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여자청소년들의 역할정체성, 역할긴장과 심리적 안녕감

        전신현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1999 여성연구논총 Vol.14 No.-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다름에 있어 청소년들의 주요 역할영역이 되는 부모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학업성적을 그 주요 원인으로 다룬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역할정체성이론에 근거, 세 역할영역에서의 긴장 혹은 만족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영향력이 남녀청소년에게서 각기 상이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한다. 서울시 남녀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험적으로 접근한 본 연구결과에서는 학업성적의 심리적 안녕감의 영향력은 남녀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작용한다는 결과를 제시해 본 가설을 지지했다. 즉 학업성적은 남자청소년의 경우 그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여자청소년의 경우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못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예측과는 달리 부모나 친구와의 관계, 특히 부모와의 관계는 남녀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이 발견되었다.

      • 여성의 감정이입과 남을 돕는 행동

        전신현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1998 여성연구논총 Vol.13 No.-

        This study asks the nature of the motivation underlying helping behavior and tests whether true altruism could exists. The most commonly proposed source of altruistic motivation is empathic emotion. Empathy is defined as an other-oriented feelings with an ability of taking other's perspective and a cognitive awareness of the other's internal states. Some have argued that feeling empathy leads to increase helping others, which is based on the desire to improve other's welfare. However, others claim that helping motivation is ultimately directed toward the egoistic goal of increasing our own welfare. This study intends to test empathy-altruism hypothesis whether helping behavior is directed toward the goal of benefiting others, not toward some form of self-benefit. This study explores three egoistic alternative hypotheses, which are based on cost-reward model, and consider other causal factors: costs for helping, rewards for helping, and costs for not helping(self-blame and other's censure). This study also focuses on gender differences on empathy and helping behavior and tests whether females are more other oriented, more likely to help others than males. Consistent with the empathy-altruism hypothesis, results establish a link between empathy and helping behavior and show that females have more empathic concerns associated with helping behavior than males.

      • KCI등재후보

        거주지역 환경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신현 한국청소년학회 2004 청소년학연구 Vol.11 No.2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explaining youth's mental health. However, recent studies have indicated that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can explain individual level of mental health. Using multi-level data surveyed from 40 neighborhoods and 610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Kyungsang areas, this study shows that youths in neighborhoods with low income, high unemployment, and high stability have some problems with mental health. In addition, youths in physically disordered and poorly equipped neighborhoods are more likely to have mental health problem. As it is predicted that the effect of neighborhood on mental health is mediated by family and school factors,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neighborhood factors on individual level of mental health is directly significant and indirectly mediated by some familt and school factors, even though the effects of some family and school factors on youth's mental health is stronger than those of neighborhood. The policy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의 설명요인으로 개인의 특성요인에 주목했다. 그러나 최근 지역특성 요인들이 개인의 정신건강을 설명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이 거주하는 지역특성이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갖는다. 경상지역 40개 지역의 6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다수준 연구의 연구결과에서는 경제적으로 저소득 지역, 실업율이 높은 지역, 인구이동이 적은 안정적인 지역의 청소년들이 정신건강의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역이 물리적으로 무질서하고, 시설이 낙후한 지역에 사는 아이들이 정신건강의 문제를 더욱 겪는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지역요인은 가정과 학교요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그러한 매개작용은 발견할 수 없었으며, 지역요인과 독립적으로 강압적인 가정의 아이들, 그리고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정신건강의 문제를 크게 겪는다는 결과를 얻었고,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의 문제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보다는 가정, 학교환경에 의해 보다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지역의 특성 또한 강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어느 정도 지역의 특성이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사이버 집단괴롭힘 현상의 원인 모색

