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문인들의 상예적(尙藝的) 서예미학

        장지훈 ( Jang Ji Ho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0 No.-

        조선후기에 대두된 性情論·天機論·性靈說 등은 전통 주자학적 禮敎主義와 같은 사고에서 진일보하여 자유와 개성을 긍정하는 문예이념으로, 擬古에 반하는 문예의 참[眞]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이는 王陽明 心學의 사상적 영향 하에 형성된 것으로 주자학의 규범적이고 합리화된 擬古主義에 반대하고 인격적인 독립과 개인의 심미감수를 중시하는 이념이었다. 이러한 문예사조는 문예전반에서 自得을 심화시켰다. 심학의 미학사유는 과거 전통이나 법규로부터 보다 자유롭고 개성적이며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예술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사유에서는 예술의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는 한 반드시 기존의 관념을 따를 이유가 없었다. 때문에 서예에서도 객관적인 규범에 대한 추존과 재현을 거부하며, 텍스트를 재해석·재구성하여 자득과 創新의 성향이 강화되어 갔다. 그리하여 조선후기는 기존에 비해 서예를 자각적인 예술로 인식하여 서예의 본질을 궁구하고 창작하는 활동이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조선후기 문인들은 서예의 실용·윤리적 측면보다는 순수 예술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다양한 미학과 창작을 선도하였다. 중기까지의 주자학적 서예에서 진일보하여 ‘진정한 조선의 서예미학’을 탐색하고자 했다. 또한 기존의 심미규범과 창작을 고수하지 않고, 사고와 실천에서 변해야 한다는 의식이 강하였다. 때문에 서예본질에 대한 규명과 성찰 및 시대정신을 담아내는 데 관심을 기울였고, 善變과 자득의 실천에 주력하였다. 박지원이 ‘法古創新’을 논하고 이광사가 ‘活物’을 논한 것은 모두 그 시대의 ‘살아있는 서예’를 통해 ‘예술적 성취’를 추구하려는 의식의 소산이었다. 조선후기의 개방적 사유는 서가들의 학문과 예술정신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이로 인해 다양한 서예이론과 창작을 탄생시켰다. 그래서 이 시기의 서예는 조형에만 관심을 두거나 末藝로 치부하는 소극적 접근이 아니라, 서예본질에 대한 철학적 변석과 학문적 탐구가 심화되었다. 이는 서예를 餘技가 아닌 학술·예술적 차원에서 인식한 결과였다. 이로써 조선의 서예는 개성과 풍격이 한층 성숙하였고, 글씨의 ‘藝’적 측면을 더욱 중시하게 되었다. Seongjeong, Cheongi, and the Holy Spirit, which emerg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literary ideologies that supported freedom and individuality by advancing from ideas such as traditional self-reliance. It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Wang Yang-myeong's Simhak(心學), which opposed the normative and rationalized willism of self-reliance and emphasized personal independence and individual aesthetic sensitivity. This style of literary art deepened self-complacency(自得) in the first half of literature The reason for the psychological aesthetics was to pursue a more free, individual, subjective and creative art from past traditions and regulations. For these reasons, there was no reason to follow existing notions unless the identity of art was lost. Therefore, calligraphy rejected the existence and reproduction of objective norms, and re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text to strengthen the tendency of self-discipline and creation. Thu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lligraphy was recognized as a self-complacency, and the activities of seeking and creating the essence of calligraphy began to stand out. The writers of the late Joseon Period took a purely artistic approach rather than the practical and ethical aspects of calligraphy, leading to various aesthetics and creation. It was intended to advance from the Zhujianic calligraphy to the mid-term to explore the true calligraphy of Joseon. In addition, there was a strong sense that one should change from thinking and practice without sticking to existing rules of beauty and creation. Therefore, he focused his attention on discovering the essence of calligraphy, reflecting on the spirit of the times, and focusing on the practice of change and self-complacency. Park Ji-won's discussion of "create a new one based on the old one(法古創新)" and Lee Kwang-sa's discussion of "a living thing(活物)" were all the products of the consciousness to pursue "artistic achievement" through the "living calligraphy" of the era. The open reasons of the late Joseon Period greatly influenced the scholarship and artistic spirit of calligraphers, resulting in a variety of calligraphy theories and creation. Thus, the philosophical analysis and academic exploration of calligraphy essence intensified, not the passive approach of calligraphy, which was regarded only as a formative or trivial talent. This was the result of the recognition of calligraphy not as leisure but as academic and artistic dimensions. As a result, calligraphy in Joseon was more mature in character and style, and the artistic aspects of calligraphy were emphasized more.

