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방광탈 교정에 있어서 전질벽 협축술, prolene mesh를 이용한 전질벽 협축술과 복식 전질벽 협축술에 따른 수술 성적의 비교

        정현주 ( Hyun Joo Jung ),전명재 ( Myung Jae Jeon ),정다정 ( Da Jung Chung ),박주현 ( Joo Hyun Park ),김세광 ( Sei Kwang Kim ),김재욱 ( Jae Wook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2

        목적: 중앙부의 결함이 있는 방광탈의 교정은 전질벽 재건술 중에서도 전질벽 협축술을 시행하게 된다. 전질벽 협출술의 방법으로는 접근 방법에 따라 질식과 복식이 있고 최근 들어 합성 재료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질식 전질벽 협축술, prolene mesh를 이용한 질식 전질벽 협축술과 복식 전질벽 협축술에 따른 수술 성적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999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전질벽 협축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에서 1년 이상 추적 관찰을 시행한 138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을 질식 전질벽 협축술을 받은 환자, prolene mesh를 이용한 질식 전질벽 협축술을 받은 환자 그리고, 복식 전질벽 협축술을 시행 받은 환자 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세 그룹의 환자 수는 각각 72명, 28명, 38명이었으며, 연령, 폐경 여부, 분만력, 체질량 지수, 내외과적 질병력과 추적 관찰 기간 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열, 질미란, 배뇨근 부전증 발생 유무는 차이가 없었고 질방광루의 발생은 없었으나, 수술 후 요로 감염 발생 빈도는 prolene mesh를 이용한 질식 전질벽 협축술을 받은 환자에서 많았고. 수술 후 상처 감염, 수술 전후 혈색소의 차이, 수술 시간과 재발은 복식 전질벽 협축술을 받은 환자에서 많았다 (p<0.05). 결론: 중앙부 결함의 전질벽 재건술에 있어 고전적 방법의 질식 전질벽 협축술이 prolene mesh를 이용한 질식 전질벽 협축술과 복식 전질벽 협축술에 비해 합병증과 재발 면에서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As for the method of surgical correlation of the central type of anterior vaginal wall defects, there are anterior repair, anterior repair with prolene mesh, and internal anterior repair.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currence rates, complications and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three surgical procedures. Methods: We identified one hundred and thirty-eight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s for the central type of anterior vaginal wall defects from March 1999 to May 2005. We retrospectively collected data from the medical records and reviewed the outcomes.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recurrence rates and complication rates for the results, and compared them by ANOVA test and Kruskal-Wallis test. Results: The number of cases of anterior repair, anterior repair with the mesh, and internal anterior repair were seventy-two, twenty-eight and thirty-eight consecu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age, menopause status, parity, BMI (Body mass index) and history of pelvic surgery and the medico-surgical illness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ver, vaginal erosion, detrusor overactivity and voiding difficulty after the operations. The incidence of the postoperative urinary tract infection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the anterior repair with prolene mesh (p=0.018), and drop in hemoglobin, operation time and wound infec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the internal anterior repair (p=0.0001, 0.004 and p=0.028). The recurrence rate of the dis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ternal anterior repair group than in anterior repair or anterior repair with the mesh groups (18.4% vs. 1.4% and 0%). The recurrence rate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uration after the surgery. Conclusion: The recurrence rate of the disease after internal anterior repai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hen anterior repair or anterior repair with the mesh was done. As for the complications, urinary tract infection was increased after the anterior repair with prolene mesh and drop in hemoglobin and wound infection were increased after the internal anterior repair. We concluded that the conventional anterior repair is more suitable method for the correction of the central type of anterior vaginal wall defects than anterior repair with mesh and internal anterior repair.

