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검증

        장유나 ( Jang Yoona ),오현정 ( Oh Hyunjung ),안소영 ( Ahn Soyoung ),홍세희 ( Hong Sehee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유형화하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차년도(초5)부터 6차년도 (중3)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위축 변화에 적합한 변화함수를 추정하여 이를 적용한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3단계 접근법(3-step approach)을 활용하여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의 종단적 변화에는 2차 함수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적용한 잠재계층은 ‘저수준 상승 집단’, ‘위축 급변 집단’, ‘고수준 하향 집단’, ‘중상 보편 집단’, ‘중하 보편 집단’의 5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영향요인의 검증에서는 사회적 위축과 관련 있는 성별, 한국어 능력, 친구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거주 지역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집단 대비에 따라 달랐지만, 대체로 성별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축 급변 집단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요인을 찾을 수 없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대해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이들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던 부정적인 결과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70%가 넘는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평균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새로운 결론을 제기했다는 의의가 있다. 다만, 4.7%의 위축 급변 집단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ubtypes of eventual changes in social withdrawal of multicultural youths and examine their determinants. For the purposes, growth mixture models were applied to the data from the second to sixth waves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Based on the mixture models, change patterns in social withdrawal were classified and determinants of the patterns were tested using the three-step approach. Results shows that quadratic function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longitudinal changes in social withdrawal of multicultural youth, and the change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latent classes: ‘low-level rising group’, ‘rapid change group’, ‘high-level downward group’, ‘medium-level universal group’ and ‘medium-low universal group’. Further, the effects of gender, Korean language ability,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learning activity, and residential area on the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Gender generally showed important effects on differentiating the classes although the gender effects differed depending on class comparisons. However, no significant factors were found for ‘rapid change group’. This study sought to help people understand longitudinal patterns in the social withdrawal of multicultural youths. Contrary to negative results found in previous studies, it is meaningful that more than 70% of multicultural youth's social withdrawal was found to remain stable at the average level, bringing up a new conclusion. However, follow-up studies are necessary for the 4.7 percent ‘rapid change group’.

      • KCI등재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대학원 교육학과 세부전공 분석

        장유나 ( Jang Yoona ),강윤경 ( Kang Younkyung ),배상영 ( Bae Sangyoung ),오현정 ( Oh Hyunjung ),홍세희 ( Hong Se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국내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전공 개설 현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전국 대학의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내 설치 전공을 수집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대학정보를 공시하는 대학알리미 사이트에서 일반대학원 교육학과가 개설된 학교를 파악한 후, 각 학교 홈페이지와 입시요강을 참고하여 학교별 개설 전공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 측면에서 교육행정 전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상담, 교육과정, 평생교육 등이 뒤를 이었다. 매개중심성 측면에서는 평생교육 전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행정, 교육상담, 교육심리, 교육공학, 교육철학 등이 뒤를 이었다. 응집성 분석에서는 전공의 유사성으로 집단이 구별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많은 대학에서 설치된 전공과 그렇지 않은 전공으로 구별되는 특징이 있었으며, 구조적 공백에는 고등교육 전공이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교육학과 전공 개설현황을 네트워크 분석으로 시각화하여 각 분석에서 나타난 특징을 해석하였으며, 방법론적으로는 연구 동향 분석에만 주로 사용되어 온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graduate major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Korea. For the purpos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formation on graduate major openings in education nationwide.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was the highest in terms of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followed by educational technology, education psychology, education counseling, and curriculum. In terms of betweenness-centrality, lifelong educ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ucational counseling, educational psychology, and educational technology. In cohesive analysis, majors were distinguished depending o n h ow much commonly installed in many universities, rather than depending on how much similar. Higher education majors were located in structural holes. This study analyzed and visualized the current status of major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Korea using network analysis, and 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etwork analysis. In methodolog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has expanded scopes of keyword network analysis, which has been mainly used for research trend analysis.

