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명·청(明清) 시대 4대 요지의 수출 도자 연구

        장은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 명·청(明淸) 시대 4대 요지의 수출 도자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명·청 시대를 배경으로 각 시대의 해외 무역 정책, 대표적 수출 도자의 요지 (窯址)와 종류, 수출 도자의 기형과 장식 문양, 수출 도자가 세계 기타 국가의 도자 제조업에 끼친 영향 이라는 네측면을 중심으로 수출도자를 연구하였다. 제1장의 내용은 연구 배경과 연구 목표에 대한 분석이다. 중국 명·청 시대의 도자 수출은 대항해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세계 각 지역에 도자가 운송되었다. 연구목표는 주로 침몰선과 고고학 자료, 그리고 역사 문헌 조사를 통해 4가지 대표적인 수출 도자 요지(窯址)가 형성된 역사 배경, 제품 종류와 수출 지역을 분석하고 각 요지의 연관성과 차이점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4가지 수출 도자 요지의 기형과 장식 문양을 분류하고 정리하며 각 시기 수출 도자의 기형과 문양 스타일 변화를 살펴보고, 마지막에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중국 명청 시기 수출 도자와 세계 기타 도자 생산 지역의 관계와 상호 영향을 탐구하였다. 제2장에서 중국 명나라와 청나라의 각종 해외 무역 정책을 소개하였다. 명나라는 크게 초기의 면세 정책, 중기의 금해(禁海) 정책, 말기의 개해 정책 등 3개 시대를 거쳤다. 청나라의 무역 정책은 초기 금해 정책에서 강희(康熙) 시대의 자유 무역 회복과 개방, 말기에 오직 광주(廣州)라는 하나의 통상 지역만을 개방하는 반봉쇄 해외 무역 정책을 실시하였다. 제3장은 명·청 시대 강서(江西) 경덕진(景德鎮)에서 생산된 청화자(青花瓷), 광동(廣東)에서 생산된 광채자(廣彩瓷), 절강(浙江) 용천(龍泉)에서 생산된 청자(青瓷)와 복건(福建) 독화(德化)에서 생산된 백자(白瓷) 등 4가지 대표적인 수출 도자 요지가 형성된 역사적 배경과 원인, 제품 종류, 수출국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생산 지역의 스타일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강서 경덕진에서 생산된 수출 청화자와 복건 장주(漳州)에서 생산된 수출 청화자 제품의 자태(瓷胎), 유약, 기형, 장식 문양의 장식 기법, 수출 지역 등에 대한 비교 분석을 진행하고, 이 두 생산 지역의 차이점과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제4장에서 주로 중국 명·청 시대 수출 도자의 기형과 장식 문양을 분석하였다. 중국 전통 문양, 일본식 문양, 유럽식 문양과 복합 문양 4가지 장식 분류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수출 도자 장식 문양의 스타일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수출 도자의 주제 문양 장식에서 인물 문양의 시녀(侍女)와 동물 문양의‘사슴’, 그리고 산수(山水) 문양의 난징 패턴(Nanking Pattern)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각 시대 수출 도자 문양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였다. 제5장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중국 수출 도자가 세계 도자업에 끼친 영향을 설명하였고, 유럽 네덜란드의 델프트(Delft) 남도(藍陶)와 일본의 이마리(Imari) 도자를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하였다. 네덜란드 델프트(Delft) 남도는 경덕진의 청화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초기에 경덕진 청화자를 모방하였고, 이후 현지 기형과 장식 문양을 결합하여 차별화된 도자 스타일을 형성하였다. 일본의 이마리 스타일 도자는 최초 중국 유상(釉上) 채회(彩繪)를 기초로 일본 현지에서 유행하는 우키요에 스타일 회화와 결합하여 형성된 일본 이마리 스타일의 도자이다. 결론에서는 중국 명·청 시대 4대 요지의 수출 도자에 대해 제1장부터 제5장까지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명·청 시대의 해외 무역 정책, 4대 수출 도자 요지의 분구 해석, 수출 도자의 장식 문양과 기형의 정리, 수출 도자가 세계 다른 국가의 도자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등 4가지 측면을 분석한 후 결론을 내릴 수 있다. 4대 수출 도자기 생산 지역의 제품 종류, 스타일 특징, 장식 기법, 기형및 수출 지역은 큰 차이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광채자는 경덕진에서 생산된 우수한 자태 소지를 광주로 운송한 후 2차로 회화하여 형성한 것이다. 둘째, 장주에서 생산된 청화자는 경덕진 청화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경덕진에서 생산된 청화자 품질이 비교적 뛰어난 고급 도자에 속하고, 복건 장주(漳州)에서 생산된 청화자의 품질이 상대적으로 거칠어 낮은 저급의 도자에 속한다. 셋째, 경덕진에서 생산된 청자는 용천 청자를 모방한 것이며, 또한 용천 청자의 품질이 경덕진 모조 용천 청자보다 뛰어나다.