      • KCI등재

        조선 유학자들의 서예인식에 관한 연구

        장지훈(Jang, Ji-hoon)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49

        본고는 조선 유학자들의 학문성향과 서예인식의 관련성을 조명한 글이다. 즉, 학문사상적 관점에 따른 서예본질에 대한 이해와, 그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지향하는 서예심미관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조선의 道學者는 서예를 理氣心性論과 연계지어 이해한다. 퇴계 이황은 성리학적 심성론에 기인하여 궁극적으로 ‘敬’의 자세로 일관하면서 유가의 도통관인 心法을 서예의 본질로 상정했다. 우암 송시열 또한 서예의 心法을 본질로 삼으면서도, 心法을 구현하는 심미관을 ‘直’에 두었다. 도학자들은 대체로 서예는 心法의 구현임을 인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人正則書正의 윤리적 서예관을 형성하였다. 조선의 實學者는 서예를 우주론적 관점에서 易理的으로 이해하거나, 사실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自得, 實心, 眞등과 연계지어 인식한다. 옥동 이서 는 퇴계의 서예관을 계승하면서도 서예의 본질을 『周易』의 관점에서 형이상학적으로 접근한다. 이계 홍양호는 貴古淺今의 사유에서 벗어나 易理로써 서예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善變을 도모한다. 박지원 또한 變易의 사고를 바탕으로 서예는 習俗을 벗어나 자기만의 새로운 형식과 감성의 표현임을 인식했다. 다산 정약용은 서화에 있어서 지나치게 이상적이고 관념적 풍조를 병폐로 여기고, 원형에 대한 사실적인 표현과 시대정신을 담아낼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실학자들의 서예인식은 기존의 理중심적 심미관에서 氣중심적 심미관으로 전향된 것이라 하겠다. 조선의 陽明學者는 학문의 근원을 良知에 두고, 서예에서 주체적인 心의 발현을 강조한다. 원교 이광사는 기존의 도덕적 心法에서 벗어나, 서예란 자기진정의 眞法을 구현하는 것임을 천명했다. 한편 老莊的사유를 견지한 창암 이삼만은 서예란 모든 法의 극치를 넘은 無法의 단계, 즉 自得의 절대자유 경지를 지향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양명심학·노장적 사유는 기존에 지배적이었던 윤리적 서예인식에서 이미 벗어나 眞情主義심미관을 지향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처럼 조선 유학자들은 학문사상과 서예를 연계지어 이해함으로써 서예의 윤리성·예술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피력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의 서예가 획일화되지 않고 다양한 인식과 심미관을 전개해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illuminates the relevance of the academic propensity of Korean Confucian scholars and the recognition of calligraphy. In other words, I understood what the calligraphic essence of the calligraphic viewpoint is and the calligraphic aesthetics of the calligraphy based on that perception.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understand calligraphy in conjunction with the theory of mind and mind. Due to the neo-philosophical theory, Toegye Lee Hwang has assumed the essence of calligraphy, which is the conduit of Yuga, which is ultimately consistent with the attitude of “respect”. Wuam Song Cheol also puts the essence of calligraphy as its essence, while putting the aesthetics that embody the essence into a ‘straight’. The doctors generally recognized that calligraphy was the embodiment of the law of mind, and as a result, they formed the ethical calligraphy of the people’s righteous sentence. The practitioners of Joseon recognize calligraphy from a cosmological point of view as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r in connection with self-interest, essence, and truth based on realistic spirit. Although Okdong Isa succeeded the calligrapher of Toegye, he approaches the essence of calligraphy in a metaphysical way in terms of 『周易』. Leegye Hong Yang-ho is abl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calligraphy as a reason for deviating from the thought of the present. Park Ji-won also recognized that calligraphy is a new form of 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ased on the thought of mutation. Dasan Jung Yak-yong emphasizes overly idealistic and ideological trends in the paintings as a sickness and a realistic expression of the original and the spirit of the times. The calligraphers’ perception of calligraphy has been shifted from the existing science-centered aesthetics to the energy-centered aesthetics. The Yangmyung scholar of Joseon places the source of learning in good conscience and emphasizes the manifestation of subjective mind in calligraphy. Lee Kwang-sa stated that calligraphy is a realization of the true law of self-calmness. On the other hand, Chanam Lee Sam-man, who maintained the old-fashioned reason, regarded the calligraphy as the absolute level of selflessness which is beyond the extreme of all laws. Such a bilingual study. It is said that the tentative reason is to deviate already from the prevailing ethical calligraphy recognition and to aim for the emotionalism aesthetic. In this way, Joseon Confucian scholars can understand the ethics of calligraphy by linking academic thought and calligraphy. Expressed various views of artistr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Korean calligraphers have not developed uniformity but developed various perceptions and aesthetics.

