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통합어린이집과 가정 일과 안에서의 교사와 부모중재가 장애유아 신변처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장혜성 ( Hae Song Ch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5 No.2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과 가정에서 교사와 부모가 동일한 신변처리 목표를 일과 안에 삽입을 하여서 다양한 중재방법인 과제분석법, 시각적단서, 최소촉진법, 시간지연법을 사용하였을 때에 신변처리 기술이 증가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교사와 부모가 실시한 신변처리중재 모두 장애유아의 신변처리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교사와 부모그룹에서 중재효과의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 교사의 중재가 부모의 중재보다 장애유아의 신변처리기술 능력을 향상시켰다. 교사의 장애유아 교육경력, 부모의 학력정도, 중재를 받은 유아의 장애정도, 나이, 성별, 교육받은 연수에 상관없이 모두 신변처리능력이 향상되었다. In this study, we researched on whether self-help skills of twent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child-care center are improved or not when teacher and parents teach them with same goals of self-help skills in daily routines. As research results, self-help skills of both teachers and parents is effectiv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regardless of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of special children, parents` education background, and children`s inability, age, sex, and training perio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다양한 학습기회와 교수전략을 이용한 지역사회중심 중재방법이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행동 습득에 미치는 효과

        장혜성(Chang, Hae-So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서울시 지역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고등부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84명에게 나이, 성별, 장애정도에 따라 다양한 학습기회와 교수전략을 이용한 지역사회중심 중재방법이 사회적행동을 증가시키는 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검사 비교집단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학습기회와 교수전략을 이용한 지역사회중심 중재방법은 지적장애학생의 전철, 슈퍼마켓, 패스트푸드점에서 요구하는 사회적행동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지적장애학생의 성별, 장애정도에 상관없이 사회적행동이 증가되었고, 나이가 어릴수록 사회적행동이 더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다양한 학습기회와 교수전략을 이용한 지역사회중심 중재방법이 사회적행동 습득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게 되었고,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사회적행동 습득의 가능성과 저학년부터 체계적인 사회적행동 교수가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보다 많은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여서 집단별 비교연구를 통해서 나이, 성별, 장애정도에 따른 사회적행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o know whether community-based instruction enables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to improve social behaviors required for the necessary skills at subway, retail chain stores, and fast food restaurants. We also studied how inner factors of those students such as age, sex, and intellectual level affect learning of social behaviors. Embedded learning opportunities, visual cues as instruction strategies, least-to-most prompting, and time delay were used for interventions. As results, social behaviors required for the necessary skills at subway, retail chain stores, and fast food restaurants were improved. Social behaviors were improved regardless of sex, intellectual level, and the social behaviors were improved more for young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반복측정 실험설계를 사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장애학생의 지하철 이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장혜성(Chang, Hae-So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1

        연구목적: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장애학생의 지하철 이용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재 회기, 장애학생의 성별, 학교 급과 같은 개인변인에 따라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어느 중재 회기 지하철 이용기술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총 연구기간은 3개월이었으며 서울시 특수학교 중·고등부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84명이 참여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실험설계, 반복측정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장애학생의 지하철 이용기술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는 모든 회기 간 지속적으로 장애학생들의 지하철 이용기술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성별, 중고등학생 간에 상관없이 중재 회기가 반복될수록 장애학생의 지하철 이용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켰으나 성별에 있어서 중재 4회기에는 여학생에 비하여 남학생에게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지역사회중심교수는 장애학생의 지하철 이용기술을 중재 1회기에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장애학생의 이동기술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보고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munity- based instruction implementation on the subway usag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study focuses on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efficacy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s, including different types of intervention sessions, students" genders, and the differential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Meth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ver the course of 3 months, among a group of 8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the special schools who chose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the repeated-measure design method. Results: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ubway usag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improvement was identified in every intervention session. Regardless of the student’s gender or age, there was an improvement after every session of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male students showed greater improvements than female students in the fourth intervention session. Conclusi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is an effective method for subway usa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the interventions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from the beginning of the first intervention session to the last intervention session.

      • KCI등재

        미국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삶에 관한 질적 연구

        장혜성(Chang, Hae-So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스테이트 칼리지 학군에 소속되어 있는 공립학교 중도·중복 장애학생들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로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삶과 개별인간으로서의 삶을 파악하기 위한 현상학적 질적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2월 11일부터 2014년 1월 10일까지이며 연구대상은 중도·중복 장애학생과 그와 관련된 전문인과 비장애학생을 포함한 38명이었다. 데이터 수집은 연구자 2인의 관찰과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으며 데이터 분석은 상시비교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14개의 범주와 6개의 하위주제, 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삶은 ‘장애학생도 우리학교 학생이다’, ‘장애학생도 내 절친한 친구이다’, ‘장애학생도 이웃사촌이다’라는 하위주제가 도출되었고 개별인간으로서의 삶은 ‘장애학생도 혼자서 해보려고 한다’, ‘장애학생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려고 한다’, ‘장애학생도 또래들처럼 치장하고 싶어한다’라는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삶과 개별인간으로서 삶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조건들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is study about quality of life of public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Pennsylvania State College Area School District, and this is phenomenological research to survey their lives as personal human being and social members. Study had done from Feb. 11th, 2013 to Jan. 10th, 2014. eight persons of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pecialist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joined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by two persons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data was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study results, 14 categories, 6 sub-theme, and 2 theme came out. As life of social members, there are sub-theme such as ‘our school students,’ ‘fiend of mine’ and ‘my good neighbor.’ As life of personal human being, there are sub-theme such as ‘they let me do by themselves,’ ‘they try to show their idea,’ and ‘they want to make up themselves as much as peers do.’ Such study results have meaning to present conditions to improve life qualit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Korea on the stud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merica.

      • KCI등재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대형마트 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권용덕 ( Yong Deok Kwon ),장혜성 ( Hae Song Ch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컴퓨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는 장애학생이 실수하였을 때 학생의 반응을 기다려주므로 학습에 매우 효과적이며, 멀티미디어 자체가 장애학생에게 흥미롭고 신선한 자극이므로 동기유발에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중학생 3명에게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대형마트 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한 장소에서 일반화되고 유지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방법을 사용하였다. 교실중재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여 대형마트 이용기술을 교수하고, 지역사회중재는 최소촉진법과 시간지연법을 이용하여 실제 지역사회 대형마트에서 교수하였다. 연구 결과,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모든 대상학생들은 대형마트 이용기술을 습득하였으며, 습득된 기술은 학습하지 않은 지역사회 대형마트에서 일반화되었으며,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자극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자료가 지적장애 학생에게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주의를 집중하여 활동에 참여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교실에서 실제 지역사회환경에 최대한으로 근접한 환경을 구성하여 사실적이고 자연적인 자극인 사진과 움직이는 이미지 등을 포함시킨 멀티미디어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에 일반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A purpose of the study is to know that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can maintain their learned knowledge and community skills through multimedia resources after passing over 4 weeks. To be specific, the study wants to know whether 3 students who had been educated by community-based instruction to shopping can use these skills again at the same retail chain stores and do that by themselves. Meantime,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had been used as an experimental design in the study. From this study, the result ``community-based instruction with multimedia data``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of rate with fulfillment of skills were increased. Second, the skills of students that educated in classrooms became generalized when they had been experienced new environment. Lastly, the skills that used in retail chain stores had been maintained after four weeks later. To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with multimedia resources is an effective and useful method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o obtain retail chain stores or other places using community skills independ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