      • KCI등재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청소년 스마트폰 이용행태의 변화유형 분석

        장유나 ( Yoona Jang ),손수경 ( Sookyung Son ),홍세희 ( Sehee Ho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중등교육연구 Vol.69 No.3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3학년의 스마트폰 이용행태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각 시기의 계층별 특성과 성별,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교우관계, 특성화고 여부(고등학생의 경우)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으로의 계층 간 전이가 일어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10) 6차년도와 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잠재계층은 ‘과사용 집단’, ‘평균사용 집단’, ‘고사용 저불안 집단’, ‘저사용 집단’, ‘정보검색 빈번 집단’의 5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고등학생의 잠재계층도 5개로 분류되었으나, 중학생의 잠재계층에서 ‘고사용 저불안 집단’은 사라지고, ‘취침 전 사용 집단’이 새로운 패턴으로 나타났다. 전이확률 결과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시기에 중복된 4개 잠재계층에서 절반이 넘는 중학생(잠재계층 유지 비율 각 34.1%, 23.2%, 53.7%, 43.4%)이 잠재계층을 유지하지 못하고 다른 계층으로 전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잠재계층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그 구성원에서는 변화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행태의 잠재계층을 파악하고, 전이 양상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latent classes of smartphone usage behaviors of third graders of middle - and high-school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and to estimate transion patterns between the third graders of middle- and high-schools. For the aims of the study, data from the 6th and 9th years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2010) were utilized,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latent cla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over usage group', 'average usage group', ‘high usage & low anxiety group’, 'low usage group', 'information search group'. And, latent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also classified into five groups: 'over usage group', 'average usage group', ‘pre-sleep usage group’, 'low usage group', 'information search group' Based on the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high usage & low anxiety group’ disappeared from the latent cla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at the ‘pre-sleep usage group’ emerged as a new pattern in high school students. The transition probability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to maintain their latent classes and transfer to other classes. Generally, the latent classes of middle- and high-schools were similar. However, members of latent classes changed across middle- and high-schoo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latent class of smartphone usage behaviors, identifies the transition patterns, and further suggests the needs for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problems of excessive smartphone usage.

      • KCI등재

        기혼여성근로자의 성역할인식이 일-가정양립에 미치는 영향 -일만족도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장유나(Jang, Yoona),윤미리(Yoon, Miri),홍세희(Hong, Se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아시아여성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병렬다중매개 모형을 활용하여, 기혼 여성 근로자의 성역할인식이 일만족도를 매개로 일-가정양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 패널의 6차 및 7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혼 여성 근로자의 성역할 인식은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9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고용의 안정성, 하고 있는 일의 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개인의 발전가능성,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복리후생, 성과에 대한 인정) 각각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역할인식과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4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하고 있는 일의 내용,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성과에 대한 인정)는 일-가정양립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4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하고 있는 일의 내용,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성과에 대한 인정)는 성역할인식이 일-가정양립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간접경로 모두 일-가정양립 촉진의 주요 경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 만족도를 하위 항목으로 나누어, 각각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기혼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양립 촉진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ender role perceptions of married female workers on the promotion of work-life balance.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satisfaction using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model. Data from the sixth and seven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were examined. The analysis found that the gender role perceptions of married female workers positively impacted nine sub-variables related to work satisfaction (wage or income level, employment stability, work content, working environment, working hours, personal development potential, workplac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welfare benefits, and performance recognition). Four of these sub-variables (wage or income level, work content, workplac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and performance recogn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romoting the work-life balance of married female workers. In addition, these sub-variables mediated the effect of gender role perception on promoting work-life balanc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and an indirect mediation path appeared as the main one promoting work-family compatibility. Because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each work satisfaction sub-variable, it ha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grams promoting work-life balance among married female workers.

