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법연구 : 학교문법의 개념 정립을 위한 독서와 문법" 교과서와 지도서 분석2 -"문장"을 중심으로-

        전후민 ( Hu Min Jeon ),김홍범 ( Hong Beom Kim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4 문법 교육 Vol.22 No.-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sis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reading and grammar’ textbooks/guidebooks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chool grammar. The finding of this paper unde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scope of complement have to be expanded. In school grammar, only the constituents of ‘toy-ta(되다)’, ‘a-ni-ta(아니다)’ are defined as complement. However, the constituents of psychological adjective should also be included in complement. Second, in school grammar, the untypical usage of case particles such as ‘i/ka(이/가)’ and ‘ul/lul(을/를)’ is explained as ‘a sort of auxiliary particle usage of case particle(격조사의 보조사적 용법)’. However, it is better to designate the case particle or auxiliary particle in teaching and learning. Third, the predicate clause pose several problems. Especially, it is the most problematic issue that the many heterogeneous examples of the predicate clause are mixed in ‘reading and grammar’ textbooks. In case ofsome examples, it is more appropriate to analysis as a ‘topic-comment’ structure or ‘topic-focus’ structure than a predicate clause. Fourth, only ‘-key(게)’, ‘-to-lok(도록)’ and ‘-tus-i(듯이)’ can be recognized as adverbial ending, but the coordinate conjunctive endings and ‘-i(이)’ can not. In particular, ‘-i(이)’ is very controversial this way or that. So we need to be careful when we suggest ‘-i(이)’ as a textbook material of the adverbial clause.

      • KCI등재

        ‘커녕’ 구문의 위계적 틀

        전후민 ( Jeon Hu-min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8 No.-

        본고는 ‘커녕’이 이루는 문장은 하나의 구문으로서 다양한 정도로 추상화된 위계적 틀로 어휘부에 등재되어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고에서 밝힌 바를 정리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부에는 다양한 단위가 등재되어 있을 수 있는데 형식과 의미가 일치하지 않아 게슈탈트와 복잡계의 특성을 보이는 구문 또한 어휘부 등재 단위가 될 수 있다. 어휘부에 등재된 단위들은 자기조직화와 창발이라는 특성을 바탕으로 틀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구문 또한 추상화 정도에 따라 위계적 틀을 형성할 수 있다. 둘째, ‘커녕’ 구문은 부정문과 긍정문 모두로 쓰일 수 있는데 긍정문으로 쓰일 때도 ‘커녕’의 후행문 명제에 의해 선행어 명제가 부정되므로 ‘커녕’은 부정 극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커녕’ 구문이 부정문으로 쓰일 때 선행어는 ‘은/는’과, 후행어는 ‘도’와 결합하는데 이들 조사는 선행어와 후행어를 대조시키면서 초점을 나타내는 대조 초점 조사로서 ‘커녕’ 구문은 쌍 대조 초점 구문을 이룬다. 넷째, ‘커녕’ 구문의 후행문명제는 선행어 명제를 함의하는데 이 함의는 척도상 한쪽 극단에 있는 항의 부정이 전칭 부정이 되어 그 항이 나머지 한쪽 극단에 있는 항을 함의하게 됨으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커녕’ 구문의 해석은 함의와 척도라는 두 개념이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다. 다섯째, ‘커녕’ 구문은 형식만으로 의미를 예측할 수 없는 구문으로서 추상화된 정도에 따라 틀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각각의 틀은 위계적으로 어휘부에 등재되어 있어 서로 관련을 맺고 있다. ‘커녕’ 구문이 긍정문으로 쓰일 때도 선행어 명제가 부정된다는 점은 ‘커녕’구문의 구문적 속성을 잘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khe-nyeng’ sentence as a kind of construction is listed on the lexicon in a hierarchical schema that represent different levels of abstraction. The findings of this paper unde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ion that exhibit characteristics of Gestalt and complex system is able to be a listeme because a various of units can be listed on the lexicon. Second, ‘khe-nyeng’ is a negative polarity item since a proposition that is inferred from the antecedent word of ‘khe-nyeng’ is negated by a proposition that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sentence of ‘khe-nyeng’ even when ‘khe-nyeng’ construction is a affirmative sentence. Third, when the ‘khe-nyeng’ construction is used in a negative sentence, the antecedent word of ‘khe-nyeng’ is combined with ‘un/nun’ and the following word of ‘khe-nyeng’ is combined with ‘to’. As ‘un/nun’ and ‘to’ are a contrastive focus particles, ‘khe-nyeng’ construction is a paired contrastive focus construction. Fourth, a proposition that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sentence of ‘khe-nyeng’ entails a proposition that is inferred from the antecedent word of ‘khe-nyeng’. This entailment occurs when negation of one endpoint in scales becomes universal negative and one endpoint entails the opposite endpoint in scales. Therefore, the two semantic concepts of entailment and scale are very important to interpretation about ‘khe-nyeng’ construction. Fifth, ‘khe-nyeng’ construction is a ‘construction’ that the meaning can not be predicted only from it’s form. Thus, ‘khe-nyeng’ construction is able to be expressed in schema depending on the extent of abstraction. Each of schemata is listed hierarchically on the lexicon, and the schemat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 KCI등재