      • Milton Babbitt 의 「Three Compositions for Piano, No.1」 分析·硏究

        장은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에 와서 고전음악의 선율(Melody), 리듬(Rhythm), 화성(Harmony)의 개념은 사라지게 되었고 Webern 이후의 음열 작곡가들은 Schonberg의 12음 기법의 개념을 더욱 확대시켜 음고(Pitch)외에 음악의 다른 요소들 즉, 리듬, 강약(Dynamic), 속도(Tempo), 분절법(Articulation)에 까지 적용시키는 "전음열주의(Total Serialism)"로 발전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전음열주의 작곡가인 Babbitt 의 초기작품「Three Compositins for Piano, No.1」(1947)의 분석을 통해 Schonberg의 12음열에서 더욱 확대된 다양한 음열 기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작품의 분석·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요소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이 작품은 전체 3악장으로 구성된 곡으로 Babbitt 이 초기에 쓴 음열 기법이 나타나는데 제 1 악장에서는 지속 순열 (Durational Set), 제 2 악장에서는 파생 음열 (Derived Set), 그리고 제 3 악장에서는 회전 기법 (Rotation)을 사용하였다. 제 1악장에 사용된 Durational Set 은 원형음열(Original Series)이 모든 음 조직을 통제하여 음고, 리듬, 강약에 까지 제약을 주었다. 그리고 제 2악장에 사용된 Derived Set 은 Original Series 을 4개의 Trichord로 묶어 새로운 음정 관계로 재구성한 후 파생된 새로운 음열을 만들어 곡을 전개해 나갔으며, 제 3악장에서는 Derived Set을 만드는 예로 Rotation을 사용하였다. 또한 극단적인 강약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이처럼 Babbitt은 Schonberg 이후의 음열음악에 다양한 가능성을 주었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traditional concepts of the melody, the rhythm and the harmony came to disappear. And the composers after Webern have expanded the concept of Schonberg's 12-tone row technique to apply them to the other constituents of music in addition to the pitch, that is, the rhythm, the dynamics, the tempo and the articulation so that they could develop the Total Serialism. I tried to deal with a variety of the technic of the tone row which had been expanded from Schonberg's 12-tone row technique, through analyzing the early work of Babbit who is the American Total Serialism composer,「Three Compositions for Piano, No.1」(1947). And as the result, it could be characterized by the facts below. This is composed of the three chapters in total and it shows the early Tone row technique of Babbitt, that is, the Duratinal Set in the first chapter, the Derived Set in the second chapter and the Rotation in the lat chapter. In the Duaring Set used in the first chapter, he made the Original Series control the entire melody, thus it restrained th rhythm, the pitch and even the loudness. And in the Derived Set used in the second chapter, the Original Series was divided into 4 Trichords so that he reformed it into the new relationship among the interval and then he developed it with making the derived new tone row. And as shown in the last chapter, he used the Rotation as an example of making the derived tone row. He also persued an extreme change of the pitch there. For the above analysis, I would say that Babbitt has given the strong possibility to the serial music since the times of Schonberg.