      • KCI등재

        청소년의 그릿,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간의 관계 : 휴대전화 의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장유진 ( Jang Yujin ),이승연 ( Lee Seungyeon ),장유나 ( Jang Yoona ),홍세희 ( Hong Sehee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그릿,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휴대전화 의존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KCYPS 2018) 중1패널 2차년도 자료(2,203명)를 활용하여, 매개, 조절, 조절된 매개효과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그릿은 주의집중 문제와 공격성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주의집중 문제는 공격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릿이 주의집중 문제를 매개하여 공격성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그릿이 높을수록 주의집중 문제를 감소시켰으며 이는 공격성 감소로 이어졌다. 셋째, 휴대전화 의존도는 그릿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집중 문제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넷째, 그릿이 주의집중 문제를 매개하여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휴대전화 의존도의 공격성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릿이 공격성을 낮출 수 있는 요인임을 보였다. 본 연구는 그릿과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행동문제와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grit, attention problems, and aggression and tested moderated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e on the relationships. The mediation,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ere evaluated using the SPSS Macro PROCESS 3.5 to the 2,203 middle school students data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Results showed that grit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attention problems and aggression while attention problem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attention problems between grit and aggression was significant so that a high level of grit lowered the attention problems, which led to decrease of aggression. Third, the dependence on a mobile phon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s of grit and attention problems on aggression, respectively. Lastly, there was the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obile phone dependence on the relationship in which grit affected aggression mediated by attention problems. This study identified a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grit, negative emotions, and behavioral problems structurally.

      • KCI등재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학업 무기력의 관계 : 자녀의 삶의 만족도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정성원 ( Jeong¸ Seongwon ),장유나 ( Jang¸ Yoona ),홍세희 ( Hong¸ Sehee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 그릿의 매개효과를 순차적으로 검증하여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극복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1차년도 중학교 1학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2,590명을 대상으로 순차적 매개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간의 상관관계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는 삶의 만족도, 그릿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학업 무기력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삶의 만족도는 그릿과 정적 상관을, 학업 무기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그릿과 학업 무기력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학업 무기력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학업 무기력을 겪는 학생들에게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으며, 학업 무기력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student’s academic helplessness by examining the serial mediators effect of life satisfaction and grit, to present implications for overcoming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helplessnes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first wave of data of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8(N=2,590)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was used, this study conducts serial mediators effect model for 2,590 1st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nd grit,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helplessness. Life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ri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helplessn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rit and academic helplessness. Second, gri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academic helplessness. Thir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ed academic helplessness by serial mediating life satisfaction and gri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prior study to help reduce academic helplessness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o students experiencing academic helplessness.

      • KCI등재

        직무적합도 지수 개발 알고리즘 H-JFIT: TOCT와 GRIT 검사에 대한 적용의 예

        홍세희 ( Sehee Hong ),장유나 ( Yoona Jang ),김주환 ( Joohan Kim ),유영산 ( Young-san Yo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8 조사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직무별, 영역별, 차원별 가중계수와 방향계수를 도입하여 직무적합도 지수개발 알고리즘 H-JFIT의 개발절차 방법을 단계적으로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TOCT와 GRIT 검사를 이용하여 직무적합도 지수 TGI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알고리즘 H-JFIT과 개발된 적합도 지수 TGI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인지적, 정의적 검사의 다양한 하위차원을 통합하여 하나의 지수로 산출하고 해석 기준을 개발하였다. 둘째, 가중계수와 방향계수를 개념화하여 지수에 반영하였다. 셋째, 기존의 성격검사, 역량검사에서 나타나는 거짓응답, 바람직성 문제를 통제할 수 있다. 넷째, 직무자들뿐만 아니라 청소년과 일반 성인에게도 적용하여 적합도를 측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알고리즘 H-JFIT은 개방된 시스템으로서 어떤 검사에 대해서도 지수를 개발할 수 있으며, 장기 종단적으로 자료가 구축되면 최근의 자료만 사용하여 계속해서 현재의 인재상에 맞는 지수를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is study presented algorithm of developing job-person fit index, that incorporated weight and direction coefficients. And, based on the algorithm, a new job-person index TGI using TOCT and GRIT tests was developed and its interpretation guidelines were also provided. The H―FIT algorithm and the TGI are meaningful in these aspects: First, an index was developed incorporating various subdimensions of cognitive and personality tests. Second, the index took weight and direction coefficients into account. Third, the index can control for faking bias and social desirability tendency, which are widespread problems in most personality test. Fourth, the index can be applied to adolescents and job seekers as well as incumbents. Finally, the H―FIT algorithm is an open system that can produce an job-fit index based on any tests. Further, given longitudinally collected database, the index can be computed based on updated concepts of competency by using recent data.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한 청소년의 팬덤 활동 유형 분류 및 학업태도의 차이

