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촉매법을 적용한 오존 저감형 플라즈마 기기

        전신영,김동준,김종엽,권진구,전용민,도계령,이성의,Jeon, Sin Young,Kim, Dong Jun,Kim, Jong Yeop,Gwon, Jin Gu,Jeon, Young Min,Do, Gye Ryung,Lee, Seong Eui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21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4 No.1

        In this study, we created a DBD plasma device and a MnO2 catalyst mesh filter for evaluating ozone reduction of devices via the catalyst method. The DBD plasma device was manufactured by applying Ag paste to soda lime glass via the screen-printing method. The MnO2 catalyst mesh filter was manufactured by mixing MnO2 powder with binder with a 10% difference in concentration from 10% to 50% and then applying it using the dip-coating method. Finally, we sintered a MnO2 catalyst mesh filter in an electric furnace. W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ozone generation according to the Ar gas flow of DBD plasma devices, the opening ratio, and ozone reduction performance of the MnO2 catalyst filters. Ozone reduction performance was approximately 20.4% at MnO2 10 wt%, 37.8% at MnO2 30 wt% and 50% at MnO2 50 wt%.

      • KCI등재

        공간-주파수 적응적 영상복원을 위한 Vaguelette-Wavelet 분석 기술

        전신영(Sinyoung Jun),이은성(Eunsung Lee),김상진(Sangjin Kim),백준기(Joonki Paik) 大韓電子工學會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6 No.6

        본 논문에서는 베이글릿-웨이블릿 분석(vaguelette-wavelet decomposition; VWD)을 이용한 공간-주파수 적응적 영상복원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웨이블릿 계수의 공간적 정보를 이용하여 평탄 영역과 에지 영역을 분리하고, 적응적 웨이블릿 계수축소(wavelet shrinkage)를 통해 잡음 성분을 억제한다. 뿐만 아니라, 에지 영역에서는 엔트로피(entropy)를 적용하여 웨이블릿 부대역의 잡음 성분을 추정하고, 부대역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잡음 성분을 억제한다. 이렇게 억제된 웨이블릿 계수의 베이글릿 역변환을 통해 영상을 복원 할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듬에 사용되는 베이글릿 함수는 잡음을 추정 및 억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밀한 에지 성분의 보존이 가능하도록 변형을 한다. 실험결과에서는 제안한 알고리듬이 잡음에 강건하고, 세밀한 에지 성분을 보전하면서 효과적으로 열화된 영상을 복원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space-frequency adaptive image restoration approach using vaguelette-wavelet decomposition (VWD). The proposed algorithm classifies a degraded image into flat and edge regions by using spatial information of the wavelet coefficient. For reducing the noise we perform an adaptive wavelet shrinkage process. At edge region candidates, we adopt entropy approach for estimating the noise and remove it by using relative between sub-bands. After shrinking wavelet coefficients process, we restore the degraded image using the VWD. The proposed algorithm can reduce the noise without affecting the sharpness detail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algorithm efficiently proved to be able to restore the degraded image while preserving details.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섭취 실태