      • KCI등재

        임플란트 고정체의 의원성 동요 후 골 유착 반응에 관한 연구

        장지훈,조진현,이청희,Jang, Ji-Hoon,Cho, Jin-Hyun,Lee, Cheong-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8 No.3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 유착된 임플란트에 인위적 비틀림을 가한 후 골 유착이 다시 일어나는지, 혹은 일어나지 않는지, 일어난다면 이전의 골유착보다 강화되는지, 약화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상업적으로 순수한 티타늄 (commercial pure titanium 99%)으로 직경 3.75 mm, 길이 4 mm의 표면처리 없는 실험용 임플란트를 제작하였다. 3.0 kg이상의 뉴질랜드산 흰색 암컷 토끼 7마리의 좌우 경골에 제작한 임플란트를 2개씩 식립 후, 6주의 골유착 유도 기간 부여 후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한 경우를 I군으로, 다시 임플란트 고정체를 재위치시키고 봉합하여 4주간의 치유기간을 더 두고 측정한 경우를 II군으로 분류하였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조직 형태학적 분석을 위하여, 1차 비틀림 제거력 측정 직후 1마리의 토끼를 희생시키고, 2차 비틀림 제거력 측정 직후 2마리의 토끼를 희생시켜 각각 4개, 7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 (${\times}20$) 분석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Bone-Implant contact, BIC, %)비율과 치밀골 부위에 위치하는 임플란트의 나사산 수를 측정하여 CBa (Bone area in the cortical passage)비율을 측정하였다. 비틀림 제거력과 BIC및 CBa비율에서의 I군과 II군의 통계적 유의성 ($\alpha$=.05)을 평가하였다. 결과: 비틀림 제거력 측정에서 I군은 $10.8{\pm}3.6$ NCm로 측정되었으며, II군은 $20.2{\pm}9.7$ NCm로 측정되었으며, I군보다II군의 비틀림 제거력이 평균 98.1% 증가되었다 (P<.05). 조직 형태학적 분석에서 BIC와 CBa 비율은 I군과 II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P>.05), RT/BIC와 RT/CBa 값은 I군과 II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P<.05). 결론: 임플란트 고정체에 의원성 비틀림 동요가 발생한 경우에 초기 골유착을 얻기 위해 필요로 했던 치유기간보다 짧은 기간 내에 이전보다 견고한 골유착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osseointegration of the implants that had mechanical unscrewing possibly occurred or not. Furthermore, if it happened, the degree of re-osseointegration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previous osseointeg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mooth implant (commercial pure titanium 99%) specimens, whose diameter and length was 3.75 mm, 4 mm, respectively were produced. Two implants were inserted into each tibia of 7 New Zealand female white rabbits weighing at least 3.0 kg. The torque removal force for each implant after 6 weeks of implants placement was measured and included in group I. The torque removal forces were assessed after the fixtures were re-screwed to original position and the subjects were allowed to have 4 more weeks for healing and included in group II. One rabbit was sacrificed after first measurement and produced 4 slide specimens in group I, and two rabbits were sacrificed after 2nd measurement, 7 slide specimens, in group II for histomorphologic investigations. All slide specimens were assessed based on the proportion of BIC (bone-implant contact) as well as CBa (Bone area in the cortical passage) value produced by counting the screw threads embedded in the compact bones under the optical microscopic analysis (${\times}20$).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orque removal force, BIC and CBa between group I and II. Results: As for the torque removal force, the result was $10.8{\pm}3.6$ Ncm for group I and $20.2{\pm}9.7$ Ncm for group II. Furthermore, the torque removal force of group II increased by 98.1% in average compared to group I (P<.05). On the other hand, histomorphologic analysis display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IC and CBa values between group I and the group II (P>.05), and RT/BIC and RT/CBa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substantial re-osseointegration within shorter periods than the period needed for the initial osseointegration in case of iatrogenically unscrewed implants.