      • 한국어에서의 일본어계어휘에 관한 연구

        장은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어를 전공하는 업장에서 한국어에서 통용되고 있는 일본어계어휘의 시대별 사용 변화와 세대별 수용 인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어에서의 일본어계어휘의 올바른 인식을 도모하는데 있다. 이제까지의 한국어에서의 일본어계어휘에 관한 연구는 그 대부분이 한국어에 남아있는 고유 일본어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국어순화운동」 과 연관되어 연구되어 왔다. 이에 반해서 일본제 외래어에 관한 연구와 한국인의 일본어계어혐의 수용 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일본제 외래어」 란 원어에는 없는 용법·의미·형태로 일본 안에서만 통용되어지는 외래어라 정의할 수 있다. 그 유형을 다음과 같이 크게 넷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형태 변형으로 문법적 기능의 어미 및 단어의 부분생략으로 원어와는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경우이다. 또한 일부 원어의 형태에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단어를 첨가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둘째는 어구성의 변형으로 일본제외래어의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일본어에 들어와 단어간의 새로운 구성에 의해서 만들어진 단어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셋째는 발음의 변형으로 여기에는 원어 그대로 발음하지 않고 일본인들의 발음에 맞도록 발음하는 경우와 하나의 외래어 단어가 서로 다르게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넷째는 의미 변형으로 외래어가 원어에서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를 말한다. 다음으로 한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계어휘의 사용실태를 시대별 문학 작품을 통해 살펴본 결과 시대별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학 작품에서의 고유 일본어 사용 비율은 일제 식민지 시대에 가장 높으나 현재로 오면서 그 사용 비율이 낮아지고 있다. 또한 서양어와 일본제 외래어 모두 수적으로는 증가하고 있지만 비율면에서는 서양어의 증가에 비하여 일본제 외래어는 줄어들고 있다. 이는 과거와는 달리 직접 서양어를 받아들이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어계어휘에 대한 연령별 인식 차이를 살펴보자. 「고유 일본어」에 대한 인식은 모든 연령층에서 한국어로 바꾸어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10대의 경우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는 의견이 다른 연령층과 비교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제 외래어」에 대한 인식은 모든 연령층에서 올바른 영어로 바꿔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다. 그러나 20대 이상의 응답자들이 올바른 영어 사용 다음으로 한국어 사용을 선택한 것과 다르게 10대들은 「일본제 외래어」를 그대로 사용해도 무관하다 하였다. 이와 같이 10대들은 다른 연령층과 달리 한국어에서의 「일본어계어휘」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일본에 대한 호감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에서도 알 수 있다.10대들의 과반수 이상은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나쁘지 않다」 라고 응답하였으나, 20대 이상 응답자의 90%는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그다지 좋지 않다」 라고 답하고 있다. 이처럼 과거와 달리 일본을 무조건적으로 배타하지 않고, 일본의 문화를 자유롭게 받아들이는 10대들의 감정과 문화가 한국어에서의 「일본어계어휘」에 대한 인식에까지 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용례수와 설문 응답자의 수가 적어서 객관적인 연구가 미비하다고 할 수 있으나 단편적으로나마 일본어계어휘의 시대적 사용실태변화와 수용 인식의 변화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use changes of by the times and those of acceptance recognition of vocabularies derived from Japanese commonly used in Korean language by the times from the viewpoint of majoring in Japanese and perceive vocabularies derived from Japanese in Korean language in a right way. The research on vocabularies derived from Japanese in Korean language so far has been that on those peculiar Japanese remaining in Korea, which has been examined in association with national language purification movement. On the contrary, it is a fact that the research on Japaneseque loun words and Koreans'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vocabularies derived from Japanese was insufficient. Japaneseque loun words can be defined as that commonly used only in Japan in the type of usage, meaning and form not existing in the original language. Those modes can be considered as following four sorts at large. First one is a formative transformation, the case of which it has different form from original one as the end of a word of grammatical function and word is partially omitted. Also it is found that a word is added to the some forms of original words to emphasize the meaning. Second one is the representative one of Japaneseque loun words, the transformation of linguistic composition, which shows a variety of phases by words introduced from Japan and made from new composition between words. Third one is the transformation of pronunciation, the cases of which we pronounce them as Japanese pronunciation without pronouncing them as original ones and differently pronounce them one word after word. Fourth one is the transformation of meaning, the case of which foreign language is differently used from the meaning of original languag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 of use of vocabularies derived from Japanese used in Korean language through literary works by the times, it is found that they have shown differences by the times. The use ratio of peculiar Japanese in literary works is the highest in the Japanese colonial age, but that has been low as it approaches the present times. Also the number of the West and Japaneseque loun words increases, but looking at the rate of it, that of the West increases, but that of Japan decreases. It is because that the case of introducing the Western language is increase. Finally, let's examine the recognition differences by age to vocabularies derived from Japanese. The perception to peculiar Japanese has predominance that all age groups should use Korean in stead of them, but in case of those in their 10s, the rate they would like to use them as they are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age groups. The perception to Japaneseque loun words is the highest at the opinion that all age groups should use right English. However, differently from that the respondents over 20s selected Korean most next to the use of right English, teenagers respondents answered they do not care using Japaneseque loun words as it is. Likewise, teenagers show positive attitude toward vocabularies derived from Japanese in Korean distinctly from other age groups. It is found from the response of the question on the favorable impression to Japan. Over majority of the teenagers responded their feeling about Japan is not bad, but 90% of those in their 20s responded they have not so good feeling. Likewise, different from the past, the feeling and culture of the teenagers freely and unconditionally accepting Japan without excluding Japanese culture has an impact on the perception of vocabularies derived from Japanese in Korean language. It can be said objective research is insufficient as the number of usages and respondents are few, but it is significant in that we can find out the actual changes of use of vocabularies derived from Japanese and those of acceptance perception by the times.