      • KCI등재

        복압성 요실금 치료를 위한 Transobturator tape과 Tension-free vaginal tape obturator시술의 치료 성적 비교

        이은주 ( Eun Joo Lee ),전명재 ( Myung Jae Jeon ),정현주 ( Hyun Joo Jung ),김세광 ( Sei Kwang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1

        목적: 복압성 요실금 치료를 위한 Transobturator tape과 Tension-free vaginal tape obturator시술의 치료성적 및 합병증을 전향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복압성 요실금으로 진단받은 33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골반장기탈출증 2기 이상인 환자와 요역동학 검사상 배뇨근 과활동성을 보이는 환자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TOT 혹은 TVT-O를 양자택일하여 시행하였다. 수술 후 1, 3, 6, 12개월에 완치 여부와 합병증을 비교하였고 추적관찰에 성공한 환자는 총 306명으로 TOT 185명, TVT-O 121명이었다. 통계 분석은 student t-test, chi 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임상적 특성은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수술 후 1, 3, 6, 12개월 후 완치율도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80% 이상의 완치율을 보였다. 배뇨곤란, 새로 발생한 절박뇨, 요로감염, 질미란 발생은 추적관찰기간 동안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서혜부 통증의 경우 TVT-O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TOT; 3.78% vs TVT-O; 9.92%, P=0.030). 결론: 복압성 요실금 치료로서 TOT, TVT-O시술 모두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다. 서혜부 통증의 발생은 TVT-O에서 더 높게 보고되었는데 이는 tape의 해부학적 위치로 인한 폐쇄신경 및 음부신경 주변으로의 염증과 관련된 자극과 연관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reatment outcome of Transobturator tape (TOT) and Tension-free vaginal tape obturator (TVT-O) as the treatment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included 332 women who were urodynamically diagnosed as stress urinary incontinence from April 2005 to January 2007. Patients showing pelvic organ prolapse higher than stage II by the Pelvic Organ Prolapse Quantification system or patients with detrusor overactivity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alternatively selected to undergo TOT (n=192) or TVT-O (n=140) procedure and followed up at 1, 3, 6, 12 months postoperatively to compare the treatment outcome. Three hundred and six of them were available at 1 year follow up, 185 had the TOT operation, 121 the TVT-O procedure. The student t-test, chi square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2 groups in the cure rates, postoperative complication such as voiding difficulty, De novo urgency, urinary tract infection, vaginal mesh erosion except groin pain. The groin pain rate of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OT; 3.78% vs TVT-O; 9.92%, P=0.030).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TOT and TVT-O procedures are safe and effective treatments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However, TVT-O shows high incidence of groin pain rate and it may be related to nerve irritation by inflammation of surrounding tissue around the pudendal and obturator nerve, according to anatomical differences of the tape position in two procedures.

      • KCI등재

        복압성 요실금 수술시 tension-free vaginal tape의 치료 성적; 요도 괄약근 부전증 환자와 비요도 괄약근 부전증 환자의 비교

        정여화 ( Yeo Hwa Jung ),전명재 ( Myung Jae Jeon ),정다정 ( Da Jung Chung ),박주현 ( Joo Hyun Park ),김세광 ( Sei Kwang Kim ),김재욱 ( Jae Wook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2