        혼잣말 종결어미 연구

        전후민 ( Hu Min Jeon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0

        이 연구의 목적은 혼잣말 종결어미들이 공통적으로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혼잣말 종결어미를 ‘청자를 고려하지 않은 채 혼자서 하는 말에 주로 쓰이는 종결어미’로 정의하고 총 23개의 혼잣말 종결어미 목록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밝힌 혼잣말 종결어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혼잣말은 화자가 화자 자신을 청자로 상정한 발화라는 점에서 혼잣말 종결어미의 화계는 ‘안 높임(또는 낮춤)’으로 설정할 수 있다. 혼잣말 종결어미는 ‘-요’ 결합 여부에 따라 안 높임(또는 낮춤) 등급인 해라체와 해체로 나뉘는데, 해체 혼잣말 종결어미에 ‘-요’가 결합되어 상향 억양으로 실현되면 질문의 효력이 발생한다. 둘째, 혼잣말 종결어미는 감탄, 자문, 결심, 후회, 불평, 추측, 의심 등의 다양한 의미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혼잣말 종결어미는 화자가 어려운 부탁을 하거나 불평, 불만을 넌지시 전달하고자 할 때 언어 책략으로 이용하는 독특한 화행적 특성을 보인다. 셋째, 혼잣말 종결어미는 2인칭 대명사와 함께 쓰일 수 없고 ‘싶다, 하다, 보다’ 구문과 같은 이른바 SEA 구문과 통합할 수 있다는 통사적 특성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싶다, 하다, 보다’ 구문과 결합하는 종결어미는 대체로 혼잣말 종결어미임을 확인하였다. 진정한 SEA 구문은 ‘보다’ 구문이고, ‘싶다’ 구문과 ‘하다’ 구문은 간접 인용 구문으로 볼 수 있다. ‘보다’ 구문 이외의 SEA 구문으로는 ‘모르다’ 구문을 추가할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speech sentence-final ending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peech level of the private speech sentential-final endings can be set up as low-level because the private speech is a utterance that the speaker regards oneself as a hearer. The private speech sentential-final endings are divided into hay-la style and hay sty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can be combined with ‘-yo’. If the private speech sentential-final endings of hay style are combined with ‘-yo’ and realized as rising tone, they have the effect of interrogative. Second, the private speech sentence-final endings have various semantic functions such as exclamation, self-question, resolution, regret, complaint, supposition, suspicion, etc. And the private speech sentence-final endings can be used as linguistic strategies when a speaker wants to ask a big favor or express grumbles and dissatisfaction by hints to a hearer. Third, the private speech sentence-final endings can’t co-occur with a 2nd person pronoun and can combine with SEA(sentence ending auxiliary) constructions, which is the syntactic properties of the private speech sentence-final endings. Also the real SEA construction is the ‘po-ta’ construction, the ‘siph-ta’ construction and ‘ha-ta’ construction are a indirect quotation construction. In addition to the ‘po-ta’ construction, we can accept the ‘mo-lu-ta’ construction as a SEA construction.