      • 수업 중 교사·학생의 대화 전략 : 주도자로서의 교사와 조력자로서의 학생의 대화 전략

        장은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가 변함에 따라 교실 수업에 대한 기본적 관점이 점차 가르치는 것 중심에서 배우는 것 중심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그러므로 전시대의 수동적이고 일방적인 형태의 수업은 이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협동적인 형태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수업 언어에 대하여서도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로 보는 기본 관점이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수업에서 어떠한 전략을 가지고 임해야 하는가를 알기 위하여 교실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대화 역할을 제고해 보았다. 대화 전체의 흐름에서 교사와 학생이 하는 역할을 분석해 보았고 그 결과 주도자와 조력자라는 역할을 설정하였다. 대화 주제로 도입하고 대화의 전체 흐름을 주도하는 주도자로서의 교사와 수업대화에 자신의 의사를 반영하면서 교사의 주도에 영향을 주고 함께 대화에 참여하는 조력자로서의 학생으로 설정한 것이다. 교사와 학생이 수업에서 각기 다른 역할을 하는 만큼, 대화 전략도 서로 다르다. 수업에서 대화의 흐름을 간단히 도식화한다면 ‘선도발화→그에 대한 대응→대응에 대한 환류’로 파악해 볼 수 있는데, 수업대화에서의 주도자와 조력자는 모두 이러한 세 형태의 발화를 하게 되는데, 각자의 전략이 다르다. 교사는 조력자로 하여금 자신이 이끄는 대화 흐름에 대하여 보다 관심을 가지고 들으면서 이를 내면화할 수 있는 방식을 전제로 하여 선도/대응/환류 발화를 행한다. 대부분의 수업 대화에 있어 대화주제는 교사에 의하여 도입이 되고 전환이 된다. 주도자인 교사에 의하여 도입된 주제인 만큼 조력자의 관심을 얻고 이를 내면화시키도록 하기 어려운데, 교사의 전략은 다른 대화에 비하여 강제성을 띠게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러나 교사는 선도 발화뿐만 아니라 대응 발화나 환류 발화에도 조력자인 학생을 배려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에 비하여 학생은 교사에게서 새로운 정보를 얻어야 한다는 기본 의식을 가지고 수업 대화에 참여하게 되는데, 그런 만큼 대화에 소극적이 되기 쉽다는 것을 스스로 경계해야 한다. 학생은 교사의 말을 잘 듣는다는 듣기 전략만 있어서는 안 된다. 적극적으로 교사에게서 보다 정확하고 많은 정보를 끌어내기 위하여 선도 발화 전략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주도자인 교사에게 인정받고 자신 스스로를 평가해 볼 수 있도록 대응 발화 전략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동료 학생들을 향하여 환류 발화를 할 때에도 대화 참여자로서의 예의를 잊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본고의 결론은 수업이 대화인 만큼 서로를 위한 배려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교사는 학생을 대화의 조력자로서 인식하면서 수업의 목적이 학생에 핵심이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대화를 주도해야 한다. 학생은 자신도 대화 참여자라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하며 교사에 의하여 인정받을 수 있는 대화 전략을 가짐으로써 학업 성취를 높이고 나아가 성공적인 사회생활의 요건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전문가와 일반인의 환경위해도 인식 차이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장은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환경문제에 대한 위해도 인식을 조사하여 두 집단간의 의견 차이점과 합의점을 파악하고 위해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773명의 일반인과 353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000년도 3월과 4월에 걸쳐 구조화된 질문서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인 환경문제 항목들은 환경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것들로서 현재 우리나라 환경분야에서 주된 문제점으로 제기되어지고 있는 문제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세부 환경문제에 대한 위해도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인이 전문가에 비해 환경문제의 위해성을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규제 필요성에 대해서도 일반인이 더 엄격한 정부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여 일반인이 전문가보다 환경문제의 위해성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해도 인식과 정부의 규제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었는데 즉, 위해도가 심각하게 나타난 문제일수록 정부의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전문가집단과 일반이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위해도가 심각하게 인식되면서 동시에 정부의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된 문제는 ‘자동차 배기가스’, ‘공단의 대기오염 배출물질’, ‘산업폐수 및 기름유출로 인한 해양오염’,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대기오염’, ‘가정, 공장 및 축산폐수유입으로 인한 지표수의 오염’, ‘지하수오염’, ‘공장 및 병원폐기물’, ‘쓰레기 및 음식찌꺼기’, ‘농약유입으로 인한 지표수오염’으로 나타나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관리방안은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주요 위해도 인식의 차이를 보면, 건강상태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정도는 일반인보다 전문가집단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고 정부의 환경오염 개선을 위한 노력정도와 환경오염 개선규제, 기업체의 환경관리 노력에 대해 일반인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인이 문화적요인 중 법치주의, 개인주의, 경제개발주의에 동의하는 성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전체 위해도 인식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관련요인은 건강문제 관심도, 환경상태 만족도, 환경오염도 인식, 환경문제 관심도, 정부의 환경오염 개선노력, 환경오염 개선 규제, 기업체의 환경오염 개선 노력,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경험, 위해 감소용이 성과 문화적 요인 중 법치주의, 평등주의였다. 