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의 기능 안에서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연구

        전석환(Suck-Hwan Ju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8 철학탐구 Vol.49 No.-

        현대사회를 연구하는 일 중에서 예술이 정치나 경제 권력으로부터 얼마나 독자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왜냐하면 사회 기능의 제(諸) 영역 안에서 예술이 자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혹은 없다’라는 기준은 한 특정국가의 문화수준을 측정하는 객관적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예술은 인간의 자유를 표현하는 형식’이라고 전제하고, ‘예술의 자율성 부재’란 ‘자유롭지 못한 사회에 있어서 개인들의 구속적 상태를 반영하고 있다’라는 주장은 매우 설득력이 있는 주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전제로 예술은 한 국가와 사회에 있어서 문화의 핵심이고 동시에 그 사회의 총체적 척도가 된다. 그러므로 경제적 부는 지금의 상태를 진단하는 현실적 지표이지만 예술은 ‘유토피아적 목적설정’을 통해 한 특정한 사회의 미래적 전망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예술이 정치나 경제 권력의 시녀가 아닌 독자적 힘을 갖게 될 수 있는 사회적 조건은 과연 무엇일까? 본 연구에서는 공론장(公論場)의 개념과 그 개념의 발생사의 해명을 통해 예술 자율성의 제 조건을 탐구한다. 공론장 개념의 발생과 전개과정은 서구의 시민사회의 등장 및 변이과정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사회과학자들은 신문을 포함한 인쇄물이 정기적으로 간행되고 익명으로 구입하는 독자층으로부터 비판적 영역이 처음으로 형성되었고 그곳에서 매개되는 원리를 ‘공개성(公開性)’이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그 형성 과정의 원초적인 형태는 문예비평을 담을 수 있는 ‘문예적 공론장’의 성립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 이르렀음에도 불구하고 문예적 공론장의 활성화 여부를 가늠하는 과제는 정치 경제 측면의 사회적 공론장의 내면적 발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그것에 대한 탐구는 무척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바로 이러한 전제로부터 출발한다.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look at how independent the art can be from politics or economic power in the study of modern society. That is because the criteria of ‘yes or no’ that the art can move autonomously within the domain of social functioning can be an objective criterion on measuring the level of culture of one particular country. Therefore, it is a very convincing argument that ‘the art is a form of expression of human freedom’ and ‘autonomy of art’ reflects ‘the binding state of individuals in an unfree society’. Under this premise, art becomes the core of culture in a nation and a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it becomes a total measure of society. Accordingly economic wealth is a realistic indicator of the present state, but art reveals the future prospects of one particular society through the ‘utopian purpose setting’. But what is the social condition that art can have its own power, not just a maid of politics or economic power?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conditions of the autonomy of the art through the explanation of the concept and its origin of the public sphere.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is deeply related to the emerge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western civil society. Social scientists have first formed a critical sphere from readers who periodically buy printed material, including newspapers, and the principle mediated there is called ‘publicity’. The basis of the formation process is the establishment of a ‘literary public sphere’ that can contain literary criticism. The task of measuring the activation of ‘the literary public sphere’, even in contemporary society,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establishes criteria for measuring the degree of internal development of the social public sphere in terms of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 The need for this study begins with this premise.

