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학생역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전영미(Young-Mee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최근 대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실제 어떻게 구성되고, 이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핵심역량은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수업만족도는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S대학에서 2017학년도에 개발·운영된 세 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과 수업 참여 학생 92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대상인 캡스톤디자인 수업은 기존 수업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실무능력향상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참여 활동이 다양한 유형으로 확대되어 있었다. 둘째, 캡스톤디자인 수업은 학생의 역량을 향상시켰고, 수업만족도 역시 매우 높았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 수업과 비교하여 캡스톤디자인으로 수업이 설계되었을 때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참여하고 활동하는 기회를 많이 제공할 수 있도록 수업 구성 방식 및 방법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작품 개발 및 발표가 많은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특성상 지필 시험에 따른 객관적인 평가에 비해 주관적인 평가가 개입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절차 및 평가방법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하여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도 제안하였다. This case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apstone design on students’ competence and class satisfaction. Three subjects developed in S university were analyzed, and 92 students participated. Results show that the lesson structure of the capstone design was developed to provide students with problem solving competence and practical business skills through hands-on experience. In addition, the students’ competence was enhanced, and their satisfaction in class was very high.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the existing classes, class satisfaction in capstone design improved significantly. Considering the foregoing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for the capstone design, the lesson structure and method need to be diversified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and become active. The assessment procedure and method also have to be more objective to lessen subjectivity and to increase class satisfaction in capstone design.

      • KCI등재

        수도권 S대학 교수들의 좋은 수업의 중요도 및 실행도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전영미(Jeon Young M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수업주체의 하나라 할 수 있는 대학교수자들이 좋은 수업을 어떻게,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는지, 그리고 그 수업을 얼마나 실행하고 있다고 인식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달, 재구성, 관계 및 결과의 네 가지 교육관점과 교육내용, 방법, 상호작용, 평가, 환경의 다섯 가지 교육영역에서 좋은 수업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대규모 사립학교에 재직 중인 62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수자들이 가장 중요시한 관점은 전달 관점이었으며, 관계 관점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교육영역별로는 교육평가와 교육내용 영역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상호작용과 교육방법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중요도와 실행도간에는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전달관점에 해당되는 문항들은 실행도가 높았던 반면 재구성관점이나 관계관점에 해당되는 문항들은 실행도가 낮았다. 집단별 비교에서는 5년-10년 미만의 교수자들이 대부분의 교육영역에서 중요도나 실행도에 대한 인식 정도가 낮았다. 남녀 집단을 비교해서는 교육관점과 교육방법 영역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 중심 교육을 전제로 하는 관계관점과 이를 위한 다양한 수업 방법 및 전략에 대한 교육 및 지원이 필요하고, 특히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이나 실행도가 낮았던 5년-10년 미만 경력의 교수자들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university professors perceived good teaching and put into practice the good teaching in the classroo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our perspectives on good teaching, namely transmission, constructivist, relationship, and product, as well as the five categories, such as content, method, interaction, evaluation, and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included 62 professors in a capital region university. To obtain necessary data, the study utilized questionnaires and applied t-test and ANOVA to analyze the medium difference and the difference in the groupsrespective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generated. First, the professors likely perceived good teaching from transmission perspective and the scores incurred by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perspective were low. Second, the scores of the evaluation and content were higher than those for the interaction and metho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noted in the scores of importance and practices for good teaching. Fourth, the professors with 5 to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male professors perceived good teaching to be less important. In line with these results, the perception of good teaching based on student-directed education and the strategies for good teaching in the classroom were therefo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에서의 플립트러닝 운영 현황 분석 및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전영미(Jeon Young-Mee),김난희(Kim Nan-Hee),유동희(Yoo Dong-Hee),박미순(Park Mi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의 플립트러닝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플립트러닝 운영에 대한 교수자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운영현황 조사를 위해 8개 대학의 2017-2, 2018-1학기 운영된 75개 강좌를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으며, 교수자 인식 조사는 총 9개 대학 59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2018년 3월~4월에 실시한 설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플립트러닝의 운영 현황은 대학의 지원 방향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나 수업 전 동영상과 읽기자료 제공, 수업 전 학습 확인, 토의와 실습 등의 수업 활동, 그 리고 성찰일지와 마무리 정리 활동이 모든 계열의 플립트러닝에서 공통적으로 이루 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수자 인식 조사 결과에 의하면, 교수자들은 토론 및 문제해결능력향상을 위해 플립트러닝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플립트러닝을 설계하 고 운영하는데 있어 교수-학습의 부담감, 플립트러닝에 대한 이해 부족, 수업 설계의 어려움, 소극적인 학습 태도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수업 전략이나 사례 공유, 행·재정적 지원 등을 요구한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 또는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의 수업 설계 및 운영 매뉴얼 제공과 수업 전 학습의 의미, 수업 전 학습과 수업의 연계 방법 등에 대한 컨설팅 또는 워크숍을 통한 체계적인 교수 지원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e and the professors’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in university. 8 universities were participated for the operational state and 9 universities were participated for the professors’ awareness. Questionnaires and teaching portfolio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operational state,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in various discipline. And providing e-contents and reading materials in pre-class, mini lecture and various lesson methods in class, and after class activities were analyzed. The reason that the professors applied flipped learning was to improve discussion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e. The problem in operation were burden of teaching and learning, lack of understanding of flipped learning, difficulty of lesson design, and passive learning attitude. And professors wanted lesson design method, case share, and some support from the university or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manual including learning design and operation method, the meaning of pre-class activities, pre and in class connection strategies, and systematic supporting programs like consulting and workshop