위해도 인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피해경험, 성별, 환경오염도 인식이었고, 일반인은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성별, 환경오염도 인식과 피해경험, 건강문제 관심도, 법치주의, 가구 월평균 총소득 순에 따라 위해도의 인식에 차이를 보였으며 전문가들은 피해경험, 위해 감소용이성, 성별, 환경오염도 인식,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기업체의 환경관리 노력에 따라 위해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현시점에서 주된 문제점으로 제기되어지고 있는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위해 인식도의 의견차이점과 합의점을 조사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질 수 있고 위해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관련요인에 대한 조사가 앞으로 계속 되어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의 정보전달 및 의사소통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기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Differences and their related factors in risk perception towards major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between general public and environmental exper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samples from general public and environmental experts during March and April, 2000. Total number of reponses were about 1,126 including 773 general public and 353 experts. Risk perception toward 26 environmental issues were rated with the need to regulate each issue, knowledge, controllability, experience, political views,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 satisfaction level of environment, interest in health, health status, socio-demographic, severity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Korea, and culture predisposi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isk perception between general public and experts. Overall, general public were tend to be perceived risk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problems, as well as society's need to regulate these problems more risky than experts. The issues posed higher riskiness in both risk perception and need to regulate were 'automobile exhaust', 'industrial air pollution'. 'ocean contamination by industrial waste and oil exhaust, 'air contamination by chemicals', 'surface water contamination by waste from household, industrial, and live-stock animals', 'groundwater contamination', 'industrial and hospital waste', 'surface water contamination by pesticide', and 'sewage and food waste'. Consequently, it seems that prior management on theses issues is urgently needed. Risk percep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need to regulate, it means that higher risk perception was posed as the higher its perceived risk. General public posed more higher score in the aspect of health status, interests in environmental problem and showed negative response to political view than experts. Also, among cultural disposition, they were tend to more agree with hierarchist, individualist, and technological enthusiasm. The factors exhibited high correlations with risk perception were interest in health, satisfaction level of environment, political view, knowledge, experience, controllability, hierarchist, and egalitarian. The factors mostly associated with overall participant's perception of health risk were knowledge, experience, gender, and severity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Korea. In addition, interest in health, part of respondents, and controllability were also associated with the risk perception. Thus, perception of the risk of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s as knowledge of impacts increases, harmful experience is increases, some one is women, the level of severity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Korea is increases, someone is more controllable, the level of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es, and someone is general public. A consequence of the general public's concerns and it's difference to that of experts has been increased in attempts to inform and educate people about risk. And risk perception research has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such educational efforts. Therefore, by recognizing the potential divergences and area of agreement in perceived risk between general public and experts, the risk communication and risk education can be emerging a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to develop policie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health. This study indicates potential divergences in perceived risk between the views of general public and experts that can lead to controversy over risk management priorities. These divergences also suggest areas where dialogue between experts and general public is needed. Therefore,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of risk information among different groups and to provide effective risk management on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further studies in risk perceptions are strongly needed.

