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문사 기자의 조직기반 자긍심, 신뢰 및 보상 평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이만제,김선남 한국출판학회 2012 한국출판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신문기자들의 조직기반 자긍심, 신뢰, 보상 평가가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종합지, 경제지에 근무하는 기자 2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직기반 자긍심이 높은 기자들이 업무를 수행하면서 소진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에서 경영진에 대한 신뢰, 동료에 대한 신뢰가 높은 기자들 수록 소진을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영진에 대한 신뢰가 높은 기자들은 소진의 요인 중 정서적 고갈을 적게 느꼈으며, 동료에 대한 신뢰가 높은 기자들은 비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신이 조직에서 받는 보상을 높게 평가하는 기자일수록 소진상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업적 차원의 보상을 높게 평가하는 기자는 소진 요인 중 자아성취감 저하, 사회적 차원의 보상을 높게 인식하는 기자는 비인격화, 조직적 차원의 보상을 높게 평가하는 기자는 정서적 고갈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조직기반 자긍심, 신뢰, 보상 평가가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조직적 자원의 보상과 경영진에 대한 신뢰가 높은 기자는 정서적 고갈, 동료에 대한 신뢰가 높고 사회적 차원의 보상을 높게 평가하는 기자는 비인격화, 조직기반 자긍심이 높고 과업적 차원의 보상을 높게 평가하는 기자는 자아성취감 저하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trust and reward on psychological burnout in Korean press journali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group of journalists shows less burnout in their jobs. Second, the high trust in their manager and colleagues group of journalists has the less burnout tendency in their jobs. Third, the group of journalists who estimate high reward in their organization seems to less burnout Finally, Result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trust and reward on burnout are deposed to have some tendency that high perceived organization reward and manager trust group has less emotional exhaustion, high perceived colleagues trust and social reward has less depersonalization and high perceived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and task reward has less the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 KCI등재

        긍정심리자본, 감성지능, 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이만제 한국소통학회 2023 한국소통학보 Vol.22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ffect adaptation to a college life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summary of the main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with hi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re good at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particular,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resilience factor i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social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a college, and the hope factor on academic adaptation. Second,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tend to better adaptation to college life. Particularly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it is analyzed that the factor of emotional regulation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social adapt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and the factor of emotional us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emotional adaptation,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Third, it i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communication competence are better at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particular, among the communication skills, it is found that the factor of reducing social tension has the greatest effect on emotional adaptation, physical adapt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and interaction management on social adaptation, and cooperation/support on attachment to a colleg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it is found that the factor of emotional use,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a sub-factor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the greatest influence.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 감성지능, 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긍정심리자본 중 회 복탄력성 요인은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에, 희망 요 인은 학업적 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감성지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성지능 중 감성조절 요 인이 사회적 적응, 학업적 적응에, 감성활용 요인이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소통능력이 높은 대학 생일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통능력 중 사회적 긴장완화 요인이 정서적 적응, 학업적 적응, 신체적 적응에, 상호작용관리는 사회적 적응에, 협력 /지지는 대학에 대한 애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소통능력, 긍정심리자본, 감성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감성지 능의 하위요인인 감성활용과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회복탄력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이만제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5 No.-

        본 연구는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 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상, 전라 지역 대학생 9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머감각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의사소통, 만족감, 이 해성, 친근감의 대인관계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머감각 중 유머생성 능력이 대인관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유머 스타일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적 유머스타일은 의사소통, 만족감, 이해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자기고양 유머스타일은 친근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격적 유머스타일은 이해성, 친근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멸적 유머스타일은 친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 humor sense and humor style on interpersonal rel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who have more humor sense have high degree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affe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Especially humor production skill variable of humor sense is most prominent variable explaining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2. Humor style has significant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Affinitive humor style has most significant effects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 Self-enhancing humor style has most significant effects on affe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Self-defeating humor style has positive effects on affection, on the other side aggressive humor style has negative effects on understanding and affe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at is, humor and humor style can be significant factors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 in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의 말하기, 듣기 스타일과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인구사회학적 변인, 퍼스낼리티, 리더십생활스킬을 중심으로

        장해순,한주리,허경호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3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sex, age, scores), big five factors, leadership life skill, communication style and listening style. Firstly, results showed that sex, age, and score partially related to adolescent's communication style and listening style. Secondly,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leadership life skill also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tyle and listening style.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성적), 성격 5요인, 리더십 생활 스킬이 말하기, 듣기 스타일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성별, 연령, 성적은 청소년의 말하기, 듣기 스타일과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이, 성적이 높은 청소년들이 논변적 스타일을 더 많이 구사하고 있었다. 또한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시간지향적 스타일을 더 많이 활용하였고, 학년이 높을수록 사람지향적 듣기 성향을, 성적이 높을수록 내용지향적 스타일로 경청하는 성향을 보였다. 성격 5요인 역시 말하기, 듣기 스타일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외향적인 청소년들은 당당한 스타일을, 친화성과 신경불안증이 높은 청소년들은 반영적 스타일을, 성실성과 개방성이 높은 청소년들은 논변적 스타일을 더 많이 구사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격에 따른 듣기 스타일의 차이를 보면 신경불안증이 높은 청소년들은 시간지향적 성향을, 성실성이 높은 청소년들은 내용지향적 스타일을, 개방성이 높고 외향적이며 친화성이 높은 청소년들은 사람지향적 스타일을 더 선호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도 말하기, 듣기 스타일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의사결정 스킬과 문제해결 스킬이 높은 청소년들은 논변적, 당당한 스타일을 구사하는 반면 의사소통스킬이 높은 청소년들은 반영적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다음으로 자기존중-인간관계 스킬이 높은 청소년들은 행동지향적 듣기성향을 적게 가지고 있는 반면 의사결정 스킬이 높은 청소년들은 행동지향적 듣기방식을 선호하였다. 문제해결 스킬이 높은 청소년들은 내용지향적 스타일, 의사소통스킬이 높은 청소년들은 사람지향적 듣기성향을 보였다.