      • KCI등재

        ‘-(으)ㄴ 나머지’ 구문의 형식과 의미

        전후민 ( Jeon Hu-min ) 한말연구학회 2023 한말연구 Vol.64 No.20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on the form and meaning of the -(u)n nameci construction. The following summarizes our discussion. First, the -(u)n nameci construction is a construction in which the preceding clause indicates the cause and the following clause indicates the effect. Only -(u)n nameci is fixed, the preceding and following clauses are slots. Therefore, the -(u)n nameci construction can be called a 'causal schematic construction'. Secondly, the causal relationship represented by the -(u)n nameci construction is different from ordinary causal relationships, indicating special meanings such as 'deepening of degree', 'anti-expectation', and 'extremity'. The frequent appearance of deepening expressions such as adverbs of degree, expressions of unexpectedness(-ko mal-, -e peli-, and kuman, etc.), and focus particles indicating extremity like kkaci, man in the -(u)n nameci construction demonstrates that the form and meaning of the -(u)n nameci construction are interrelated.

      • KCI등재

        ‘(이)야말로’의 의미와 범주 - 가로 초점 표지로서의 정보 구조적 특성을 중심으로 -

        전후민 ( Jeon Hu-min ) 한말연구학회 2021 한말연구 Vol.- No.61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meaning and category of (i)yamallo.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receding expression of (i)yamallo indicates the syntagmatic focus(replacing focus) and the following expression of (i)yamallo indicates the background. Therefore, (i)yamallo can be referrred as the syntagmatic focus marker. Second, the focus of (i)yamallo can refer to both of the referential old information and new information, but the following expression of (i)yamallo which indicates the background refers to the old information. Third, as the focus of (i)yamallo has the exhaustiveness or exclusiveness, the alternatives of (i)yamallo do not have the value of the focus or have a lesser value than the focus. (I)yamallo means the weak exclusion and can also express the meaning of certainty or confidence. Fourth, it is general to appear in the order of ‘focus-background’ and expressions with a strong tone may follow (i)yamallo to reinforce the meaning of certainty or confidence. Fifth, the fact that (i)yamallo can not appear in the ‘-ki ha-’ construction is the strongest evidence that (i)yamallo is not a paradigmatic focus marker. The fact that a sentence with (i)yamallo can be used as a kes-un cleft also suggests that (i)yamallo indicates the syntagmatic focus.