        전신현,이성식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1

        이 연구는 모바일매체의 등장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청소년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집단괴롭힘의 현상의 원인을 모색하려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집단괴롭힘 연구에서의 주요 원인들에서 개인, 가정, 학교, 친구요인들 및 동기요인과 휴대전화 매체의 기회요인들을 도출하고 조사연구를 통해 휴대전화 집단괴롭힘에 적용해 본다. 개인요인으로는 성별, 공격성과 낮은 자기통제력, 휴대전화 집단괴롭힘에 대해 갖는 태도, 그리고 과거 집단괴롭힘의 피해경험을, 가정요인으로는 부모의 강압적 양육방식, 부모와의 갈등, 부모와의 애착, 학교요인으로 폭력적 학교환경, 학교부적응, 교사와의 애착, 그리고 친구요인으로는 비행친구의 수를 다루며, 동기요인으로 분노형, 지배형, 재미쾌락형, 배척형 동기의 영향력을, 그리고 휴대전화 매체기회요인으로 휴대이동성, 익명은밀성, 이용능숙성을 다룬다. 이 연구에서는 휴대전화의 모바일 매체특성에 근거하여 이들 요인들의 영향력에 대한 가설을 제시해 본다. 2008년도 서울시 남녀 중학생 청소년 7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과거에 집단괴롭힘의 피해 경험이 있는지, 휴대전화를 이용한 비행경험 친구가 있는지, 그리고 재미쾌락형의 동기가 그 주요 원인으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causes of cyber-bullying by cell phone. This study applies various explanatory factors emphasized by previous bullying studies to cyber-bullying. This study includes individual factors(sex, aggressiveness, low self-control, attitude toward cyber-bullying, and previous victim experiences of bullying), family(parent's coercive discipline, conflict with parents, and attachment to parents), school(violent school climate, school maladjustment, and attachment to teachers), peer(number of delinquent peers), and motivation(anger, power, pleasure, group exclusion) and media opportunity factors(portability, anonymity, and skillfulness in use). This study presents several hypotheses about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cyber-bullying by cell phone. Using data from 715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2008, results show that previous victim experiences, association with cyber-bullying peers and pleasure motivational factor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cyber-bullying by cell phone.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도움행동의 원인에 관한 경험연구 : 서울시 대학생을 중심으로

        전신현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정보화정책 Vol.18 No.1

        This study explores the causes of online helping behavior. This study tests the effects of various explanatory factor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on helping behavior. These factors include social demographic, situational, motivational, and social capital factors. According to the survey of 475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in 2010, age and relig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online helping behavior. In addition, the perceived helping opportunity, time and effort cost to help, and social capital factor have significant effects on online helping behavior. Results reveal that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factor is the largest among other variables. However, it is shown that the effects of benefit from helping, empathy, and personal norm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factor is important across all types of online helping behavior except information helping. The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이 연구는 온라인상의 도움행동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도움행동에 관한 연구를 기반으로 도움행동의 요인을 사회인구학적 요인, 상황요인, 개인동기요인, 사회자본요인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해당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조사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2010년 서울시 대학생 4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요인에서는 연령과 종교가, 상황요인에서는 도움행동의 기회가, 이기적 동기요인에서는 시간과 노력의 손실비용이,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사회자본이 온라인상에서 남을 돕는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성과 계층요인, 도움으로 얻는 이득이나 이타적 동기로서 감정이입, 그리고 개인규범 등의 요인은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지 못했다. 도움행동을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도 사회자본요인이 정보도움을 제외한 경제도움, 정서도움, 시간과 노력의 도움에서 가장 중요한 설명요인이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해 본다.

      • KCI등재

        헌혈의도의 주요 설명요인들의 검증: 헌혈 미경험자와 경험자의 비교

        전신현 한국보건사회학회 2017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45

        이 연구는 헌혈행동의 주요 설명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계획된 행동이론의 요인들(주관적 규범,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과 자기효능감, 헌혈의 동기요인들(이득과 손실요인 및 감정이입과 개인규범), 사회자본의 네트워크와 역할정체성, 그리고 주위의 헌혈경험의 헌혈의도에 대한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무엇보다 헌혈미경험자와 헌혈경험자 두 집단간에 그 설명요인들이향후 헌혈의도에 다르게 작용하는지에 주목했다. 서울시 대학생 293명을 조사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전체적으로 볼 때 헌혈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이 가장 컸고, 그 외에 헌혈시 주사바늘의 두려움의 손실이 헌혈의도에 주요 요인임을 제시했다. 그리고 주관적 규범과 역할정체성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위의 요인들을 헌혈미경험자와 경험자 두 집단에 적용한 결과를 보면 헌혈미경험자와 경험자 모두에서 헌혈의 자기효능감이 헌혈의도에 가장 중요한 설명요인인 것은 차이가 없었으나, 그 다음 요인으로 헌혈미경험자의 경우는 주관적 규범이, 헌혈경험자에서는 태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고, 그 외 헌혈시 두려움은 헌혈미경험자에서, 헌혈을 안했을 때의 손실은 헌혈경험자에서상대적으로 중요해 차이를 보였다. 그 외 그 영향이 직접적이지 않았지만 요인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는 미경험자의 경우에서는 사회자본 네트워크나 주위 헌혈경험이 중요했던 요인인 반면, 경험자의 경우에서는 상대적으로 지각된 행동통제나 개인규범, 그리고 역할정체성의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헌혈미경험자에 있어서는 주위환경의 외적 요인들이 중요했던 것에 비해 헌혈을 경험한 사람들에 있어서는 내적 요인들이 중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everal explanatory factors such as factors in theory of planned behavior(subjective norm, attitude, perceive behavioral control), self-efficacy, motivational factors(benefit-cost factors, empathy, personal norm), social capital and role-identity, and social learning factors for explaining blood donation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s on applying those explanatory factors to two groups: non-experienced and experience blood donors. Using data from 293 university student in Seoul, results show that self-efficacy is the most strong factors in explaining blood donation intention, and that fear in blood donation, subjective norm, and role-identity are also important determinants of blood donation intention. It is revealed that self-efficacy is the most strong in both non-experienced and experience blood donors, but there are differences that subjective norm is significant in non-experienced group, while attitude is significant in experienced group.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fear in blood donation is important in non-experienced group, while cost in non-blood donation is significant in experienced group. Furthermore, social capital network and family and other's blood donation are significant in non-experienced group. In contrast, perceive behavioral control, personal norm, and role-identy are significant in experienced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 environmental external factors are important in non-experienced group,while personal internal factors are important in experienced group.

