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隱退決定 및 隱退 後 消費와 所得에 관한 硏究 : 패널資料를 利用한 分析

        전승훈 成均館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47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은퇴 결정요인 및 은퇴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은퇴 후 적정 소득대체율을 추계하였음. Demographic change such as a rapid population aging has been a major challenge facing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In particular, the retirement of the "baby boom" generation, combined with their longer life expectancies, will place extraordinary pressures on the economic resources, which are necessary to sustain the rising standard of living. Therefore, economic well being of retirees becomes most significant concerns among various socioeconomic problems. Man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conomic behavior of the retirees; their retirement decision, consumption over the life cycle, appropriate income level to sustain the pre-retirement welfare level, etc. Most studies on retirement in Korea, however, give rise to a problem of using cross-section data instead of panel data. Using cross-section data, they have compared the retirees' behaviors to non-retirees' in order to compare the economic behaviors during the post-retirement periods to the pre-retirement periods. Such the comparison misleads conclusions, since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retirees and non-retirees can be attributable to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ther than whether they have been retired or not. This provokes me to use the longitudinal panel data and compare the retirees' own pre-retirement economic behavior and post-retirement economic behavior in order to analyze the behavior of retirees. The data used here is the 1998-2003 Survey of Korea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KLIPS is a longitudinal survey of households and individuals residing in urban areas on their labor market and income activities. Both 2001 and 2003 survey of KLIPS contain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health and retirement. In this paper, I analyzed three issues regarding the retirees' economic behavior using the KLIPS. Firstly, I focused on the retirement decision and analyzed what factors affect the retirement decision of the elderly in Korea. To address these questions, I incorporated the factors affecting retirement decision into three groups; 1) financial resources available actually (wage, non-wage income, housing status, public pension), 2) ability to work (age, gender, occupational status, level of education), and 3) financial needs (number of household, marital status). And I estimated the panel probit estimation with random effect. Secondly, I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head's retirement and household consumption. From the dynamic optimization problem of the household consumption with uncertainty, I derived the household consumption equation including retirement dummy as a independent variable. To estimate the equation, I employed the linear panel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within groups estimation, between groups estimation, and panel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GMM).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consumption, I also investigated the interdependence of two decisions on when to retire and how much consume before and after retirement. I compared the pre- (or post-) retirement consumption conditioned on the retirement decision to pre- (or post-) retirement consumption regardless of retirement decision. I employed the two-stage switching regression for the econometric method. Then I tested the existence of the interdependence in terms of the significance of the estimated selection biases which appeared in the pre- (post-) retirement consumption equations for early and late retirees. In those equations, I also compared the income elasticity of the consumption of the early retirees to that of the late retirees. Thirdly, I estimated the optimal income replacement ratio. The concept of income replacement ratio involves how much economic resources retirees should have. To capture this concept, I measured an adequate post-retirement consumption level in terms of the estimated results of the household consumption equation and then estimated the ratio of post-retirement consumption to pre-retirement incom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ability to work, household heads' age and level of education show significantly positive signs and increase the retirement probabilitie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financial resources actually available, non-wage income and public pensio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retirement decision while wage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retirement decision. Marital status reflecting the financial need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sign, implying that those living with a wife tend to have a lower retirement probability. (2) The estimated results of the household consumption equation show that retirement dummy variabl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sign. It implies that retirement of the household head increases household consumption after controll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head, household income and housing status. (3) There is a negative selection bias in early retirees' consumption. This implies that due to the early retirement decision early retirees would have consumed less than they actually have. The income elasticities of the consumption of the early retiree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ate retirees in pre- (or post-) retirement consumption equ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relatively longer retirement period due to the early retirement affect the household consumption. (4) The optimal income replacement ratio is 66.55%. This implies that comparing to the pre-retirement income, retirees need only 66.55% of income during the retirement period.

