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하문제해결에서의 GSP를 활용한 탐구학습 신장

        전영국,주미,Jun, Young-Cook,Joo, Mi 대한수학교육학회 1998 수학교육학연구 Vol.8 No.2

        This paper suggested a geometry learning model which relates an exploratory learning model with GSP applications, Such a model adopts GSP's capability of visualizing dynamic geometric figures and exploratory learning method's advantages of discovering properties and relations of geometric problem proving and concepts associated with geometric inferencing of stud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3 middle school students by applying the proposed model for 6times at computer laboratory. The overall procedure was videotaped so that the collected data was later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ology.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ith less than van Hiele 4 level took advantages of adoption our proposed model to gain concrete understandings of geometric principles and concepts with GSP. One of the lessons learned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oles of students and a teacher who want to employ the proposed model need to change their roles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방과후 수업용 로봇예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전영국 ( Young Cook Jun ),이행미 ( Haeng Mmi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2

        본 논문은 초등학교 방과후 교실 수업에서 창의적 활동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로봇예술 프로그램을 설계 및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실제 적용한 사례를 다룬다. 먼저 고고보드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이 프로젝트 기반의 개인별 활동을 할 수 있는 로봇예술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전남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2개교의 방과후 교실에서 1년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고안하고 설계하며 고고보드를 이용하여 실제 작품을 만들어보는 창의적 활동으로 연계하였다.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진행한 방과후 로봇교실 수업에 관한 관찰(비디오), 로봇 프로젝트 결과물, 사진 등을 수집하여 사례 연구로 제시하였다. 방과후 강사 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로봇예술 프로그램에 대하여 형성 평가함으로써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요소를 추출하였다. This paper aimed at developing an art-based robotic program in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design their own ideas and carry out individual projects. We introduced a 10 month after-school robot-art program in two elementary schools which was developed to promote creative activities. The program was designed for participants using the GoGo Board for their individual project-based activities. Once implementing their own ideas the participants actively engaged with their creative activities using GoGo Board. Data for the case study was collected using video clips, pictures, and artifacts. Two after-school robot teachers also joined in follow-up interviews to provide data on the robot-art program activities as part of formative evaluation. The results provide a guideline for improvement for both after-school robot teachers and educators to modify and apply future robot-art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필리핀 학교에서 적용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로봇 AEEP 사례에 대한 형성 평가

        전영국 ( Young Cook Ju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학습 기반의 국제교류 프로그램인 AEEP(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를 필리핀에서 수행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중등학생과 필리핀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2011년 8월 14일부터 22일까지 필리핀 남부 지역의 카가얀 드 오로시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 고찰, 관찰, 면담, 보고서 자료의 내용분석 및 일화 자료를 수집하여 사례 연구를 통해 AEEP 설계 및 적용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보완점을 마련하였다. 에듀테인먼트와 프로젝트 기반 팀 활동을 기반으로 한국-필리핀 문화 체험을 통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의 특성을 띤 로봇 AEEP는 팀별로 로봇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축제의 장에서 로봇 작품을 완성하고 팀별 발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활동의 장을 제공하였다. 한국과 필리핀의 중등학생들은 멘토의 균형잡힌 도움을 토대로 팀별로 재미와 학습을 겸한 다문화적 교수-학습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활동 사례를 보여주였다. 향후에 로봇 AEEP에 대한 형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APEC권역에서 관련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대한 실제적 안내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quality of AEEP(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 conducted at a Philippino science School as part of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evaluation.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Aug 14 to 22 in 2011 in the southern part of Philippines, Cagayan de Oro city. Based on observation, interview and report and vignettes on the robot AEEP, this study tries to provide better direction on the program. The mixture of edutainment and project-based team activities were prepared in Korea with 2 pre-workshops and carried out in a Gusa Science School with almost 30 Korean-Philippino secondary school students for promoting robotic projects. This case study revealed the features of robotic AEEP in terms of edutainment based on the notion of conviviality. The dynamic equilibrium of authority given by mentors guides each team toward successful project wrap-up and multi-cultural project presentation at the end. The overall activities of robot AEEP was evaluated as part of formative evaluation. The results provide a guideline for both teachers and practioners who might try to design and apply a future version of robotic AEEP in the APEC regions.

      • KCI등재후보

        창의적 체험 활동을 지원하는 Joy 프로젝트의 운영 사례 고찰

        전영국 ( Young Cook Ju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3

        본 논문은 과학·정보·예술·문화 등의 분야를 융합한 통한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인 Joy 프로젝트를 설계 및 개발하고 형성 평가한 사례를 소개한다. Joy 프로젝트는 초등학생 및 중학생들은 주말 및 방학 중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모색하고 팀별로 협력하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해 기량을 쌓은 후 연말에 창의력 올림피아드 대회에 참가하는 연계성을 갖추고 있다. K영재교육원 소속의 학생 중에서 희망자와 일반학생(초등 및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2011년 7월부터 2012년 5월까지 Joy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간 프로그램을 운영한 과정에서 수집한 사진, 동영상, 면담, 보고서 자료를 분석한 후에 창의적 체험 활동에 관한 이슈 위주로 사례를 고찰하였다. 스토리 기반의 표현하기와 팀별 협업을 통한창의적 체험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형성 평가를 통해 Joy 프로젝트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창의적 체험교육 담당자들에게 실제적인 안내를 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case study evaluated a program designed and developed to promote creative activities by combining science, information, art and cultur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ursued creative ideas and implemented them in team-based settings to develop their own capacities and to attend creative contests. The annual program was conducted between July 2011 and May 2012 in K province as part of a gifted education program which also included general students who wanted to join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included interviews with students, an annual report, photos as well as video clips produced during the Joy project. As part of the formativ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case review will provide a guideline for both teachers and practitioners who want to carry such creative programs in both schools and outdoor camps.

