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현황과 특징

        정규식 ( Ku Sik Ch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1 石堂論叢 Vol.0 No.49

        본고의 목적은 부산지역 16개 구군의 구비설화 이야기꾼을 대상으로 이야기꾼과 관련된 전반적인 현황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는 것이다. 기존 논의를 통해 특정 지역의 개별적 이야기꾼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축적되었으나 광범위한 지역의 보편적 이야기꾼 집단에 관한 논의는 찾기 어려웠다. 특히 부산지역 구비설화의 이야기꾼에 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 본고의 논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산지역 구비설화의 연행양상에서는 이야기꾼의 여성 편중 현상이 두드러짐과 설화에 비해 민요의 편중성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 이야기꾼을 만나기 어려운 구연환경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야기꾼의 구연력이 고정적이지 못하고 가변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의식 있고 유능한 이야기꾼보다 일시적인 이야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러 부산이라는 로컬적 특성을 반영하듯 이야기꾼의 출생지가 비부산권이 강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지역의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특수성에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반적인 현황에 따른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특징적 면모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야기판이 형성되는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이야기꾼과 조사자 및 청중의 관계, 이야기꾼과 조사자의 관계가 결코 좋은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야기꾼자체가 지니는 특징으로는, 현재 그들의 생활 세계는 전통적 방식의 구비설화를 구연할만한 상황이 아니므로 진정한 이야기의 세대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그들은 유동사회 속에서 구심력이 약화되어 가족담에 대한 구연력이 상대적으로 강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접화법보다는 간접화법을 통한 구연 경향이 강함도 부산지역 이야기꾼의 특징적 면모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Busan area to target options storyteller tales, storytellers and reviewed related to the Current Situations and related Distinct Features is investigated. Through he existing discussions on specific are as of the individual storyteller, but the accumulation of some broad are as of collective discussion of the universal storyteller is difficult to find. Through discussion with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confirmed. Required aspects of the story in Busan arrested the women concentrated on becoming prominent storyteller and folk tales than to find the strength was not balanced. These results difficult to meet the male narrator in the oral environment could be attributed. The storyteller`s oral history was found to be variable, fixed and does not. This consciousness is temporary and storyteller than something you can do a lot identified. And the type of story gajokdam, dokkaebidam, dongmuldam, are limited due to jimyeongyuraedam was observed. Busan is also the birth place of the storyteller, reflect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Busan area was strong. This is in Busan,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specificity can be attributed to something you do. Construction on the overall features of the storyteller tales of Busan options are as follows. First edition of the story related to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teller and audience of researchers, storyteller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investigator could also not find a desirable situation. Features of the storytellers themselves, present their traditional way of life of the world equipped with the oral narrative situation is not worth the generation of a true story is that you cannot do that. They flow in society, as well as the centripetal force is weakened, the family talks about the oral history was a relatively unknown strength. Finally, rather than direct speech to indirect speech through strong oral tendency is also characteristic of Busan will be able storyteller.

