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 양육과 또래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장인실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effect of child's perception of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on peer relationship and to find the increase self-efficacy through examining the mediation role of self-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following subject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relation among child's perception of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does self-efficacy play the role of medi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hild's perception of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Third, how is the mediation effect of each low elemen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child's perception of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The randomly chosen 487 subjects of the 5th and 6th elementary year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for this research.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instrument used for (child's perception of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was EMBU-shory(Swedish acronym for Egna Minnen Beträ ̱ffande Uppfostran; My memories of upbringing) which was adapted by Han Ik CHO(2007). The one for peer relationship was the revised Lee Eun Hae and Go Yoonjoo(1999)'s measure of 'the quality of friend relation' for the school-year children. The one for self-efficacy was the partially revised measure of 'general self-efficacy' used by Han Hye Jin(2002). Using SPSS 17.0 statistics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for means and standard dev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number was figured and verified for analyzing each variable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Baron and Kenny(1986) model was used. Lastly, Sobel's (1982) test was used to verify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ch low variables in peer relationship showed the corelation to the low elements in rearing attitude and also indicated the corelation to self-efficacy.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child's perception of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was verified.The result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child's perception of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peer relationships and self-efficacy was meaningful and it showed that self-efficacy played the role of complete medium. Third, the subfactors such like the medium effect of self-confidence, the efficacy of self-control and assignment difficulty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child's perception of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was examined. The result shoed that self-confidence indicated. partial medium, the efficacy of self-control indicated complete medium and assignment difficulty indicated partial medium. The sum-up of total research results was verified as the effective variable for explaining the efficacy of child's peer relation through affectionate paren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mother's rearing by presenting the effect of early parent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s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relation ability,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to search various methods for enhancing the efficacy of better peer relation.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여 자기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증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과 자기효능감 및 또래관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과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가? 셋째,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과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각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위해 경기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4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각각의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조한익(2007)이 번안한 ‘양육에 대한 나의 기억’ 척도를, 또래관계는 수정된 이은해, 고윤주(1999)의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 질’ 척도를, 자기효능감은 한혜진(2002)이 사용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간의 상관을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계수를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과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관계의 각 하위변인들은 양육태도의 하위요인들과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과도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어머니의 양육과 또래관계와 자기효능감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과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각 하위변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검증결과 자신감은 부분매개를 나타냈고, 자기조절효능감은 완전매개를 나타냈으며, 과제난이도는 부분매개를 보였다. 연구결과 애정적 양육은 아동의 또래관계와 효능감을 설명하기 위한 효과적인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초기 양육의 형태가 아동의 인지, 정서 및 사회적 관계 능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제시함으로써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효능감의 신장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에 대한 모색의 필요성을 함축하고 있다.

      • 고지방을 섭취한 난소절제 쥐에서 아로니아 첨가 식이가 항산화 및 비만 지표에 미치는 효과

