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해록』과 『하멜표류기』에 나타난 ‘표류’(漂流)의 서사적 상징의 의미

        전한성(Hansung Jeo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0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5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epic symbol of present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Choi Bu’s Pyo Hae Rok and Hamel’s Hamel Drift Period based on the epic elements. Comparative consideration in the epistemological aspects of Pyo Hae Rok and Hamel Drift Period has its own significance. First, it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come up with a research methodology for classical essays. Second, by comparing and analyzing classic travel and report, we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essay genre. First of all, the two works show different sides in terms of first-person narration and expression of individual consciousness. Pyo Hae Rok reveals a sense of individuality by omitting the subject or by enhancing the credibility of the narrative through the first-person expression of “sin-ha”. On the other hand, Hamel Drift Period enhances the credibility of the narrative by reconstructing a faint memory narrative through multiple subjects and action-oriented descriptions called “we”. Next, the internalization aspects of the background and character are also different. Pyo Hae Rok depicts a sense of urgency through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in a place of death called the sea. Hamel Drift Period depicts the will of a person through the portrayal of a group of people who attempt to escape from a place of oppression called land. Finally, in terms of subject matter, it can be found that both works mean the symbolism of “the drift” through characters. However, the drifting narrative of Pyo Hae Rok focuses on identifying human beings. The story of the drift in Hamel Drift Period focuses on explaining the value of life through the pursuit of human freedom.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essay genre through the styl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work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체험적 자기 이해의 개념과 창작 교육적 의의

        전한성(Jeon, Hansung)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5 No.-

        본고에서는 창작이 전문가의 전유물이라는 고정된 생각에서 벗어나 평생교육으로서 그 외연을 확장하고 문학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생활세계에서 비롯된 체험의 형상화에 주목하여 경험 서사 창작 교육의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 때 체험의 개념을 문학교육에 맞게 주체와 언어의 관계를 고려하여 재개념화하였다. 문학교육에서 체험은 개인의 인지와 정서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개인의 존재적 측면과 관련하여 인지 중심의 경험을 넘어 정의적 측면까지 아우르는 보다 직접적이고 생생한 경험으로 재해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체험은 자기 삶과 관련하여 시간적으로 해석을 통해 그 의미를 파악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기 체험을 잘 형상화하고 있는 자서전적 서사를 주목하여 자기 체험을 형상화하는 총체적 과정이 곧 체험을 통한 자기 이해에 도달하는 것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체험적 자기 이해는 곧 자기 체험을 읽고 쓰는 행위를 통해 자아실현을 이루는 총체적 과정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기 체험 서사 쓰기 행위를 통한 자아 정체성 형성은 진정한 자아실현을 이룩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경험 서사 창작 교육의 의의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for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 of experience narrative focusing on the imagery of personal experience from the life-world. It is to expand the scope of creative writing toward lifelong education and make literature a way of life, getting away from the notion that creative writing is the exclusive property of professionals. The concept of personal experience in the study is reconceptualized in the light of relationship between a subject and a language for literature education. The personal experience in literature education includes both perception and emotion of each individual, so it should be reinterpreted as rather direct and vivid experience which covers experience focused on perception to affective aspect in terms of the existential aspect of individuals.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ersonal experience, there is no way but the interpretation of time in one’s own lif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out that the whole process which makes their own personal experience embodied especially focusing o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s the way to approach to self-understanding through personal experience. Personal experiential self-understanding is the whole process which enables to achieve self-realization through reading and writing their own personal experience. Establishing of identity through writing experience narrative is one way to reach self-realization truly, and it could be significant in the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 of experience narrative.

      • KCI등재

        문화적 기억의 공간과 장소, 심우장(尋牛莊)