      • KCI등재
      • KCI등재

        <지렁이 국으로 시어머니 봉양한 며느리> 이야기에 형상화된 지렁이의 생물학적 특징과 작품 세계

        정규식(Chung, Ku-S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4 No.-

        본고는 지렁이가 등장하는 대표적인 구비설화인 <지렁이 국으로 시어머니 봉양한 며느리> 이야기의 작품 세계를 지렁이의 생물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지렁이의 생물학적 특징과 이 작품이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살피고 나아가 작품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고자 했다. 논의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지렁이 국으로 시어머니 봉양한 며느리> 이야기는 접근성, 지속성, 약효성, 징그러움 등 지렁이의 생물학적 특징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작품은 시종일관 시선의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데 이는 시각을 상실한 시어머니와 눈이 없는 지렁이의 상동성과 연관된다. 눈이 없으면서 입으로 먹기만 하는 지렁이가 자연 생태계의 복원이라는 재생의 기능을 하듯, 작품 속 시어머니 역시 시각을 상실한 상태에서 입으로 먹기만 하다가 지렁이를 먹고서 눈을 뜨게 되면서 가족 생태계가 복원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렁이 국으로 시어머니 봉양한 며느리> 이야기의 지렁이는 자연 상태에서 자연 생태계 복원이라는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설화 문학에서 눈이 먼 시어머니의 눈을 뜨게 하여 가족 생태계 복원이라는 문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문화적 지렁이로 재탄생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적 지렁이의 탄생은 지렁이가 지닌 고유한 생물학적 특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his study was to consider <A Daughter-In-Law who Served Her Mother-In-Law with an Earthworm Soup>, an orally transmitted narrative whose main character is the earthworm, by focusing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creature. More specifically, the study tried to examine how those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the narrative and newly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sto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Daughter-In-Law who Served Her Mother-In-Law with an Earthworm Soup> well reflects such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rthworm such as accessibility, sustainability, medicinal effectiveness and creepiness. The narrative constantly regards eyes as an important issue, associating the mother-in-law who lost her sight with the earthworm that has no eyes. Like the no-eyed earthworm plays a role in regenerating the natural ecosystem just by eating with his mouth, the mother-in-law who is blind opens her eyes by eating that earthworm, which implies the regeneration of family’s ecosystem. In <A Daughter-In-Law who Served Her Mother-In-Law with an Earthworm Soup>, thus, the earthworm is not just a creature that performs a biological function, or restoration of the natural ecosystem, but reborn as a cultural being that performs a cultural function, or restoration of family’s ecosystem through opening the mother-in-law’s ey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rrative literature. The rebirth has close relationships with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rthworm.

      • KCI등재

        여말선초 사대부의 불교 인식

        정규식(Chung, ku-sik)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여말선초라는 사상적 혼종기를 대표하는 지식인,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와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을 중심으로 나말여초 사대부의 불교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기존 논의에서 이 시기 사대부들의 유불(儒佛) 인식에 대해 교섭(交涉), 융화(融和), 조화(調和), 심유적불(心儒跡佛) 등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여말 선초가 상당히 긴 시기이고 각각의 시기마다 개별적인 존재 방식이 다름에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용어들은 유불을 대립과 갈등의 방식이 아니라 조화롭게 수용하려는 외연적 현상을 조망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그 이면에 내재한 혼란스럽고 복잡한 사상적 전환의 역동성을 읽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여말선초 지식인의 유불에 대한 사상적 특성을 '혼종성(混種性, hybridity)'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으로 논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포은 정몽주의 사상적 혼종성은 불교가 저물어가는 시점에서 새로운 사상인 성리학이 고려에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이에 반해, 매월당김시습의 사상적 혼종성은 세조에 의해 불교가 복권되려는 시점에서 건국이념인 성리학이 성숙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점이 두 사람의 사상적 혼종성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포은 정몽주와 매월당 김시습은 각각 여말과 선초라는 전환기에서 새로운 사상으로의 변화라는 시대적 요구를 유불에 대한 주체적인 선택을 통하여 온 몸으로 감당한 실천적 지식인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ideological intellectuals representing the hybrid group of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by Jeong Mong-ju and Kim Si-seup awareness of their Buddhist subjects to be investigated. Prior research has recognized that The literary noblemen's concep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is time on combination with the gentry were analyzed. However, this view is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considerably long time, and each time it is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existence without considering how the same can not be applied to a problem. In addition, the terms are to Confucianism and Buddhism as a way of confrontation and conflict, harmony you want to accept the view that development takes explicit help, but that is inherent in the dynamics of chaotic and complex ideological transition there is a limit to be read out. Therefore, I have to overcome this problem effectively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for intellectu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sought to understand hybridity. Confucianism are enshrined in the new ideas were generated i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Kim Si-seup's the ideological hybridity is becoming a lottery at the time of the founding of the Buddhist philosophy of Confucianism is to allow the process of maturation occurred. It features two people can be called ideological hybridity. In this regard, Jeong Mong-ju and Kim Si-seup respectively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changes in the transition to the new idea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on contemporary needs through independent choice to deal with the whole body of practical can be called intellectuals.