        전신영(Jun, Shinyoung),홍은주(Hong, Eunju),정효지(Joung, Hyojee)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섭취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 4, 5기 (2007~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한국인 상용식품의 플라보노이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식품안정성에 따른 총 플라보노이드 및 개별 플라보노이드 섭취량, 식품군 섭취량, 주요 급원 식품군 및 10개 식품을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식생활형편 문항을 이용하여 대상자를 식품안정성 확보군과 미확보군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에서 연령, 조사기수, 가구 소득수준, 교육수준, 월간음주 여부, 식이보충제 복용 여부, 외식 빈도에 따른 두 군의 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녀 모두 총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놀, 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바놀, 이소플라본, 프로안토시아니딘 섭취량이 식품안정성 미확보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총 섭취 열량을 보정한 후에는 총 플라보노이드, 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바놀 섭취량만 유의하게 낮았다. 총 열량 보정 후, 안토시아니딘과 프로안토시아니딘은 여성에서만 식품안정성 미확보군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은 식품안정성 수준이 불량할수록 낮아지는 경향도 발견되었다. 식품안정성 미확보군은 식품안정성 확보군보다 채소류, 과일류 등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았고, 과일류, 채소류로부터 섭취한 플라보노이드의 양이 유의하게 적었다. 식품안정성 확보군의 주요 급원 식품은 사과 (20.7%), 귤 (12.0%), 두부 (11.5%) 등이며, 식품안정성 미확보군의 주요 급원식품은 사과 (14.9%), 두부 (13.3%), 귤 (12.6%) 등으로, 미확보군의 플라보노이드 섭취에 기여하는 식품 중 두류 및 그 제품의 비율이 비교적 높고, 과일류의 비율이 비교적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품안정성과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에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식품안정성에 따른 식품 섭취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추후 더욱 정확한 식품안정성 조사 자료와 더욱 포괄적인 파이토케미컬 섭취 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수행되면 식품안정성에 따른 식사의 질 차이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food security with the total and individual flavonoid intakes among Korean adult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3,454 men and 19,563 women aged 19 years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07~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odsecure and food-insecure groups using the answers to a self-reported question on food sufficiency of subjects" household. The total and individual flavonoid intakes were calculated by linking 24-h dietary recall data of subjects with a flavonoid database. Mean differences in dietary outcomes by food security status, and major food sources of total flavonoids were examined. Result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5.8% of male adults and 6.6% of female adults were in food insecure households. Mean daily intakes of total flavonoids, flavonols, flavones, flavanones, flavan-3-ols, isoflavones, and proanthocyanidi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food-insecure groups than food-secure groups among both male and female adults. The differences were maintained in total flavonoids, flavones, flavanones, and flavan-3-ols after adjusting for total energy intake. Mean intakes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food-insecure groups and the total flavonoid intake from fruits and vegetables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food-insecure groups. The major food sources of total flavonoids were apples (20.7%), mandarines (12.0%), and tofu (11.5%) in the food-secure group, and apples (14.9%), tofu (13.3%), and mandarines (12.6%) in the food-insecure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food insecurity was associated with lower intakes of flavonoids and reduced intakes of fruits and vegetables in a representative Korean population.

      • KCI등재

        한국 성인의 항산화 비타민 섭취와 대사증후군 위험 간의 관련성

        안서은(Ahn, Seoeun),전신영(Jun, Shinyoung),강민지(Kang, Minji),신상아(Shin, Sangah),위경애(Wie, Gyung-Ah),백현욱(Baik, Hyun Wook),정효지(Joung, Hyojee)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take of antioxidant vitamins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MetS) among Korean adults. Methods: A total of 614 subjects aged 30~60 years were recruited from those who received a medical checkup at a general hospital in South Korea between 2009 and 2012. Presence of MetS was determined based on criteria issued by the NCEP ATP III. Intakes of antioxidant vitamins (vitamin A, retinol, carotenoids, vitamin C, and vitamin E) were estimated by combining 3-day diet records with an antioxidant vitamin database for common Korean foods. We us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takes of antioxidant vitamins and MetS. Results: Men in the highest tertile for retinol (OR = 0.40, 95% CI = 0.23~0.71, P for trend = 0.0009), carotenoids (OR = 0.57, 95% CI = 0.32~1.00, P for trend = 0.0470), and vitamin E (OR = 0.52, 95% CI = 0.30~0.92, P for trend = 0.0190) intakes had a lower likelihood of having Mets than those in the lowest tertile. The OR of high fasting blood glucose among men in the highest tertile for vitamin A (μg RE: OR = 0.55, 95% CI = 0.32~0.97, P for trend = 0.0417, μg RAE: OR = 0.52, 95% CI = 0.29~0.92, P for trend = 0.0211), carotenoids (OR = 0.41, 95% CI = 0.23~0.73, P for trend = 0.0036), and vitamin E (OR = 0.47, 95% CI = 0.26~0.82, P for trend = 0.0080) intakes was lower than those in the lowest tertile. In women, subjects in the highest tertile of retinol intakes had a lower prevalence of MetS than those in the lowest tertile group (OR = 0.55, 95% CI = 0.30~0.98). The OR for abdominal obesity was lower among women with the highest vitamin A (μg RE) intakes compared to those in the lowest tertile (OR = 0.51, 95% CI = 0.28~0.93, P for trend = 0.0293).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intakes of antioxidant vitamins might be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of having MetS among Korean adults.