      • KCI등재

        눈물점 마개 사용 후 발생한 합병증의 치험 증례

        장지훈,채종근,김병진,이하범.Ji-Hoon Jang. M.D.. Jong-Keun Chae. M.D.. Byoung-Jin Kim. M.D.. Ha-Bum Lee. M.D. 대한안과학회 2005 대한안과학회지 Vol.46 No.3

        Purpose: To report cases of complications after using punctual plugs with a literature review. Methods: We studied 3 complicated cases after the use of punctual plugs: a 46-year-old female with recurrent mucopurulent discharge, a 42-year-old male with a pinkish mass over the punctum, and a 29-year-old female with recurrent epiphora. Results: The 46-year-old female was diagnosed with canaliculitis caused by actinomyces, the 42-year-old male with chronic pyogenic granuloma, and the 29-year-old female with canalicular obstruction. All 3 cases improved after proper treatments. Conclusions: Complications after the use of punctal plugs are not common but they can be significant. They have to be used carefully after through evaluation and obtained proper informed consents from the patient.

      • KCI등재

        한글 서예의 미학 - 서체미를 중심으로 -

        장지훈,張志熏(Jang, Ji-Hoon)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4 No.-

        한글이 창제된 이후, 한글은 서예와 만나면서 풍부하고 다양한 서체와 미감을 형성해왔다. 다만 전통의 한글 서예는 어떠한 형태로 변화해왔는가에 대해서는 인식하기 용이하나, 어떠한 미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쉽지 않다. 때문에 한글 서예의 미를 논하기 위해서는 한자 서예의 예술적 특징을 한글 서예에서도 발견하고, 이를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글 서예를 전통의 서법적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먼저 한글 서예의 서체는 대략 고체 ․ 정자체 ․ 흘림체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체는 자형이 좌우대칭과 정사각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하고 있으며, 대체로 단정하고 근엄하여 경건(勁健)의 미를 느낄 수 있다. 획의 굵기 변화는 미세하나, 예서와 해서가 혼합된 남조의 해서풍처럼 기필과 수필의 방필(方筆)이 두드러지며, 대체로 금석의 졸박한 기운이 서려있다. 정자체는 전반적으로 평정한 결구와 안정적인 필세가 특징적이다. 판본의 고체가 필사화 되어가면서 고체에 비해 자형이 세련 되고 필획의 유연함이 두드러지며, 직선적인 필획과 방정한 자형의 정제된 글꼴 속에서도 맑고 담백한 운치를 느끼게 한다. 흘림체는 서간이나 가사 등의 경우, 정자체의 기본 자형을 바탕으로 때로는 거칠고 강렬한 필획을 가미하고 필속을 경쾌하 게 하여 절주(節奏)의 미가 강하다. 반면, 궁서의 경우 곡선적인 섬세한 필획을 부드럽게 연결하여 수려하면서도 정제된 멋이 깃들어 있다. 한글은 한자에 비해 비록 문자의 구조와 글꼴은 단순하지만, 한자 서예가 지닌 다양한 서체의 미학이 한글 서예에도 내재되어 있다. 특히 한글 서예는 특정 서체를 막론하고 한국인의 섬세하고 우아한 격조에서부터 역동적이고 변화무쌍한 생동감은 물론, 즉흥적이고 자유분방한 운치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자연친화적인 정서와 심미의식이 다양한 형태로 반영되어 있다.