      • Webwork 시스템을 활용한 경영수학 교수-학습지도 방안

        장은아 부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경영수학 입문 교과목을 수강하는 P대학 경상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실태 설문조사와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실시하고, 다양한 학습지도 방법을 활용하여 그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고등학교 과정에서 미적분학을 공부한 적이 없는 경상계열 학생들이 대학에서 경영수학 교과목을 수강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인터넷 기반의 과제물 관리 시스템인 Webwork를 활용하여 과제를 부여하여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효율적인 경영수학 교과목의 교수-학습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Webwork 활용 과제점수와 수강교과목 취득성적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학업성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Webwork시스템을 활용한 과제 수행에서 수강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준별 문항 제시, 교과내용과 수준을 교려한 과제 부여횟수와 과제별 문항수의 수준에 따른 답안입력 횟수와 배점 등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요청되었다. In this thesis, we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test on the basic scholastic ability of the students who register for the course, Introduction of Business Mathematics. We want to find the ways to improv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this course. Especially, the registered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following the course because they have not studied Calculus in their high school. So we give them several assignments on the Webwork system an internet basee homework management. And we propose a teaching-learning method suitable for the course. According to the study, we found a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of the assignments on the Webwork system, we will need thoughtful consideration about the problems in assignments, the total numbers of inputting the answers onf the system, etc., based on the scholastic ability of the students and the learnde contents in the class.

      • 영어노래 챈트를 활용한 초등영어 과업중심수업에 관한 연구

        장은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 methods in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in the elementary classroom run by task-based approach. In considerations of numerous precedented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songs and chants in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competence, this study adds Task-based Language Approach to songs and chants oriented classroom in order to see if tasks with songs and chants are effective in improving listening skills and affects students' motivations and interests. The following procedures are taken in this study: first, the theoretical research on listening comprehensions are discussed as the background. Second, songs, chants, and task-based approach are respectively observed and models designed for experiments are suggested. Lastl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are discussed. The experimental part of the study is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asks laden with songs and chants are expected to be suited for students' motivations without inhibition as well as improvement in listening comprehension. The group was divided up into two subgroups of 26 students for 2 months. The songs and chants were applied to both groups but task-based instructions were only made use of by experimental group. Two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compare their test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are gained from experimental group: first, tasks with songs and chants has helped to increase their motivations as well as interests. Second, the results of the test certainly display their improvement in their listening abilities. To sum, this study reveals that it is suitable to use songs and chants in task-based instruction to improve their listening skills in that they can exposed themselves in a great deal of listening chances with no pressure while actively involving in the tasks and negotiations of meaning, Moreover, they can encounter foreign cultural parts oozing out of songs.

