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전하람(Haram Jeon),이현주(Hyunju Lee),김가영(Gayoung K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사교육 참여가 보편화된 한국 사회에서 사교육이 부모의 교육적 관여를 반영하여 자녀의 생활시간 관리 및 감독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정을 설정하고, 사교육 참여여부가 청소년의 삶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고 있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교육 참여가 스마트폰에 미치는 영향이 학교교육이 축소되고 사적영역이 확대된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 중1패널의 2차년도(2019년)와 3차년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OLS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참여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감소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참여여부와 스마트폰 사용시간 간의 관계가 코로나19 확산 이전과 이후에 차이가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과는 달리 확산이 본격화된 2020년에는 관련 독립변수를 고려한 후에 사교육 참여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사교육 참여 외 부모의 교육적 관여 변수는 2019년에 비해 2020년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사교육 참여와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 간의 관계의 강건성 검증을 하였고, 두 변수 간의 관계 및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계의 변화가 실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같은 자녀의 삶에 있어서의 사교육 효과의 검증 필요성, 공교육의 축소에 따른 사교육 효과의 변화, 사교육으로 인한 교육불평등의 해소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Assuming that shadow education, as a tool of parental involvement, can play a role in managing and supervising adolescents’ time,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on adolescent smartphone usage time was analyzed.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smartphone usage time using data from the second and third years (2019-2020)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smartphone usage tim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and smartphone usage time differed before and after the spread of COVID-19. Third, parental involvement variables other tha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showed a stronger effect on the decrease in smartphone usage time in 2020 than it did in 2019. Based on these results, the usefulness of shadow education in time management and the effect of shadow education due to changes in public schooling are discussed, and policy suggestions are made.

      • KCI등재

        2차 아미노기를 갖는 실리카 나노입자와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의 마이클 부가반응에 대한 분광학적 분석

        전하나(Ha Na Jeon),하기룡(Ki Ryong Ha) 한국고분자학회 2012 폴리머 Vol.36 No.5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BTMA)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개질한 후, 실리카에 도입되는 2차 아미노기인 -NH기와 Michael 부가반응이 가능한 acrylate기를 가지는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와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를 하여 반응성(meth)acrylate기를 가지는 brush를 도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1분자에 Michael 부가반응성이 있는 acrylate기를 3개 갖는 TMPET와 1분자에 반응성이 있는 acrylate기와 반응성이 없는 methacrylate기를 각각 1개씩 갖는 AHM을 사용하여, 처리 몰(mol)수의 변화가 실리카 표면에 도입되는 (meth)acrylate기에 미치는 영향을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elemental analysis(EA) 및 고체 상태 cross-polarization magic angle spinning(CP/M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NMR)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BTMA로 개질된 실리카를 TMPET로 처리하면, 액체상태의 순수 TMPET와 순수 BTMA의 반응과는 달리 TMPET 1분자당 3개씩 결합있는 acrylate기 대부분이 BTMA의 -NH기와 Michael 부가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TMA로 처리한 실리카에 Michael 부가반응으로 반응성 (meth)acrylate기를 도입하기 위하여서는 AHM과 같이 Michael 부가반응성이 있는 acrylate기와 Michael 부가반응성이 없는 methacrylate기를 각각 1개씩 가지는 AHM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modified silica nanoparticles with 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 (BTMA) silane coupling agent to introduce secondary amino groups on the silica surface. After modification of silica, we investigated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meth)acrylate group containing monomers on the Michael addition reaction to introduce reactive (meth)acrylate groups on the BTMA modified silica surface. We used two kinds of (meth)acrylate monomers,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TMPET) which has three identical acrylate groups, and 3-(acryloyloxy)-2- hydroxypropyl methacrylate (AHM) which has one acrylate and one methacrylate group. We use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elemental analysis (EA) and solid state cross-polarization magic angle spinning (CP/M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NMR) to understand reactions between NH groups on the silica surface with (meth)acrylate groups of TMPET and AHM monomers. We found almost complete Michael addition reaction between all three acrylate groups of TMPET with NH groups on the BTMA modified silica. But, for the AHM treatment of BTMA modified silica, we found Michael addition reaction occurred only between acrylate groups of AHM and NH groups of silica surface, not between methacrylate groups of AHM and NH groups of BTMA modified silica surface.