      • KCI등재

        대학 이러닝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 분석

        전영미 ( Young-mee Jeon ),조진숙 ( Jin-suk Cho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교수자, 학습자-콘텐츠, 학습자-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이 학습자들이 인지하는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 어떤 관련을 갖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규모 대학의 이러닝 강좌 중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있었던 수업과 없었던 수업에 참여한 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있었던 수업에서 학습자-콘텐츠, 학습자-시스템간의 상호작용도 많이 있었고, 상호작용과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모두 학습자-콘텐츠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수업만족도에는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그 다음으로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학습자들은 이러닝에서 학습을 혼자 콘텐츠를 이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질 좋은 교육콘텐츠의 개발지원 및 수업에서의 제공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둘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활성화를 위해 교수자 대상의 워크숍 및 교육지원이 필요하다는 것과 셋째, 본 연구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학습자간 상호작용도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매우 중요한 상호작용 유형으로,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도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clas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to the interaction type on e-learning in university. To achieve the study`s objective, one course with and another course without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were selected. A total of184 student-respon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ccordingly, more learner-content and learning-system interactions were noted in the course with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Moreover, a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interaction,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indicated the highest effect on bot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followed by learner-system interactions on class satisfaction, and b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on learning achievement. Recommendations were then formulated based on the foregoing findings. First, workshops or training focusing on content development and on how to present the course should be provided to the instructors. Second,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should be activated in the course through various means . In this study, although learner-learner interactions was not given focus, future studied should delve into how learner-learner interaction should be activated and considered.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 및 학생 인식 분석

        전영미(Jeon Young Mee),조진숙(Cho Jin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중심의 대학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기존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 267명과 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별 내용제시의 구체성, 구성요소별 중요도, 수업계획서의 활용과 만족도 및 개선 요구사항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평균비교),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인 수도권 소재 대학의 교수와 학생의 설문 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별 내용제시의 구체성, 구성요소별 중요도, 수업계획서의 활용과 만족도 등에서 교수와 학생 간의 인식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이나 만족도에서는 교수들이 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수업계획서 구성요소별 중요도에 대해서는 강의개요나 목표, 내용 등은 교수가, 강의내용과 수업방법, 주차별 학습정보 등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학생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대학 수업계획서가 교수 중심의 수업계획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생 중심의 수업계획서로 개선되기 위해서는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수업계획서 양식이 수정되어야 하며, 각각의 구성요소가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학생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과 학생 중심 수업계획서 개발에 대한 교수 대상 워크숍 및 작성된 수업계획서에 대한 피드백 시스템을 갖출 것 등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at university to improve the syllabus as a tool for student-centered learning. Methods For this,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were analyzed. 267 professors and 334 students at university, located in a capital area, participated. The major research method was a questionnaire survey, an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Results It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specificity of syllabus, importance of syllabus components, syllabus usage, and satisfaction about the syllabu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ses from participa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ere found in every category. Professor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at the specificity of syllabus and satisfaction. As for the importance of syllabus components, professors respond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mponents of the course outline, goal, and content. But students respond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mponents of the course content, learning method, and weekly learning information. Conclusions Form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urrent syllabus is a professor-centered one. To improve this into student-centered syllabu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irst, syllabus form should be modified around the components helping student-centered learning. Second, the syllabus should be presented more concretely. Additionally a channel to interact with the students needs to be arranged more. Workshops for professors and a system for feedback on the syllabus are also required.

