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ernberg의 성공지능 관점을 적용한 초등 과학영재교육 교재의 발문 특성 분석: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정덕호,진미나,박경진 한국지구과학회 201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0 No.6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successful intelligence theory is a means to understand how th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 successful intelligence is fully reflected in the teaching materials of two gifted education centers (GECDO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GSEIU: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For this study, we selectively used 143 (GECDOE) and 134 questions (GSEIU) from the teaching materials of two gifted education centers. Those questions is analyzed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teaching materials of two gifted education centers are not evenly reflected in the successful intelligence, such as analytical ability, creative ability, and practical ability. Second, the teaching materials of two gifted education centers intensively demands analytical ability for students such as ‘identify problem’, ‘represent and organize information’, and ‘additional prompts for analytical thinking’. Third, the teaching materials of two gifted education centers are presented to students without linking each frame of successful intelligence to one another. As the gifted students are quick to learn and show a preference for more complex think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to experience the various abilities and promote integrated think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gifted studen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to support customized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과학영재교육 관점에서 성공지능 이론은 영재교육과정이 과학영재의 특성에 맞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교육 교재에 제시된 발문 특성을 Sternberg의 성공지능 관점을 적용하여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청 영재교육원 2곳과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1곳의 초등 과학영재교육 교재에 제시된 발문 각각 143개와 134개를 추출한 후, 이렇게 추출된 발문들의 구조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청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재는 분석적 능력, 창의적 능력, 실행적 능력 등과 같은 성공지능을 균형 있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청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재는 학생들에게 ‘문제 확인하기’, ‘정보 표상하고 조직하기’, ‘분석적 사고 촉진하기’ 등 분석적 능력 영역을 집중적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청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재는 성공지능의 각 프레임 요소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한 채 제시되고 있다는 한계를 보였다.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과 달리 학습속도가 빠르고 보다 복합적인 사고를 선호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앞으로 과학영재교육 교재를 개발할 때에는 과학영재의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의 능력을 경험하고 통합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 연구는 과학영재들의 맞춤형 교육지원을 위한 교재 개발을 위해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사회연결망법을 이용한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구조 분석

        정덕호,유대영 한국지구과학회 201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structures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used in small group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s and their achievement level. Eight small groups,5 members in each, participated in small group activities, in which they discussed how to calculate the average density of the earth. The communication structures and the achievement level presented in the group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Pajek, Ucinet 6.0. As a result, we classified the communication styles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to monopolistic type and co-ownership typ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persion of the interaction. We also classified it into DH· NH type, DH· NL type, DL· NH type, and DL· NL type based on the density and network centralization of interaction. The achievement levels of gifted students in their group work were affected by the density of interaction and the network centralization in small group activities, not by the dispersion of interac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groups. Therefore, we recommend that teachers make the communication relevant to solving problem when they utilize a small group activity in science teaching. 본 연구의 목적은 소집단 활동에서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구조를 찾아보고, 이들의 의사소통 유형과 성취 수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5명을 한 단위로 하는 8개 소집단을 구성하고, 이들에게 지구의 밀도 구하기라는 주제로 토론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Pajek과 UCINET 6.0을 활용하여 과학영재들의 대화로부터 의사소통 구조와 성취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호작용 분산 정도에 따라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유형을 독점형과 공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호작용 밀도와 집중도에 따라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유형을 DH· NH형, DH· NL형, DL· NH형, DL· NL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과학영재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문제 해결 성취 수준은 구성원 간 상호작용의 분산이 아니라 상호작용의 밀도와 연결망 집중도의 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소집단 활동을 활용하여 학생들을 지도할 때 문제 해결에 관련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일반담임교사와 영재담당교사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차이

        정덕호,김영미,이준기,박선옥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on giftedness between homeroom teachers and teachers of the gift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3 homeroom teachers and 8 teachers of gifted students. It was analyzed using recommendation letters, and shorthand notes about gifted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most homeroom teachers used awards, learning attitude, presentation of self and school achievements for defined giftedness and preferred an exemplary student with task commitment but often overlooked motivation. The teachers of the gifted preferred motivation and self-satisfaction but not other soci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Also homeroom teachers thought that education condition is important, while the teachers of the gifted believed it was not an all important element. These differences will hurt the credibility in the selection or gifted students because homeroom teachers and teachers of the gifted use different words and expressions in their assessments of the same students. Therefore, I believe more needs to be done to encourage homeroom teachers to better understand gifted children through train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담임교사와 영재담당교사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반 담임교사 13명, 영재담당교사 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담임교사들의 교사추천서와 영재담당교사들이 영재성에 관해 토론한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 담임교사들은 수상, 학습태도, 발표, 성적을 영재를 정의하는데 사용하고 모범적인 학생을 선호하였다. 그리고 과제집착력은 중시한 반면 동기를 간과하고 있었다. 영재담당교사들은 동기나 자기만족도는 중시 여기나 그 밖의 다른 정의적 요소들은 소홀히 생각하였다. 또 담임교사들은 부모나 교육여건을 중시한 반면 영재전문가들은 그렇지 않았다. 일반 담임교사와 영재담당교사가 같은 학생에 대해 다른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은 영재를 선발하는 데 있어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 담임교사도 영재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영재성에 대해 더 잘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On the Light Preposition Hypothesis

        정덕호,김정석 한국언어학회 2011 언어 Vol.36 No.1

        Jung, Duk-Ho & Kim, Jeong-Seok. 2011. On the Light Preposition Hypothesis.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36-1, 243-260. This paper deals with the hypothesis for light preposition projections in English. We argue that the null light preposition p is responsible for licensing accusative Case of the complement DPs in PPs, extending Chomsky’s (1995) argument for the null light verb v. Following Svenonius (2003), we claim that there are lexical instances of light prepositions in English, such as from and to, which can motivate the postulation of pP, contrary to some agreement projection (Bošković 2004b). As an extension, we argue that small clause PPs are in fact IPs headed by a null inflection with an obligatory [+EPP]. (Korea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