        장인실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nia powder (2 g/100 g diet) supplement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obesity index in ovariectomized rats fed a high fat diet (lard 21 g/100 g diet). Forty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Sham control (SC), OVX control (OC), OVX aronia (OCA), OVX high fat (OH), and OVX high fat+aronia (OHA). All rats were fed an experimental diet for 8 weeks. Animal experimentation was approved by Keimyung University’s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KM-2016-32R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weight gain, and F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Weights of the organ and retroperitoneal fa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diets. The level of serum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CA groups than in the OC groups, and the level of HDL-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CA groups than in the OC groups.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and A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 concentration of MDA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HA groups than in the OH groups. Further, GSH-Px activity in liver tiss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HA groups than in the OH groups. However, SOD and CAT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 level of serum lept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but the level of serum adiponect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CA groups than in the OC groups and in the OHA groups than in the OH groups. In an RT-PCR analysi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CC-1 and SREBP-1c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CA groups than in the OC groups and in the OHA groups than in the OH groups.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PPARγ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CA groups than in the OC groups.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FA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CPT-1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CA groups than in the OC groups and in the OHA groups than in the OH groups.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β3-AR and HS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 a western blot analysis,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ACC-1 and SREBP-1c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CA groups than in the OC groups and in the OHA groups than in the OH groups.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PPARγ and FA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of CPT-1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HA groups than in the OH groups. However,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β3-AR and HS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 conclusion, it seems possible that the aronia suppl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hepatic triglyceride concentration, and GSH-Px activity in ovariectomized rats fed a high fat diet. Furthermore, aronia supplement may produce a positive effects on serum adiponectin level, an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obesity metabolism indices such as ACC-1, SREBP-1c, and CPT-1a.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가 페경 모델인 난소절제 쥐에서 지질과 항산화 효소 활성 및 비만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동물의 구입과 사육의 전 과정은 계명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승인(승인번호 KM-2016-32R1)을 받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은 평균 체중 약 180∼200 g인 Sprague-Dawley 8주령 암컷 쥐를 Sham군과 OVX군으로 구분하여 Sham군의 경우 Sham control(SC)군, OVX군의 경우 OVX control(OC)군, OVX control+aronia(OCA)군, OVX high fat(OH), OVX high fat+aronia(OHA)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8마리씩 배정하였다. 식이는 AIN-93G에 근거하여 조성하였으며, 고지방 식이는 lard 21 g/100 g diet, 아로니아 분말 첨가 식이는 2 g/100 g diet로 조성하였다. 실험동물은 온도 22±2℃, 습도 63±5%의 조건에서 8주간 실험 식이를 섭취시켰으며 stainless steelwire cage에서 한 마리씩 분리 사육하였다. 실험기간 종료 후 혈액과 간 조직을 채취하여 혈청 지질은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간 조직의 지질은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 활성, 혈청 아디포카인 농도를 분석하였고, RT-PCR과 western blot 분석을 통하여 mRNA 및 단백질에서 지질 생성 및 분해 지표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과 식이 효율은 아로니아 첨가 식이의 섭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체중 100 g 당 간, 신장, 췌장, 비장, 후복막 지방의 무게는 아로니아 첨가 식이의 섭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혈청의 중성 지질 농도는 OCA군이 OC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OCA군이 OC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LDL-콜레스테롤 농도, AI는 아로니아 첨가 식이 섭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간 조직의 중성 지질 함량은 OCA군이 OC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OHA군이 OH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각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간 조직의 MDA 함량은 OHA군이 OH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 조직의 GSH-Px 활성은 OHA군이 OH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SOD와 CAT 활성은 아로니아 첨가 식이 섭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혈청 leptin 농도는 아로니아 첨가 식이의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adiponectin 농도는 OCA군이 OC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OHA군이 OH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RT-PCR 분석을 통한 지질 생성 관련 유전자 발현 관찰에서 ACC-1과 SREBP-1c의 mRNA 발현 정도는 OCA군이 OC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OHA군이 OH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PPARγ의 mRNA 발현 정도는 OCA군이 OC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FAS의 mRNA 발현 정도는 아로니아 첨가 식이 섭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RT-PCR 분석을 통한 지질 분해 관련 유전자 발현 관찰에서 CPT-1a의 mRNA 발현 정도는 OCA군이 OC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OHA군이 OH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β3-AR과 HSL의 mRNA 발현 정도는 아로니아 첨가 식이 섭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Western blot 분석을 통한 지질 생성 관련 단백질 발현 관찰에서 ACC-1과 SREBP-1c의 단백질 발현 정도는 