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몽골족의 전통 혼례습속 연구

        전영란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41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Mongolian marriage custom.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ustom of marriage and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Mongolian marriage summarize as follow. Firstly, Mongolian wedding custom is mixed with the overall marriage metho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human history. However, it includes plunder marriage, marital marriage, trade wedding, derisaism, service marriage, and levirate marriage especially influenced by the survival circumstances, as well as holding axes wedding and wedding of a guest as the other special marriage forms. Secondly, as in the case of traditional Mongolian marriage influenced by the living circumstances as well, they kept exogamy as to the blood relationship, integrational marriage from socio-economic perspective, and parental orders in principle. Third, the procedure of traditional Mongolian marriage is conducted through the similar procedure of six wedding formalities which is the procedure of traditional Han Marriage. However, one peculiar thing is giving livestocks or hada as pyebaek, a wedding present, or thinking a memorial service for the fire important.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족(네이멍구 자치구 몽골족)의 전통 혼례습속의 특징을 고찰하는 데 있다. 그 혼례형식과 혼인제도의 원칙 및 결혼절차 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족의 전통 혼례형식은 여타 인류역사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대체적인 혼인방식이 모두 혼재해 있다. 그러나 특히 그 생존환경의 영향으로 약탈혼, 표친혼, 매매혼, 데릴사위혼, 복역혼, 수계혼, 그리고 기타 특별한 형식으로 포부혼과 우객혼 등이 있다. 둘째, 몽골족의 전통 혼인제도 원칙의 경우, 역시 그들이 처한 생활환경의 영향으로 혈연관계에 있어서 족외혼, 사회・경제적 차원에서 등급내혼, 그리고 양가의 아버지가 자녀의 혼인을 주도하는 부배주혼(父配主婚)을 원칙으로 하였다. 셋째, 몽골족의 전통 혼례절차는 중국 한족의 전통 혼례절차인 육례(六禮)와 대동소이한 과정을 거치면서 진행된다. 그러나 특이한 것은 살아 있는 가축과 하다를 빙례의 예물로 준다든지, 불에 대한 제사(祭火)를 중시하는 것 등이다. 이상과 같은 몽골족의 전통 혼례습속의 형성에 미친 환경적 배경으로는 첫째 생활환경과 역사전통의 영향, 둘째 종교-샤머니즘과 라마교의 영향, 셋째, 중국 한문화의 영향을 들 수 있다. 특히 족외혼의 원칙은, 유전학이 발전하지 못했던 시기에 근친혼의 폐해를 경험적으로 인식하고 그것을 금지시켰던 것은, 유목민으로서 야만적인 생활을 한 것이나 다름없는 몽골족에게 있어서는 대단히 선진적인 자각이었다고 본다. 또한 어떤 경우에도 부인의 과거와 태어난 아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대단히 담대하고 인간적인 면모인 것 같다.

      • KCI등재

        <리소(離騷)> 에 나타난 서정주체의 성격과 형상화 양상

        전영란 영남중국어문학회 1998 중국어문학 Vol.32 No.1

        本文硏究對於$lt;離騷$gt;的獻事性的一環, 分析抒情主體「余」的個性以及其形象化特徵. $lt;離騷$gt;是一部以第一人稱獨白性敍述的作品, 抒情主體「余」就是本作品的敍述者兼主角, 因此抒情主體「余」的個性對於作品的敍事性的影響十分深刻, 因而本女認爲分析抒情主體「余」的個性以及其形象化特徵是理解$lt;離騷$gt;敍事性的關健所在. 而漢代場雄·班固開始的關於屈原的否定的評價的間題中的相當部分也是源于此沈作品以及其他屈原的作品的敍事性問題而來的. 抒情主體「余」的人性的重要特點是他締自負心. 其自負心的主要內容可整理爲三部分. 第一, 「余」是天賦的尊貴的存在; 第二, 「余」保有美好的品性; 第三, 「余」保有優秀的能力. 因此對於此三種內容加以分析是對其形象化認織的首要間題. 抒情主體「余」的天賦的尊貴問題的形象化十分妥善. 可是就「余」的品性問題來說, 「余」自己設定的自負흔高而作品上表現的「余」的心理狀能與行動擔當不起親自設定的重任, 換句話說「余」自己說定的是可以說桑神性的·君子的聖人, 而作品上顯示的人是充滿人間性的人, 因此對於抒情主體「余」的品性的形象化存在着不可避免的點在矛盾, 就抒情主體「余」的能力問題來說, 其形象化特徵與上面的品性開題흔相似. 就作品中表現的內容來說, 當時的政治中心君王昏庸無能, 導致社會政治極爲腐敗, 因此抒情主體「余」的政治理想無法在當時的離治現實中得以實現, 故「余」自認·自設的優秀能力反而在當時的政治現實面前顯得蒼白無力, 由此可以證明「余」的能力的局限性. 綜上所述, 在$lt;離騷$gt;中的抒情主體「余」的品性與能力由于不能達到自己設定的水平, 因此作品的主人公深陷于烈事性的妥當性問題的矛盾之中而不能自拔.