        목적: 요도 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와 비요도 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에서 TVT 시행 후 치료 성적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TVT의 요실금 환자 치료에 있어서의 치료 효과에 대해 평가 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복압성 요실금으로 진단 후 TVT를 시행받은 1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요실금은 요역동학 검사에 의해 진단되어 졌으며 복압상승시 배뇨근 수축없이 불수의적으로 요실금이 있는 경우 복압성 요실금으로 정의하였다. 요역동학 검사 (Dantec-5000 system, Copenhagen, Denmark)는 uroflowmetry, multichannel cystometry, urethral pressure profilometry로 이루어졌다. ISD는 MUCP<20 cmH2O이거나 VLPP<60 cmH2O인 경우로 정의하였고 NISD는 MUCP>20 cmH2O이고 VLPP>60 cmH2O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환자들은 수술 후 1, 3, 6, 12개월 후 추적관찰하였다. 결과: 평균연령은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60.74±10.00세,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57.20±10.94세로 두 그룹간에 차이가 없었다 (P>0.05). 분만력, 신체질량지수 (BMI), 폐경된 환자의 비율, 호르몬 치료 시행받은 기왕력이 있거나 현재 호르몬 치료중인 환자의 비율 모두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방광 충만 검사상 뇨의를 처음 느꼈을 때의 방광 용적, 정상 뇨의를 느꼈을 때의 방광용적, 강한 뇨의를 느꼈을 때의 방광용적, 최대 방광용적 모두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MUCP는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46.81±24.29,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75.70±32.61로 두 그룹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VLPP는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53.48±10.12,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107.23±42.95로 두 그룹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요류검사상 최대요속, 평균요속, 총 요량에서도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수술 후 1, 3, 6, 12개월 후 두 그룹간에 완치율을 비교한 결과 수술 1개월 후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87%,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100%로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53) 수술 3, 6, 12개월 후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을 비교한 결과 배뇨곤란, 새로 발생한 절박뇨 (de novo urgency), 요로 감염 발생은 추적 관찰기간에 관계없이 두 그룹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요도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와 비요도 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 모두에서 TVT가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reatment outcomes of tension free vaginal tape (TVT) for intrinsic sphincter deficiency (ISD) and non-intrinsic sphincter deficiency (NISD) patients i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and to evaluate whether TVT can be effectively used in both groups of SUI patients. Methods: 111 women with SUI treated by TVT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Division of Female Pelvic Medicine and Reconstructive Surgery, the Yonsei Medical Center from Jun. 2003 to Jun. 2005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1 patients with ISD, and 80 patients with NISD. SUI was diagno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urodynamic tests. Urodynamic studies (UDS) include uroflowmetry, multi-channel cystometry and urethral pressure profilometry.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at 1, 3, 6,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and those with any follow-up los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demographics between ISD and NISD groups; mean age, parity, BMI, menopausal status and HRT (P>0.05). Maximum urethral closure pressure (MUCP)(46.8124.29 vs.75.7±32.61 cmH2O; P<.0001) and Vasalva leak-point pressure (VLPP)(53.48±10.12 vs 107.23±42.95 cmH2O; P<0.0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other parameters of UDS except MUCP and VLPP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cure rates of the two groups at 1 month follow up (87.0% vs 100%; p=0.005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t 3, 6 and 12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voiding difficulty, de novo urgency, urinary tract infection) between two groups irrespective of follow-up months. Conclusion: Tension-free vaginal tape is effective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both ISD and NISD patients.

      • KCI등재

        골반 장기 탈출증 환자에서 각 연령별에 따른 수술 후 합병증 비교

        김혜연 ( Hye Yeon Kim ),전명재 ( Myung Jae Jeon ),정다정 ( Da Jung Chung ),김세광 ( Sei Kwang Kim ),김재욱 ( Jae Wook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1

        목적: 본 연구는 골반 장기 탈출증 환자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술 후 퇴원까지의 합병증이 증가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골반 장기 탈출증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기록 분석이 가능한 3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40대부터 80대까지 각 연령에 따른 환자들의 특성과 재원일수, 신체질량지수, 기왕 수술력, 수술 시간, 수술 방법, 마취 방법, 기저 질환, 수술 전 후의 혈색소 차이와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연령별로는 40-49세가 35명 (10.9%), 50-59세 97명 (30.1%)이었고, 60-69세가 123명 (38.2%)으로 가장 많았으며, 70-79세가 64명 (19.9%), 80세 이상은 3명 (0.9%)으로 가장 적었다. 각 연령군 간에는 분만력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병기, 신체질량지수, 기왕 수술력, 수술 시간, 수술 종류, 마취 종류, 기저 질환, 수술 전후의 혈색소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또한 발열, 빈혈, 수혈 여부, 혈종, 장마비, 장폐색, 상처 감염, 상처 열개, 하부 요료계 감염, 폐렴, 골반 감염, 심부전, 심근 경색, 폐부종, 폐색전 등의 수술 후 합병증 발생에서 각 연령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골반 장기 탈출증 환자에서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은 환자의 연령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 of age on the risk of in-hospital surgical morbidity in patients with pelvic organ prolapse (POP). Methods: Of the women aged 40 years and older who underwent surgical correction of POP at this institution from March 1999 to February 2006, 322 had medical records that could be analyzed. These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decade of age and assessed according to a set of characteristics and postsurgical complications. Results: There were 35 patients between 40 to 49 years of age, 97 between 50 to 59 years, 123 between 60 and 69 years, 64 between 70 to 79 years and 3 patients were 80 years or old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regarding the following variables: stage, delivery history, BMI, previous surgical history, underlying medical disease, duration of hospital stay, operation time, type of operation and anesthesia, difference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hemoglobin level. There were differences only for parity. Also, between each age group,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noted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 The risk of in-hospital surgical morbidity in patients with POP was not related to the age of the patients.