OCA군이 OC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OHA군이 OH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반면 PPARγ와 FAS의 단백질 발현 정도는 아로니아 첨가 식이 섭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Western blot 분석을 통한 지질 분해 관련 단백질 발현 관찰에서 CPT-1a의 단백질 발현 정도는 OHA군이 OH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β3- AR과 HSL의 단백질 발현 정도는 아로니아 첨가 식이의 섭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고지방을 섭취시킨 난소절제 쥐에서 아로니아 분말 첨가 식이가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 활성과 비만 대사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간의 중성 지질 함량을 감소시켰고, GSH-Px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아로니아 첨가 식이는 혈청 adiponectin 농도를 증가시켰고, mRNA 및 단백질 발현 관찰에서 지질 생성 인자인 ACC-1과 SREBP-1c의 발현을 감소시켰고 지질 분해 인자인 CPT-1a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고지방을 섭취시킨 난소절제 쥐에서 아로니아 첨가 식이는 간 조직의 중성 지질 함량 감소와 항산화 효소 활성의 증가 및 비만 지표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폐경 모델 쥐에서 항산화 효과와 비만 예방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상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으로서의 이미지메이킹 교육에 관한 연구

        장인실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ultimate purpose of commercial high schools is providing the education for getting jobs early by having students develop their own aptitude and talents. However, today’s commercial high schools are losing their identity because their purpose of existence has become irrelevant due to prevalent academic career snobbism. In this reality, commercial high schools are strongly required to make changes for the rapidly changing future, and further, it is a time that those schools need to reinforce vocational educ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ir original purpose of establishment. However, studies about this subject have been insufficient until now. Thus, this study was aimed to study the ways of introducing image-making education to vocational education for fostering talented persons demanded by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for offering better vocational education. That is, this study was focused on proposing ways to revitalize the sluggish vocational education by reviewing the significance and expected effect of image-making by conducting survey on three groups(teachers, students, and persons in charge of personnel affairs in companies). Statistical data, reports, and related research data of authorities concerned were utilized for literature study. Also for an empirical study,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the consumer of education at 3 commercial high schools and persons in charge of personnel affairs at 100 companies located in Daegu were selected and respond to the differently designed questionaries respectively, and thos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2.0 program pack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the significance of image-making,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among three groups statistically. In addition, as for a question on whether the enhancement of image-making influences the performance of image-making,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group in terms of influential power and an expected effect. All three groups showed the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the significance and the need of image-making, and it was proven that image-making brought forth the multiplicative effect in terms of diverse influential powers and expected effec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mmercial high schools need to offer image-making education as one of activating vocational educations, and for instigating students’ interest, satisfying their desire, and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 influential power of life, and the way of getting a job this education were proposed as for desirable direction of education. This study is practically meaningful in that it was performed to introduce image-making education as one of ways to re-highlight the need and significance of vocational education at commercial high schools and to activate sluggish vocational education. When image-making education is introduced as a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in commercial high school in the future, vocational education will be implemented better quality, and this will make a significant commitment to the activation of commercial high schools. (초록) 상업계 고등학교의 궁극적인 목적은 나름대로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여 조기 취업교육을 목표로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상업계 고등학교는 현실적으로 만연된 학력주의로 인하여 본래 방향성이 쇠퇴됨으로써 그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상업계 고등학교는 급변하는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변화를 강력히 요구 받고 있는 때이며, 나아가 본래 취지인 직업교육을 강화시켜야 할 때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보다 향상된 직업교육을 위하여 그 한 방안으로서 이미지메이킹 교육을 직업교육에 도입시킬 것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즉, 세 집단(교사․학생․인사담당자)을 통하여 이미지메이킹의 중요성 및 기대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이미지메이킹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이미지메이킹이 하나의 교육으로써 자리매김하여 침체된 직업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와 함께 공신력 있는 관련기관의 통계자료와 보고서, 관련 연구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상업계 고등학교 3개교와 기업체 100곳을 선정하여, 학교 내의 현직 교사와 교육 수요자인 학생, 기업체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이미지메이킹 내용의 중요성에 대해서 높은 인식정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세 집단 간의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미지메이킹의 제고가 이미지메이킹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그 영향력 및 기대효과에서 각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유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세 집단 모두 이미지메이킹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하여는 높은 인식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미지메이킹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영향력과 기대효과 측면에서도 상승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상업계 고등학교에서는 보다 활성화된 직업교육의 한 방안으로서 이미지메이킹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바람직한 교육 방향에 대하여 학생들의 흥미 유발 및 욕구 만족을 위한 방안, 대인관계 및 생활의 영향력 향상을 위한 방안, 취업을 위한 방안 등 여러 가지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상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침체되어 있는 직업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한 방안으로 이미지메이킹 교육을 도입할 것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실제적 가치를 가진다. 