      • KCI등재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애착이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한주리 한국가족관계학회 2008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3 No.1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dolescent's communication and attachment with parents on their leadership life skill. Firstly,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communication style with their parents affects their own leadership life skill. In detail, higher communication openness with parents was, the superior to communication competent ability, communication decis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ere. Secondly, adolescent's attachment with their parents affects their own leadership life skill. In detail, higher attachment with their parents was, the higher communication competent ability, communication decis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Hae-Soon Jang),이만제(Man-J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밝혀내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서울, 경상, 전북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39부를 상관관계분석, 다변인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한 결과들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해 보면 첫째,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효능감의 요인 중 자신감이 스피치 불안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내적 귀인성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반면 타인 귀인성향, 우연 귀인성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ttributional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were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39 college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level group in th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ave lower communication apprehension scores than the lower level group. Particularly, it is found that self-confidence in self-efficacy variables has the greatest effect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Second, college students with high internal attributional disposition tend to feel less communication apprehension, while college students with high others attributional disposition and accidental attributional disposition tend to have higher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s of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ttributional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self-efficacy i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노출과 공감능력이 스트레스 지각정도 및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 ( Hae Soon Jang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자아노출과 공감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정도 및 대처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자아노출의 양이 많으면서 자신을 긍정적, 의도적, 정직하게 노출하는 대학생일수록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노출의 양이 많으면서 자신을 긍정적, 의도적이며 정직하고 깊이 있게 노출하는 대학생일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지향적 전략, 사회적 지지추구 전략 등 적극적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능력 중 관점 취하기, 공감적 관심 능력은 높지만 개인적 고통 능력이 낮은 대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감능력 중 관점취하기 능력이 높은 대학생 일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지향적 대처, 사회적 지지 대처의 적극적 대처전략을 더 많이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 능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소망적 사고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empathy on stress percep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who have more self-disclosure amount and have positiveness, intent, and honesty in self-disclosure variables tend to recognize low stress. 2. The students who have more self-disclosure amount and have positiveness, intent, honesty and depth in self-disclosure variables tend to use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ive coping in stress coping strategy. 3. The students who have high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empathic concern ability and low personal distress ability in empathy variables tend to recognize low stress. 4. The students who have high perspective taking ability in empathy variables tend to recognize low stress tend to use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ive coping. But the students who have high fantasy,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in empathy variables tend to use wishful coping in stress coping strategy.

      • KCI등재

        대학생의 부정적 평가 두려움과 스피치 불안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장해순 ( Hae Soon Jang ),이만제 ( Man Je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스피치 불안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상도, 전라도 소재의 대학생 241명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을수록 자기격려 수준은 낮고 스피치 불안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격려 수준이 높을수록 스피치 불안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격려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스피치 불안감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격려의 하위요인인 인지, 정서, 행동적 자기격려도 모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스피치 불안감을 부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독립변인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스피치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매개변인인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자기격려 변인을 투입했을 때 그 영향의 정도가 감소하는 간접 효과를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diation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peech anxiety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correlation of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peech anxiety is observed. The significant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ncouragement and speech anxiety is found, while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ncouragement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s found. Second, the result indicates that self-encouragement partly mediates speech anxiety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ird, mediation effects of cognition self-encouragement, emotion self-encouragement and behavior self-encouragement as sub variable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of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peech anxiety are examin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inds very significant mediation variables, self-encouragement to reduce the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speech anxiety in Korea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가족과의 대화방식에 따른 중학생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성향

        장해순 ( Hae Soon Jang ),이만제 ( Man Je Lee ) 한국화법학회 2012 화법연구 Vol.0 No.21

        이 연구는 가족간의 대화방식에 따른 중학생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성향의 차이를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족 대화방식에 따른 감성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원형, 합의형 가족의 중학생들이 보호형, 방임형보다 감정인식, 감정표현, 감정이입, 감정조절, 감정활용 등의 감성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대화방식에 따른 대인관계성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지배적-우월적 성향은 합의형, 다원형, 보호형 가족의 중학생들이 방임형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적-책임감적 성향, 동정적-수용적 성향, 사교적-우호적 성향, 경쟁적-공격적 성향, 과시적-자기도취적 성향은 다원형과 합의형의 가족이 보호형과 방임형의 가족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반항적-불신적 성향은 가족간의 대화방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according to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students who had pluralistic and consensual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show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such as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pathy,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application than those students who had protective and laissez-fair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according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Second, those students who had pluralistic and protectiv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show higher dominant-ascendant disposition. And those students who had pluralistic consensual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show independent-responsible, sympathetic-acceptable, sociable-friendly, competive-aggressive, and ostentatious-self-absorption disposition according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in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