      • KCI등재

        고전소설의 주인공 고전소설 속 동물 주인공의 의미와 위상 -<금현감호(金現感虎)>,<호질(虎叱)>,<서동지전>을 중심으로-

        정규식 ( Ku Sik Chung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classic novel of Korea to emerge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animals to target work to analyz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hero and they are standing in the Genie work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based on this new interpretation of the work is to determine the starting point. To this end, <Kimhyunho金現感虎>·<Hojil虎叱>·<Seodongjijeon서동지전> and the animals that appeared in works by targeting the hero by analyz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Kimhyunho金現感虎> hero appeared on the animals ``honyeo虎女`` reflective thinking through the men to bring awareness of the transition to mention its status as a philosophical animal. Second, <Hojil虎叱> tigers featured in the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term perspective by identifying the cold shoulder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nation to claim that the need to promote to mention its status as a political animal. Third, <Seodongjijeon서동지전> animal characters featured in the rat by securing a certain social status to embrace the weak of wit for a contemporary position as a social animal was equipped. Animals to man, which is present? A human, after all, and must answer this question is the area. Means they no longer stay in the area without tools or means is positioned in the area of ??responsibility of a human being. In order for the animals themselves or their reasons for contemplating about life from them by a kind of cultural value as an object in the direction of a significant discovery, and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Literature in these areas also will need to contribute regularly. This study the animals in this classic nove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 was to check the meaning and status.

      • KCI등재

        「薛氏女傳」과「溫達傳」의 주체 형성과 의미 작용

        정규식(Chung ku sik) 동남어문학회 2005 동남어문논집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stylistic characters of Jeon-Gi Literature at Namal-Ryocho. It is the converting period from ancient to medieval times in Korea history so there were so many changes literature section as well as politics, society, culture. In those, what is the most important literary changes is appearing descriptive literature. It is a product not from speakers but from writers, so the results of writer' writing would be remained. It is exact of that period. Therefore the literature at Namal-Ryocho has a special character, which is entering of Subject. This is a somebody who communicates with outsiders in some other way through works even though a man of character does not talk each other in oral literature. The character in myth act by orders from outside of world and commands but the subjects of biography has a relationship with outsiders so they act inside world of works. As a result, We call the Namal-Ryocho a term of historic revolution. We can see that Silla's disruption from contradiction of classification and weakening of royal authority at that time. Moreover it is the time that Koryo is founded in powerful military strength and economic is based on local clan's rising. Furthermore, in literary section, the writers of description has appeared and native songs which was delineating literature has taken steps backs for Chinese poetry and Koryo ballad. The power of a religious service has decreased but strength of sportive instinct was getting popular Through those inner foundation the literature at the first term of Koryo period has come out. I decided it into there parts such as illusional literature, realistic literature an realistic illusional literature, and started thinking over. they have biographical aspects obviously which is essential in early literature and they were formed by various refractions of simply copy into korean actual circumstances even though there were a lot of Chinese blocks. In conclusion, we are able to find that foreign ideas such as Buddhism, Taoism and traditional concepts has mixed very well in an illusional literature. Therefore the main body has a character to overcome his limited situation by fantastic illusion. The realistic literature gets effect from transmission of history. they have a strong faith and women's progressive spirit and main bodies are normally women, who are struggling to cope with difficulties against supremacy with their wills. they have also taken a key role of expressing realistic societ.

