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로 인해 전환된 화상상담의 내담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정광훈(Kwang-Ho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2020년 초부터 확산된 COVID-19로 인하여 대면상담에서 화상상담으로 전환된 내담자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효과적인 화상상담의 접근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COVID-19로 인해 대면상담에서 화상상담으로 전환된 내담자 7명을 대상으로 2022년 2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개별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을 사용하였으며, 2022년 3월부터 2022년 4월에 걸쳐 최종적으로 7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영역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영역은 ‘화상상담으로의 전환 경험’, ‘화상상담의 디지털 환경’, ‘화상상담 공간 환경’, ‘향후 화상상담 활성화를 위한 제안’이다. ‘화상상담으로의 전환 경험’에는 ‘화상상담 전환 직전 태도’, ‘대면상담에 비해 좋은점’, ‘대면상담에 비해서 아쉬운점’의 3개 범주, ‘화상상담의 디지털 환경’에는 ‘자연스럽게 적응함’, ‘장비 마련의 부담감’, ‘불안정한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한 불편함’, ‘익숙하지 않은 디지털 환경으로 인한 불편함’의 4개 범주, ‘화상상담 공간 환경’에는 ‘사적 공간에서의 상담이 지닌 좋은점’, ‘사적 공간에서의 상담이 지닌 아쉬운점’의 2개 범주, ‘향후 화상상담 활성화를 위한 제안’에는 ‘원활한 상담 진행을 위한 사전 준비’, ‘원활한 상담환경 조성’, ‘효율적인 상담 진행’의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적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내담자의 화상상담 전환 경험을 통해 대면상담과 화상상담의 경험을 비교하고 화상상담의 효과적인 접근과 내담자 이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lients’ experience of a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prolonged COVID-19 outbreak. To identify clients’ experience of a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approach of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in the future. Methods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2022 to March 2022 for 7 clients who switched from face-to-face counseling to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due to COVID-19, and 7 pieces of data were collec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4 areas and 12 categories were derived. The four areas derived are ‘experience of transition to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digital environment of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space environment’, and ‘suggestions for activating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in the future’. In the ‘experience of transition to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attitude before the transition to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good points compared to face-to-face counseling’, and ‘disadvantages compared to face-to-face counseling’. In the four categories of ‘comfort due to unfamiliar digital environment’, ‘inconvenience due to unstable network environment’, ‘consultation due to unfamiliar digital environment’, ‘visual counseling space environment’ In the two categories of ‘good points’ and ‘disadvantages of counseling in a private space’, ‘suggestions for activating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in the future’ Three categories of ‘consultation progress’ were derived.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ounseling were presented. This study compared the experiences of face-to-face and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through the client's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conversion experience,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an effective approach to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and understanding the client.

      • KCI등재

        초·중등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뷰어 개발 및 사용성 평가.

        김한성 ( Han Sung Kim ),정광훈 ( Kwang Hoon Je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2014년부터 전국의 초·중등학교에 점진·확대 적용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중, 디지털교과서 뷰어의 개발과 사용성 평가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과 함께, 국내·외 디지털교과서 뷰어와 관련한 사례를 분석하고, 2008-2012 동안 운영된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의 요구 사항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교과서 뷰어 설계를 위한 7가지 원리를 제안하고 이에 기초해 개발된 신규 뷰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7가지의 설계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제, 어디서나 활용 가능한 환경을 지원해야 한다. 둘째, 학습활동 데이터에 대한 이력 관리를 지원해야 한다. 셋째,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학습 도구 및 풍부한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확장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도구 및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표준화된 문서(File Formats)를 지원해야 한다. 여섯째, 학교/교실 인터넷 환경에서 활용 가능해야 한다. 일곱째, 지속적인 유지 관리의 편리성을 지원해야 한다. 이 후, 휴리스틱 방법을 활용한 뷰어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UX/UI 관점에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주요 개선 사항 및 디지털교과서의 향후 발전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디지털교과서 서비스가 제공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test an usability of a Digital Textbook Viewer which has been serviced across the country since 2014, for K-12 education. To meet this, this study summarizes the primary requirements based on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s, various viewers and requests from schools which use the digital textbook. Based on these primary requirements, this study proposes principles to design and develop of the Digital Textbook Viewer. The 7 principles for the design of viewer are proposed as following: First, it can be used anytime, anywhere. Second, it should support learning analysis systems using learning activity data. Third, it should provide enriched learning resources and learning tools for interaction. Fourth, it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scalability features of learning tools and resources. Fifth, it should support standardized document file formats. Sixth, it should provide functional features such as school internet environments. Seventh, it should be designed for ease of use and maintenance. After then, with the usability test by heuristic evaluation, this study tries to see whether the digital textbook is appropriate to use or not. Finally,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and future direction of Digital Textbook. Based on these results, more systematic and reliable digital textbook services are expected for K-12 education.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가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및 문제해결 역량에 미치는 효과 분석

