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pigments 처리에 의한 검정콩 안토시아닌 추출물의 저장 안정성

        영미(Yeong Mi Ji),김민영(Min Young Kim),이상훈(Sang Hoon Lee),귀영(Gwi Yeong Jang),윤나라(Nara Yoon),김은희(Eun Hee Kim),김경미(Kyung Mi Kim),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7

        검정콩의 안토시아닌 색소의 안정성에 대한 유기산(succinic acid), 금속이온(Cu2+), ascorbic acid, 당류(sucrose) 및 pH의 영향을 4°C 및 40°C에서 저장기간별로 살펴보았다. 모든 처리구에서 4°C는 copigment 처리 여부에 관계없이 안정하였지만 40°C에서는 copigment 처리구가 안정하였다. Succinic acid 처리는 40°C에서 무처리에 비해 7~15%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Cu2+ 처리는 안토시아닌 색소와 반응하여 안정화에 효과가 있었으며, 4°C에서는 저장 8일차 까지 100%로 유지되었다. Ascorbic acid 처리는 안정성을 저하했으며 40°C에서는 무처리에 비해 64~72% 감소하였다. Sucrose 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효과가 작았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안정성이 감소하였다. pH는 낮을수록 안정성이 증가하였으며 4°C에 비하여 40°C가 낮았다. 특히 pH 7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검정콩 안토시아닌 색소 저장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는 온도, 유기산 및 pH 조절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Effects of copigments (succinic acid, Cu<SUP>2+</SUP>, ascorbic acid, sucrose, and pH) on stability of anthocyanin extracted from black beans (Glycine max Merrill.)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for 8 days at 4 and 40°C. Succinic acid improved stability of anthocyanin by 7∼15% compared to the non-treatment group at 40°C. Cu<SUP>2+</SUP> maintained stability of anthocyanin by about 100% for 8 days at 4°C. Ascorbic acid reduced stability of anthocyanin by 64∼72% of non-treatment at 40°C. Sucrose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t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The lower pH improved stability of anthocyanin. Stability at pH 1 was improved by 81∼87% compared to that at pH 7. These results show that temperature, organic acid, and pH were effective in improving storage stability of anthocyanin from black beans.

      • KCI등재

        검정콩 안토시아닌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추출에 대한 산 처리의 영향

        영미(Yeong Mi Ji),김민영(Min Young Kim),이상훈(Sang Hoon Lee),귀영(Gwi Yeong Jang),Li Meishan,윤나라(Nara Yoon),김경미(Kyung Mi Kim),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0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에 첨가하는 산의 종류 및 농도를 달리하여 검정콩으로부터 안토시아닌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색소의 추출효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산의 종류는 hydrogen chloride(HCl), acetic acid, formic acid, phosphoric acid 및 citric acid였으며, 사용된 농도는 0.1, 0.2, 0.3, 0.5 및 0.7%였고 80%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산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0.74~1.74 mg/g 범위였으며 0.3% HCl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검정콩의 주요 안토시아닌은 C3G, D3G 및 Pt3G였으며 구성 안토시아닌 중 C3G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2.01~5.29 mg/g 범위로 포도씨나 팥의 프로안토시아닌보다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검정콩의 안토시아닌과 프로안토시아니딘의 추출 시 산의 종류 및 농도가 중요한 변수이며, 최적 추출조건은 0.3% HCl을 포함하는 80% 메탄올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acidic treatment for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extraction from black bean. Extracts were prepared with 80% methanol solutions containing HCl, acetic, formic, phosphoric, and citric acid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0.1, 0.2, 0.3, 0.5, and 0.7%). Total anthocyanin content ranged from 0.74 mg/g in 0.7% citric acid to 1.74 mg/g in 0.3% HCl, depending on acid type and concentration. The major anthocyanins were delphinidin-3-glucoside (D3G), cyanidin-3-glucoside (C3G), and petunidin-3-glucoside (Pt3G). The highest C3G content was 1.12 mg/g in 0.3% HCl. Proanthocyanidin content ranged from 2.01 mg/g in 0.5% acetic acid to 5.29 mg/g in 0.3% HCl. Thus, acidic condition i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extraction from black bean, and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determined as 80% methanol containing 0.3% HCl.

      • KCI등재

        라벤더 에탄올 추출물이 ${\alpha}$-MSH 유도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효과

        김호민,장영미,한규수,문대원,문연자,우원홍,Kim, Ho-Min,Jang, Yeong-Mi,Han, Kyu-Soo,Moon, Dea-Won,Mun, Yeun-Ja,Woo, Won-Hong 대한동의생리학회 2008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22 No.6