      • 예비타당성 조사제도가 R&D과제 성과에 미치는 연구 : 특허성과를 중심으로

        전승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R&D project to verify the role o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is a process of assessing the feasibility of overall planning for large R&D projects in advance so that the government's budget is efficiently allocated to large R&D projects where large budgets are matched. In this study, Cross-sec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mpact o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on R&D performance, and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ropriety Score Matching (PSM) analysis were performed. The analysis found that the size of government-funded R&D budgets had a positive impact on R&D performance. However, the government-funded high ratio of government research funds had a negative impact on R&D performance. In addition, the regression and PSM analyses confirmed that R&D projects implemented through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are using R&D performance R&D budgets more efficiently. Through this study, the government's budget supports the creation of performance in R&D projects, but the high ratio of government budget spending has a negative impact on R&D performance. This suggests the ne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R&D budgets by establishing efficient task management and systems along with budgets for local governments, private and indirect expenses. In additio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confirmed that the R&D projects were more e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and further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through an objective and independent analysis process through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syst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at thes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budget management and induce the R&D performance needed by modern society for R&D project. 본 연구는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예비타당성 조사제도의 기능과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R&D 지원 과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연구이다. 여기서 R&D 분야 예비타당성 조사제도는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대형 국가사업에 대하여 정부의 예산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기획의 타당성을 과제단위에서 사전에 평가하는 조사제도이다. 본 연구는 예비타당성 조사가 성과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2011년을 기점으로 횡단면분석(Cross-Section Analysis)을 이루었으며, 회귀분석과 PSM(Propensity Score Matching)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중앙정부에서 투입한 R&D 지원 예산의 규모는 R&D 성과(특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앙정부에서 투입한 정부연구비의 비율이 높을수록 과제단위 성과에서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여 시행된 R&D 과제는 중앙정부로부터 투입된 R&D 연구비를 활용하여 R&D 성과를 더 효율적으로 창출하고 있음을 회귀분석과 PSM 분석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앙정부의 예산 투입은 R&D 과제에 있어서 성과창출을 지원하고 있지만, 중앙 정부 예산의 투입비율이 높아질수록 과제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R&D 과제에 있어서 지방정부나 민간, 간접비 확보 등의 적절한 예산 투입과 함께 효율적인 과제관리 및 시스템 구축으로 R&D 분야에 투입된 예산의 운영을 더욱 제고시켜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예비타당성 조사제도는 R&D 과제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성과창출을 더욱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예비타당성 조사제도를 통한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분석과정으로 사업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고 내역 사업에 대한 운영의 효율성을 더욱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비타당성 조사제도가 R&D 과제에 있어서 예산운용의 효율성을 키우고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R&D 성과창출을 적절히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시청자의 프로그램 참여와 관여도, 준사회적 상호작용, 충성도와의 관계 연구 :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전승훈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로 인해 시청자의 방송 참여가 늘어나고 있다. 시청자들은 보편화된 개인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거의 없이 실시간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의견을 공유한다. 최근 예능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장르로 자리매김한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경우 이러한 능동적인 시청자 참여가 프로그램을 진행시키는 기본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예능 장르로 정착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한 학술적 연구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있으며, 특히 시청 효과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시청자 참여가 시청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이에 생방송 문자 투표와 프로그램 충성도를 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두 변인을 관여도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매개할 것이라 예측하였다. 관여도(involvement)는 주로 개인 심리적 차원의 흥미, 관심, 몰입, 주목성 등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되어 왔다.