM activity types, Reading (R), Investigation and Presentation (IP), and Knowledge Recalling (K) appeared a lot although high school’s five types of「Integrated Social Studies」textbook were distribu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extbook. As a result of comparing STEAM activity types by unit of textbook, Reading (R) and Investigation and Presentation (IP) were distributed a lot commonly in five types of textbook and the other activity types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extbook. The result from comparing STEAM activity types of creative convergence activity depending on textbook appeared similarly. Reading (R) and Knowledge Recalling (K), among STEAM activity types of exploratory activity in high school’s「Integrated Social Studies」textbooks appeared a lot. This seems to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y constructed basic knowledge about curriculum for enabling them to understand and think in an integrative way. However, Investigation and Presentation (IP) as well as Reading (R) appeared a lot. This seems to be a result from the fact that they reflected the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s Social Studies subject competency that a democratic citizen ought to have in order to collect, interpret, utilize, and create information by utilizing various reading materials and technologies through exploratory activity into exploratory activ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STEAM elements, Technology·Engineering(TE) appeared the most. The next was Science (S) and the other elements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extbook. Arts (A2) appeared the least. On the other hand, STEAM elements of creative convergence activity were distribu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extbook. B textbook contained Science (S) elements and Arts (A1) elements the most. In J textbook, Technology·Engineering (TE) and Arts (A1) elements appeared the most. Science (S) elements were contained the most in C textbook, Arts (A1) elements in D textbook, and Technology·Engineering(TE) elements in J textbook.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vergence forms of creative convergence activity in terms of three aspects: convergence unit, convergence method, and convergence contex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creative convergence activities presented in form of problem/phenomenon unit convergence,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and community context-based convergence in five types of「Integrated Social Studies」textbook. In convergence unit, convergence activity in unit of experience activity was distributed less. In convergence style, a biased result to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appeared. In convergence context, convergence in global context appeared less than convergence in personal context and community context. Creative convergence activity is not a mere exploratory activity but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of 2015 provided this creative convergence activity separately in the textbooks. For creative convergence talent cultivat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is activity by considering more varied academic convergence, various types of experience activity, and capacity building as a world citizen. As a result of comparing exploratory activity versus creative convergence activity shown in the bodies of the textbooks for analyzing the form and conten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discover a difference between whole exploratory activities and creative convergence activities from STEAM activity types and STEAM elements. In creative convergence activity as well, typical and traditional activities like Reading (R), Knowledge Recalling (K), and Investigation and Presentation (IP) appeared as main activity types. In STEAM elements, exploratory activity and creative convergence activity as STEAM elements appeared in various forms, but the configuration of STEAM elements was close to a mere listing. For liberal arts- natural sciences integrated education and creative convergence talent cultivation, various activity types will have to be utilized so that exploratory activity and creative convergence activity can become an experience- and participation-centered activity, and constructing and presenting content elements will be effective for enabling a higher-dimensional and convergence thinking. 현대사회는 세계화, 정보화의 흐름 속에 지식 기반 사회, 정보화 사회를 넘어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시대가 되었다. 