      • KCI우수등재

        보조사 ‘치고’에 대한 구문적 해석

        전후민 ( Jeon Hu-min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본고는 구문 문법 관점에서 ‘치고’에 의해 드러나는 의미는 ‘치고’라는 어휘의 의미가 아닌 ‘치고’ 구문의 의미임을 밝히고자 ‘치고’ 구문의 형식적·의미적 특성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밝힌 바를 정리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고’ 구문은 ‘일반성·원형성’을 의미하는 것(‘U(nexceptionality) 구문’)과 ‘이례성·비원형성’을 의미하는 것(‘R(arity) 구문’) 두 가지가 있는데, 두 ‘치고’ 구문은 ‘치고’의 선행어가 집합을 형성하고 그에 속하는 원소들이 어떤 속성을 가지게 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런 점에서 ‘치고’ 구문은 ‘집합-원소 속성 구문’이라 할 수 있다. 둘째, U 구문은 ‘X치고[집합-원소 표현]+Y[속성 대상 표현]+Z[존재 부정 표현]’과 같은 형식으로 쓰이고 ‘X라는 집합에 속하는 모든 원소가 Y라는 속성을 가지지 않음(Z)’이라는 뜻을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어떤 집합에 속하는 모든 원소가 일반적·원형적인 속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U 구문은 어순이 고정적이고 주로 ‘치고’로 나타나며 서술어로 부정어가 쓰여야 한다는 제약이 있으나 ‘드물다’와 같이 부정어가 아닌 요소를 허용하기도 한다. 이는 구문이 동사를 압도하는 강제의 사례로서 구문 자체가 부정 맥락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어 비록 부정어는 아니지만 의미적으로 존재 부정을 나타낼 수 있는 ‘드물다’가 U 구문에 쓰일 수 있는 것이다. 셋째, R 구문은 형식적으로는 ‘Y[원소 표현]+X치고(는)[집합 표현]+Z[속성 표현]’로 나타나고 의미적으로는 ‘X라는 집합에 속하는 원소들 중 한 원소 Y가 다른 원소들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원형적 속성에 비해 이례적·비원형적인 속성(Z)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R 구문은 비교적 어순이 자유롭고 주로 ‘치고는’으로 나타나며 정도성을 나타내는 서술어가 쓰인다. 문장 내에 ‘치고’의 선행어 집합이 가지는 일반적·원형적인 속성을 드러내는 표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문장에서 이러한 의미가 드러난다는 것은 이 의미가 구문 전체에 연합된 의미임을 말해 준다. 넷째, ‘형식과 의미의 짝’으로 정의되는 구문이라는 단위를 도입하면 형식과 의미가 불일치하는 현상을 적절하게 설명해 줄 수 있다. 세로 관계 표지인 보조사는 자신의 선행어와 문장에 실현된 혹은 실현되지 않은 다른 요소 사이의 의미 관계를 표시하기 때문에 보조사는 형식적으로는 선행어에 결합되어 있지만 의미적으로는 선행어를 넘어선다. ‘치고’ 구문은 선행어 집합에 속하는 원소들이 가지는 일반적·원형적 혹은 이례적·비원형적 속성을 나타내는 구문으로서 이러한 의미는 ‘치고’의 것이 아닌 구문 전체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조사 ‘치고’가 언제 어떻게 동사 ‘치다’의 활용형에서 문법화되었는지, 두 ‘치고’ 구문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는 확실히 알기 어렵지만, 19세기와 20세기 문헌 자료를 통해 당시에 이미 구문으로서의 모습은 확립되어 있었고 U 구문과 R 구문이 서로 경쟁하면서 공존하던 시기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구문의 형식적·의미적 관련성과 U 구문이 동사 ‘치다’의 흔적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 U 구문으로부터 R 구문이 직접 분기되어 나왔을 것이라는 가설이 가장 그럴듯하다. 두 구문이 경쟁하던 와중에 ‘치고도’의 형태가 잠시 나타났다가 금방 용법이 소멸하였는데, ‘치고도’는 집합의 한 원소가 다른 원소들이 가진 공통적인 속성을 가졌으되 더 두드러지거나 추가적인 속성을 가진 맥락에서 쓰였다. ‘치고’와 ‘치고는’, ‘치고도’가 각자 구문을 형성해 가다가 ‘치고’는 U 구문의 형식으로, ‘치고는’은 R 구문의 형식으로 굳어지고 ‘치고도’는 자체적인 구문을 형성하지 못한 채 사라졌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form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chiko construction in terms of construction grammar in order to clarify that the meaning revealed by chiko is not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of chiko but rather the meaning of the chiko construction.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chiko construction is divided into two: the one that means ‘Unexceptionality’(U construction) and the one that means ‘Rarity’(R construction). The two constructions have in common that the preceding phrase of chiko forms a set and the elements belonging to it have some properties. In this sense, the chiko construction can be called ‘Set-Element Property Construction’. Second, the U construction is used in the form of ‘Xchiko[set-element]+Y[entity with a