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수함 전.평시 OMS/MP 설정 방법론 연구

        장원준,김경용,백순흠,Jang, Won-Joon,Kim, Kyoung-Yong,Paik, Soon-Huem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1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4 No.3

        Operational Mode Summary/Mission Profile(OMS/MP) is a document to quantify the operational and maintenance requirements based on the future operational environments and its mission and How to Fight concept in the development of the weapon system. It is important as a key document for the RAM goal setting in the early phase of weapon system development. The paper presents a systematic and practical submarine OMS/MP model processes with a deep analysis of relevant case studies and current status domestic and abroad. Especially, it proposes the unique Scenario Planning and Switch on List techniques with real case studies which have recently performed. The paper will contribute not only the basis of improved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weapon system but also the sustainment of readiness with the enhancement of RAM and reduction of total life cycle cost.

      • KCI등재

        지상분야 주요방산제품의 글로벌 경쟁력 분석과 수출 확대 전략

        장원준 ( Won Joon Jang ),김미정 ( Mi Jung Kim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6 국방연구 Vol.59 No.2

        2015년 우리나라 방위산업 수출은 34.9억 달러(수주 기준)로 집계되어 3년 연속 30억 달러 이상을기록하여 수출유망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과거 수출을 주도하던 전차 등 지상분야 방산제품수출비중은 최근 6년(2009~14)간 18%p 이상 감소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상분야 주요 방산제품의 경쟁력과 수출 가능성을 분석해보고 수출 확대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세계 지상분야 방산제품 거래는 2014년 기준 28.2억 TIV로 전체의 9.9%를 차지하여 전년대비 5.8%p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0년(2015~24)간 지상분야는 고가제품·신규개발 수요보다는 중·저가형및 성능개량 위주의 시장이 형성되어 40% 이상의 시장 감소가 예상된다.2015년 KIET 실태조사 결과, 지상분야 방산제품의 글로벌 가격, 기술 및 품질경쟁력은 각각 81%,86%, 89%, 기업 및 정부경쟁력은 81%, 80%로 나타나 주요 경쟁제품 대비 전반적으로 열세한 것으로나타났다. 특히, 중·후발국에서 경쟁이 치열한 중국·러시아 제품과의 가격 경쟁력은 전차 41%, 장갑차22%, 자주포 58% 등으로 크게 열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향후, 지상분야 방산제품의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중·후발국 중심의 기술연계수출’에 우선적으로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완제품 수출과 함께 탄약 및 주요 지상장비 플랜트 수출과 개조개발, 정비창현대화 등도 매우 유망한 수출 품목이다. 이를 위해서는 수출시 기술료 유예 등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지원이 요구된다. 아울러, 개발 초기단계 수출을 고려한 ROC 설정, 잉여·도태장비의 수출 연계성 강화,수입절충교역간 부품수출물량 확대 등에 집중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compares Korean arms competitiveness with that of global competitors inmajor military ground vehicles. And also, it suggests appropriate policy changes to determine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defense export supporting systems in Korea.According to SIPRI’s Arms transfer database, the world military ground vehicle tradevolume is 2.8billion TIV, 9.9% of the total arms trade in 2014. The market will be led bylow-price and light products in the future rather than new and high-end one. Thereforeground vehicle market will shrink more than 40% in ten years(2015~2024).KIET Survey said Korean ground vehicle’s Price, Technology, Quality, Company(Brand), Government competitiveness are about 81%, 86%, 89%, 81%, 80% respectivelythat makes export handicap in global market. Especially tank, tracked vehicle and howitzer’sprice competitiveness is seriously lower than that of the Russian or Chinese. To overcomesuch disadvantages, consider variety of export types, such as technology-based export,ammunition plant export or modernization of maintenance depot. Moreover it is alsoimportant that the ROC set-up process with the consideration of global exportability, sellpackage deal with outdated equipment and lastly using offset as a window of the export.