      • KCI등재

        漢代書論의 서예미학적 분석

        장지훈(JANG, JI-HOON) 한국서예학회 2007 서예학연구 Vol.11 No.-

        본 논문은 漢代의 서예이론을 서예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고대로부터 서예의 審美性을 궁구해왔던 근거를 일면 고찰하기 위한 글이다. 서예사에 있어서 漢代는 서예가 실용적 측면에서 점차 예술성이 가미되면서 일정한 예술의 독자적 지위를 구축해가는 시기로 간주된다. 특히 漢代는 許愼의『說文解字』저작과 함께 서예는 문자의 미학적 구조와 연계되어 심미체계의 기반이 형성되었고, 揚雄의 ‘心畵說’을 비롯한 崔瑗과 趙壹의 ‘草書美學觀’, 蔡邕의 ‘書勢論’ 등 전문 書論을 통해 서예심미를 논의한 점은 이 시기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西漢의 양웅이 ‘書爲心畵’란 명제를 제기하면서 서예는 창작주체에 따른 미학적 해석이 가능하기 시작했으며, 허신은 그의 象形說에서 ‘書者如也’란 명제를 통해 서예의 미학적 기반을 창작객체에 두는 등 관점에 따라 서예심미에 관한 논의가 다양해졌다. 그리하여 최원은 動靜의 勢를 통해 초서의 실용성과 심미성을 연계시켜 이해했으며, 조일은 당시 초서의 유행이 과도한 풍조에 대해 비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心․ 手․ 書合一의 서예미학관을 제기함으로써 후대 ‘心手相應說’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아울러 채옹은 易哲學的사유와 연계하여 ‘서예는 자연에서 비롯되었다’는 명제를 제기함으로써 易의 음양변화와 역동성을 구체적인 서예미학으로 승화시켰다. 이처럼 漢代의 書論은 先秦이후 서예의 심미적 경계를 형성하고 이론적 체계를 구축했으며, ‘勢’라는 역동성을 강조하는 漢나라 특유의 서예심미를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서예의 이념적 근거를 단편적이나마 제시한 漢代의 書論은 고대의 서예문화적 기반 위에 서예의 미학적 기초를 마련했으며, 후대 서예미학의 심층적 발전에도 기저가 되고 있다.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Han(漢) Era can be said to be when calligraphy took its independent artistic status as its practicability focusing on communication was converted to artistic tendency.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Heo Shin(許愼)'s『說文解學』calligraphy constructed its aesthetic base in link with the aesthetic structure of letter, followed by a flood of aesthetic findings such as Yang Woong(揚雄)'s ‘Shimhwaseol(心畵說)', Heo Shin(許愼)'s ‘Sanghyeongseol(象形說)', Choi Won(崔瑗) and Jo Il(趙壹)'s ‘草書美學觀', Chae Ong(蔡邕)'s ‘Seoseron(書勢論)', Some of these calligraphy writings foretold the scholarly shift of calligraphy after Seonjin(先秦) Era, and has its significance that it created peculiar aesthetic norm of Han(漢) Era highlighting the dynamics called ‘Se(勢)'. The aesthetic foundation of calligraphy can not be discriminated from the principles of Jooyeok (周易) constantly forming and changing, which is the steady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the logic of natural philosophy and principles of positive and negative in Seonjin(先秦) Era. Chae Ong(蔡邕)'s proposition ‘calligraphy was derived from nature' representing its example, is concentrated to Jooyeok(周易) thought, and it is the product of aesthetic sense subliming the change and dynamics of positive and negative principles to concrete art. Thus Seoron(書論)s In Han(漢) Era fragmentarily suggesting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calligraphy can be said to those leading the social and ideological basis of then artistic world, and predicted the artistic development of calligraphy by being calligraphy aesthetics.