      • KCI등재

        골반장기탈출증을 동반한 복압성 요실금에서 tension-free vaginal tape (TVT)과 transobturator tape (TOT)의 치료 성적 비교

        양효인 ( Hyo In Yang ),정현주 ( Hyun Joo Jung ),전명재 ( Myung Jae Jeon ),남가현 ( Ka Hyun Nam ),최지훈 ( Ji Hoon Choi ),김세광 ( Sei Kwang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

        목적: 골반장기탈출증과 병합된 복압성 요실금 환자에 있어서 tension-free vaginal tape (TVT)과 transobturator tape (TOT)의 수술 후 합병증과 요실금의 치료 성적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POP-Q (Pelvic Organ Prolapse-Quantification)에 따른 2기 이상의 골반장기탈출증이 병합된 복압성 요실금 환자 중 TVT 혹은 TOT를 시행하여 1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2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 (방광손상, 수술 후 혈색소 감소, 요저류, 새로 발생한 요절박, 요로감염, 질미란, 질혈종)과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 성적을 비교하였다. 통계 방법은 SPSS (version 12.0)을 이용하여 Student t-test, chi square test를 시행하였으며 P-value 0.05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두 환자군의 일반적 특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후 합병증은 혈색소 감소, 요저류, 요로감염에서 TVT를 시행한 환자군에서 TOT를 시행한 환자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혈색소 감소: TVT (25.51%), TOT (15.03%), P=0.04; 요저류: TVT (37.93%), TOT (21.05%), P=0.02; 요로감염: TVT (11.72%), TOT (3.75%), P=0.02]. 두 그룹간의 치료 성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골반장기탈출증이 병합된 복압성 요실금 환자의 수술적 치료로서 TVT와 TOT는 비슷한 치료 성적을 보이지만 TOT를 시행한 경우 수술 후 혈색소 감소, 요저류 및 요로감염의 수술 후 합병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o compare tension-free vaginal tape (TVT) and transobturator tape (TOT) for surgical treatment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associated with pelvic organ prolapse (POP). Methods: Two hundred seventy eight consecutive patients affected by SUI associated with POP more than stage II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Cure rat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hemoglobin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eriod, vaginal hematoma, bladder and bowel injury, vaginal mesh erosion, urinary retention, de novo urgency, urinary tract infection were compared. Student`s t-test and chi square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 P-value below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underwent TVT was 145 and TOT was 133.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cure rate. However, hemoglobin difference (TVT, 2.91±0.93 g/dL; TOT, 1.53±0.77 g/dL; P=0.04) was higher in TVT group than TOT group and urinary retention within 1 month (TVT, 35.17%; TOT, 21.05; P=0.02), and urinary tract infection (TVT, 11.72%; TOT, 3.75%; P=0.02) more frequently appeared in TVT group than TOT group.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vaginal hematoma (TVT, 6.89%; TOT, 6.76%; P=0.86), bowel injury (TVT, 0%; TOT, 1.5%; P=0.64), vaginal mesh erosion (TVT, 7.58%; TOT, 4.51%; P=0.47), urinary retention after 1 month (TVT, 2.76%; TOT, 3.00%; P=0.35), de novo urgency (TVT 7.58%, TOT: 6.01%, P=0.48)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Both procedures appear to be equally effective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SUI associated with POP. However, TOT seems to be a more safe procedure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KCI등재

        수질증을 동반한 잔존 총배설강

        이진우 ( Jin Woo Lee ),김세광 ( Sei Kwang Kim ),조재성 ( Jae Sung Cho ),전명재 ( Myung Jae Jeon ),노진래 ( Jin Lae Roh ),이현정 ( Hyun Jung Lee ),박기현 ( Ki Hyun Park ),구자승 ( Ja Seung Koo ),조상호 ( Sang Ho Cho ),한석주 ( Seok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9

