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장애 위험군에 처한 영아 조기선별진단도구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장혜성 ( Hye Sung Chang ),하지영 ( Ji Young Ha ),서소정 ( So Jung Se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0~36개월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을 조기에 측정할 수 있는 영아선별진단도구 개발을 통해 교사와 부모가 영아의 발달 수준 및 영역별 장점과 취약점을 파악하여 장애위험군에 속한 영아를 조기에 선별하고 개별적인 교육을 계획, 실천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고찰 및 국내외 검사도구를 분석하여 대근육 및 소근육 운동기술, 의사소통, 사회정서, 인지, 기본생활 영역으로 구성된 영아발달검사의 시안을 제작하고, 두 차례에 걸친 예비검사와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총 344문항의 최종 검사도구를 완성하였다. 본 진단도구의 문항양호도를 분석한 결과 문항들이 비교적 발달적 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높은 점수 집단과 낮은 점수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점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문항 변별도가 높았다. 또한 검사양호도를 살펴본 결과 각 영역별 문항의 내적 합치도가 .92~.99로 나타나 매우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으며, 월령집단이 증가할수록 각 영역별 점수가 높아져 월령에 따른 발달적 차이를 잘 변별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reliminary study aimed to develop a screening test for very young children (aged birth through 36months old) at risk. The development of major domains in development as well as items and criteria for each item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nd instruments. A panel of experts in child development and special education examined the contents. A total of 344 items in six developmental domains including gross motor, fine motor, communication, social-emotional, cognition, self-help were selected for the preliminary scale.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in a series of two pilot test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and reliability as well as validity of the scale. Items indicating low item discrimination were deleted, and minor revisions were made to improv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cale. The final version of the scale for use as a developmental screen test for young children at risk is valid in the future primary stud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통합어린이집과 가정 일과 안에서의 교사와 부모중재가 장애유아 신변처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장혜성 ( Hae Song Ch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5 No.2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과 가정에서 교사와 부모가 동일한 신변처리 목표를 일과 안에 삽입을 하여서 다양한 중재방법인 과제분석법, 시각적단서, 최소촉진법, 시간지연법을 사용하였을 때에 신변처리 기술이 증가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교사와 부모가 실시한 신변처리중재 모두 장애유아의 신변처리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교사와 부모그룹에서 중재효과의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 교사의 중재가 부모의 중재보다 장애유아의 신변처리기술 능력을 향상시켰다. 교사의 장애유아 교육경력, 부모의 학력정도, 중재를 받은 유아의 장애정도, 나이, 성별, 교육받은 연수에 상관없이 모두 신변처리능력이 향상되었다. In this study, we researched on whether self-help skills of twent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child-care center are improved or not when teacher and parents teach them with same goals of self-help skills in daily routines. As research results, self-help skills of both teachers and parents is effectiv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regardless of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of special children, parents` education background, and children`s inability, age, sex, and training period.

      • KCI등재

        반복측정 실험설계를 사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장애학생의 지하철 이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장혜성(Chang, Hae-So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1

        연구목적: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장애학생의 지하철 이용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재 회기, 장애학생의 성별, 학교 급과 같은 개인변인에 따라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어느 중재 회기 지하철 이용기술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총 연구기간은 3개월이었으며 서울시 특수학교 중·고등부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84명이 참여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실험설계, 반복측정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장애학생의 지하철 이용기술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는 모든 회기 간 지속적으로 장애학생들의 지하철 이용기술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성별, 중고등학생 간에 상관없이 중재 회기가 반복될수록 장애학생의 지하철 이용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켰으나 성별에 있어서 중재 4회기에는 여학생에 비하여 남학생에게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지역사회중심교수는 장애학생의 지하철 이용기술을 중재 1회기에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장애학생의 이동기술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보고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munity- based instruction implementation on the subway usag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study focuses on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efficacy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s, including different types of intervention sessions, students" genders, and the differential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Meth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ver the course of 3 months, among a group of 8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the special schools who chose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the repeated-measure design method. Results: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ubway usag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improvement was identified in every intervention session. Regardless of the student’s gender or age, there was an improvement after every session of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male students showed greater improvements than female students in the fourth intervention session. Conclusi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is an effective method for subway usa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the interventions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from the beginning of the first intervention session to the last intervention session.