      • KCI등재후보

        이야기판에서의 기억과 라뽀(Rapport)

        정규식(Chung, Ku-si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2 民俗硏究 Vol.0 No.24

        본고는 구비문학 현장 조사에서 확인된 이야기판의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비문학 현장 조사에서 확인되는 이야기판의 특징은 다양하다. 본고는 그 가운데, 이야기를 구연하는 구연자의 기억의 문제, 그리고 구연자와 조사자 사이에서 형성되는 라뽀(Rapport)의 문제에 집중하여 이야기판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구비문학 현장 조사에서 많은 제보자들은 이야기 구연을 기피한다. 이는 제보자들이 오래전 들었던 이야기를 현재 기억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억의 문제는 필연적으로 경험과도 문제가 된다. 즉, 오랫동안 구연의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기억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비문학적 연행환경이 현저하게 변화한 현대사회에서 오래전에 들었던 것을 기억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구비문학 이야기판에서 기억의 문제는 구연의 경험적 측면과 더불어 다각적으로 접근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야기판에서 제보자가 이야기 구연을 기피하는 두 번째 이유는 라뽀가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라뽀는 제보자와 조사 사이의 인간적 신뢰관계라고 할 수 있다. 현장 조사에서 제보자와 조사자 사이에서 유대감을 바탕으로 즐거운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이야기판에서 이러한 차원의 라뽀가 형성되지 않으면 현장 조사는 일방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구비문학 이야기판에서의 기억과 라뽀는 이야기판의 활성화는 물론 현장 조사의 승패와도 밀접하게 연관된다고 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기억과 라뽀의 상관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이야기판이 잘 형성되어 현장 조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다 발전된 현장 조사 방법을 논의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e research which sees is Memory and Rapport in Narrative Field. The feature of the talk petal which is confirmed from the field of the Oral-Literature is various. An oral narration dislikes the fact that says from the field of the Oral-Literature. It originates from Memory and Rapport. Memory when the experience which becomes the experience transient fire tube is insufficient, the memory is not well remade. Consequently we do to observe an oral narration voluntary memory and an experience well from the field of the Oral-Literature. Memory not to make be is Rapport from the field of the Oral-Literature to be important. Rapport is human trust relationship of the inquirer and the provider. Rapport is formed a joyful interaction and a personal tie feeling with character. Consequently the fact that forms Rapport in the field of the Oral-Literature investigations is the work which is important. Conclusively, about the field of the Oral-Literature memory and will apply Rapport well from investigation and there is a necessity which will investigate Oral-Literature efficiently.

      • KCI등재

        《금오신화》의 세 여성과 서사적 특징

        정규식(Chung, Ku-Sik)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9 No.-

        이 글은 《금오신화》에 등장하는 세 명의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각 작품의 서사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각각의 개별 작품 속에 등장하는 세 여성을 하나의 방식으로 호명하여 그녀들의 존재양상을 분석한 뒤, 그것이 개별 작품의 서사화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금오신화》 가운데 여성인물이 등장하는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 〈취유부벽정기〉의 서사화 전략은 여인의 죽음이라는 축과, 여성과 남성의 관계맺음이라는 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각각의 방향성을 달리하면서 전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생규장전〉은 수혜자의 입장에 있는 이생을 부각시키기 위한 남성 중심적 부부서사로 진행되었으며, 〈만복사저포기〉는 적극적 협력자의 위상을 점하는 양생과 효서사의 중심에 있는 여성 가운데 어느 한 쪽으로 기울지 않은 중립적인 가족서사로 진행되었으며, 〈취유부벽정기〉는 관찰자적 입장을 취하는 남성보다는 국가의 흥망에 관한 담론을 펼친 여성을 중심으로 한 여성 중심적 사회서사로 진행되었다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서사화는 전쟁서사와 절개서사가 여인의 죽음에 대한 직접적 책임이 있는 대상에 관한 서사를 추상화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세 작품을 관통하고 있는 일관된 서사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Geumosinwha》 three people feminine people which appear is to grasp the narrative strategy of each work with the center. That appeared in the work of each individual in the way of the same woman called and analyze how the presence of her back, it’s a narrative of individual works and whether the discussion was to relate to. As a result, 《Geumosinwha》 of the female figure appeared 〈Yisaenggyujangjeon〉, 〈Manboksajeopoki〉, 〈Chuiyuboobeokjeonki〉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shaft and the girl’s death, bring forth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men at the point where the axes intersect each unlike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has been confirmed. 〈Yisaenggyujangjeon〉 of the narrative perspective of the beneficiaries to highlight in this life for a male-dominated narrative of the couple were run with. 〈Manboksajeopoki〉 of the narrative that occupies the active phase of the curing and co-workers in the center of narrative of hyo women on either side of the biasing that was conducted by a neutral narrative of the family. 〈Chuiyuboobeokjeonki〉 to take the position of the narrativec efforts of the observed rise and fall of the country than men, expand the discourse on women-centered community with a focus on women was conducted in narrative of the society. Based on such an epic narrative of the war, and the incision of the narrative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death of a woman on the target narrative abstraction, which was conducted in a manner that is consistent through the three films can be called the narrative way.