향후 상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교육으로서 이미지메이킹 교육이 도입된다면 질적으로 더욱 향상된 직업교육이 이루어져 상업계 고등학교의 활성화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환경적 간호중재가 개심술 환자의 중환자실 섬망증, 환경적 스트레스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장인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심술 후 흉부외과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수면안대와 귀마개를 적용하여 중환자실섬망증 발생률, 환경적 스트레스,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일개의 A종합병원 흉부외과 중환자실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중 수면안대군 32명과 귀마개군 31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7년 6월 27일에서 9월 15일 동안 수행되었으며, 예비조사, 사전조사, 이틀 동안의 실험처치, 사후조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사전조사로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동일하게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중환자실 환경적 스트레스, 수면상태와 수면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군 중 수면안대군에게는 수술 후 1일과 2일 오후 11시에서 오전 5시까지 수면안대를 제공하였고, 귀마개군에게는 같은 시간에 귀마개를 제공하였다. 사후조사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동일하게 중환자실 환경적 스트레스, 수면상태와 수면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사전조사 이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정해진 시간에 CAM-ICU를 이용하여 중환자실섬망증을 사정하였다. 연구도구에서 중환자실섬망증, 환경적 스트레스, 수면 상태와 수면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과 Paired t-test, x2 test, ANOVA, ANCOVA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 “수면안대를 적용한 실험군과 귀마개를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환자실섬망증 발생이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p=.139). 2) 제2가설 : “수면안대를 적용한 실험군과 귀마개를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환자실의 환경적 스트레스가 감소할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F=6.731, p=.002). 3) 제3가설 : “수면안대를 적용한 실험군과 귀마개를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면상태정도가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p=.000, p=.000). 4) 제4가설 : “수면안대를 적용한 실험군과 귀마개를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면만족도가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p=.000, p=.000). 개심술 환자에게 수면안대와 귀마개 적용을 통한 환경적 간호중재는 중환자실섬망증 발생률 감소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중환자실 환경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수면상태와 수면만족도를 증진시킴으로서, 중환자의 안위증진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effects of eyeshield and earplugs application on the ICU delirium incidence, environmental stress, sleep pattern and sleep satisfaction with the post-cardiac surgery patients in cardiac surgery intensive care unit.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7, 2007 to September 15, 2007 through questionnaires. The subjects consisted of 93 patients who received care after the cardiac surgery at CSICU of A medical center in Seoul.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32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n eyeshield, 31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arplugs and 30 in the control group. For Post operation day 1 & 2,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reatments of the environmental nursing intervention by wearing an eyeshield or earplugs from 11PM to 5AM, in be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13.0 program for windows package using frequency, percentages, Paired t-test, x2 test, ANOVA and ANCOVA. The results of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hypothesis 1 :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th eyeshields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th earplugs have lower the ICU delirium incidence than the control group patients” was not supported(p=.139). 2. hypothesis 2 :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th eyeshields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th earplugs have lower the ICU environmental stress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patients" was supported (F=6.731, p=.002). 3. hypothesis 3 :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th eyeshields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th earplugs have higher the degree of sleep pattern than the control group patients” was supported(p=.000, p=.000). 4. hypothesis 4 :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th eyeshields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th earplugs have higher the degree of sleep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patients" was supported(p=.000, p=.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nvironmental nursing intervention using eyeshields and earplugs for undergoing cardiac surgery patients in CSICU has not effects on decreasing the ICU delirium incidence. But the environmental nursing intervention may be applied as a method of nursing intervention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post-open heart surgery patients welfare in CSICU by reducing their ICU environmental stress and increasing their sleep pattern and sleep satisfaction.