      • 딥러닝을 이용한 한반도 주변 파랑예측

        문종윤(Jongyoon Mun),조완희(Wanhee Cho),성보람(Boram Seong),한수만(Sooman Han),최진휴(Jinhyu Choi)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는 한반도 주변의 기상정보로 파랑을 예측하고 CCTV 영상에서 월파를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성능의 우수성이 널리 알려진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의 한 종류인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사용하여 파랑예측과 월파감지 모델을 구축하였다. 파랑예측에 사용된 CNN모델은 U-net을 기반으로 구축하였으며 월파감지에 사용된 CNN모델은 객체 검출 모델을 사용하였다. 파랑예측 모델의 입력 자료는 일본 기상청(Japan Meteorological Agency, JMA)의 대기 예측정보인 MSM(Meso Scale Model)을 사용하였다. 합성곱신경망 파랑예측 모델의 학습데이터는 ADSWAN(ADCIRC + SWAN) 파랑모의 결과의 위도 30˚ ∼42.75˚, 경도 122.5˚∼135.25˚영역을 사용하였으며 격자 간격은 0.05˚로 설정하였다. 파랑 예측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기존 U-net 구조의 인코더와 디코더 레이어의 깊이를 7층으로 확장하여 사용하였다. 상관성 분석 결과, 파고와 주기는 각각 풍속과 파고에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 바람장 정보로부터 유의파고를 예측하고 예측된 유의파고로부터 주기를 예측하는 두 단계의 예측 모델을 구성하였다. 예측 결과에서 ADSWAN 파랑모의와의 상관성은 0.93, 관측치와의 상관성은 0.83으로 분석되었고 1시간 예측에 약 0.024초가 소요되었다. 월파감지 모델의 학습데이터는 삼척과 주문진의 CCTV 1년 1개월 분량의 영상(2018.10.01. ∼ 2019.10.31.)에서 월파가 발생한 프레임을 수동으로 추출하여 약 2만장의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월파의 기준은 탐지된 파도 영역이 난간을 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난간을 넘지 않는 파도를 구분하기 위해 배경과 파도를 분리하고 난간 구역과 비교하여 여과하는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또한, 해수면과 분리된 파도 영역을 비교하여 실제 처오름높이를 산정하였으며, 월파감지의 정확도 분석 결과 mAP<sub>50</sub>은 0.60, 속도는 80.5fps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echnology to predict wave using atmospheric modeling dat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o detect wave overtopping using CCTV images. For the development, we adopt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a kind of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known for its high performance. Wave prediction model is based on U-net, whereas overtopping detection model makes use of object detection models. Input data for the wave prediction model is MSM (Mesoscale Model) atmospheric forecasting data from the Japan Meteorological Agency(JMA). The training data for wave prediction model is ADSWAN(ADCIRC+SWAN) wave simulation results, whose spatial extension is 122.50°E 135.25°E, 30.00°N∼42.75°N with resolution of 0.05°.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wave prediction model, we extend the depth of the encoder and decoder layers from the U-net structure to the seventh layers.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wave heights are highly correlated with wind speeds while wave periods are with wave heights. Thus, we constructed a two-step model that predicts wave heights from the former and wave periods from the latter. In our prediction results, correlations with ADSWAN wave simulation results and observation were found to be 0.93 and 0.83 respectively. The 1-hour prediction took about 0.024 seconds. The training data for overtopping detection model is around 20,000 frames manually extracted from one year-long CCTV video images (2018.10.01. ∼ 2019.10.31.) from Samcheok and Jumunjin. We defined wave over the fence as a overtopping event, and developed a filtering algorithm to separate the background from the wave by comparing regions. Furthermore, we estimated wave run-up height from the separated wave regions and preformed the accuracy analysis, mAP<sub>50</sub> being 0.60 and the processing speed being 80.5fps.