      • KCI등재

        대사증후군 환자 및 위험군의 식사 내 총 항산화능과 산화스트레스 및 대사 지표의 연관성

        함동우(Ham, Dongwoo),전신영(Jun, Shinyoung),강민지(Kang, Minji),신상아(Shin, Sangah),위경애(Wie, Gyung-Ah),백현욱(Baik, Hyun Wook),정효지(Joung, Hyojee)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3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위치한 일개 종합병원의 건강검진 수검자 중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두 가지 이상 보유한 346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과 설문조사 자료, 한국인 상용식품의 총 항산화능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한 식사 자료를 분석하여 성별에 따라 대사증후군 환자 및 위험군의 식사 내 총 항산화능과 그에 따른 산화스트레스 및 대사 지표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대상자들의 식사 내 평균 총 항산화능은 여성이 196.4 mg VCE/d/1,000 kcal, 남성이 132.0mg VCE/d/1,000 kcal로 남성은 총 항산화능 수준이 높을수록 GGT로 추정한 산화스트레스 수준과 수축기·이완기혈압, 혈중 중성지질 농도의 이상자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던 반면 여성은 그렇지 않았다. 또한 남성은 플라바논, 안토시아니딘을 비롯한 플라보노이드의 섭취밀도가 GGT와, α-카로틴, β-카로틴, 루테인/제아잔틴을 비롯한 카로티노이드의 섭취밀도가 d-ROMs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여성에서는 α-토코페롤과 γ-토코페롤만이 BAP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사 내 총 항산화능 수준에 따른 높은 산화스트레스 수준과 대사 지표 이상자의 유병률 차이는 남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추후 식사 내 총 항산화능과 대사증후군을 비롯한 만성질환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규모의 표본으로 전향적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otal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TAC) with oxidative stress and metabolic markers among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gender. Methods: A total of 346 subjects aged 30~59 years with two or mor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ere recruited from a general hospital near Seoul in South Korea between 2010 and 2012 based on data from the medical checkup. Biochemical indices for oxidative stress and metabolic markers were measured. Food consumption data from 3-day food records were linked with the antioxidant capacity database for commonly consumed Korean foods to estimate individual"s TAC. Results: Average dietary TAC of the study subjects was 132.0 mg VCE/d/1,000 kcal in men and 196.4 mg VCE/d/1,000 kcal in women. Levels of γ-glutamyltransferase (GGT),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blood triglycerides were reduc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increasing TAC in m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trend in women. Intakes of total flavonoids and carotenoid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GGT (p < 0.05) and d-ROMs (p < 0.01) in men, whereas those of α-tocopherol (p < 0.05) and γ-tocopherol (p < 0.05)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iological antioxidant potential (BAP) in women. The odds ratio of high oxidative stress indices and abnormal metabolic markers according to TAC level were not significant in either men or wome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dietary TAC was partially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and metabolic markers among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for elucid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TAC and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chronic diseases within a large population in prospective studies.

      • KCI등재

        우리나라 청소년의 플라보노이드 섭취 실태

        김성아(Kim, Seong-Ah),전신영(Jun, Shinyoung),정효지(Joung, Hyojee)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6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2~18세 청소년의 플라보노이드 섭취 실태와 그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 4·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2012) 자료의 24시간 회상법 자료와 상용식품 중 플라보노이드 함량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1일 총 플라보노이드 및 개별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놀, 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반-3-올, 안토시아니딘, 이소플라본)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 12~18세 청소년의 1일 평균 총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은 남자 청소년이 195.6 mg/d, 여자 청소년이 189.4 mg/d 였으며, 개별 플라보노이드 중에는 플라보놀, 이소플라본 순으로 섭취량이 많았다.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에 따라 영양소 및 식품군의 섭취량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는데,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이 많은 군에서 지방 섭취량과 지방 기여 에너지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식이섬유와 비타민 C 섭취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식품군 별로 살펴보았을 때,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이 많은 군일수록 곡류와 육류, 우유 및 유제품군의 섭취량이 적었고, 두류와 과일류의 섭취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요인, 건강 관련 지표, 식생활 요인의 분포를 살펴보았을 때,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이 많은 그룹일수록 여성의 비율이 더 많았으며, 허리둘레와 수축기 혈압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적었다. 여러 역학연구를 통해 플라보노이드가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이 증명되었고, 청소년기의 식생활은 성인기 이후 만성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으므로, 성인기의 건강을 위해서 청소년기부터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한 식생활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의 플라보노이드 섭취 실태를 확인한 본 연구에서 더 나아가 플라보노이드 섭취량과 대사지표 및 질병의 유병률 등과의 연관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dietary flavonoids intake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Using data from the 2007-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3,957 subjects aged 12-18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estimated individual daily intake of total flavonoid and six flavonoid classes including flavonols, flavones, flavanones, flavan-3-ols, anthocyanidins, and isoflavones by linking food consumption data with the flavonoids in the commonly consumed food database. The distribution of sociodemographic, health-related, and dietary factors according to flavonoids intake was examined. Results: Average dietary flavonoids intake of the study subjects was 195.6 mg/d in girls, and 189.4 mg/d in boys. The highest flavonoids intake group consumed significantly more fiber, vitamin C, legumes, fruits, and vegetables (p < 0.01) and less fat, grains, meats and dairy foods than other lower consumption groups (p < 0.001). Dietary flavonoid intak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waist circumferenc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p < 0.05).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estimation of flavonoids intake of Korean adolescents.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for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flavonoids intake and health-related factors such a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 KCI등재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 및 급원식품군의 현황 및 추이