        Down-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is required for recovery of pigmentary disorders and it is well known that ${\alpha}$-MSH induced melanin synthesis and dendrite outgrowth on melanocyt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epigmenting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 from a Lavandula vera. The ethanol extract from Lavandula vera inhibited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untreated group. Treatment of the ethanol extract of Lavandula vera effectively suppressed the ${\alpha}$-MSH-stimulated melanin formation, tyrosinase activity and dendrite outgrowth. Moreover, the ${\alpha}$-MSH-induced mRNA expression of tyrosinase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Lavandula vera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vandula vera exerts its depigmenting effects through the suppression of tyrosinase and cytoplasmic dendricity. And it may be a potent depigmetation agent in hyperpigmentation condition. 본 논문은 라벤더 에탄올 추출물이 ${\alpha}$-MSH 유도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것으로 라벤더 추출물이 미백효과에 미치는 연구를 중심으로 한다. 라벤더 에탄올 추출물은 복용 의존적으로 멜라닌 함량과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했다. 라벤더 에탄올 추출물 처치는 ${\alpha}$-MSH로 촉진된 멜라닌 형성, 티로시나아제 활성, 수상돌기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했고, 라벤더 처치에 의해${\alpha}$-MSH로 유도된 티로시나아제의 mRNA 발현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라벤더 추출물이 미백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라벤더가 색소과다침착증에 미백제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품종별 발아 콩(Glycine max)의 아이소플라본 조성 및 In Vitro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김민영(Min Young Kim),귀영(Gwi Yeong Jang),영미(Yeong Mi Ji),김경미(Kyung Mi Kim),김홍식(Hongsik Kim),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0

        본 연구에서는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서로 다른 한국산 4 품종(아가 8호, 우람, 다원콩 및 청자 3호)의 콩에 대하여 발아에 따른 아이소플라본 조성 및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아이소플라본 조성은 발아에 따라 총아이소플라본, glycosides 계열, acetyl glycoside 계열 및 비배당체는 증가하였지만, malonyl glycosides 계열은 감소하였다. 품종에 따라 발아 전에는 아가 8호> 청자3호> 우람> 다원 순으로 총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발아 후에는 다원 품종이 우람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은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아가 8호 및 청자 3호가 25 μg/mL의 농도에서 발아 후 135.34 및 121.05%의 높은 세포 증식 효과를 보였다. 또한,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이 높게 나타난 아가 8호 및 청자 3호의 발아콩 추출물은 에스트로겐과 병용 처리 시 낮은 세포생존률을 보여 항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아가 8호 및 청자 3호에서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이 높게 나타나 품종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이소플라본 함량과 에스트로겐 유사활성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isoflavone composition, estrogenic activity and antiestrogenic activity of soybean cultivars of different isoflavone content (Aga 8, Uram, Cheongja 3, and Dawon) with germination. Total isoflavone contents of Aga 8, Dawon and Cheongja 3 was increased from 2,671.74, 261.08 and 2,240.08 to 2,977.50, 966.13 and 2,354.11 μg/g, respectively after germination except for Uram cultivars, and highest contents of total isoflavone showed 2,977.50 μg/g and 2,354.11 μg/g, respectively in Aga 8 and Cheongja 3 after germination. MTT cell proliferation assay using MCF-7 cells revealed that germinated soybean of Aga 8 and Cheonja 3 obtained not only contained a high content of isoflavone but also had estrogenic activity. Estrogenic activity of Aga 8 and Cheongja 3 soybean extracts increased from 116.21% and 101.60% to 135.34% and 121.05% after germ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rminated soybean of Aga 8 and Cheongja 3 might have a potential preventive effect on estrogen-deficient diseas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품종과 도정도에 따른 보릿가루의 기능성분 함량

        김은희(Eun Hee Kim),이윤정(Yoon Jeong Lee),귀영(Gwi Yeong Jang),김민영(Min Young Kim),윤나라(Nara Yoon),영미(Yeong Mi Ji),이미자(Mi Ja Lee),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3

        보릿가루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5가지 품종의 보리에 대한 도정도별 기능성분 변화를 분석하였다. 도정도별 총 폴리페놀함량은 도정도가 27, 23, 19, 15%와 원곡으로 감소함에 따라 각각 0.97-1.40, 1.19-1.66, 1.22-1.77, 1.30-1.93과 1.46-2.12 mg/g 범위에서 증가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유색보리인 흑누리와 보석찰이 높았다. 식품섬유 함량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각각 10.79-13.36, 10.78-14.34, 10.34-14.71과 10.47-14.87 g/100 g (원곡 18.21-21.22 g/100g) 범위에서 증가하였으며, 베타글루칸 함량은 감소하였다. 찰성보리인 흰찰쌀과 보석찰이 식품섬유와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았다. 총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GABA 함량은 도정도에 따라 각각 0.33-1.79, 0.33-1.84, 0.48-2.02와 0.55-2.26 mg/100 g (원곡 1.61-4.46 mg/100 g) 범위에서 증가하였으며,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보리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공적성을 파악하여 적합한 품종과 도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functional components of barley powder produced from different grain varieties (Dahan, Hinchalssalbori, Heukgwang, Huknuri and Boseokchal) and varying milling degrees (27, 23, 19, and 15%). Total polyphenol contents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milling degree, with content ranges of 0.97-1.40, 1.19-1.66, 1.22-1.77, 1.30-1.93, and 1.46-2.12 mg/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s content also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milling degree.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s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barley powder from Huknuri and Boseokchal grains. Total dietary fiber, arabinoxylan, and GABA contents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milling degree. As the milling degrees decreased, β-glucan contents, which was the highest in Hinchalssalbori and Boseokchal, decreased with ranges of 4.98-7.29, 5.26-7.03, 4.84-7.17, 4.84-700, and 4.66-6.33 mg/100 g, respectively.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data for selection of an appropriate variety and milling degree to achieve a high quality in barley proc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