      • KCI등재

        圓嶠 李匡師의 心學的 書藝美學思想에 관한 小考

        장지훈(Jang Ji-hoon)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본 연구는 조선후기 양명학자이자 서예가로 활동했던 圓嶠 李匡師(1705-1777)의 서예미학사상을 고찰한 논문이다. 이광사가 활동했던 18세기는 兩亂 이후 사회 변화에 따른 주자학의 절대 권위가 약화되었고, 문예전반에서는 관념적 擬古에 대한 회의와 반성이 일어나면서 변화의 시대정신이 요구되었다. 서예방면에서는 규범화?형식화 된 기존 書風의 한계가 노정되면서 서예의 원형 회복을 위한 탐구가 심화되었다. 이 시기의 일부 문인학자들은 주자학적 학문관과 문예격식에서 벗어나 眞情에 따른 참학문ㆍ참문예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에 문예전반에서는 天機의 眞과 性靈을 중시하는 진정주의가 확대되었고, 서예방면에서는 진정의 心劃과 自得의 美를 표방하면서 東國眞體의 기반이 확립되었다. 동국진체의 중심인물이었던 이광사는 사상과 문화의 다원화 속에서 다양하고 주체적인 예술경계를 창출하고자, 心學의 학문정신에 바탕하여 주체성과 개성을 강조하는 心眞의 서예미학을 전개하였다. 그는 서예본질을 유기체적 생명성으로 간주하고, 天機造化를 통하여 생명정신과 개성의 발현을 진작시켰으며, ‘淳’과 ‘拙’이라는 심미관을 제기함으로써 外形美에 경도된 조선후기 서예심미에 변화를 촉구하였다. 특히 그는 서예의 창작주체를 외재적 규율로부터 주관적인 純粹本心으로 전향시키고, 本來心의 靈活性과 自得의 心眞에 의해 생동하고 神彩가 발하는 서예경계를 구현하였다. 따라서 이광사 서예미학사상의 요체는 心學的 眞情主義에 근거한 自得과 個性美의 구현에 있으며, 이러한 차원에서 그를 조선의 진정한 서예정신을 구현한 인물로 간주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is Wonyo Yi Gwang-sa’s to the generally review thougth of the revival. Wonyo Yi Gwang-sa (圓嶠 李匡師 1705-1777) is s outstanding and representative figure in academic and art field in 18th century of trend of literary with the economy and literature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s in 1636, the doubt and reflection on ideological imitation of ancient style (擬古) arose across the art and literature, calling for changes and self- satisfaction and calligraphers, promoted the recovery of original form and new learning and performed their in-depth theoretical study based on I Ching philosophy. At this time some literary scholars tried to steer clear of the literary viewpoint and form of Neo-Confucianism and create their own works pursuing their true feelings- genuine learning and genuine literary activity. Also, in the calligraphic field, the pursuit of genuine handwriting(書風) and beauty of self-satisfaction (自得) paved the way for the internal and external foundation of Donggukjinche(東國眞體). Wonyo Yi Gwang-sa(圓嶠 李匡師 1705-1777) is a embodied calligraphic aesthetics with mind-leaning(心學的) approach, urged to realize the spirit of the mind-leaning (心學的) with principle sincrity(眞情主義). The truth he realized and unkerstood in the agony of life is that human is a being who can realize his of her subjectivity and the content of realizing his of her subjectivity is the truth f one’s mind. In accordance with which, Wongyo’s aesthetics developed into accordance with which , Wonyo Yi Gwang-sa aesthetics developed into change and creation of mind and nature and aesthetics that creticize beauty and ugliness, good and evil through the learning which can be understood with the purest and the most sincere mind. Also rate a Wonyo Yi Gwang-sa(圓嶠 李匡師 1705-1777) merit high and representation.