property]+Z[existential negation]’ and indicates the meaning of ‘all elements in the set X have not(Z) the property Y’, resulting in ‘all elements belonging to a set have a general and prototypical property’. The U construction has a fixed word order, usually appears as chiko, and has a restriction that a negative word should be used as a predicate, but it also allows non-negative elements such as tumwulta. This is an example of the coercion that the construction overrides the verb. Since the construction itself is strongly related to the negative context, tumwulta, which is semantically indicative of existential negative, although not a negative word, can be used in the U construction. Third, the R construction formally appears as ‘Y[element]+Xchiko(nun)[set]+Z[property]’, and semantically means ‘one of the elements(Y) belonging to the set X has an unusual and non-prototypical property(Z) compared to the general and prototypical property of other elements’. The R construction is relatively free of word order, is usually expressed as chikonun, and use a gradable predicate. Although there is no expression in the sentence that reveals the general and prototypical property of the set evoked by the preceding phrase of chiko, the fact that this meaning is revealed in the sentence indicates that this meaning is united throughout the construction. Fourth,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ruction, defined as a ‘pair of form and meaning’, can adequately explain the phenomenon of form and meaning mismatch. The focus particles, a paradigmatic marker, represent a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its preceding phrases and other entities realized or unrealized in a sentence, so that they are formally bound to their preceding phrases but semantically exceed those. The chiko construction is a construction that indicates the general and prototypical or unusual and non-prototypical property of elements belonging to a set evoked by the preceding phrase of chiko, and this meaning is not by the word of chiko but by the whole construction. Fifth, it is difficult to know how and when the particle chiko was grammaticalized from the verb chita and how the two chiko constructions were formed, but it was confirmed by investigating the 19th and 20th century literature that the chiko construction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as a construction at that time, and there was a time when the U construction and the R construction co-existed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two constructions are formally and semantically related and the U construction has more traces of the verb chita, the most likely hypothesis is that the R construction would have diverged directly from the U construction. While the two constructions were competing, chikoto appeared for a while and its usage quickly disappeared. The chikoto was used in the context of one element of a set having common properties, but more prominent or additional properties. In the process for the chiko, chikonun, and chikoto to form each constructions, the chiko and chikonun fixed as a form of the U construction and the R construction respectively, whereas the chikoto disappeared without forming its own construction.