      •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영란,Joun, Young-Ran 한국호스피스협회 2008 호스피스 학술지 Vol.8 No.1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하여 그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주관적 구조와 유형을 탐색하여 학령기 아동에게 죽음인식을 이해하며 효과적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에 관한 주관적인 구조와 유형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Q-모집단은 학령기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중립적 면담과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총 132개의 진술문을 수집하였으며. Q표본은 비 구조화된 방법을 통해 23개의 진술문(Q-표본)을 도출하였다, P표본은 학령기 아동 31명(8세-13세)이었으며 Q카드를 이용하여 Q-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C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 유형은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 유형은 기능적형으로 죽음의 구성요소인 비역행성, 보편성, 비기능성, 인과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두드러진 유형이었다. 제 2 유형은 사후 세계형으로 기독교의 종교적 배경을 가진 아동들과 직계가족의 죽음을 경험을 했으며 사후세계에 대하여 강한 내세 중심의 죽음인식이 두드러진 유형이었다. 제 3 유형은 종교형으로 죽어서도 가족과 친구들을 지켜볼 수 있다는 믿음이 강하기 때문에 사후세계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이 확실한 유형이었다. 제 4 유형은 공포형으로 죽음에 대한 공포가 타 유형에 비하여 강한 유형이었다. 제 5 유형은 현실형으로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에 강한 긍정적인 동의를 보이는 유형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가 주는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간호실무면에서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의 주관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문헌이나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죽음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의 차원에서 좀 더 확대되어 학령기 아동이 인지하는 죽음의 정의, 사후세계,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수준을 이해하고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학령기 아동들의 효과적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하여,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죽음 경시풍조 및 만연된 자살을 예방하고 올바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밑거름이 되는 역할을 담당 할 것이다. 간호이론 면에서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의 주관적 구조와 유형별 특성을 규명하고 탐색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 모델 구축과 나아가 생명존중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간호연구 면에서 학령기 아동에게 유형별로 긍정적인 죽음인식과 더 나아가 생명 존중의 측면에서 심리사회적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과 간호중재 전략의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Purpos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ubjective structures and types of school age children's perception of death through an investigative study on their perception of death in order to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them to understand death, and develop and carry out an effective death education program. Methods: The study method used the Q Methodology which can investigate the subjective structures and types of school age children's perception of death. For Q-population, 20 school age children were used as subjects for neutral interviews and open surveys, and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a total of 132 statements were collected, For Q-samples, 23 statements (Q-samples) were derived through a non-structural method. P-samples were 31 school age children (8-13 year olds), Q-sorting was carried out using Q-card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C QUANL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children's perception of death was divided into five types. The first type was functional type, characterized by prominent subjective perception regarding the elements of death, such as non-reversibility, universality, non-functionality, and causality. The second was after-life type, characterized by a strong, focus on life after death in one's perception of death, and it included children with Christian background and those who had experienced death in their immediate family. The third was religious type, characterized by a strong belief in being able to still watch over one's family and friends after one's death, resulting in a positive faith in the after-life. The fourth was fearful type, characterized by a deeper fear of death in comparison to other types. The fifth was realistic type, characterized by a strong and positive assent to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paper's study to Nursing is as follow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subjectivity of school age children's perception of death in nursing practice, and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al elements of death presented with strong emphasis in existing literature and studies, the results will expand these understandings and allow us to understand the level of perception in school age children regarding the definition of death, after-life, and good death, be utilized as useful material in developing an effective death education program for them according to their type characteristics, and become the fertilizer for enabling the children to live a proper life and preventing the tendency to make light of death that occur in adolescence and the spread of suicides. In terms of nursing theory, the description and examination of the subjective struc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types of school age children's perception of death can be utilized as useful material for building a model of school age children's perception of death, and be further used for teaching respect for life. In terms of nursing research,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research describing the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developing tools for providing psychosocial nursing in terms of giving school age children a positive perception of death according to their types as well respect for life.