      • KCI등재

        한글서예 서체명칭의 통일방안 연구

        장지훈(Jang, Ji Hoon)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7 No.-

        한자서예의 서체는 시공을 초월하여 운필과 결구, 즉 서사의 형태에 따라 篆書 ․ 隸書 ․ 楷書 ․ 行書 ․ 草書 5체로 분류된다. 이에 반해 한글서예의 서체는 약42종의 명칭이 사용되고 있어서 마치 42종의 한글서체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중 의 대부분은 한 두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명칭이기 때문에 보편타당성을 갖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동일한 서체에 대해 각기 다른 명칭을 사용한 결과이다. 40여 종의 한글서예 서체명칭은 형태적 특징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사용자 ․ 용도 ․ 책자 ․ 장소 등에 따라 임의로 부여되었다. 때문에 한글서예의 서체는 분류와 명칭에 있어서 서예학적 연구가 시도되어야 마땅하다. 즉, 한글서예 서체의 분류와 명칭은 과거의 서체를 통섭하면서 현대를 아우르고, 후대로 계통성을 이어갈 수 있 도록 보편성과 체계성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순수서예적 측면’에서 한글을 붓으로 서사하여 나타난 자형의 體勢가 지닌 ‘형태적 특징’에 따라 한글서체의 체계적인 분류와 명칭통일을 시도하 였다. 용필과 결구에 의한 서체의 분류는 일정한 시대나 특수한 상황에 한정되지 않고, 시공을 초월하여 형태적 계통성을 갖는 서체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곧음체’, ‘바름체’, ‘흘림체’, ‘진흘림체’ 4종으로 분류 ․ 제안하였다. 이 4종의 서체명칭과 분류체계는 서사자 ․ 장소 ․ 용도 ․ 도구 등의 조건에 상관 없이 붓으로 서사한 문자의 체세에 의한 형태적 특징에 따라 정리된다. 이는 산발 적으로 사용되었던 기존의 서체명칭과 분류에서 벗어나 ‘순수서예적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명명할 수 있는 방안이다. 수없이 다양한 서체를 포괄할 수 있 는 분류방법이며, 명칭 또한 순수한글로서 함축적이고 간명하게 인식될 수 있다. In Chinese calligraphy, the fonts a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 Zhuanshu, Lishu, Kaishu, Xingshu, and Caoshu - by the way of description such as the movement of brush or the structur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the font of Hangul calligraphy, there have been used about 42 names so that it seems 42 different types of Hangul font are in use. Since a majority of them were made by one or two people, they are lack of universal validity in most cases, resulted from giving different names to the same font. About 40 kinds of font names in Hangul calligraphy have been classified not by physical feature but randomly by user, purpose, book, or place. Hence, the study in a calligraphic approach should be tried to establish the classification and name of the fonts of Hangul calligraphy. In other words, classification and name of the fonts of Hangul calligraphy should encompass the past and the modern while having universality and systemicity to be descended to the subsequent generation. At the aspect of pure calligraphy, this study tries to make a systemic classification and the unity of names by physical feature in the shape of typeface presented in description of Hangul with brush. The classification of font by the use of brush and the structure is a way to classify the fonts as having physical systemicity not limited in specific times or certain situation, transcending time and space. In this way, this study makes classification, suggesting four types of font including Godeumche (Straight Font), Bareumche (Upright Font), Heulimche (Cursive Font), and Jinheulimche (Genuine Cursive Font). These four names of font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are arranged by physical feature in the shape of character described by brush, regardless of writer, place, purpose, or writing supplies. From the existing font name and classification sporadically used, this suggestion is the way of systemic classification and naming at the aspect of pure calligraphy. It is the classifying method that encompasses numerous different fonts and also makes it possible for the name of font itself to be recognized simply but implicitly as a pure w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