      • KCI등재

        연극놀이와 과학탐구 기반의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운영한 대학교수의 자전적 사례 탐구

        전영국(Jun Young c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재능기부의 일환으로 연극놀이 기반의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창의력 경연 대회 참가자들을 지도했던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교육실천가들에게 통합적 관점과 사례를 제공하는 것이 다. 연구자는 대학교수로서 2013년 안식년 기간에 주말 및 방학 기간에 초등 및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호 흡명상에 기반을 둔 연극놀이와 과학 탐구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창의인성 프로그램(S 아카데미)을 설계 및 운영하면서 겪었던 다양한 경험과 관점, 태도 등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서 자전적 사례연구 방 법을 활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자의 자기회상 메모, 학생들의 창의적 활동에 대한 문서, 사진 및 동 영상 자료, 학생 소감문 자료 등을 포함한다. 자료 해석의 결과 도출된 주요 측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 구자는 참여 학생들이 상상력을 토대로 과학적 탐구를 겸하여 연극놀이를 수행함으로써 표현력의 향상과 협력을 통한 인성의 증진 등을 보여주는 패턴을 포착하였다. 둘째, 특정 주제에 대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후에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시나리오 상황을 파악하고 상대방 배역의 역할 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과학적 탐구와 연극 놀이를 통하여 시나리오를 비롯한 소품의 구상 및 제작과 연극적 표현 연습을 통하여 의도하지 않았던 경험들이 참여 학생들에게 창의적 이해의 학습 상 황으로 발전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understand a practical case in which a collaborative team-based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promote creativity and humanity on a voluntary basis. The participants were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were engaged in designing creative ideas and producing artifacts based on team collaboration via the creativity Olympiad contest (DI) held in both Korea and USA. The creative project, called S academy program,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2013 and May 2014 during weekends and semester vacations. The collected data included documents, essays, photos, video clips, as well as memos for interactions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project and creativity Olympiad contest. The main features of the program revealed both positive and critical aspects, encouraging more provocative and reflective comments. First, the participants revealed their improvement on performing team-based presentation skills and creatively exploring capabilities. Second, the participants needed to grasp the contextual information for creating a scenario, and understand the roles of other students after articulating the collected data for their creative and scientific exploration. Third, their unintended experiences during the whole process seemed to contribute to the unfolding learning situations for creative understandings via drama play.

      • KCI등재

        정보 영재반 중학생들의 IT 융합 사사 프로젝트 수행에 관한 질적 분석

        전영국 ( Young Cook Ju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9 No.4

        이 논문은 2년의 수학-정보 통합 영재교육 과정을 마치고 사사과정에 진입한 중학생들이 IT 융합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례를 분석하고 형성평가의 관점에서 사사과정 프로그램을 보완할 요인을 도출하였다. 담당교수는 학생들이 중학생 3학년의 수준과 사사 과정의 특징을 감안하여 로봇키트와 미디어를 융합한 상호작용적 IT 융합 프로젝트를 자기주도적으로 해 나갈 수 있도록 안내해 주었다. 2015년 2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사사과정 기간 동안 팀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 관한 문서와 보고서를 비롯하여 사진 및 동영상 자료, 작업결과물, 학생들과의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참여 학생들의 컴퓨팅 실력과 IT 융합 프로젝트에 대한 흥미가 제각기 달랐음에도 팀별 프로젝트 수행은 아이디어 탐색과 설계에 해당되는 초기 단계보다 그 이후의 구현 단계에서 적극적이고 안정된 패턴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들의 산출물을 연구와 교육(R&E)의 9단계 모델에 따라 형성평가한 결과 작품 완성도에서 상중하에 따른 개인별 차이를 보여주었다. 끝으로 이 사례는 향후에 질적으로 보완해야 할 방향 및 사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tried to analyze cases of one year team-based project of gifted students who spent two year programs in a math-IT integrated class as part of formative evaluation and extrac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uture enhancement for the program. The researcher as an advisory professor tried to guide the students as minimally as possible considering their levels of IT skills so that they could self-directedly perform the IT-fused project on a team basis. The data collection included documents, annual report, photos, video, artifacts and interview data with the students for the whole team project carried out between February and December, 2015. The overall pattern of the project activities has been stabilized in the middle of the cours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s of brainstorming and design work even though the students revealed the differences of their programming skills and preferences toward the project theme. Their project outcom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9 steps of R&E model and has shown individual differences according to low, middle and high level. At the end, the analysis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the mentorship progra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