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황의 항산화 효과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김정은 ( Jung Eun Kim ),박찬하 ( Chan Ha Park ),오대석 ( Dae Seok Oh ),이승연 ( Seung Yeon Lee ),장세훈 ( Se Hun Jang ),홍지연 ( Jee Yeon Hong ),민혜진 ( Hye Jin Min ),박수아 ( Su Ah Park ),원두현 ( Doo Hyun Won ),박수남 ( Soo Nam 대한화장품학회 201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에서는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대황의 50 %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황 추출물들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활성(FSC<sub>50</sub>)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α-tocopherol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아글리콘 분획의 소거활성(총 항산화능, OSC<sub>50</sub>)은 0.265 μ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황 추출물의 rose-bengal로 증감된 <sup>1</sup>O<sub>2</sub>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는 모든 분획에서 농도 의존적(1∼50 μg/mL)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은 10 μg/mL 농도에서 τ<sub>50</sub>이 757.0 min으로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황 추출물 중 아글리콘 분획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IC<sub>50</sub>)은 11.20 μg/mL으로 226.88 μg/mL인 알부틴(arbutin)보다 큰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대황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 이용가능하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의 현저한 항산화 작용 및 큰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로부터 이들 분획 또한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inhibitory activities on tyrosinase of Rheum undulatum (R. undulatum) L. extracts were investigated. 50 %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and aglycone fractions of R. undulatum L. were used in experiments.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ies (FSC<sub>50</sub>) of R. undulatum L. extracts was lower than (+)-α-tocopherol, known as a typical antioxidan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SC<sub>50</sub>) of aglycone fraction on ROS generated in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system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showed the most prominent effect at a concentration of 0.265 μg/mL.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fractions of R. undulatum L.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1 ~ 50 μg/mL). Especially, aglycone fraction in 10 μg/mL concentration showed the most protective effect among extracts (τ<sub>50</sub>, 757.0 min). The inhibitory effects (IC<sub>50</sub>, 11.20 μg/mL) on tyrosinase of aglycone fraction was much higher than arbutin (226.88 μg/mL), known as a whitening ag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 undulatum L. extracts can be used as antioxidant. Particularly, aglycone fraction of R. undulatum L. showed superior antioxdative activity and high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Therefore, aglycone fraction of R. undulatum L. could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 온실 확산형 순환팬의 환경개선 효과 평가