      • KCI등재

        막스 호르크하이머의 ‘헤겔 이성개념’에 대한 이해와 비판이론의 구상

        전석환(Jun, Suck-Hwan),조극훈(Cho, Keuk-H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비판이론의 역사에서 호르크하이머의 공헌은 지대하다. “전통이론과 비판이론”에서부터 “도구적 이성 비판”을 거쳐 “계몽의 변증법”에 이르는 그의 비판이론의 구축과정은 비판이론의 형성사와 다름이 없다. 그리고 자본주의 문화에 대한 수많은 현대적 담론은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비판에 근거하고 있다. 그런데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이론의 구축과정에서 헤겔의 이성개념이 미친 영향은 무엇보다도 컸지만 그동안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미진한 편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구적 이성 비판”을 중심으로 헤겔 이성 개념에 대한 호르크하이머의 이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비판이론의 구축 과정에서 헤겔의 이성 개념의 의미를 반성하는 데 있다. 먼저 이성이 비판성을 상실하고 도구화되는 과정을 주관적 이성의 실증화와, 객관적 이성의 낭만주의화 과정으로 서술하고 있는 호르크하이머의 논증을 규명한다. 이성의 도구화를 극복하는 전략으로 객관적 이성의 재정립과 주관적 이성과 객관적 이성의 화해를 제시한 그의 의도를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헤겔의 이성 개념이 사변적이면서도 비판성을 잃지 않고 객관적 이성을 재구축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는 점을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헤겔의 이성 개념에 대한 이러한 이해가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이론 구축에 미친 영향과 후속 담론이 발생하게 된 모티브를 밝힌다. It can be said that Max Horkheimer has contributed much to the development of the Critical Theory of Frankfurt School. His achievements are just all the same as the history of the Critical Theory of Frankfurt School. And the modern discourses about the capitalistic culture are based on the Horkheimer"s Critical Theory. Although Hegel"s concept of reason had an important effect upon building the Critical Theory of Horkheimer, there has not been full-scale research about it. Focusing on the Critique of the Instrumental Reas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flect critically Horkheimer"s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of reason of Hegel. First of all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closely his thought: "Just as subjective reason tends to vulgar materialism, so objective reason displays an inclination to romanticism." And we will also examine his intention that suggests the reconciliation between objective reason and subjective reason as the means of overcoming instrumentalization of reason. However, in this process he asserted that Hegel"s concept of reason is speculative without losing critic, and has the incomparable force to rebuild the objective reason. Finally, we will explain the effect of this kind of understanding about Hegel"s concept on Horkheimer and disclose the motive caused subsequent discourses.

      • KCI등재

        비판이론에 있어서 칸트 철학의 수용과 그 변용 -막스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를 중심으로-