      • KCI등재

        청소년 폭력피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및 친구관계의 조절효과: 성별에 따른 두 대립가설의 검증

        전신현 한국피해자학회 2018 被害者學硏究 Vol.26 No.3

        이 연구는 청소년의 폭력피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부모관계와 친구관계의 조절작용을 살펴보며 그러한 조절효과가 남녀 청소년에게 얼마나 차별적인지의 성별 차이를 다룬다. 그러한 부모관계와 친구관계의 조절효과는 폭력피해의 우울에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완충작용과 그 반대로 오히려 우울을 증가시키는 촉진작용의 서로 상반되는 작용이 가능한데 남녀에 따라 어떻게 다를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사용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우선 폭력피해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큰 것을 제시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갖는 주제의 분석결과로 폭력피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관계와 친구관계의 조절효과는 성별 차이를 제시했는데, 여성의 경우는 폭력피해와 친구관계의 상호작용효과가 부(-)적으로 작용했고, 남성의 경우는 폭력피해와 부모관계의 상호작용효과가 정(+)적으로 작용한 것을 제시했다. 이 결과는 폭력피해에서 여성의 경우는 친구관계가 완충역할을 하는 것으로, 남성의 경우는 부모관계가 촉진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으로, 여성의 경우 피해시 친구관계가 좋을 경우 우울이 감소하지만, 남성의 경우 피해시 부모와의 관계가 좋을 때 오히려 더 우울의 경향이 높음을 제시한다. 이 결과의 정책적 함의를 논의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s with parents and peers between violence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is different across male and female student. This study tests two contrasting buffering or promoting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s across gender. That is, this study tests whether the effect of violence victimization on depression may be buffered or promoted by high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s and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Using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tudy Data, it is found that effect of violence victimization on depression is larger on female than on male. In addition, results show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s between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It is revealed that for male, the interaction effect of victimization and parent-relationship on depression is significantly positive, while for female, the interaction effect of victimization and peer-relationship on depression is significantly negative. Those results show that when they are victimized from bullying, high parent-relationship is promoting depression in male and, while high peer-relationship is buffering depression in female. The policy implication of those results is discussed.

      • KCI등재

        SNS는 청소년 삶만족에 이로운가? 현실에서의 부모와 교사, 친구관계, 삶만족 그리고 SNS사용과의 관계

        전신현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3 공공정책연구 Vol.4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relation with parents, teacher, and peers, life satisfaction, and SNS use to know how SNS use affects youths’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tests various six models whether SNS use affects negative relations with others, which in turn decreases life satisfaction, whether SNS use affects negatively relation with parents and teachers but positively relations with peers, which increases life satisfaction, whether low life satisfaction with negative relations with others increases SNS use, whether low relations with others increases life satisfaction by using SNS, whether low relations with others decreases life satisfaction by using SNS,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life satisfaction is superious. In addition, this study tests six models in the case of SNS addiction instead of SNS use. Analyzing Children and Youth Panel Data(2018- 2019) from middle schhool students,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life satisfaction is low. It is shown that relations with others affect both SNS use and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life satisfaction is superious. However, in case of SNS addiction, it is shown that reciprocal relation with SNS addiction and life satisfaction is large. That is, results implies that low life satisfaction increases SNS addiction and that SNS addiction decreases life satisfaction. Neverthless, It is revealed that SNS use or addiction increases the relations with peers, in turn can be beneficial to life satisfaction, even though SNS addiction is alternative to negative real life and has not overall positive infl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