      • KCI등재

        고졸 후 후기 청소년의 진학 및 취업 유예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하람(Jeon, Haram) 한국교육사회학회 2018 교육사회학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의 삶 만족도에 고졸 후 진학 및 취업을 유예하는 것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질적 처치효과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통계적인 검증을 하는 데 주 목적이 있다.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조사 중 2016년 2월 고등학교를 졸업한 중1 패널 1,629명을 활용하여 고졸 후 진학 및 취업 유예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적용해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경향점수를 도출하여 처치 전 이질성, 즉 선택편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에 더해 진로선택 유예 가능성에 따라 진학 및 취업 유예가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것이라는 처치효과의 이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질적 처치효과 분석기법 중 층화-다층 모형(Stratification-Multilevel Method)을 활용하여 경향점수에 따른 처치효과 크기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고졸 후 진학 및 취업 유예는 남학생, 직업계고등학교 졸업생, 교육포부가 낮은 청소년, 도시 거주 청소년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진로유예는 후기 청소년 삶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진로유예가 삶 만족도에 미치는 부적 효과는 진로유예 가능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가능성이 높은 집단에서 유의미했고 그 부적 효과의 크기도 진로유예 가능성 증가에 따라 커지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기 청소년 중 진로유예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추가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clarifying the impact of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after high-school graduation on life satisfaction among late adolescents, employing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 analysi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1,629 high-school graduates were analyzed to address the determinants of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in order to estimate propensity scores. With the propensity score analysis, stratification-multilevel method for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 hypothesis was conducted.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much stronger associ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among the group who were more likely to postpone their careers after high-school graduation than among other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who are men, graduat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no college aspiration, and live in urban areas were more likely to postpone their decision-making on careers than their counterparts, respectively. And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late adolescents and particularly the negative effect was stronger among the group showing higher propensity scores of being treated into the postponement of their career.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ddre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 KCI등재

        성인의 학습준비도와 청소년기 학습흥미도 간의 관계 국제 비교: PIAAC과 PISA의 활용

        전하람(Haram Jeon),이경양(Kyoungyang Lee),임은희(Eunhee Lim),윤민주(Minju Yu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평생교육 참여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태도인 성인의 학습준비도(Readiness to Learn; RtL)를 결정하는데 있어 청소년기 학습흥미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 성인역량평가(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에서는 한국 성인 학습자들이 다른 참여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습준비도가 낮음을 보고한 바 있다. 성인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및 국가 수준의 변인 중, 본 연구에서는 국가 아비투스(National habitus)의 개념을 적용하여 청소년 시기의 학습흥미도가 성인이 되었을 때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PIAAC 2011년 조사에 참여한 9개국(노르웨이, 덴마크, 미국, 스웨덴, 아일랜드, 이탈리아, 체코, 핀란드, 한국)의 25~34세 7,742명을 대상으로 PISA 2000에서 수집된 15세 청소년기 읽기 및 수학 흥미도 국가 평균점수가 성인의 학습준비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다층모형(Multi-level regression model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 및 국가 수준의 통제변수를 고려한 후에도 청소년기의 국가 평균 읽기 및 수학 흥미도가 성인 개인의 학습준비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제비교 분석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온 한국 청소년의 낮은 학습흥미도가 성인의 학습준비도 저하 등 평생학습 참여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o observe whether the adolescent learning intere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termining adult learning readiness (RtL), which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attitude to promote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reports that Korean adult learners are relatively less prepared to learn than the equivalents in the participating countries. Among the variables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that can determine the level of RtL, this study applied the concept of national habitus to examine the long-lasting effect of adolescents’ learning interests on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vel of RtL in adulthood.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national average of reading and math interest in adolescents aged 15 collected in the PISA 2000 on their RtL of 7,742 people aged 25 to 34 from 9 countries who participated in the 2011 survey, employing multi-level regression model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ven after considering the control variables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the national average reading and math interest in adolesc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arning readiness of adult individual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ointed out that the low learning interest of Korean adolescents, which has been steadily noticed in comparative studies in education, had a negatively effect on RtL and consequently the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learning among adults. As conclusion, relevant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교사는 학생에게 의미 있는 존재인가? 교육포부 수준에 대한 교사의 영향력 차이(2004년과 2016년)를 중심으로

        전하람(Jeon, Haram)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4

        공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교원 전문성 및 현장역량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교사가 학생에게 의미 있는 타인으로서 학생들의 교육포부를 제고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영향력이 2000년대 중반에 비해 2010년대 중반에 감소 또는 증가했는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 1주기 1차년도(2004년) 자료와 2주기 1차년도(2016년) 자료를 통합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점별 의미 있는 타인으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과 교육을 통한 사회이동의 의지를 반영한 교육포부 간의 관계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를 의미 있는 타인으로 인식하는 정도는 2004년에 비해 2016년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의미 있는 타인으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은 대학교 졸업 미만을 희망하는 집단과 대학교 졸업을 희망하는 집단 간에는 의미 있는 타인으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이와는 달리 교사의 영향력은 대학교 졸업에 비해 대학원 이상 진학을 희망하는 높은 교육포부를 가질 가능성을 보이는 데 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원 진학 이상의 높은 교육포부를 가질 가능성에 대한 교사의 영향력은 2004년에 비해 2016년 그 크기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교원의 전문성 강화 노력과 함께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학생에 대한 유의미한 교육적 효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학생과의 유기적 관계 형성 및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환경을 도모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With the emphasis on teacher expertise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each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nhancing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whether their influence decreased or increased in the mid-2010s, compared to the mid-2000s. By pooling the data from the base year of the Korea Education Employment Panel I (KEEP I; 2004) and the data from the base year of KEEP II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aspirations and student perceptions of teachers as significant influencers was analyzed, employ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etho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eachers as significant othe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2016 than in 2004. Second, teachers did not significantly boost educational aspirations among students who did not have college plans. Third, teacher influence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students aspirations for graduate studies. Fourth, the degree of teacher influence on increasing the aspirations of students for graduate studies was lower in 2016 compared to 2004.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