        안서은(Ahn, Seoeun),전신영(Jun, Shinyoung),김성아(Kim, Seong-Ah),하경호(Ha, Kyungho),정효지(Joung, Hyojee)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5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과 기여식품군의 현황 및 추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1~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69,665명의 24시간 회상 자료를 한국인 상용식품의 비타민 E 함량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α-, β-, γ-, δ-토코페롤 및 비타민 E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비타민 E의 섭취량은 1998년도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3~2015년의 비타민 E 섭취량은 남성 7.5 mg α-TE/d, 여성 6.4 mg α-TE/d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식품군별 비타민 E 섭취 기여율을 산출하였을 때에는 채소류, 곡류, 난류 순으로 기여율이 높았고, 시간에 따른 추이를 보았을 때에는 채소류의 기여율은 감소하였고 난류의 기여율은 증가하였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이용해 본 연구에서 추정한 한국 성인의 비타민 E섭취량을 평가한 결과, 비타민 E의 평균 섭취량이 충분섭취량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섭취 부족현상은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뚜렷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영양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비타민 E의 기능 및 급원식품을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체계적인 방법으로 추정한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개정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나, 한국인 상용식품 내 다양한 형태의 비타민 E 함량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수행되면, 더욱 정확한 비타민 E 섭취량 추정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rends in dietary vitamin E intakes and contributing food groups among Korean adul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6,695 subjects aged ≥ 19 years who completed a nutrition survey as part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2001, 2005, 2007~2009, 2010~2012, 2013~2015). We estimated individual daily intakes of α-, β-, γ-, δ-tocopherol, and total vitamin E by linking food consumption data with a vitamin E database of commonly consumed foods. Results: Daily vitamin E intak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4 mg α-TE/d in 1998 to 7.7 mg α-TE/d in 2013~2015 (p for trend < 0.0001) among men as well as from 5.4 mg α-TE/d in 1998 to 6.5 mg α-TE/d in 2013~2015 among women (p for trend < 0.0001). However, the intake of vitamin E was lower than the adequate intake (AI)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2015 KDRI). In 2013~2015, men consumed 6.5 mg/d of α-tocopherol, 0.5 mg/d of β-tocopherol, 6.0 mg/d of γ-tocopherol, and 3.9 mg/d of δ-tocopherol, whereas women consumed 5.7 mg/d of α-tocopherol, 0.4 mg/d of β-tocopherol, 4.8 mg/d of γ-tocopherol, and 2.8 mg/d of δ-tocopherol. The major food groups contributing to vitamin E intake were vegetables (men: 23.3%, women: 22.7%), grains (men: 14.5%, women: 13.9%), and eggs (men: 13.0%, women: 12.5%).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scientific evidence for vitamin E intake in Korean adults. Since the current intake of vitamin E was lower than the reference intakes set by 2015 KDRI, dietary vitamin E intake should be monitored regularly among Korean adults.