      • KCI등재

        방위산업 생태계 대응역량 분석과 시사점

        장원준 ( Jang¸ Won-joon ),송재필 ( Song¸ Jai-pil ),이경숙 ( Lee¸ Kyoung-soo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2

        1930년대 생물학적 생태계 개념이 처음 제시되고 이를 Moore(1996)가 비즈니스 분야에 적용한 이후 오늘날 ‘산업생태계’의 개념은 구글, 애플, 네이버, 유투브 등 국내외 주요산업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 개념으로 자리잡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위산업 분야에서는 산업생태계 개념이 생소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방위산업 생태계 개념과 특성을 정립해 보고, 국내 최초로 ‘방위산업 생태계 대응역량 지표’를 개발하여 국내 방위산업 생태계의 대응역량을 평가해 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문가 100명의 국내 방위산업 생태계 대응역량 평가 결과, 생산성은 선진국(미국 =100)의 58.7%로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장대응력 등 5개 분야를 평가한 강건성도 선진국 대비 58.5%, 혁신성 6개지표도 63.9%로 평가되어 아직까지 방위산업 생태계 측면에서 건강한 생태계라고 평가하기는 어려운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계층별 대응역량 수준도 주도기업(계층 2)이 선진국(미국 =100)의 60.2%에 그쳤으며, 중소벤처기업으로 구성된 참여기업(계층 1)은 56.5%로 더욱 저조한 수준이다. 정부 (계층 3)는 같은 기준 62.2%, 인프라(계층 4)는 66.9%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선진국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국내 방위산업 생태계는 혁신 역량 부족으로 신기술 개발 및 적용보다는 기존 기술에 의존하게 되고 그 결과 시장창출 능력이 뒤떨어지고 있는 바 향후 방위산업 생태계의 선순환을 위해서는 강건성과 혁신성을 제고하는 근본적인 정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onfrontational capability of defense industry ecosystem an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to strengthen its ecosystem in Korea in the near future. Since the concept of biological eco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 the 1930s and applied to the business field by Moore (1996), the concept of “industrial ecosystem” has become a core concept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major industries at home and abroad, such as Google, Apple, Naver, and YouTube. Nevertheless, the concept of industrial ecosystem is unfamiliar in the defense industry.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fense industry ecosystem, to develop the indicator of defense industry ecosystem response capability, to evaluate the response capacity of the defense industry ecosystem, and to draw implication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apacity of 100 experts in the domestic defense industry’s ecosystem, productivity was low at 58.7% of developed countries (US = 100). It was analysed that it was difficult to evaluate the robustness of the defense industry as a healthy ecosystem in terms of defense industry ecosystem, with 58.5%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and 63.9% of innovativeness indicators. In the level of response capability by class, the leading companies (Layer 1) accounted for only 60.2% of the developed countries (US = 100), and the participating companies (Layer 2) composed of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were 56.5%. The government (tier 3) had the same standard of 62.2%, and the infrastructure (tier 4) was 66.9%, which was evaluated to be less than the level of the developed countries. the domestic defense industry ecosystem is dependent on existing technologies father than developing and applying new technologies due to lack of innovative capabilities, so its ability to create markets is inferior. Therefore, a fundamental policy to enhance robustness and innovation for virtuous cycle of future defense industry ecosystem Provision seems to be urgent.

      • KCI등재후보

        국방과학기술혁신을 위한 개방형 기술혁신 개념 적용방안 연구

        장원준(Won-Joon Jang),이춘주(Choon-Joo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09 기술혁신학회지 Vol.12 No.2

        최근 OECD 회원국들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국가과학기술 혁신역량 강화 및 성과 제고를 위한 개방형 기술혁신(Open Innovation) 전략 추진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활동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방과학기술혁신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국방과학기술의 환경변화 및 문제점들을 분석해 보고 개방형 기술혁신 개념의 국방분야 적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국방과학기술혁신역량 강화 및 성과제고를 위한 개방형 국방기술혁신의 이론적 틀(framework)과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였다.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OECD member countries focus on the Open Innovation strategy to strengthen their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its outcome. Numerous relevant researches are proceeded in these days, however, just few researches exist in the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fields. Therefore, the paper tries to apply Open Innovation concept to the national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based on the change of defense environments and its problems. For this reason, the paper also present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defense Open Innovation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national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expanding its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