      •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성장기 쥐에서 이소플라본 첨가가 혈중 지질농도 및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장인실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장기 암컷 쥐를 대상으로 이소플라본 첨가식이가 혈중 지질 농도와 간 지질 함량 및 항산화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3주령 Sprague-Dawley 암컷 쥐 24마리를 대조군 8마리 고지방군 8마리, 고지방+이소플라본군 8마리로 나누어 4주간 실험식이를 공급하였다. 체중과 식이를 공급하여 식이효율을 산출하였다. 혈액과 간을 채취하여 혈중 지질 (TC, TG, HDL, LDL, AI) 및 간조직의 지질(TC, TG), 항산화 효소(SOD, GPX, Catal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체중 증가량은 고지방군, 고지방+이소플라본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평균 식이섭취량은 고지방군, 고지방+이소플라본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식이효율은 고지방군, 고지방+이소플라본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중 중성지방은 고지방+이소플라본군이 대조군,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혈중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은 고지방+이소플라본군이 고지방군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HDL 콜레스테롤, AI(Athrogenic Index)는 고지방, 이소플라본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의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은 고지방, 이소플라본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조직의 MDA함량은 고지방, 이소플라본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조직의 SOD활성, GSH-Px활성, Catalase활성은 고지방, 이소플라본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성장기 쥐에게 이소플라본을 섭취시켰을 때 중성지방 농도는 고지방+이소플라본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활성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soflavone on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enzymes in growing rats fed a high lard diet. Twenty four female Sprague-Dawley rats (body weight 50∼60 g)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highfat' (lard 200 g/kg diet) and 'highfat+isoflavone' (lard 200 g/kg diet+isoflavone 1 g/kg diet) for 4 weeks. The results of study indicated that the 'highfat' group and 'highfat+isoflavone' group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 on body weight gain. Mean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fat' and the 'highfat+isoflavone'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s (p<0.05). Food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fat' groups and 'highfat+isoflavone'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s (p<0.05). The level of serum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lower in 'highfat+isoflavone' groups than the 'control' and 'highfat' groups (p<0.05). The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AI (Athrogenic Ind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xperimental diets. The concentra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MDA (malondialdehyd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xperimental diets. Further antioxidant enzyme in liver tissue such as SOD (superoxide dismutase), GSH-Px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 (catala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lard and isoflavone supplemented diets. In conclusion, it seems possible that isoflavone supplemented diets may produce positive results on serum triglyceride (p<0.05).

      • 기계판막 치환술 환자의 출혈위험 선별도구 개발 및 평가

        장인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tool for predicting bleeding events by assessing the bleeding risk factors and evaluating the discrimination of these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oral anticoagulant therapy (Warfarin) after mechanical valve replacement in Korea. The research design wa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2453 patients taking oral anticoagulant therapy of warfarin who were followed up more than one year after mechanical valve replacement at adult heart surgery and cardiology outpatient clinic in A tertiary hospital were involved in this study from January 1, 2013 until December 31, 2012.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randomized 2000 patients were used for evaluating bleeding risk factors and developing a classification tool to predict bleeding events. Another randomized 453 patientsʼ electric medical records were used as evaluating the classification tool developed from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0.0 for windows.