      • KCI등재

        우리나라 성인의 한식 섭취율에 따른 다량영양소 및 항산화 비타민 섭취현황

        김성아(Kim, Seong-Ah),전신영(Jun, Shinyoung),홍은주(Hong, Eunju),정효지(Joung, Hyojee)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5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한식 섭취율과 그에 따른 식생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 4·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2012) 자료의 24시간 회상법 자료와 한식 데이터베이스 및 상용식품 중 영양소 함량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1일 한식 섭취율과 영양소 및 항산화 비타민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 33,069명 중 75%가 1일 한식 섭취율이 75% 이상이었고, 한식 중에서는 배추김치, 잡곡밥, 쌀밥 순으로 섭취빈도가 높았다. 한식 섭취율이 높은 군일수록 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가구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와 교육수준이 가장 낮은 1분위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한식 섭취율에 따른 4분위군의 영양소 섭취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한식 섭취율이 높은 군일수록 에너지, 단백질, 지방의 평균 섭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항산화 비타민 중에서는 비타민 A, β-카로틴과 β-크립토잔틴, 비타민 C가 한식 섭취율과 양의 관계를 보였으며, 레티놀, α-카로틴 비타민 E 섭취량은 음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한식 섭취율이 높은 군일수록 감자 및 전분류, 두류, 종실류,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의 섭취가 높았고, 곡류, 당류, 우유·유제품, 유지류 등의 섭취가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한식 섭취율이 높은 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에너지 섭취량이 적고, 다량영양소 중 탄수화물의 에너지 비율은 높은 반면, 지방의 에너지 비율은 적었다. 한식 섭취율은 비타민 A, β-카로틴과 β-크립토잔틴, 비타민 C 등의 항산화 비타민 섭취량과 유의한 양의 연관성이 있었으며, 성, 연령, 소득수준 등이 각각 동일할 때에도, 한식 섭취율이 높은 군은 낮은 군에 비해 항산화 영양상태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식의 섭취 수준에 따른 건강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수행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intakes of macronutrients and antioxidant vitamins according to the Hansik consumption rate among Korean adults. Methods: Using data from the 2007~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33,069 subjects aged over 19 years ol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estimated individual daily Hansik consumption rates and intakes of macronutrients and antioxidant vitamins, including vitamin A and its subgroup such as retinol, α-carotene, β-carotene, and β-cryptoxanthin, vitamin C, and vitamin E, by linking food consumption data with the nutrient and antioxidant vitamin database of commonly consumed foods. Results: Around 75% of subjects consumed Hansik in over 75% of their daily total consumed food.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Hansik was cabbage kimchi (1.57 times/day), followed by multigrain rice (0.86 times/day) and white rice (0.80 times/day). The household income level and education level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Hansik consumption rat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ansik consumption rate and vitamin A, β-carotene, β-cryptoxanthin, and vitamin C intakes. On the other hand, Hansik consumption rate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energy and fat intak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ansik consumption could provide more antioxidant vitamins and less energy and fat. Thus,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Hansik and health effects.

      • KCI등재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A 섭취현황

        김성아(Kim, Seong-Ah),전신영(Jun, Shinyoung),정효지(Joung, Hyojee)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비타민 A 섭취 실태와 그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 4·5기 국민 건강영양조사 (2007~2012) 자료의 24시간 회상법 자료와 상용식품 중 레티놀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1일 레티놀, 6종의 카로티노이드 (α-카로틴, β-카로틴, 리코펜, β-크립토잔틴, 루테인/제아잔틴) 및 비타민 A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 33,069명의 평균비타민 A 섭취량은 레티놀 당량으로 788.4 μg RE/day였으며, 레티놀 활성당량으로는 488.9 μg RAE/day였다. 대상자의 비타민 A 섭취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새로 개정된 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의 비타민 A 기준과 비교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2010년의 RE 기준으로는 42.9%가, 2015년의 RAE 기준으로는 70.6%가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75세 이상 대상자 중 80% 이상이 새로 개정된 기준에 따르면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고,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비타민 A 섭취 부족 위험이 증가하였다. 각 식품군별 비타민 A의 섭취량을 산출하였을 때에는, 채소류, 조미료류, 해조류, 과일류 순으로 기여율이 높았다. 새로 제정된 영양섭취기준에 따라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A 섭취량을 평가한 결과, 종전에 비해 매우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한 충분한 양의 비타민 A를 섭취하도록 교육하고 권고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A 섭취량을 추정하고, 섭취의 적절성을 평가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비타민 A의 섭취 실태를 확인한 본 연구에서 더 나아가 우리나라 국민의 비타민 A 및 레티놀, 카로티노이드의 섭취량과 대사지표 및 부족 증상의 발생 등과의 연관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dietary vitamin A intake and examine major food sources of vitamin A in Korean adults. Methods: Using data from the 2007~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33,069 subjects over 19-years-ol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estimated individual daily intakes of retinol, carotenoids such as α-carotene, β-carotene, β-cryptoxanthin, lutein/zeaxanthin, and lycopene, and vitamin A by linking food consumption data with the vitamin A database of commonly consumed foods. We compared individual vitamin A intakes with the reference value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Results: Average dietary vitamin A intakes of study subjects were 864.3 μg retinol equivalent/day (495.7 μg retinol activity equivalent/day) in men and 715.0 μg retinol equivalent/day (403.6 μg retinol activity equivalent/day) in women. Exactly 42.9% and 70.6% of total subjects consumed less vitamin A than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based on retinol equivalent and retinol activity equivalent, respectively. The major food sources of vitamin A were Korean radish leaves, carrot, red pepper, and laver, and the top 20 foods provided about 80% of total vitamin A intake.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estimation of vitamin A intake in Korean adults.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insufficient or excess intakes of vitamin A and health problems in the Korea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