        권진경 ( Jin Kyung Kwon ),김형권 ( Hyung Kweon Kim ),윤성욱 ( Sung Wook Yun ),김성헌 ( Sung Heon Kim ),장세훈 ( Se Hun J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최근 온실의 연동화와 규모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측고의 온실이 국내에도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온실은 열부력에 의해 상하부의 환경 불균일이 발생하며, 주로 토마토, 파프리카 등의 유인성 작물을 재배하므로 일반적인 순환팬으로는 작물군락에 공기유동을 조성하기가 어렵다. 환경 불균일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소비, 생육 불균일, 과습 등의 피해를 저감하고 작물 군락에 적정 풍속을 조성하여 엽면경계층을 감소키기 위해 온실 상부에 설치하여 수직방향으로 순환하는 확산기류를 생성할 수 있는 확산형 순환팬을 설계하고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순환팬은 하측방으로 기류를 생성하여 직하부에 음압을 형성함으로 전체적 상승-하강 순환기류를 생성한다. 운전 모드는 난방모드, 환경균일화모드, 군락기류조성모드, 고온기 환기모드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9엽/각도고정형/원형암의 시작기를 이용하여 연기유선 시험을 수행한 결과 중앙상승기류 및 역회전시 상부로의 환기기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고 8.3m의 벤로형 비닐온실 테스트베드(972m2)에 6대의 확산형 순환팬을 설치한 후 기존의 관행 수평형 순환팬과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동절기 난방 시 온실 상하부의 온도차이는 관행 온실은 4°C 였으나 확산형 순환팬 온실은 0.5°C로 균일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CO2 시용시 온실 상하부의 농도차이는 확산형 순환팬이 상대적으로 작았으나 가스 확산에 의해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상하부의 온도편차 감소로 인해 난방기의 가동횟수가 감소하여 난방열량은 약 17%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절기의 경우 온실 상하부의 온도차이는 주간에는 확산형 순환팬이, 야간에는 관행 순환팬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확산형 순환팬이 온실 하부덕트의 냉기가 상승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기류분석을 통해 확산현 순환팬의 온실 설치기준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확산형 순환팬은 설치간격은 12m, 바닥에서 최대6m, 상부구조물에서 0.5m, 기둥 등에서 2m의 이격을 두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막기후 온실에서 근권냉방 시스템의 오이재배 적용 시험

        권진경 ( Jin Kyung Kwon ),이시영 ( Si Yeong Lee ),윤성욱 ( Sung Wook Yun ),김성헌 ( Sung Heon Kim ),장세훈 ( Se Hun J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농업식품안전청(ADAFSA)의 Al Kwaitat 연구센터에 설치한 남북동 반밀폐형 구조의 사막기후 온실에서 오이 재배에 근권부 국소냉방을 적용한 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온실은 총면적 2,070㎡으로 재배실 1,539㎡, 반밀폐형 공조실 130㎡ 등으로 구성되었다. 행잉거터와 코이어배지를 이용 수경재배를 하였으며, 행잉거터 하부 천공덕트를 이용하여 온실을 냉방하였다. 국소냉방은 재배실의 6개 구역(각 257㎡)중 서쪽에서 4번째 구역에 설치하였으며 3번째 구역을 대조구로 선정하였다. 배지의 하부에 XL파이프를 설치하고 히트펌프(냉방용량 294kW, 2대)에 의해 냉각된 200톤 용량의 축열조 냉수를 파이프에 순환시켜 근권부를 냉방하였다. 배지와 XL파이프의 접점부에 설치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순환펌프를 제어하여 근권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재배작물은 오이로 품종은 Zeco이며, 2023년 2월 26일 정식하여 6.18일까지 재배하였다. 근권부 냉방에 의해 배지 내부의 주야간 평균 온도는 측정기간 평균 18.3℃를, 대조구는 22.1℃를 유지하여 3.8℃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정식 초기에 작물에 의한 그늘이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강한 태양복사에너지가 재배 배지에 직접 도달하여 주간에는 근권냉방구와 대조의 배지온도차이는 최고 약 10℃ 정도로 컸으며, 작물의 성장에 따라 그늘이 발생하면서 그 차이는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약 1개월 후에는 주간의 최고 온도 차이가 약 5℃ 정도로 유지되었으며 4월 26일경부터 외기온이 상승하면서 그 차이는 10℃ 이상으로 확대되었다. 대조구의 경우 재배 배지 내부의 온도는 배지 높이에서의 기온과 매우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개선된 덕트로 인한 상방 냉풍이 배지를 냉각하여 배지의 냉각이 원활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사막지역의 온실의 경우 거터 하부의 덕트를 설계할 때 재배 배지를 향한 덕트 천공이 공간냉방 뿐만 아니라 근권부의 온도관리까지 효율적으로 수행할 있는 방안으로 판단되었다. 재배 기간(2023년 2월 26일~6.18일) 동안의 오이의 단위면적당 누적수확량은 근권부 냉방구 19,262g/㎡, 대조구가 18,399,262g/㎡으로 근권 냉방구가 대조구 대비 4.7% 증가하였으며, 단위면적당 수확과수는 근권 냉방구가 201.5개/㎡, 대조구가 187.3개/㎡로 근권 냉방구가 7.6% 증가하였다. 증수 효과는 냉방처리에 의해 근권 냉방구의 오이가 정식 초기부터 근권부를 냉방함으로써 고온 조건에서 고사율이 낮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재배기간 생존률은 대조구가 72.9%인데 반해 근권 냉방구는 84.8%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