현대의 교육은 지식의 전달뿐만 아니라 그 활용도 중요시 되고 있으며, 통합적 글로벌 시대를 맞아 세계적 변화에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이 필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국가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융·복합적 사고가 가능할 수 있도록 선정된 필수과목으로서, 고등학교 「통합사회」가 신설되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과서 5종을 대상으로 탐구활동에 융·복합 요소가 어떠한 형태와 어떠한 내용 구성요소로 반영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STEAM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이 되는 탐구활동은 STEAM 내용 구성요소 분석틀에서 사회과가 해당하는 교양과 사회과학 영역을 제외한 STEAM 요소가 한 가지 이상 포함된 활동으로 선별하였다. STEAM의 형태 분석은 김성원(2012)의 연구에서 제안된 STEAM 형태 분석틀을 수정·보완한 홍민아(2014)의 STEAM 활동 형태 분석틀을 사회과의 활동 형태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10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STEAM 내용 구성요소 분석은 Yakman(2008, 2010)의 분석틀을 수정·보완하여 STEAM 내용 영역을 새롭게 구성하여 5가지로 구분하여 이용하였다. 융합 유형 분석은 김성원 외(2012)가 제안한 Ewha-STEAM 모형의 융합 요소 세 가지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활동 형태 분석 결과, 고등학교 「통합사회」 5종 교과서는 교과서 별 비율은 상이하지만 모두 읽어보기(R), 조사 및 발표하기(IP), 지식 회상하기(K) 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교과서 단원 별로 STEAM 활동 형태를 비교한 결과, 5종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읽어보기(R)와 조사 및 발표하기(IP)가 많이 분포되어 있고, 그 다음으로 많이 활용되는 형태들은 교과서 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교과서 별 창의·융합 활동의 STEAM 활동 형태를 비교한 결과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 탐구활동의 STEAM 활동 형태 중에서 읽어보기(R)와 지식 회상하기(K)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교과 기본 지식을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사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결과로 보인다. 하지만 읽어보기(R)와 함께 조사 및 발표하기(IP)의 활동 형태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탐구활동을 통해 다양한 읽기 자료와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 해석, 활용, 창조할 수 있는 활동으로 민주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사회과의 교과 역량인 정보 활용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탐구활동에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STEAM 내용 구성요소 분석 결과, 가장 많이 나타난 STEAM 내용구성요소는 기술·공학(TE) 요소였다. 그 다음으로 과학(S)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그 외의 분포는 교과서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가장 적게 포함된 STEAM 내용 구성요소는 문화 예술(A2) 요소이다. 반면에 창의·융합 활동의 STEAM 내용 구성요소 분포는 교과서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B 교과서는 과학(S) 요소와 표현 예술(A1) 요소가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고, J 교과서는 기술·공학(TE)과 표현 예술(A1)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C 교과서는 과학(S) 요소가, D 교과서는 표현 예술(A1) 요소가, J 교과서는 기술·공학(TE) 요소가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창의·융합 활동의 융합 유형을 융합 단위, 융합 방식, 융합 맥락의 세 가지 요소로 분석한 결과, 「통합사회」 5종 교과서의 창의·융합 활동은 문제/현상 단위 융합, 다학문적 융합, 지역 사회적 맥락의 융합으로 제시되는 활동이 많았다. 융합 단위에서는 체험활동 단위의 융합 활동의 분포가 적었으며, 융합 방식에서는 다학문적 융합에 편중된 결과가 나타났다. 융합 맥락에서는 개인적, 지역 사회적 맥락보다 세계적 맥락의 융합은 비중이 적게 나타났다. 창의·융합 활동은 단순한 탐구활동이 아니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에 창의·융합 활동을 따로 제시한 활동으로서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좀 더 다양한 학문적 융합과 다양한 형태의 체험 활동, 세계 시민적 역량 함양 등을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형태 분석 및 내용 분석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본문의 탐구활동과 창의·융합 활동을 비교 분석한 결과, STEAM 활동 형태와 STEAM 내용 구성요소에서 전체 탐구활동과 창의·융합 활동 간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창의·융합 활동에서도 읽어보기(R), 지식 회상하기(K), 조사 및 발표하기(IP) 형태와 같은 전형적이고 전통적인 활동이 주요 활동 형태로 나타났다. STEAM 내용 구성요소에서는 탐구활동과 창의·융합 활동의 STEAM 내용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STEAM 요소들의 구성은 단순한 나열에 가까웠다. 문·이과 통합형 교육 및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탐구활동 및 창의·융합 활동이 경험 및 참여 중심의 활동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활동 형태를 활용하고, 고차원적·융합적 사고가 가능하도록 내용 요소를 구성하여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 가상현실 Kinect-Xbox 사용이 청소년기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서 하지의 운동 기능, 균형, 그리고 보행에 미치는 영향

        정선혜 경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Objectiv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VR) training using the Kinect-Xbox on lower extremity motor function, balance, and gait in adolescences with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Subject and Methods: Te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VR training group (n = 5) or the conventional training group (n = 5). The VR training group received video-game sessions and physical therapy 3 times per week for 40 minutes each over a period of 6 weeks. The conventional training group only received 40 minutes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sessions 3 times per week over a period of 6 weeks. The Clinical assessment of Selective Motor Control (SMC) in children was used to evaluate the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BS) and the Timed Up and Go Test (TUG) were used to assess balance. Finally, the Functional Mobility Scale (FMS) and GaitRite were used to determine spatio-temporal variable in patien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After treatment, SMC, FMS, and gait (step length, stride length, single support tim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VR training group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aining group(p<.05). Also,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in the conventional training group in all balance test(p<.