      • KCI등재

        대학에서의 플립트러닝 수업사례를 통해 본 학습자의 수업참여에 관한 연구

        전영미 ( Jeon Young Mee ),조진숙 ( Cho Jin Su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의 플립트러닝 사례를 통해 수업에서 학습자 참여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플립트러닝은 학생들이 수업 전 동영상을 통해 수업 내용을 학습하게 하고 실제 수업 중에는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며, 수업 후에는 내용을 정리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에 참여하게 하는 수업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일한 교수자의 두개 교과목(교직교과목과 교양교과목)을 수강한 8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업에서의 학습자 참여는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차원에서의 참여를 모두 포괄하여 수업준비하기, 수업활동하기, 의견표현하기, 수업확장하기, 수업열정의 다섯 가지 영역에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교직교과의 경우 플립트러닝은 모든 영역에서 학습자의 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교양교과의 경우 ‘의사표현하기’와 ‘수업확장하기’에 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 이유는 서로 다른 수업 내용과 구조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교양교과의 경우 6주간의 새로운 내용 학습과 이들 내용의 종합 및 적용을 강조하는 문제해결중심 수업 구조로 한 학기동안 여섯 개의 동영상만 제공되었고, 수업 활동에서 교수자의 참여와 설명이 적었으며, 팀 활동이 너무 많아 팀 구성원들의 참여에도 불균형이 발생했다. 이에 본 연구는 플립트러닝이 교과내용의 심화 이해 및 적용을 위해 학습자들의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수업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수업 전 동영상과 LMS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참여 상태를 확인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업과정에서도 인지적이고 행동적인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교수자의 피드백과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며, 정서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공정한 평가 기준과 팀 구성원들이 역할 분담 등을 명료하게 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flipped learning of two courses in a university . Flipped learning entails students to learn educational content through video prior to instruction; then during instruction, the students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fter instruction, the students continue to learn by reviewing the cont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83 students enrolled in two courses (namely, course A for pre-service teachers and B a Liberal Arts subject) were asked to participate. A questionnaire was used to analyze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flipped learning of two courses in a university. The learners’ participation was probed in terms of five areas of instruction, namely, instruction preparation, instruction activity, expressing oneself, extending instruction, and pass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A course, flipped learning affected the learners’ participation on every area; however, in course B, the areas of expressing oneself and extending instruction were affected positively. Such result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wo subjects. In course B, the following were noted: a) Only six videos were provided; b) Professor’s participation was limited; and c) Too many team activities were done, and there was an imbalance in the participation degree of the team members. Considering the foregoing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prior to, during, and after instruction, both professor’s and learners’ participation in instruction should be well-structured in order to activate learners’ participation in flipped learning.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LMS의 활용이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전영미 ( Young Mee Jeon ),조진숙 ( Jin Suk Cho ),김경록 ( Kyoung Ro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수업에서 활용되는 LMS 기능이 무엇이며, 이 기능들이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을 구성하는 학습욕구, 목표설정, 자기관리, 학습지속성, 노력귀인평가, 자기성찰의 여섯 가지 역량과 수업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LMS 사용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같은 LMS를 사용 중인 2개 대학 3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진단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고, MS-office Excel2013과 IBM SPS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에서 사용하는 LMS의 기능으로는 과제제출, 강의자료, 공지사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강의계획서 조회, 토론, 질의응답, 온라인시험, 퀴즈, 블로그, 그룹 활동, 저널 등 이었다. 또한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LMS 기능은 강의자료, 과제제출, 공지사항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강의계획서 조회가 다음으로 높았고, 온라인시험, 토론, 상시퀴즈, 질의응답, 블로그, 그룹 활동, 저널의 순으로 나타나, LMS 활용이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의 각 요인과 수업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주도 학습역량이 높은 경우에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MS활용 기간에 따른 두 학교의 비교분석에서는 기간이 짧은 S대학에서 LMS활용이 학습지속성에 미치는 영향과 LMS활용이 노력귀인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이 기각되고 기간이 긴 H대학에서는 모든 가설이 채택됨으로써 LMS의 활용의 지속성이 자기주도 학습역량을 향상시킨다고 예측해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LMS의 활용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교과에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LMS 기능들을 수업설계시 반영하여, 수업참여 유도와 자기성찰의 기회 부여 및 교수자의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내 LMS 운영기관인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는 교수자 및 학습자들이 LMS 활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충분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것, 그리고 시스템의 안정화 및 개선 노력을 기울일 것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functions of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the analyses on how these functions influence both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six self-regulated abilities, namely: (1) learning-motivation, (2) goal-setting, (3) time management, (4) learning duration, (5) effort-attribution evaluation, and (6) self-reflection. For this purpose, 340 stud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n online survey using the same LMS in two universities. Questionnair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iagnosis developed by KEDI, MS office Excel 2013 and IBM SPSS 22.0, were utilized.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tly used functions of LMS are: submission of assignment, digital contents, and announcements. This is followed by: syllabus, debate, question and answer, online test, quiz, blog, group activity and journal. The highest percentage of LMS functions of the participants’ self-regulated learning were: submission of assignments, digital contents, and announcements, and followed by syllabus. It was found that the usage of LMS positively influences each factor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dditionally, hi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in accordance with high self-satisfaction. Comparison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showed that the period of LMS usage influences learning sustainability and achievement-motivation of attribution evaluation. Furthermore, hypotheses were confirmed for H university which used LMS for a longer period than S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 it is predicted that the continuous usage of LMS can enhance one’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ructors should design courses that utilize functions of LMS fo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Moreover, workshop or opportunities for training are needed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Lastly, system maintenance and developments should also be enhanced.