        전석환 ( Suck Hwan Jun ) 한국칸트학회 2009 칸트연구 Vol.24 No.-

        호르크하이머의 철학적 업적은 그 이후에 전개될 비판이론 발전에 총체적 향방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에 상응해서 호르크하이머의 철학함은 다양한 관점에서 재해석될 수 있다. 그런데 그 다양성은 통일성보다 비연속적 단절이나, 혹은 모순으로 비추어 질 위험을 지니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칸트 철학은 그의 철학 전개과정을 일목요연하게 풀어낼 수 있는 하나의 내재적 기준을 마련한다. 이러한 전제로 호르크하이머의 철학적 전개 안에서 칸트 철학이 각 시기 마다 다른 관점에 의해 규정된다는 점은 그의 철학의 변화 계기를 전기, 중기, 후기로 나눌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준다고 할 수 있다. 호르크하이머 전기 철학에서 칸트 철학은 마르크스에 대비된 객관적으로 필연적 결함을 지닌 관념론적 모호성의 철학으로 비판된다. 그 사실은 그의 전기 철학을 `비판적 이성`의 정초화 작업으로 규정할 수 있는 적절한 근거가 된다. 또한 그의 중기 철학을 `이성의 자기비판`의 시도 안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칸트가 이성 개념 안에 들어 있는 유토피아를 다만 철학적 도식으로 풀어 낸 냉혹한 계몽의 완성자로 그려진다는 사실에 놓여진다. 마지막으로 호르크하이머 후기 철학의 특징을 `이성의 초월화`의 시도 안에서 볼 수 있다. 물론 이 계기는 비판이론 안에 들어 있는 비판적 기능이 어떻게 실천될 수 있는가에 대한 강력한 물음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확실한 사실은 호르크하이머가 앞서자신의 칸트 해석과의 모순을 무릅쓰고 칸트의 비판철학을 현대의 도구적 이성의 횡포에 유일하게 대항할 수 있는 비판적 기능의 준거로 등장시켰다는 것이다. 호르크하이머에 있어서 칸트 수용과 그 변용 안에서 보이는 모순적 시각들의 상존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즉 칸트 철학은 그 철학 체계 자체에 대한 상반된 해석 그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는 사실 확인에서 그의 방대하고 거대한 철학의 진면목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 졌다는 것이다. Es konnte vermuten, daß die Errungenschaften von der Philosophie Horkheimers die gesamte Richtung in der Entwicklung der Kritischen Theorie vorgezeigt haben. Entsprechend der Gegebenheit ist daher es moglich, daβ die Philosophie Horkheimers von den verschidenen Gesichtspunkten aus reinterpretiert werden kann. Dagegen konnte die wortliche Deutung der Verschiedenheit als nicht die Kontinuitat, sondern den unkontinuierlichen Sprung in der Interpretation seiner Philosophisierung verstanden wird. Aber ohne Gefahr vor dem Durcheinander, um die Philosophie Horkheimers zu verstehen, belegt die Philosophie von Kant auf jedem Fall ein immanentes Kriterium, in dem die Entwicklung der Horkheimerschen Philosophie auf den ersten Blick klar gemacht werden kann. Aus diesen Voraussetzungen begrundet die Bedeutung der Kantschen Philosophie in der philosophischen Entwicklung von Horkheimer die Periodisierung seiner Philosophie, bzw. die fruhe, mittele und spate Periode. In der fruhen Periode der Philosophie Horkheimers wird die Kantsche Philosophie kritisiert als eine idealistische Dusterkeit, in der gegenuber der Philosophie von Marx tatsachlich den notwendigen Mangel enthaltend charaktersiert wird. Dies Argument macht den optimalen Grund fur das Versuch zur Begrundung der `kritischen Vernunft` in sener ersten Phase. Und in der zweiten Phase der Horkheimerschen Philosophie wird dargestellt Kant als einen kalten Vollender der Aufklarung, der die im Vernunftbegriff verborge Deutung der Utopie nur durch die philosophische Formel analysiert hat, darum sieht mam in dieser Periode die Konstellation `der Selbstkritik der Vernunft`. Im charakteristische Kennzeichen der spaten Philosophie von Horkheimer wird `die Transzendentalisierung der Vernunft` ein wichtiges Merrkmal sein. Allerdings verursachte dies eine Fragestellung, wie man die kritische Funktion seines Kritiksbegriffes zu verstehen hat. Horkheimer laßt keine richtige Antwort auf die Frage nach einer kritischen Fuktion des Kritiksbegriffes. Dennoch ist es klar, daß in der letzten Phase Horkheimers die Kritische Philosophie von Kant als ein Maβstab der einzigen kritischen Funktion gegen die Herrschaft der instrumentellen Vernunft in der modernen Gesellschaft erscheint. Unmittelbar auf meine Arbeit bezogen, in der die Koexistenz der Widerspruche in Horkheimerschen Rezeption und eigene Auslegung von der Kantschen Philosophie artikuliert wurde, mochte ich hierzu fogendermaßen bemerken: Aus diesem Anlaß glaubt man noch einmal feststellen zu konnen, daß der wahre Charakter der Philosphie von Kant umfangreich und groß sein muß, denn die Widerspruche enthaltenden verschiedenen Kant-Interpertationen einander in vielen Fallen komplementar erganzen und wechselseitig korrigieren, ohne einander auszuschließen.