      • 이수광의 杜詩 註釋에 대한 評析 : 肯定的인 側面에서

        全英蘭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人文科學硏究 Vol.15 No.-

        This paper studies the "Poetic(文章部)" of Ji-bong-yu-seul(芝峯類說) written by Lee, Su-Kwang(1563-1629), the renowed scholar of the yI Dynasty. Consisting of 20 volumes, Ji-bong-yu-seul is a sort of encylopedia. It covers a variety of issues from the astronomical to the insect in 25 parts. Coming of a noble family, Lee was gifted by nature and erudite. Through his 3 visit to Peking, Lee experienced and studied various aspect of foreign civilization and atttempted to introduce them to his own country. He was also a man of literary talent. Not only he wrote more than 500 Chinese poems but also had its own theory of poety. This theory was recordedd in the "Poetic", that is, in the volumes 8 to 14 of Ji-bong-yu-seul. The kernel of Lee's theory was "to respect the poetry of Tang Dynasty and to reject the poetry of Song Dynasty." As expected, therefore, Lee showed a great interest in Du, Fu's poems. Among the 1,300 articles of the "Poetics", 135 articles were about Du, Fu. Of these 135 articles, annotations on Du, Fu's poems are the 135 articles about Du, Fu. Lee insisted that, to regardless ramppant social evils, people must aim at a concrete study based on through research rather than an empty, nonsensical academic study. This belief motivated Lee to write Ji-bong-yu-seul. Annotation itself is significant as a groundwork in studying foreign literature. Lee's annotations are also important in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his motive of writing Ji-bong-yu-seul. If we read Lee, Su-Kwang's annotation materials closely, we can see not only supreme taste in his literary perpective but also various problems in them. By Studying Lee's material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and examine a part f the materials which can be positively re-evalua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티베트족의 전통 혼례습속에 관한 연구

        전영란 한국동북아학회 2015 한국동북아논총 Vol.20 No.3

        Although Tibetan is a minority group under the control of China now, their wedding custom ha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that is different from Chinese Hanzu with the influence of natural environment and special religion and ideology. In other words, strict class endogamy and affinity exogamy, jus sanguinis kept the prosperity and development of nation, liberal love, premarital pregnancy, division of property and sexual equality of family headship etc, wedding and family norms have some characteristics in their ways. This kind of wedding custom helped keep characteristic of nation and form identification of national culture. This paper inquires the traditional wedding custom of such Tibetan and prospects how the custom has been changed through exchange and reformation open with the outside world after the communization. And it discusses the educational undertone which their traditional wedding custom has. Although Tibetan is accomplishing text and cultural unification, there are a small difference in wedding custom according to habitual regions and dialects. This paper focuses on wedding custom of Qinghai, Anmdo region's Tibetan who inhabits in a relatively wide region among various dialectical regions, and has higher national unification compared to Tibetan inhabiting other region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topic and academic limitation of researcher, this paper mainly depends on the literature study, and analytical data is mainly based on various literature published in China. 티베트족(藏族)은 현재 중국의 통치를 받고 있는 소수민족이긴 하지만, 그들의 결혼습속은 그들이 처한 자연적 환경과 독특한 종교 및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중국의 한족과는 다른 그들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민족 내 엄격한 등급내혼과 혈연외혼제(혈친 금기), 혈통중시는 민족의 번영과 발전을 유지하였고, 자유연애‧혼전 임신 허용‧재산 분배 및 호주 승계권의 남여 평등 등 혼인과 가정 규범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결혼습속은 민족의 특성을 유지하고 민족문화의 일체감을 형성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티베트인 고유의 전통 혼례습속을 알아보고, 그것이 공산화 이후 외부와의 교류 및 개혁개방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들 전통 혼례습속이 갖는 교육적 함의를 동시에 논의해 보고자 한다. 티베트족은 비록 문자와 문화적 통일을 이루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 거주지역 및 방언의 차이에 따라 혼례습속 역시 약간의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여러 방언지역 가운데 비교적 넓은 지역에 걸쳐 거주하고 있고,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티베트족에 비하여 높은 민족적 융합을 이루고 있는 칭하이성 안둬 지역 티베트족의 혼례습속에 초점을 맞추고자한다. 주제의 특성과 연구자의 학문적 한계로, 본 논문은 주로 문헌적 연구에 의존하며 분석 자료는 대부분 중국에서 출판된 각종 문헌을 바탕으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