      • KCI등재

        {다가}의 변천사

        전후민(Jeon, Hu-min)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3 No.-

        본고는 동사 ‘다그-’에서 기원한 조사 ‘다가’와 어미 ‘-어다가’의 ‘다가’ 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지금의 모습을 가지게 되었는지 선행 연구들과 여러 시기의 자료들을 검토해 봄으로써 그 문법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세 국어 시기에서부터 동사 ‘다그-’는 활용형이 고정되어 있었고, ‘잡다, 가지다’라는 어휘적 의미 역시 많이 약화되고 탈색되어 이후 좀 더 일반적인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을 다가’, ‘에 다가’ 구성에서는 ‘다가’가 동사에서 점차 조사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이며, ‘-어 다가’ 구성에서는 ‘다가’가 보조 용언으로 쓰이면서 전체 구성은 ‘유지’나 ‘지님’과 같은 상적인 의미를 가진다. 근대 국어 시기에 들어와서 ‘을 다가’, ‘에 다가’, ‘로 다가’ 구성의 ‘다가’는 동사로서의 지위를 잃어버리고 조사로서의 지위를 확립하게 된다. 이들 구성은 형태소 경계가 소멸되면서 재분석이 일어나 ‘에다가, 로다가’로 쓰이고, 조사 ‘다가’는 기존의 분포가 확장되어 ‘에게’와 같은 조사에까지 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나타나는 ‘다가’는 의미가 일반화되어 ‘근접’의 의미 혹은 특별히 의미를 밝히기 어려울 만큼 선행 요소를 강조하는 용법으로 쓰이게 된다. ‘-어 다가’는 여전히 상적인 의미를 지닌 채 점차 통합된 형식으로 변모해 간다. 현대 국어 시기에는 ‘을 다그-’ 구성이 다시 나타난다. 이는 합성어 구성에 나타나는 ‘다가’가 ‘가까이’이라는 뜻으로 해석되어 ‘가까이’의 뜻을 가진 동사 ‘다그-’가 역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에다가’, ‘로다가’의 ‘다가’는 조사로서의 지위를 굳힌 뒤 확장을 일으켜 ‘에게, 한테’와 같은 다른 격조사와도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에’가 접속조사로서의 용법을 확립한 뒤 유추 작용에 의해 ‘에다가’가 역시 접속조사로 쓰이게 되었다. 근대 국어를 지나면서 ‘-어 다가’ 구성은 형태소 경계가 소멸되어 완전히 어미로 지위를 바꾸게 된다. 현대 국어 시기의 {다가} 구성은 모두 ‘다’로 축약되어 나타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ostposition "ta-ka(다가)" and the ending "-e-ta-ka(어다가)",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verb "ta-ku-(다그)". The findings of this paper unde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In middle Korean, the verb "ta-ku-(다그)" had a fixed inflectional form and it’s lexical meaning had been weakened and bleached. Accordingly the "ta-ka(다가)" in "ul ta-ka(을 다가)" and "ey ta-ka(에 다가)" construction was gradually changing to a postposition. The "ta-ka(다가)" in "-e ta-ka(어 다가)" construction have a statue as auxiliary predicate and the "-e ta-ka(어 다가)" construction have a aspectual meaning like "keep". In modern Korean, the "ta-ka(다가)" in "ul ta-ka(을 다가)", "ey ta-ka (에 다가)" and "lo ta-ka(로 다가)" construction has lost it’s statue as a verb and established a position as a postposition. After this period, these constructions went through morphological boundary disappearance and reanalysis. Therefore these constructions became "ey-ta-ka(에다가)" and "lo-ta-ka(로다가)" etc. The postposition "ta-ka(다가)" was extended from its original distribution so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other postpositions such as "ey-key(에게)". The meaning of ‘ta-ka’(다가) in these constructions is a "proximity" or "emphasis". The "-e ta-ka(어 다가)" was undergoing a change as a unified form with a aspectual meaning. In contemporary Korean, the "ul ta-ku-(을 다그)" construction reappears. It seems that the meaning of "ta-ka(다가)" in a compound word is interpreted as a meaning of "proximity", so the verb "ta-ku-(다그)" with a meaning of "proximity" is back-formed. The postposition "ta-ka(다가)" of "ey-ta-ka(에다가)" and ‘lo-ta-ka(로다가)’ can be combined freely with other postpositions such as "ey-key(에게)", ‘han-tey(한테)’ etc. Furthermore after the postposition "ey(에)" established usage as a connective postposition, the "ey-ta-ka(에다가)" is also used as a connective postposition through analogy. In this period, the "-e ta-ka(어 다가)" construction"s morphological boundary disappeared, then the "-e ta-ka(어 다가)" become a ending("-e-ta-ka(어다가)"). All {ta-ka(다가)} can be contracted "ta(다)" in reanalysis"s stage of completion.

      • KCI등재

        학교문법의 개념 정립을 위한 "독서와 문법" 교과서와 지도서 분석- "단어"를 중심으로

        김홍범 ( Hong Beom Kim ),전후민 ( Hu Min Jeon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3 문법 교육 Vol.19 No.-

        The grammar textbook published in 2002 was used in high school before. However, four different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titled as ``reading and grammar`` replaced the old one and are being adopted in high school since 2012. Then what should be the selection criteria for current? To answer this question,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reading and grammar`` textbooks and establish the concept of school grammar.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school grammar is as significant as language policy of Korean. Therefore, the contents of textbooks as well as guidebook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and explained for school grammar. This paper analyzes parts of speech, word formation, and, the word sematics, all of which are centered on the ``word`` part of ``reading and gramm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