      • KCI등재

        공론장(公論場)의 형성 과정 안에서 본 문학의 사회철학적 의미 :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전석환(Jun Suck-Hwan),이상임(Lee Sang-Im)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8 No.2

        일반적으로 인문학의 위기라는 현상에 준해 사람들은 현대사회에서 문학은 계몽적 가치를 실현시키는 도구가 더 이상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문학을 필두로 제(諸) 예술은 근대 시민사회의 성립을 가능하게 만들었던 공론장 형성에 핵심적 역할을 담지했었다는 사실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은 문학의 기능이 서구 근대시민사회를 성립시키기 위해 어떻게 작동했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설정한다. 본 논문은 특히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구조변화』의 관점을 연구의 초점으로 수용하면서 공론장(公論場)의 형성 과정에 어떻게 문학이 그 역할을 담지하고 있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전제로 하여 다음과 과정을 통해 전개된다. 첫째는 공론장을 근대 시민사회 성립에 중요한 매개개념으로 전제하고, 그 성립 과정 안에서 문학의 역할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시도한다. 둘째는 문학 역할의 측면에서 본 공론장, 즉 '문예적 공론장의 형성 과정을 사회철학적 관점으로 재구성한다. 셋째는 후기 현대와 공론장의 문제를 문학 역할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재조명한다. Reaching to the post modernity it is argued by a group of people that literature is no longer a means to realize the value of enlightenment with respect to the crisis of 'the lieterae humaniores'. But it can not easily be denied that the arts leading by literature had the key role in the formation of public sphere which made possible to establish the modern civil society the basis of existence of modernity. The primary goal of this essay is to examine how did the literature work to estabish the western modern civil society. And this essay will be unfolded on the assumption that accepting the viewpoint of "The Structu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of Habermas in particular as the focus of research what kind of role did the literature has played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public sphere. Firstly, on the premise that public sphere is a key medium to establish the modern civil society,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literature in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will be examined. Secondly,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public sphere viewing from the role of literature, that is, 'literary public sphere'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philosophy will be reconstructed. Thirdly, the issues of postmodern society and pulic sphere will be recounted critically from the point of the role of literature.

      • KCI등재

        ‘효(孝) 실천’과 그 현대적 변용의 문제 - 하버마스(Habermas)의 ‘현대비판에 대한 담론’을 중심으로

        전석환(Jun Suck-Hwan),이상임(Lee Sang-Im)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7

          ‘효’의 관념은 동아시아 세계에 매우 친숙하다. 그것은 동아시아인들의 내재적 심층의식으로 자리잡고 내면적 도덕의 한 축을 이루고 외재적 규범의 주요 요소를 만들었다.<BR>  이러한 까닭에 ‘효’에 대한 개념적 이해는 ‘실천’이라는 매개를 통해서만이 가능하다. 그러나 ‘효 실천’은 그 역사적 전개 안에서 때로는 형식주의로 빠지거나, 혹은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오용되었다. 그러한 부정적 영향은 오늘날까지 그 흔적을 한국사회 곳곳에 남겨 놓고 있다. 특히 독재정치 권력에 부재했던 혹은 미비한 정당성 창출을 위해 ‘효 실천’을 악용했던 사례는 효 그 자체의 사회적 기능과 효과를 지극히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그런 이유로 해서 오늘날 현대인의 효 규범의식의 변화에 맞추어 ‘효 실천’은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결과의 하나로 현재의 ‘효 실천’ 개념은 후기 현대의 가족구조 변동에 적응치 못하는 사회의 구조적 지체 현상의 한 원인으로 의심받게 되었다. 물론 ‘아시아적 가치’에 대한 담론은 전통의 덕목들이 ‘어떻게 현대화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의 장을 열어 놓았지만, 아직도 ‘효실천’이 현대적 가치, 이념, 규범 등으로 정당화되기에는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BR>  ‘효 실천’의 현대적 변용의 과제는 무엇보다 먼저 독자적 실천영역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전략의 조건은 최소한의 국가권력을 통해 전통으로부터의 ‘효 실천’을 오늘에 매개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해석의 보장이 전제되어야 한다.   The concept of filial piety is well-known in the world of East Asia.<BR>  It is because this concept resides as a deep consciousness, it establishes an axis of the internal morality, and becomes the important element of external norm in the East Asian. For this reason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filial piety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medium of so called praxis.<BR>  However, the praxis of filial piety fell into formalism or misused as a political ideology in its historical development. Even today such a negative influence leaves traces in Korean society in many ways. Especially in order to establish the justification which is absent or needed in the despotic regimes the misused cases of ‘the praxis of filial piety’ turned out to be extremely extending or decreasing the social function and effect of filial piety itself. For that reason the praxis of filial piety is not found right place corresponding to the conceptual changes of filial piety of our contemporaries. As one of the results the present concept of ‘the praxis of filial piety’ is in doubt whether it is one of the causes of structural dilatory phenomena in society which is out of accord with the change of post modern familial structure. Although the dialogue about ‘the Asian value" has opened the room for the discussion about how to modernize the traditional virtues, still it seems that more discussions are needed for the praxis of filial piety to be justified as a modern value, ideology, and norm.<BR>  Above all at first the task of modernizing the praxis of filial piety should establish the independent field of praxis. The precondition for this goal is required to guarantee the continual interpretation to mediate the praxis of filial piety from the tradition to the present through the minimal national authority.