      • KCI등재

        AAC를 활용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장혜성 ( Chang Haes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지적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판을 활용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적용하여 의사소통판 사용빈도와 의사소통 형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사소통판으로 오케이 톡톡 및 자석판을 이용하여 간식 먹기, 놀이하기, 미술활동의 3가지 상황에서 자신의 요구 및 표현에 대한 의사소통 횟수를 제스쳐, 의사소통판 사용, 발성의 세 가지 범주별로 분석하여 백분율 환산하여 제시하였다. 실험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실험은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상황 활동을 통한 의사소통판 사용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의사소통 빈도를 높이고 제스쳐를 줄이는 효과가 있었고 일반화되었으며 3주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손쉽게 적용 가능한 의사소통판을 통한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진보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us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oard and change of communication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applying intervention of communication board.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for research plan, and four steps of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maintenance were done for research.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use of communication board improve communication frequency, reduce gestures and vocal use, and these outcomes were generalized and continued after 3 weeks.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communication ability can be improved by the communication board which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easily apply in working place.

      • KCI등재후보

        다양한 학습기회와 교수전략을 이용한 지역사회중심 중재방법이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행동 습득에 미치는 효과

        장혜성(Chang, Hae-So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서울시 지역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고등부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84명에게 나이, 성별, 장애정도에 따라 다양한 학습기회와 교수전략을 이용한 지역사회중심 중재방법이 사회적행동을 증가시키는 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검사 비교집단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학습기회와 교수전략을 이용한 지역사회중심 중재방법은 지적장애학생의 전철, 슈퍼마켓, 패스트푸드점에서 요구하는 사회적행동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지적장애학생의 성별, 장애정도에 상관없이 사회적행동이 증가되었고, 나이가 어릴수록 사회적행동이 더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다양한 학습기회와 교수전략을 이용한 지역사회중심 중재방법이 사회적행동 습득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게 되었고,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사회적행동 습득의 가능성과 저학년부터 체계적인 사회적행동 교수가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보다 많은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여서 집단별 비교연구를 통해서 나이, 성별, 장애정도에 따른 사회적행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o know whether community-based instruction enables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to improve social behaviors required for the necessary skills at subway, retail chain stores, and fast food restaurants. We also studied how inner factors of those students such as age, sex, and intellectual level affect learning of social behaviors. Embedded learning opportunities, visual cues as instruction strategies, least-to-most prompting, and time delay were used for interventions. As results, social behaviors required for the necessary skills at subway, retail chain stores, and fast food restaurants were improved. Social behaviors were improved regardless of sex, intellectual level, and the social behaviors were improved more for young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전국 특수학교 중・고등부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 및 특수교사들의 지원요구 조사

        장혜성(Chang Haeso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의 질적인 지역사회적응기술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 고등학교 특수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 실행, 평가 및 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필요성 및 지원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1)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시에 장애학생의 IEP 목표를 참조하거나, 현행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전년도 IEP를 참조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 전ㆍ후에 평가를 위해서 생태학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3) 지역사회중심교수를 나가기 전에 교실중재를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4)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진행할 때에 중요한 교수전략들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나, 시각적 촉진법 사용은 미비하였다. 5) 지역사회현장에서 돈 이용하기지도가 미비하였다. 교사 모두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 시에 지원인력과 재정적 지원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In this research, 269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s over the country a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to collect basic data for community use skills instruction to students with disorder in korea. Plan,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necessity and support need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listed in questionnaires. Survey results are 1) Link to IEP objective of students with disorder are not enough when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planed. 2) ecological assessment are actively practiced for prior and post assess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3) class-based instruction are actively practiced before community-based instruction. 4) instruction strategies that is important to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actively practiced, but visual prompt is not used enough. 5) Instruction for use of money in community are not enough. Every teacher gives positive response to needs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but their biggest inquiry are staffs and financial supports for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it surveyed specifically community-based instruction in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needs, and then proposed basic data for mode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