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경우 끊임없는 경쟁이 가져오는 긴장감과 기대감을 통해 시청자의 몰입과 주목을 이끌어냄으로써 프로그램 관여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시청자는 특정 참가자를 지지하는 경향이 강하며, 생방송 문자 투표를 통해 자신의 지지를 적극적으로 밝히게 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특성으로 인해 시청자와 지지하는 참가자 사이에 준사회적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이 형성될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생방송 문자 투표는 프로그램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표 참여 정도와 프로그램 충성도 사이에 정적인 관계가 검증되어 시청자의 프로그램 참여 정도가 시청 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생방송 문자 투표와 관여도, 준사회적 상호작용, 프로그램 충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여도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생방송 문자 투표와 프로그램 충성도를 매개하는 변인임이 밝혀졌다. 즉, 시청자의 프로그램 참여는 프로그램 관여도와 출연자와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시청 효과를 매개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청자의 프로그램 참여와 관련한 정량적 연구 영역의 확장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시청자의 프로그램 참여의 가능성과 필요성은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능동적 시청 행위가 시청 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 또한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그러한 연구 필요성에 부응하는 시도이며, 프로그램 제작 실무자에게는 시청자 참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구약성서에 나타난 창조와 고대근동의 창조사상 비교

        전승훈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창조에 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하나님의 창조가 다른 고대근동의 창조와는 무엇이 다른가, 얼마나 더 정교한가를 각 원문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 이 논문의 요지이다. 이 논문은 고대근동에 대한 개관으로부터 시작하였다. 고대근동 지역의 지리적 개관과 정치·사회 구조의 개관을 통해서 고대근동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고대근동의 바벨론의 창조서사시들을 알아보고, 구약성서의 창조기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고대근동의 창조와 구약성서의 창조에 관해 비교하였다. 고대근동, 바벨론에 나타난 창조 중 성서의 창조와 비슷한 것은 혼돈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 인간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흙을 사용한다는 것, 창세기의 일곱째 날에 피조물을 다 만드시고 쉬신 것이 고대근동 서사시에 하급 신들이 인간의 창조로 인해 노동에서 벗어나는 것과 유사하다. 차이점으로는 하늘과 땅을 만들 때 무엇을 통해서 만들었는가, 인간을 창조할 때는 어떻게 만들었는가, 또한 창조가 끝이 난 이후 창조신은 어디로 갔는가 이다. 마르둑은 지상세계인 바벨론의 왕이 되는 것으로 서사시는 끝이 난다. 바벨론 왕의 정통성을 위해서 지어낸 이야기 같지 않은가. 예수께서 오실 때에는 세상의 왕으로 오시지 않았다. 인간을 지은 목적에서 고대근동의 신화들은 신 중심적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성서의 인간 창조는 인간을 위한 뚜렷한 목적과 계획, 사랑을 보여주고 있다. 고대근동의 창조와 창세기의 창조는 많은 부분에서 어울리지 못하며 비교를 하면 할수록 창세기의 창조가 얼마나 더 세밀한지에 관해 더욱 알게 될 것이다.

      • 사회적 경제에 따른 문화예술분야 대응방안 연구 :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전승훈 예원예술대학교 문화영상창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적 경제는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욕구,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주된 요소로 삼는 대안 경제이다. 한국에서는 1997년 말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기업들의 연쇄부도와 구조조정, 실업과 빈곤의 문제를 타계하기 위해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생겨났다. 그 과정에서 2007년에는 ‘사회적 기업 육성법’이, 2012년에는 ‘협동조합 기본법’이 제정되어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은 한국 사회적 경제의 대표적인 모델로서 자리 잡기 시작했다. 본고는 한국에 생겨난 사회적 경제에 따른 문화예술분야의 대응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문화예술분야에서도 다양한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이 만들어졌는데, 타 분야에 비해서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가 어렵고 사회적 기업이나 협동조합 스스로의 자생력 또한 미비하기 때문이다. 특히 ‘협동조합 기본법’의 제정 이후, 한국 사회에서는 “사회적 기업은 실패했으며, 이제는 협동조합이 대세”라는 분위기가 시민 사회와 정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생겨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정부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책과 제도에서 실패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정부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책은 사회적 목적 실현보다는 직접적인 인건비 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집중되어있었으며, 다양성과 특성을 무시한 사회적 기업에 대한 획일화 된 정책은 사회적 기업의 자생력과 지속가능성을 더욱 약화시켰기 때문이다. 그리고 향후 사회적 기업 인증 범주에 사회적협동조합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을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협동조합 또한 자본주의 한국사회에서 하나의 주요한 영역이 아닌 대안이라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모델인가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가 있으며, 수익성이 낮은 서비스 분야에 권장된 협동조합이 그에 수반된 충분한 사업적 고민과 상품이 없는 상태에서의 설립열풍을 두고 무작정 대세라고 평가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사회적 경제에 대한 분석과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관련 정책의 문제점과 문화예술분야의 사례를 토대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경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정책 및 제도적 관점의 경우, 의존지향성을 극복하기 위한 사업 방향에 대한 지원, 운영에 필요한 교육 및 컨설팅, 각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이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 및 매개 역할 수행, 그리고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기업 내부적 관점의 경우,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 설립의 분명한 목적 수립, 수익모델의 다양성과 독창성 발굴을 위한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인 및 경영 전문가 결합, 지역 내의 네트워크를 통한 긴밀한 연계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사회 환경적 관점의 경우, 문화예술이 한국 사회 전반에 존재하는 경쟁과 자본의 논리에 의한 대안으로써 단순한 선택적 향유가 아닌 필수적 요소로서의 사회적 인식이 필요할 것이다. 이처럼, 문화예술분야의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은 단순한 정책과 제도의 측면이 아닌 사회적 가치의 추구와 다양한 영역 내에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며, 아직 명확한 성공사례가 없는 문화예술분야 협동조합의 경우 향후 평가에 대한 정책적, 사회적 기준 역시 사회적 가치의 실현과 지속가능성 추구에 맞춰져야 할 것이다.