        전한성 ( Jeon Hansung )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8

        이 연구는 기억과 공간, 장소 개념을 중심으로 ‘심우장(尋牛莊)’을 살펴봄으로써 만해 한용운의 후반기 삶과 사상을 재조명해보고, 이를 온전히 기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적 기억은 집단적 기억으로서 공간과 유물, 즉 장소를 통해 형성되고 전승된다. 한용운은 근대로 나아가는 과정 속에서 불교유신과 민족독립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는 고민을 거듭한다. 심우장(尋牛莊)에서 보여준 그의 삶과 사상은 좌절 속에 직면한 자의 투쟁적인 자기이해의 담론이었다. 그에게 심우장이란 공간은 전통과 근대의 불안정한 만남으로 표상되는 ‘전시 총동원체제기’라는 일제의 폭압적 상황 속에서 민족의 나아갈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기 위한 숙고의 공간이었다. 한용운은 불교유신을 바탕으로 민족독립으로 나아가고자 했는데, 그 연결점을 민족의식의 고취 즉 민중계몽으로 보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심우장이라는 장소에서 3.1운동에 버금가는 문화실천운동을 꿈꾸며 신문 연재를 통해 장편소설을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심우장은 한용운에게 있어 승려 본래의 신분으로 돌아가 일제의 폭압적 환경 속에서 어떤 응전의 자세로 민족의식을 고취해야 하는가 다시금 돌아보게 하는 주체성 회복의 장소였다. 이렇게 볼 때 우리는 심우장이라는 공간과 장소를 통해 자기이해를 위한 그의 의연한 자세를 기억하고 공감하며 전승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Han, Yong-woon’s later life and thoughts and fully remember them by looking at ‘Simwoojang’ centering on memory, space and place concepts. Cultural memory is a collective memory, formed and passed down through space and relics, or places.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o modern times, Manhae continued to agonize over the two challenges of Buddhist belief and national independence. His life and thoughts in Simwoojang were the discourse of the combative self-interest of those who faced setbacks. Simwoojang was a place of contemplation and practice of cultural ideology to seek new directions for the people’s progress amid the oppressive situation of Japan in the wartim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which is represented by unstable encounter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times. In addition, Manhae wanted to move toward national independence based on Buddhist beliefs, which he saw as a promo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or popular enlightenment. Thus, he continued to publish novels in a series of newspapers, dreaming of a culture practice movement comparable to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in a place called Simwoojang. Simwoojang is a place for practicing cultural ideology and restoring self-reliance, which makes Manhae return to its original status as a monk and rekindle the sense of national consciousness with what kind of attitude to counteract in the oppressive environment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refore, we need to remember, empathize and be handed down his a resolute attitude for self-understanding through a place called SimWoojang.

      • KCI등재

        문학교육 목표의 적정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고등학교 문학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전한성(Hansung Jeon) 국어문학회 2011 국어문학 Vol.50 No.-

        문학교육의 목적은 무엇이고 목표는 무엇인가? 교육의 목적이 무엇을 가르쳐야만 하는 이유라면, 목표는 그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체계적인 과정의 설계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문학교육의 목표는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목표를 구체적으로 살펴봐야 하는 이유는 목표가 교육과정 설계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7차 문학교육과정과 2007 문학교육과정을 목표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하여 비교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목적과 목표가 혼동된다는 점, 문학영역의 목표가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위계의 측면에서 문제를 보이고 있다는 점, 다른 과목과의 연계성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 목표의 체계적인 진술이 부족하다는 점, 목표 진술이 중복된다는 점 등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문학교육의 목표 적정화를 위해 양적 접근 방식을 통해 네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목표’ 진술은 목적을 전제하여 목표를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문학교육의 ‘목표’의 강조점을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고려하여 문학교육의 이념 및 방향성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목표의 체계적인 조직화를 위해서는 통합성(coherence), 위계성(articulation), 계열성(sequence)의 원리에 근거하여 목표의 범주들이 재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목표의 내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이러한 양적 접근을 통한 대안외에 질적 접근 방식을 통해서도 목표의 적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만 문학교육의 이념과 방향성, 인간 삶을 이해하는 성찰적 기능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What is the aims and objectives of Literature education? If the purpose of education means just teaching something, "Objectives" would be the design of systematic curriculum to reach such aims. For this reason, the setting of aim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as it must be since the aims are connected to the design of systematic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7th curriculum of Literature with the revised 2007 curriculum of Literature on the basis of appropriateness of aims. From the study, some problems were revealed. First, the confusion of aims and objectives was existed. Second, the inconcinnity of the domain of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s aims in terms of articulation was found out. Third, there is no reference about connection of other subjects, and there is no deficiency of the systematic statement about objectives. Finally, the repetition statements of objectives was the one of the problems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four alternatives through approaching quantitative method for appropriateness of objectives of Literature education. First, the statements of Objectives should be systematic pursuing aims. Second, Ideology(directivity) should be presented in consideration with the emphasis on objectives of Literature education. Third, the category of objectives should be reconstruct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coherence, articulation, and sequence for the systematization of objectives. Fourth, the contents of objectives should be simple and clear. Appropriateness of objectives of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not only through the approach of quantitative method but that of qualitative method. In so doing, ideology and directivity of Literature education, introspective function about human life will be reinforced.