      • KCI등재

        <何生奇遇傳>과 육체의 서사적 재현

        정규식(Chung, Ku-Sik)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3 No.-

        본고는 <何生奇遇傳>에 형상화된 육체의 서사적 재현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품에는 여성의 육체가 가족이라는 제도와 사회적 권력에 의해 사물화(事物化)되어 하나의 수단으로 전락하는 모습이 형상화되어 있다. 부모가 지은 죄의 대가를 딸의 죽음이라는 가장 극단적인 육체에 대한 처벌로 대신한다. 그 과정에서 여인의 현실적 육체는 해체된다. 하지만 이러한 사물화는 하생으로 인하여 극복된다. 사물화되어 버린 여성을 만나게 된 하생은, 그녀를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응시하게 되고 나아가 그녀의 육체를 환유적으로 재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사물화된 여성의 육체는 환유적으로 재구성되어 현실계로 돌아왔지만 여전히 육체의 사물화를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한다. 여인의 부모는 딸의 환생을 도와준 하생을 마땅치 않게 여겨 딸과 하생의 혼인을 거부한다. 그러자 여인은 육체를 혹사시키는 방법으로 부모의 뜻에 저항하며 하생과의 인연을 강조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여인의 부모는 자신들의 잘못을 반성하게 되고 하생과 여인의 혼인을 승낙한다. 사물화되어 있던 여인의 육체가 완전한 탈사물화되는 순간이다. 가족이나 사회에 예속되어 있던 여인의 육체가 자신이 선택한 하생에게로 귀결되면서 제도나 권력으로부터 해방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과정이 흥미있는 것은 존재의 불연속에 있던 하생과 여인이 육체의 탈사물화와 더불어 존재의 연속을 담보하게 되고 그것은 다시 스스로에 대한 정체성 확립에 이르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이 <何生奇遇傳>에 형상화되어 있는 육체의 서사적 재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a narrative representation of the body which is storied in <Hasaengkiujeon>. Here, <Hasaengkiujeon> is a Jeongi novel that was written by Shin Gwang Han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In the novel, a woman experiences having her body just objectified as a means by institutional family and social powers. She is extremely punished into death on behalf of her parents who committed a crime. This makes her real body disorganized. At this time, Hasaeng meets her. Seeing her body objectified, Hasaeng comes to have a sexual desire for her and , in a metonymically, restructures her illusive world and body. He gradually approaches her and finally has a sexual intercourse with her. Carrying ‘geumcheok’, a golden ruler symbolizing her, he returns to the real world and then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her parents. With her body restructured, the woman returns to the real world, too. Nevertheless, the body still remains somewhat objectified. Despite Hasaeng helped revive their daughter's life, the parents rejects marriage between him and their daughter because he was lower in social status. Then the woman drives herself relentlessly, resisting to her parents and stressing her close relationship with Hasaeng. In this case, the parents reflect on what they did to Hasaeng and finally accept marriage between him and their daughter. This is the very moment when the objectified body of the woman is completely disobjectified. In other words, the women is liberated from institutions or powers as her body, which was subordinate to family or society, comes to belong to Hasaeng who she found herself. Here,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Hasaeng and the woman, who were discontinuous in existence, come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so-called body disobjectification and finally reach a firm establishment of their own identity. This is the very point of <Hasaengkiujeon>, that is, a narrative representation of the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