      • 사별여성독거노인을 위한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효과

        전승훈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indfulness-based mediation Mobile Application on perceived str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deliberate rumination, post-traumatic growth, and ego integrity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Methods :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built By combining one proposition from Calhoun and Tedeschi's (2004) post-traumatic growth model with Lazarus and Folkman's Transitional Model of Stress (1984).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developed, an ADDIE-based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was created. During the analysis stage,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ubjects' educational needs. During the analysis stage,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ubjects' educational needs, and the constituent items for the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were determin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that has mindfulness meditation as an intervention as well as literatur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contents of the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were composed and supplemented with advice from meditation experts during the design stage, and the application was designed by determining the storyboard and entity-relationship diagrams. After creating a user system interface, a mobile application in the form of a test-bed (apk file) was created during the development stage. During the Implementation stage, a researcher and developer test was carried out by running a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in a real-world mobile environment, and a beta version of the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was derived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based on the test results. For beta-version mobile applications, expert content validity evaluation, expert heuristic evaluation, and user heuristic evaluation were performed during the evaluation stage, and the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was finally complet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The study included 58 elderly women aged 60 or older who lived alone in six cities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with 28 experimental groups and 30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used a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eight times (twice a week) for 45 minutes each time. The pre-test and post-test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χ²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The tool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mobile applications included tools for measuring perceived stress,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intentional rumination,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integr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the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reported significantly less stres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use the app.’ was accepted (t=-.541, p<.001). 2.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the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had significantly less de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use the app.’ was accepted (t=-3.194, p=.002). 3.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the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had significantly lower suicide idea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use the app .’ was not accepted (z=-.453, p=.651). 4. Hypothesis 4: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the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had significantly more deliberate rumina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use the app.’ was accepted (z=-2.247, p=.013). 5. Hypothesis 5: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the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had significantly greater post-traumatic growth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use the app.’ was accepted (t= 3.947, p<.001). 6. Hypothesis 6: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the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ego integr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use the app.’ was supported (t=3.060, p=.003). Conclusion :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uilt By combining one proposition from Calhoun and Tedeschi's (2004) post-traumatic growth model with Lazarus and Folkman's Transitional Model of Stress (1984), this study created a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for the elderly who live alone. This application was found to improve intentional rumination,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integration while reducing stress and depression. As a result, the intervention using the mindfulness-based meditation mobile application is expected to improve the successful bereavement adaptation and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별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사별여성독거노인의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Lazarus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 교류 모델(Transactional Model of Stress)과 Calhoun과 Tedeschi(2004)가 제시한 외상 후 성장 모델의 명제를 합성하여 구성한 개념적 기틀을 기반으로 