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as assessing bleeding risk factors and this defined discriminant function was evaluated by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predictors. The selected bleeding risk factors by literature review and result of the content validity from six experts were 31 items that they are general risk factors 4 items, clinical risk factors 17 items, and medication factors 10 items. The 25 variables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13 variables were selected finally considering the value of the discriminant function,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general risk factors were over 65 years of age, alcohol abuse and the clinical risk factors were atrial fibrillation, anemia, cancer, creatinin 1.5mg/dL or higher, history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liver disease, target INR TTR(time in therapeutic range) less than 60% and history of stroke. The medication related factors, herb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steroids were identified. This was confirmed by determination function 13 variables and a classification tool to predict bleeding events was developed. This developed tool of the study was identified by eigen values 1.390,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 .763 and accuracy 91.5%, sensitivity 80.2%, specificity 95.2%. In addition, a classification tool from this study was compared with HAS-BLED and ATRIA. As a result, this tool had accuracy 87.6%, sensitivity 80.7% and specificity 90.9% on the other hand, HAS-BLED and ATRIA had accuracy 73.5% and 75.9%. Thus a classification tool to predict bleeding events of this study was the b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reening tool for predicting bleeding risk for patients taking warfarin after mechanical valve replacement. The results show that this tool can be seen easily by applying the patients taking warfarin after mechanical valve replacement. And then itʼs appropriate to predict risk of bleeding and it can provide better education and counseling through optimal prediction. It also can be effectively managed with bleeding complications by screening,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promotion of health. Furthermore, I propose a study on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this tool for the patients after mechanical valve replacement in the future and developing warfarin dose protocol and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기계판막 치환술 후 경구용 항응고요법인 와파린을 복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출혈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이들 위험요인의 변별력을 평가, 출혈위험 선별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후향적 코호트 설계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A 상급종합병원에서 2003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기계판막 치환술 후 와파린을 복용하며, 1년 이상 외래 경과 관찰하는 성인심장외과 및 심장내과 환자 24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무작위 배정을 통해 2000명의 전자의무기록은 출혈 위험요인 확인 및 출혈위험 선별도구 개발을 위해 사용하였으며, 453명의 전자의무기록은 개발된 출혈위험 선별도구의 평가를 위해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개인관련 및 질병관련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출혈위험 요인은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통해 판별함수를 제시하였으며, 출혈위험요인과 출혈위험 선별도구는 정분류율,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및 음성예측도로 평가하였다. 출혈위험요인으로 선정된 31개 문항은 문헌고찰과 전문가 집단 6인의 내용 타당도 검증에 의한 개인관련 요인 4개 문항, 질병관련 요인 17개 문항 및 약물관련 요인 10개 문항이었다. 그 중 25개의 변수가 유의하였지만, 판별식의 가치와 민감도, 특이도, 정분류율을 고려하여 13개 변수를 추출하였다. 개인관련 요인으로 65세 이상 연령, 알코올 남용이 선정되었으며, 질병관련 요인으로 심방세동, 빈혈, 악성종양, 혈중 크리아티닌 1.5mg/dL 이상, 위장관 출혈 과거력, 간질환, 목표 INR TTR(time in therapeutic range) 60% 미만 및 뇌졸중 과거력으로 선정되었다. 약물관련 요인으로 허브(Herbs),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및 스테로이드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13개 변수를 통해 판별함수를 확인하였으며, 출혈위험 선별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고유값 1.390, 정준상관계수 .763으로 확인 되었으며, 정분류율 91.5%, 민감도 80.2%, 특이도 95.2 %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발된 출혈위험 선별도구의 평가를 위해 예측성이 높은 편의 기존 도구인 HAS-BLED, ATRIA 와 함께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분류율 87.6%, 민감도 80.7%, 특이도 90.9%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HAS-BLED 와 ARTIA 의 정분류율은 73.5%, 75.9%로 본 연구의 출혈위험 선별도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기계판막 치환술 후 와파린을 복용하는 환자에게 출혈위험 예측을 위한 선별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출혈위험 선별도구는 와파린을 복용하는 기계판막 치환술 환자에게 쉽게 임상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으며, 출혈위험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향후 적절한 경과 관찰 및 최적의 교육과 상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혈위험 선별로 출혈성 합병증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상자의 삶의 질 개선 및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앞으로 기계판막 치환술 후 외래 경과 관찰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출혈위험 선별도구의 적절성 확인과 와파린 복용 프로토콜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