        Persistent cloaca is a very rare congenital anomaly with a single common perineal opening for the genital, urinary and gastrointestinal tracts, which arises from defects in the embryonal process of descent of urorectal septum or fusion to cloacal membrane. Anomalies associated with persistent cloaca are found in the upper urinary tract, gastrointestinal tract, cardiovascular system, central nervous system and respiratory system, which are not easily detected through ultrasound during pregnancy. It has been reported that if those anomalies are diagnosed early, they can be corrected surgically. We present a case of persistent cloaca with hydrocolpos confirmed by autopsy after emergency cesarean section which was initially presented as a huge abdominal cystic mass and bilateral hydronephrosis by ultrasound at 34 weeks of gestation.

      • KCI등재

        현성 요실금이 한국 중,노년 여성의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지현 ( Jee Hyun Kim ),김윤환 ( Yun Hwan Kim ),김진주 ( Jin Ju Kim ),김선미 ( Sun Mie Kim ),전명재 ( Myung Jae Je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2

        목적 본 연구는 현성 요실금이 한국 중 · 노년 여성의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방법 2009년 5월부터 2010년 1월까지 서울대학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를 방문한 만 40세 이상 여성 건강검진 수진자 중 성적으로 활발하고 본 연구에 동의한 773명을 대상으로, 병력청취(Beck`s Depression Inventory 설문 포함), 신체검진, 혈액검사, Pelvic Floor Distress Inventory-20 (PFDI-20) 및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현성 요실금은 PFDI-16 또는 17 문항에 ``예``라고 답하고 ``약간 이상의 성가심``이 있다고 답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성기능장애는 FSFI 총점이 26.55점 이하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설문에 응한 총 773명의 여성 중 318명(41.14%)에서 현성 요실금이 있었다. 현성 요실금이 있는 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성기능장애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62.26% vs. 49.45%, P<0.05).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현성 요실금은 나이, 폐경 여부, 경제력, 흡연 유무, 확장기혈압, 우울증과 더불어 FSFI 총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나타났다(standardized β = -0.108, P<0.05). 임상적 위험인자들을 보정한 FSFI 총점 평균은 현성 요실금이 있는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24.59 vs. 25.74, P<0.05), 각 영역별 점수 역시 윤활액분비(4.70 vs. 4.84, P = 0.056)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 성욕(2.88 vs. 3.05), 성적흥분(3.75 vs. 3.96), 오르가즘(4.11 vs. 4.36), 성적만족도(4.15 vs. 4.33), 성교통(4.99 vs. 5.20)에서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한국 중 · 노년 여성에 있어서 현성 요실금은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험인자이며, 요실금 치료 후 성기능이 개선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impact of symptomatic urinary incontinence (UI) on sexual function in middle- to old-aged Korean women. Methods From May 2009 to January 2010,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including middle- to old-aged, sexually active women who visited comprehensive screening clinic. We performed history taking, biometry, pelvic examination, laboratory test, Pelvic Floor Distress Inventory (PFDI)-20, and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Symptomatic UI was said to be present when the score for the problem-specific PFDI-16/17 questions were ≥2. Participants obtaining a total FSFI score of 26.55 or less were defined as having female sexual dysfunction (FSD). Results Among 773 enrolled women, 318 (41.14%) had symptomatic UI. FSD was significantly frequent in symptomatic UI group than normal group (62.26% vs. 49.45%, P < 0.05). Symptomatic UI wa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a total FSFI score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standardized ß = -0.108, P < 0.05). After adjustment of clinical risk factors for FSD by analysis of covariance analyses, symptomatic UI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hose of normal groups (24.59 vs. 25.74, P < 0.05), and this was observed in all sub-domains (desire 2.88 vs. 3.05; arousal 3.75 vs. 3.96; orgasm 4.11 vs. 4.36; satisfaction 4.15 vs. 4.33; pain 4.99 vs. 5.20, P < 0.05) except lubrication domain (4.70 vs. 4.84, P = 0.056). Conclusion Symptomatic UI is a risk factor for sexual dysfunction of middle- to old-aged women. Further studies should be followed to evaluate whether the treatment of symptomatic UI could restore the impaired sexual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