      • KCI등재

        대학교육혁신기제로서의 K-MOOC 활용과 학습성과에 대한 학생인식조사

        조진숙(Jin-Suk Cho),전영미(Young-Mee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혁신기제로서의 K-MOOC 활용과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한 대학에서 K-MOOC을 활용한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379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은 개별적 학습활동의 참여가 높았으며, 강좌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성과로는 정의적 영역에서 수용, 가치화, 반응이 높게 나타났고. 인지적 영역에서는 종합 및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긍정적 인식으로는 학점부담이 없다는 점, 타학교 수업 수강과 자기계발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 등이 있었고, 개선사항으로는 플랫폼의 불안정, 동영상 분절, 수업활동의 과중, 퀴즈의 변별력 및 내용 수준이 낮은 점, 과제물의 피드백 부족 등이 제시되었다. 또한 집단별 차이 분석에서 전공관련 수강생들의 토론참여활동과 학습성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교양뿐만 아니라 전공교육과정으로의 K-MOOC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주제의 교과목 개발, 다양한 유형의 활용 방안, 상호작용 활성화와 수업설계전략의 운영 파악 및 관리, 그리고 콘텐츠의 수준이나 수업방식의 설계 지원을 통한 질 관리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K-MOOC이 대학교육혁신 기제로서 활용되기 위한 학사제도수립 및 운영방안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nalyzed how K-MOOC was used and identify the academic achievements in high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379 students who were in curriculum-related extra-curriculum using K-MOOC.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tion rate in individual learning activities was high, thus indicating the activities were perceived positively. In addition,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their academic achievements of receiving, valuing, and responding in affective area, as well as synthesis and evaluation of knowledge in cognitive area. Students were also satisfied that they had no psychological burden to the credit of the course and they could take a course from another college. By contrast, platform instability, too much online content, and tedious activities in the lessons were perceived negatively. Nonetheless, the group assessment results suggested that the students taking a course related to their major had further engagement in discussions,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Based on the foregoing findings, the study proposed developing a subject matter with various theme, utilization plans, interaction reinforcement, and quality management by supporting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in order to expand the use of K-MOOC both as a general education and a major curriculu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represent baseline data that may assist in the decision making for university system and operation pla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