        오현정 ( Oh Hyunjung ),장유나 ( Jang Yoona ),홍세희 ( Hong Seh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청소년의 팬덤 활동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학업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의 1차년도 중학생 조사대상자 중 좋아하는 연예인이나 운동선수가 있다고 응답한 학생 1,547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팬덤 활동은 소극적 활동 집단, 온라인 활동 집단, 물품 구매 활동 집단, 서포트 활동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각 계층에 대해 성별과 거주지, 친구 관계의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성별과 친구 관계가 유의하였다. 셋째, 잠재계층에 대한 결과변수로서 학업태도를 학업 열의(헌신, 활기, 효능감, 몰두)와 학업 무기력(통제신념 결여, 학습동기 결여, 긍정정서 결여, 능동수행 결여)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활기, 학습동기 결여, 긍정정서 결여에서 유의한 계층 간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팬덤 활동에 대한 응답을 통해 잠재계층을 구분하여, 팬덤 활동 유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유형을 구분하지 않거나 자의적으로 구분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팬덤 활동의 학업태도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알아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fandom activities of adolescents by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o identify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the latent profi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547 middle-school student subjects of the first survey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who responded to questions about whether they have favorite entertainers or athlete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th's fandom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passive activity group', 'online activity group', 'product purchase activity group', and 'support activity group'. Second,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gender, residence, and friend relationship, gender and friend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latent profiles. Third, among the academic attitude variables as outcome variables, lack of vitality, learning motivation, and affirm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latent profiles. This study made contributions to identifying the types of fandom activities of adolescents by dividing latent profiles and thu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hat did not distinguish types of fandom activities or classified them arbitrarily.

      • KCI등재

        취업성과에 대한 취업준비 노력 잠재계층의 인과적 효과: 임금과 직장만족도를 중심으로

        김소영 ( Soyoung Kim ),장유나 ( Yoona Jang ),홍세희 ( Sehee Ho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6 조사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을 위한 준비노력에 대한 응답패턴에 따라 하위유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하위유형이 취업성과에 인과적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졸자직업이동조사(GOMS)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계층 분석과 경향점수 짝짓기를 실시하였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취업을 위한 준비노력 잠재계층을 분류한 결과, `미비 집단`, `낮은 학점 집단`,`학점-자격증-인턴 집단`, `두루 갖춤 집단`, `자격증 집단`, `고수준 집단`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잠재계층으로 나누어진 각 하위유형이 취업 성과에 인과적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향점수 짝짓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종속변수가 직장만족도일 때 유의미한 인과효과가 있는 잠재계층은 미비 집단이 유일하였다. 미비 집단에 속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직장만족도가 낮았다. 종속변수가 임금일 때 유의미한 인과효과가 있는 집단은 미비 집단과 학점-자격증-인턴 집단이었다. 미비 집단의 임금이 유의미하게 낮았고, 학점-자격증-인턴 집단에 속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임금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취업준비 노력의 여러 종류를 두루 갖추는 것만으로는 직업만족도나 임금이 높아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직업만족도 측면의 취업성과에 대하여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classify subgroups depending on response patterns of job preparation efforts and to examine whether each subtype has a causal effect on job performances. For these goals, latent class analysi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were performed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1. Results revealed that six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which could be defined as unprepared group, low GPA group, GPACertification- Internship(GCI) group, all-around group, certification group, and high-level group.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ach subgroup had a causal effect on employment outcomes.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dependent variable was job satisfaction, the only group that had a significant causal effect was the unprepared group. People in the group had a low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an others. And, when the dependent variable was wages, groups with significant causal effect were the unprepared group and the GCI group. Wag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unprepared group, while wag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GCI group.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employment outcomes (i.e., job satisfaction and salary) are not simply deteremined by various types of employment preparation efforts, and thus more attention for job satisfaction is needed as an aspect of employment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