ADDIE모형에 따라 사별여성독거노인 대상 마음챙김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대상자들의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으며, 사별여성독거노인 및 마음챙김 명상 중재를 시행한 문헌들을 고찰하여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구성항목을 결정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명상전문가로부터 자문을 받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구성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스토리보드 및 설계-개체관계 다이어그램을 결정하여 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사용자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테스트배드형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실행환경에서는 실제 모바일 환경에서 베타버전의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여 연구자 및 개발자 테스트를 시행하였으며, 테스트 결과에 따라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가, 전문가 휴리스틱평가, 사용자 휴리스틱 평가를 시행하여 평가결과에 따라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완성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 울산, 경남의 6개 시에 거주하고 있는 사별을 경험한 60세 이상의 여성 독거노인 58명으로, 실험군 28명, 대조군 30명이며, 실험군은 총 8회(주 2회 구성), 회기 당 45분 내외의 프로그램으로 구성 된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사전조사, 사후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χ² test 및 Fisher's exact test와 independent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와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자아통합감 도구를 사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541, p<.001). 2. 제 2가설 :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이 낮을 것이다.’는 지지 되었다(t=-3.194, p=.002). 3. 제 3가설 :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살생각이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z=-.453, p=.651). 4. 제 4 가설: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의도적 반추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 되었다(z=-2.247, p=.013). 5. 제 5 가설 :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외상 후 성장이 높을 것이다.’는 지지 되었다(t= 3.947, p<.001). 6. 제 6가설 :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아통합감이 높을 것이다.’는 지지 되었다(t=3.060, p=.003). 결론: 본 연구를 통해 Lazarus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 교류 모델(Transactional Model of Stress)과 Calhoun과 Tedeschi(2004)가 제시한 외상 후 성장 모델의 명제를 합성하여 이론적 틀을 구성한 것을 기반으로 ADDIE모형의 단계에 따라 개발된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사별여성독거노인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을 감소시키고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자아통합감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마음챙김 명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는 사별여성독거노인의 성공적인 사별 적응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유형과 지속성이 기업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승훈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유형과 지속성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공유가치창출(CSV:Creating Shared Values) 활동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보다 더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고 더불어 사회공헌활동의 지속성이 높고 낮음에 따라 소비자 반응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하였다. 나아가 이와 같은 기업의 활동들이 효과를 발휘하는 심리적 기재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느끼는 기업의 동기인식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을 위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유형을 조작하여 가상의 식품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지속성을 구분하여 네 종류의 신문 기사를 제작하였으며 서울, 수도권 거주 120명의 성인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주요 조사 변인으로 사회공헌활동 유형(CSV vs CSR)과 지속성(High, Low)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사회공헌활동 평가, 진정성, 동기인식, 기업태도, 구매의도 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네 종류의 신문기사는 120명의 실험자들에게 무작위로 배포하여 각 신문기사 별 응답자의 반응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가설에서 예상했던 대로 사회공헌활동 평가, 진정성, 동기인식, 기업태도, 구매의도 등 모든 종속변인들이 CSR 활동보다 CSV 활동이 더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사회공헌활동의 지속성이 높을수록 그 효과는 크게 나타났지만 예상과는 달리 통계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났다. 반면, 소비자들은 CSV 활동이 이윤추구 혹은 이미지제고라는 기업의 동기가 CSR 활동보다 강하다고 해도 더 진정성이 있다고 믿으며 더 호의적인 태도와 구매의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CSV 활동과 CSR 활동 간의 효과 비교에 관한 연구로써, 소비자들은 CSR 활동보다 CSV 활동을 더 높게 평가하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기업과 사회의 공유가치 창출한다는 것에 진정성을 느끼고 이것이 구매활동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재가남성 독거노인의 우울 예측요인

        전승훈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화에 따른 노인인구의 비율 증가와 더불어 독거노인 인구의 비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가장 뚜렷한 변화는 남성 독거노인의 경우 여성보다 인구비율은 적으나 이들의 인구 증가율이 여성 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한다는 점이다. 이렇듯 최근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남성 독거노인들은 신체적,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취약하여 우울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이들의 우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가남성 독거노인의 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우울 예측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우울 예방과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예측적 상관 설계의 서술적연구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1월 7일 부터 2019년 2월 15일까지 이며, 부산, 전남, 경남에 위치한 18곳의 노인복지관, 재가복지센터, 자활센터, 무료급식소, 보건지소 등을 이용하거나 등록되어 있는 65세 이상 재가남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은 157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측정도구(전병재, 1974), 자기용서 측정도구(김병직 등, 2013), 포괄적 한국 노인 허약사정 도구(오은미, 홍(손)귀령, 2017), 한국어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조맹제 등, 1999)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PASW) for Window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9.5세(±6.19)로, 우울 총점의 평균점수는 6.52점(±2.68)이었으며 우울증상이 있는 대상자는 59명(37.6%)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총점의 평균점수는 23.61점(±6.52), 자기용서 총점의 평균점수는 58.31점(±12.65), 허약 총점의 평균점수는 7.78점(±2.91)으로 나타났다. 