      • KCI등재

        합리성 개념을 통해 본 미래 예측의 문제 : 실증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시론

        전석환(Jun Suck Hwan),이상임(Lee Sang Im) 새한철학회 2009 哲學論叢 Vol.58 No.4

        미래를 알고자하는 인간의 욕구는 예측의 기제들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인간의 상상력은 미래에 대한 예측의 문제를 현실과 전혀 관련성을 지니지 못하는 형이상학적 체계이거나, 혹은 일부의 종교집단에서 보이듯이 광신적 정념으로 구체화시키곤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고대사회나 전통사회에서만 존재했던 사실은 아니다. 현대의 과학과 기술로 무장한 미래 예측의 실증주의 담론 또한 또 다른 신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사실은 합리성의 틀을 너무 협소하게 만들면서 이성의 본질을 '경험적 이성'으로 한정시킨다. 그것에의 극복을 위해 합리성의 틀을 확대하려는 '포괄적 합리성'의 담론은 존재와 가치, 혹은 정태적 이성개념과 의지적 결정의 이원론적 메커니즘을 연결하는 모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실증주의 논증'에서 보이듯 하버마스 등의 비판론자들의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은 과학과 기술에 기초한 현대의 미래 예측 기제에 대한 비판적 담론을 구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구상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반성적 논의에서도 보이듯이 새로운 철학의 문법을 세우려는 노력보다는 또 다른 철학적 해석의 계기가 먼저 요청된다고 하겠다. 즉 미래 예측의 기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 지평과 그 해석의 방법론적 구축 가능성은 일차적으로 기존에 우리에게 주어졌던 동서양의 사상사적 자료를 검토하고 그것을 재구성하는 시도에 놓여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시도를 우리는 '철학사적 재맥락화'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초를 주역에서의 기미(幾微)와 아리스토텔레스 프로네시스(phronesis) 개념에서 찾는다. The desire of human beings to know the future has made the mechanism of prediction. But the imagination of human beings embodies the problem of the prediction about the future as a metaphysical system which has no relation with a reality or fanatical emotions which can be seen in some religious community. However, this kind of problem is not only happened in an ancient or traditional society. The diagnosis about the future and the discourse about the prediction armed with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lso would create an another myth of positivism. This can be the derived from defining the concept of reason and rationality too narrowly. That is, it seems that the discourse of 'comprehensive rationality', which based on 'positvism-debate', is able to provide the motif to connect the existence and value or the static concept of reason and volitional decision. As a result this perspective seems to be able to suggest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critical discourse about the prediction of the future and the diagnosis based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This kind of trial seen as a reflection of the discussion on post modernism is required to the movement of an another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prior to the effort of constructing new philosophic grammar. From this meaning, a new cognitive horizon of the prediction and diagnosis of the future and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methodology of the interpretation are at first set by the attempt of examining the thought of the Eastern and estern philosophical history which are already given and reconstructing those. As a result this attempt can be said as 'philosophical re-contextualization'. In this essay these examples are studied in Aristotle(phronesis) and I Ching(ji/幾).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프로젝트로서의 현대 안에서 본 한국 신종교의 여성관 -금강대도(金剛大道)를 중심으로-