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MC (except for right hip abduction) and FMS. Conclusion: VR training can effectively improve the motor function of lower limbs and the gait ability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This study showed that training using video games played on the Kinect-Xbox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e rehabilitation of cerebral palsy.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키넥트 엑스박스(Kinec-Xbox)의 사용이 청소년기 경직형 양하지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의 운동 기능, 균형, 그리고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로 13명의 뇌성마비 환자가 모집되어,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 10명이 선별되었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실험군(n=5명) 또는 대조군(n=5명)으로 분류되었다. 실험군은 Kinect Xbox를 이용한 가상현실 훈련과 일반 치료를 각 40분씩 총 80분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일반 치료만을 40분간 실시하였다. 모든 중재는 주 3회 6주간 진행되었다. 중재 전과 후의 하지의 운동 기능은 선택적 운동 조절 평가(selective control assessment of the lower extremity, SCALE)를 이용하여 검사하였으며, 균형은 소아 균형 척도(pediatric balance scale, PBS)와 일어나 걷기(timed up and go test, TUG)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보행은 기능적 이동 척도(functional mobility scale, FMS)와 보행 매트(GAITRit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중재 후 실험군에서 하지의 선택적 운동 조절 항목 전체, 소아 균형 척도, 기능적 이동 척도, 보행에서는 왼쪽 걸음 길이, 왼쪽 보폭 길이, 왼쪽 한발지지 시간 변수들이 향상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소아 균형 척도, 왼쪽 걸음 길이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오른쪽 엉덩관절 벌림을 제외한 하지의 선택적 운동 조절, 소아 균형 척도와 기능적 이동 척도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키넥트 엑스박스를 이용한 가상현실 훈련이 청소년기 경직형 양하지마비 아동의 하지 운동 기능, 보행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키넥트 엑스박스를 이용한 가상현실 훈련은 청소년기 뇌성마비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뇌성마비 재활에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초기 청소년의 친구 관계 및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지각간의 관계

        정선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중학생의 친구 관계 및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지각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에 소재한 2개 중학교의 2학년 남·녀 학생 265명이었다. 친구 관계는 친구에 대한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 및 친구 관계의 기능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은해와 고윤주(1999)의 친구관계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와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Armsden과 Greenberg(1987)의 Inventory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IPPA-R)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자아지각을 측정하기 위해 Harter(1986)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친구 관계, 부모와의 관계, 자아지각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적인 통계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친구 관계 및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지각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구하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청소년은 친구 관계에서 친구에 대한 긍정적 감정은 높은 반면, 친구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낮았다. 그리고, 친구의 기능 중 친구에 대한 신뢰가 가장 높은 반면, 친구의 인정은 낮았다. 둘째, 초기 청소년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어머니와의 관계를 아버지와의 관계보다 더 친밀하다고 지각하였다. 셋째, 초기 청소년은 자아지각의 하위영역 중 친한 친구와의 관계를 높게 평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사회적 수용을 높게 평가하였다. 반면, 자신의 외모와 행동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하였다. 넷째, 초기 청소년의 자아지각은 자아지각의 하위 영역 중 인지적 능력, 신체적 능력, 행동, 외모, 전반적 자아가치 영역에서는 부모와의 관계가 친구 관계보다 더 큰 설명변인으로 나타났고, 친한 친구관계, 사회적 수용 영역에서는 친구의 기능이 부모와의 관계보다 더 큰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아지각의 하위 영역별로 각각 설명하는 변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인지적 능력, 행동, 외모, 전반적 자아가치를 지각하는데에는 부모와의 관계와 관련이 있었고, 친한 친구와의 관계, 사회적 수용을 지각하는데에는 친구관계와 관련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adolescents'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parents to their self-perception. The subjects were 265 middle school students of 8th grade from two schools in Inchon. Adolescents' friendship was assessed by Friendship Scale(Rhee & Koh, 1999) in three areas of friendship functions, positive feelings, and negative feelings toward friends.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assessed by the Inventory of Parents and Peer Attachment-Revised(Armsden & Greenberg, 1987). The Self-Perception Scale(Harter, 1986) was used to measure adolescents' self-percep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adolescents reported high level of positive feelings and low level of negative feelings toward friends. In the friendship function, they reported reliable alliance highest toward friends. In contrast, they reported recognition lowest. Second, early adolescents reported as having more intimate relations with mothers than fathers. Third, in the subscales of self-perception, early adolescents rated their close friendship highest whereas their appearance lowest. Fourth, parent-child relations explained most of early adolescents' intelligent competence, athletic competence, behavioral conduct, appearance, and global self-worth, while friendship function explained most of early adolescents' social acceptance and close friend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