      • 제임스 P. 존슨의<캐롤라이나 샤우트> 작품분석

        장은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재즈의 발생지라고 볼 수 있는 뉴올리언즈에서 연주되었던 래그타임(ragtime)의 발전과정 중 ‘스트라이드’(stride) 기법으로 재탄생한 래그타임에 관한 연구이다. 1차 세계대전 전, 후에 군악대의 발달과 프랑스인과 흑인 노예의 혼혈족인 크레올(Creole)의 연주 활동으로 당시 뉴올리언즈 음악의 주류였던 흑인 전통 음악과 블루스에 유럽 전통 음악의 요소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혼혈족인 크레올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으며 음악적 수준이 높았다. 이들은 유럽 전통 음악의 요소와 아프리카 리듬을 혼합한 래그타임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발전시켰다. 래그타임은 군악대의 행진곡 리듬에 영향받은 장르로 오케스트라적인 요소가 많지만 기본적으로는 피아노 음악이었다. 이 시기에는 일반적으로 피아노가 대중적으로 보급화 되어있었으므로 비교적 쉽게 피아노로 연주 가능한 래그타임이 크게 유행하였다. 래그타임이 형식과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은 래그타임 피아니스트였던 스콧 조플린(Scott Joplin, 1868-1917)에 의해서 였다. 스콧 조플린의 영향으로 1900년대 초반에 크게 부흥한 래그타임은 1차 세계대전 이후에 점차 소멸되었다가 1920-1930년대에 발생한 새로운 피아노 연주 스타일인 ‘스트라이드’ 기법의 래그타임으로 재탄생한다. 이 새로운 래그타임은 제임스 P. 존슨(James Price Johnson, 1894-1955)에 의해 창립된 것으로 기존의 래그타임과 다른 점 및 유사점, 좀 더 발전시킨 부분이 분명히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존슨의 래그타임을 연구하기 위해 그의 대표작인 <캐롤라이나 샤우트>(Carolina Shout, 1944)를 분석하여 기존 래그타임과의 차이점 및 유사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존슨의 래그타임은 많은 면에서 기존의 래그타임의 형식을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복잡한 화성 변화와 리듬의 다양성, 즉흥성 등 새로운 요소들이 더해진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존슨의 래그타임이 스콧 조플린의 래그타임과 갖는 유사점은 ‘트레시요’(Tresillo),‘싱키요’(Cinquillo),‘아바네라’(Habanera) 같은 아프리카 리듬이 사용된 것이다. 그리고 아프리카 형식인 ‘콜 앤 리스폰스’(Call and response)가 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존슨의 작품의 형식도 스콧 조플린의 래그타임의 형식에 기초를 두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에서 존슨은 전통적인 래그타임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존슨의 래그타임은 스콧 조플린의 래그타임과의 차이점도 발견되는데 그것은 바로 기존의 래그타임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새로운 연주 주법인 ‘스트라이드’가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스트라이드’란 래그타임에서 화성과 아프리카 리듬이 더욱 강조되어 나타난 연주기법으로 왼손 강박의 10도 이상의 음정과 건반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협화음을 번갈아 연주하여 피아니스트의 손이 큰 폭으로 움직이는 연주기법을 말한다. 존슨이 창안한 스트라이드 주법의 래그타임은 초기 재즈 이전의 장르인 고전적 래그타임에서 재즈로 발전해 가는 과정 중 나타난 래그타임 연주기법으로, 불완전한 화성, 넓은 음정 간격, 불규칙적 리듬, 주제의 끊임없는 변형 등 이후 재즈의 특징이 되는 요소들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존슨의 래그타임이 래그타임에서 재즈로 발전하는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가교의 역할을 담당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 연구로 인해 래그타임은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음악 장르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또한 스트라이드 기법의 래그타임으로 재탄생한 존슨의 래그타임이 가지는 기존의 래그타임과의 차별성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is a study on the stride style ragtime developed by James Price Johnson (1894-1955) in the 1920s and 1930s in New Orleans, the birthplace of jazz. From before to after the First World War (1914-1918),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military bands and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music performed by Creoles, a mixed race of French and enslaved Africans, elements of traditional European music were injected into traditional African music and African American genres such as blues, the dominating musical genres of New Orleans of that time. Creoles, who had a relatively high level of education, wealth, and musicality, combined the elements of traditional European music with African rhythms to develop a new genre called ragtime. Ragtime was influenced by the march rhythm played by military bands and had many orchestral elements, but it was basically piano music. Because the piano was wide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ragtime, which could be easily played on the piano at home, naturally gained popularity. Ragtime pianist Scott Joplin (1868-1917) established the typical form and structure of the genre, which enjoyed great popularity during the 1900s but gradually declined after the end of World War I. It was James Price Johnson, with his new piano style called the stride, who put the genre back on the map in the 1920s and 1930s. In this thesis, Johnson's famous ragtime piece Carolina Shout (1944) is analyze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elements of Johnson's ragtime style inherited from Joplin's classic ragtime from those unique to Johnson's music. The result shows that Johnson's ragtime has many elements inherited from Joplin's classic ragtime, but at the same time, has new aspects such as complex harmonies, diverse rhythm patterns, and the emphasis on spontaneity. The common features of Joplin and Johnson's styles such as the use of African rhythms including tresillo, cinquillo, and habanera, the African musical form of call and response, and the ragtime form itself, indicate that Johnson's ragtime is heavily influenced by Joplin's classic ragtime. However, the stride style, the key feature of Johnson's ragtime, was Johnson's own creation. The stride is a ragtime piano style in which the left-hand plays an interval of a 10th or wider before moving to a distant area on the piano to play a consonance. Harmony and African rhythms are more emphasized compared to the classic ragtime piano style. Johnson's invention of the stride style ragtime took place during a period when ragtime was gradually developing into jazz. Many elements of Johnson's stride style ragtime such as the frequent use of dissonances, wide intervals, and irregular rhythms, along with the constant variation of the theme, are the elements that characterize jazz.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Johnson's stride style ragtime acted as a bridge between classic ragtime and jazz. The author of this thesis hopes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ragtime and the unique quality of the stride style ragtime of James P. John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