        차현진(Hyun-Jin Cha),계보경(Bokyung Kye),정광훈(Kwang Hoon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이외 요인으로 학습자 역량 중 자기조절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학교로 지정된 29개 학교에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 · 사후 검사 설계법(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을 활용하여 2014년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Cohen’sd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약 0.2 정도의 효과크기로 적지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학교급, 학년, 성별)에 따른 학생들의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년별, 학교급별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기조절학습에서는 4학년과 중 1 학생 모두 똑같이 3학년보다 좀 더 많은 변화를 보여주었고, 문제해결능력에서는 4학년이 가장 많은 변화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SRL) and problem-solving (PS) competencies rather than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in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e objective, 3<SUP>rd</SUP> and 4<SUP>th</SUP> grade elementary and 1<SUP>st</SUP>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29 schools where the digital textbooks were utilized in the subjects of science in pilot schools in 2014. In thi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s were applied as a research method to analyze SRL and PS competencies. Additionally, the effect size of Cohen’s d was presented in order to display the prac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impacts on SRL and PS competencies, in spite of a small effect size of about 0.2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ANC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impact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impacts on both SRL and 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grade and level. For SRL, both the elementary grade 4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elementary grade 3. Moreover, for PS, the elementary grade 4 student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컴퓨터활용교육 : 초등학생의 컴퓨터 사용 습관이 수면 및 식생활 습관에 미치는 영향

        안성훈 ( Seong Hun Ahn ),이은지 ( Eun Ji Lee ),정광훈 ( Jeong Kwang Hoo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컴퓨터 사용습관과 이에 따른 수면패턴 및 식생활 습관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먼저 컴퓨터 사용습관과 이에 따른 수면패턴 및 식생활 습관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은 초등학생 3~6학년의 학생들로 농촌 지역과 도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설문의 주요 내용은 컴퓨터 사용의 목적, 컴퓨터 사용 시간, 평소 수면 시간, 수면의 질, 수면 부족의 원인 등과 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식사 습관의 변화 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일부 초등학생의 경우 컴퓨터의 사용 기간과 시간이 식습관과 수면 패턴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과 수면을 위해서는 관련 교과에서의 컴퓨터 사용에 따른 기초 생활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are to analyze about sleeping and eating habits of children and to propose short and long-term plans for problems. To analyze problems of sleeping and eating habits of children, we did survey for children. The oriented children of survey are students who are the third grade or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y are distinguished between rual and urpan area. The main of survey are the purpose of using computer, computer using time, daily sleeping time, the quality of sleeping, the cause of insufficient sleep and change of eating habits by using computer. According to result of survey, computer using time affect sleeping and eating habits in case of a part of children. Therefore, a teaching plan for computer using habits is needed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모형 개발

        이재호(Jaeho Lee),손찬희(Chanhee Son),안성훈(Seonghun Ahn),안경진(Kyung Jin Ahn),정광훈(Kwang Hoon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이하 FASTEL)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고 교사들도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수업에서는 FASTEL이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교사들이 FASTEL을 수업에 잘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기 위하여 FASTEL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교수학습모형은 FASTEL 활용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원학교 인프라가 갖추어진 전원학교와 FASTEL만을 사용하는 전원학교로 구분하여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적합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개발한 교수학습모형은 전원학교는 물론 일반학교에서도 FASTEL 활용의 여건을 마련해 줌으로써 FASTEL의 활용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develop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 that can guide teachers to utilize FASTEL effectively, but also to investigate the actual effectiveness of the models developed. According to a survey on satisfaction with FASTEL in rural public schools, it is not utilized as anticipated in classroom instruction despite students high satisfaction with it and teachers positive perceptions on its effectiveness in teaching and learning. Along this line, this study categorized rural public schools into two types and proposed a model for each type to facilitate FASTEL utilization: one for schools equipped with both FASTEL and the cutting-edge technologies like interactive whiteboard, tablet, and Wi-Fi; the other for schools equipped with FASTEL only. Eventually, the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revitalize FASTEL by providing the foundation of utilizing FASTEL in general public schools as well as rural public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