        이상임 ( Sang Im Lee ),전석환 ( Suck Hwan Jun )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9 No.-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시간적 공간을 `현대`라고 명명하는데, 그 현대라는 용어에 상응하는 사회형태는 대략 18세기 말부터 형성되었다고 말한다. 그런데 기계론적 세계상의 반영인 현대를 움직이는 추동력이 `과학주의적 기획(企劃)`이라는 뜻에서 현대의 실현과정은 `프로젝트`라는 말로 자주 표현되곤 한다. 이러한 사고 양식은 이미 르네상스 이후 F. 베이콘의 학문의 방법론적 패러다임의 전환 요구에 들어 있었다. 그러나 오늘 날의 현대는 그런 목표로 제시되었던 이상(理想)은 쇠퇴하고, 오히려 그 역기능이 많은 부분에서 노정된다. 그것은 물질적 대상으로 환원될 수 없는 인간 삶의 유기체적 구성요소들을 현대세계의 발전 전개라는 미명하에 주변부에 위치시키면서, 부단하게 `타자화`시키는 데에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 있어 가장 큰 모티브는 한국 여성의 문제가 발전적 전망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주류 담론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사적인 것으로 간주되었기에 그 해법에 대한 논의가 시급하다는 당위성 때문이다. 현대가 탈종교화의 특징으로 규정됨에도 불구하고, 종교는 여전히 인간 삶과 연관된 중요한 사회적 구성요소를 이룬다는 전제로, `한국여성의 사회적 지위`에서 보이는 `상대적 주체화`라는 현상에 대한 극복 대안의 제시를 시도한다. 그러한 해답찾기의 시도는 아직도 남성을 위주로 한 가족 중심의 구조와 그 안에 짙게 드리운 남존여비사상에 어떻게 대응하는가의 문제는 총체적으로는 새로운 가족 모델의 개발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금강대도`를 통해 본 남녀평등사상은 `전통 안에서 현대`, `현대 안에서 전통`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미래의 대안적 가족문화 창조의 이념과 그 실천전략에 많은 시사를 던져 주고 있다. The temporal space where we live in is called as `the modern times,` and it could be said that the social form responding to the term `the modern` had began roughly speaking at the end of 18C. However, the process of realization of the modern is used to say as `project` in terms of the impulse to move the modern which reflects a picture of the mechanical world is `scientific project`. Such a thinking pattern already has been embeded in Francis Bacon`s need of the shift/change of methodical paradigm after the Renaissance. But as we know in the modern the ideal presented as the goal has been declined, on the contrary it reveals the dysfunction in many ways. However, it is not only the superficial fact of the simple contrast that the meaning of these examples implies that the danger of philosophy degraded into `the maid of science`. It means that it is continuously making `the otherness` with marginalizing the organic constituents of our human lives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material objects in the name of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world. This essay is going to examine about the viewpoint of the woman in Korean New Religion based on the problem of the otherness. The main motive of this research is that in spite of the problem of the Korean woman has a developmental prospect, since it is still treated as the private which is rather far from main discourse, it is because the justifiability of the urgency of the discussion about the solution. In spite of the modern characterized by `dereligionization`, on the premise that religion is still a important social element related with our lives, this essay tries to suggest an overcoming alternative about the phenomenon of the relative subjectification seeing from the social status of the Korean woman. Such an attempt to find out the answer to the issue which is how to confront with the male-centered family oriented structure and the idea embeded within itself that men are superior to women, seems to be depended on the development of new family model in general. The idea of equality of sexes from the viewpoint of `Kumkangdaedo` suggests many things on the idea of alternative familial culture in the future and its practical strategy in terms of having `the modern within the tradition,` `the tradition within the mod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