      • KCI등재

        태교 독서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운영 방안 연구

        양근영(Keunyoung Yang),전한성(Hansung Jeon) 한국학부모학회 2023 학부모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태교 독서’가 태아를 위한 예비 부모들의 독서 활동임을 전제로, 태교 독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예비 부모들이 올바른 태교 독서를 실천하기 위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와 실태 조사를 통해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기존 태교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2015 교육과정 독서 교과의 내용 체계를 근거로 설계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 내용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내용은 기존 태교 독서 프로그램에 ‘독서 교육적 목표와 방법’이 미약하고, 흥미 위주로 치우쳐 있는 점을 보완하여 우선 태교 독서 프로그램을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독서 교육의 내용 체계를 기반으로 태교 독서를 위한 ‘본질’, ‘분야’, ‘방법’, ‘태도’의 내용 체계를 설계하였으며, 세부 내용인 ‘독서 계획’, ‘도서 선택’, ‘독서 활동’. ‘독서 태도’ 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을 학습활동의 예와 교재의 수준과 범위로 제시하였다.이를 토대로 운영 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 교수 전략과 피드백을 안내하였다. 태교독서프로그램은산모와 아이의 정서적 유대를 강화하고, 부부가 협력하여 주체적으로 태교 독서를 계획하고 실천하고 지속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교 독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태교 독서의 중요성을 산모에게 인지하도록 도와야 하며, 수업 이외의 시간에도 학습자와 소통하며 학습을도와야 한다. 수업 후에는 학습자의 자기 평가, 프로그램, 교수법 점검 등을 통해 태교독서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요구와 시의성에 맞게 수정·보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On the premise that "prenatal reading" is a reading activity undertaken by prospective parents for their unborn child, this study aimed to design prenatal reading education programs and present operational measures for prospective parents to practice correct prenatal reading. Th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based on the content system of the 2015 reading curriculum after setting educational goals through prior research and fact-finding surveys and analyzing problems with existing prenatal programs. In addition, detailed education contents and operation plans were presented. The contents of the study first set the goal of the prenatal reading program by supplementing the weak "reading educational goals and methods" of the existing prenatal reading program and the bias toward interest. To achieve this, based on the content system of reading educatio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 content system of 'essence', 'field', 'method', and 'attitude' for prenatal reading was designed with the details of 'reading plan', 'book selection', and 'reading activity'.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reading attitude' was presented as examples of learning activities and the level and scope of textbooks. Based on this, matters to be considered for operation, teaching strategies, and feedback were provided. The prenatal reading program strengthens the emotional bond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and couples work together to plan, practice, and continue prenatal reading on their own. To effectively implement these prenatal reading programs, instructors must help mot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enatal reading, and communicate with learners to help them learn outside of class. After class, prenatal reading programs should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suit learners' needs and timeliness through self-evaluation, additional programs, and checking teaching methods.

      • KCI등재

        만해마을의 만해문학박물관 라키비움 구현을 위한 시론적 연구-통합 공간의 기능과 구성 요소 탐색

        전한성 ( Jeon¸ Han-sung ),윤재웅 ( Yun¸ Jae-wo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7

        본 연구는 만해마을의 만해문학박물관 라키비움 구현을 위한 공간 기능과 그에 따른 핵심 공간 요소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라키비움은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수집 대상인 다양한 매체의 정보자료들을 집약적으로 수용하여 서비스하는 기관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복합문화시설로 구성된 만해마을에서 만해문학박물관의 핵심 기능에 주목하여 라키비움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만해문학박물관의 공간 기능의 현황을 검토하여 장단점을 도출하고, 만해마을과의 연계 속에서 통합형 기능을 하는 문학관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만해문학박물관의 라키비움 조성을 위해 국내외 라키비움 사례를 검토하고, 디지털복합문화시설로서의 공간 기능과 요소를 갖추어야함을 밝힌 뒤 만해문학박물관에 구축될 만해 디지털아카이브와 라키비움 공간 기능 및 그에 따른 핵심 공간 요소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본격적인 만해마을의 만해문학박물관의 라키비움 조성을 위해 이루어져야 할 연구 과제들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불교계 역사인물의 삶과 사상을 추모하는 통합형 공간이 어떤 형태로 전개되어야 하는지 그 의미와 기능 및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is to derive spatial functions for the realization of the Manhae Literature Museum Larchiveum in Manhae Village and key spatial elements accordingly. Larchiveum is a concept that refers to an institution that intensively accepts and serves information materials from various media that are the objects of collection of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Larchiveum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re functions of the Manhae Literature Museum in Manhae Village, which consists of complex cultural facilities. First, it wa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he spatial function of the Manhae Literature Museum to der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to be reborn as an integrated literary museum in connection with Manhae Village. Next, the case of Larchiveum in Korea and abroad was reviewed to create Larchiveum in Manhae Literature Museum. And after revealing that it should have spatial functions and elements as a digital complex cultural facility, the digital archive and Larchiveum space functions and core spatial elements were derived as they deserve to be built in the Manhae Literature Museum. Finally, based on this, research projects to be carried out for the construction of Larchiveum of the Manhae Literature Museum in Manhae Village were suggested. This study can b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the meaning and components of the integrated space to commemorate the lives and ideas of Buddhist historical fig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