일반적특성에 따른 우울은 교육정도(t=2.05, p=.042), 독거기간(F=9.57, p<.001), 월수입(F=11.92,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우울은 자아존중감(r=-.51, p=.001), 자기용서(r=-.36,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허약(r=.59,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상관분석에서 유의한 변수인 교육정도, 월수입, 독거기간, 자아존중감, 자기용서, 허약을 투입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수입, 자아존중감, 자기용서, 허약이 재가남성 독거노인의 우울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월수입이 50만원 이상인 경우보다 50만원 미만에서 우울이 9.13배(OR=9.13, p=.013) 높았고, 자아존중감이 1점 증가할수록 우울은 0.66배(OR=0.66, p=.000) 낮았다. 자기용서가 1점 증가할수록 우울은 0.86배(OR=0.86, p=.002) 낮았고, 허약은 1점 증가할수록 우울이 2.75배(OR=2.75, p=.002)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재가남성 독거노인의 우울수준은 매우 높으며 복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재가남성 독거노인의 우울 예측 요인에 대한 탐색을 위해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이를 바탕으로 재가남성 독거노인의 우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s population of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has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silver population ratio because of aging society, it is the most obvious change that population growth rat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s much faster than elder women living alone, although population ratio of the former case is smaller than the later. Showing the increasing trend, the elderly men living alone are physically, economically,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vulnerable so that they could experience depression much higher. However, there are a few studies about their de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mediating measures to prevent and manage their depression by identifying their depression levels and predictors of the depression. This is a descriptive study of predictive correlation design, and it collected data from January 7th in 2019 to February 15th in 2019. This study selected 157 participants, who are elderly men living alone and over 65. The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and they had used or had been registered in 18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Jeonnam province, and Gyeongnam, including elderly welfare centers, home welfare centers, self-sufficiency centers, food service centers, and health sub-centers. This study utilized measuring tools, such as self-esteem scale (Jeon Byeong-Jae, 1974), self-forgiveness scale (Kim Byeon-jik, 2013), the Comprehensive Korean Frailty Instrument (CKFI) for measure frailty (Oh Eun-Mi, Hong (Son) Gyu-Ryeong),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GDSSF-K) (Jo Maeng-Jae, 1999). By operating SPSS (APSW) for Window 21.0 statistical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the real number and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a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is research showed results as follows.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79.5 (±6.19), and their average score of total score of depression was 6.52 (±2.68). It was highly shown that 59 participants (37.6%) had depression symptoms. Average score of total score of self-esteem was 23.61 (±6.52). Average score of total score of self-forgiveness was 58.31 (±12.65). Average score of total score of frailty was 7.78 (±2.91). Depress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t=2.05, p=.042), period of living alone (F=9.57, p<.001), and monthly income (F=11.92, p<.001). Depression of the subjec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r=-.51, p=.001), self-forgiveness (r=-.36, p=.001),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frailty (r=.59, p=.001). As results of conduct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inputting significant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monthly income, period of living alone, self-esteem, self-forgiveness, and frailty, with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ubjects, this study found that monthly income, self-esteem, self-forgiveness, and frailty are predictors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men living alone. In case of monthly income, it found that depression is 9.13 times higher (OR=9.13, p=.013) in a group, whose income is less than 500 thousand won, compared to a group, whose income is over than 500 thousand won. In case of self-esteem, depression is 0.66 times lower (OR=0.66, p=.000) when the score of it becomes one point higher. In case of self-forgiveness, depression is 0.86 times lower (OR=0.86, p=.002) when the score of it becomes one point higher. In case of frailty, depression is 2.75 times higher (OR=2.75, p=.002) when the score of it becomes one point higher. This study could find that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men living alone is very high and various factors influenced the level. So, as it should be needed to research predictors of the elderly men living alone from multiple aspects, nursing mediating programs for preventing and managing the depression of elderly men living along have to be developed and applied based on the multi dimensional data. Keywords: Elderly Men Living Alon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Depression, Predi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