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User Needs for Onboard ERS

        장미숙(Misuk Jang)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0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4

        선박으로부터 배기오염에 대한 국내외 관련 규제들이 강화되면서 배기오염 저감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실선 적용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수요자 측면에서 점검하고 수요자 니즈에 맞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선박 배기오염물질 중 황산화물 저감시스템 개발

        장미숙(MISUK JANG),김대규(DAEGYU KIM)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9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

        This paper focused on the ship emission reduction, for SOx in particular.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emission reduction system(ERS) and emission monitoring system(ERS). ERS is composed of seawater scrubber(SWS) and exhaust gas recirculation(EGR).This system is designed with modularity to meet various user's requirements and meet the MARPOL(NOx technical code and SOx-EGCS guidelines) and IS0-8178.

      • 선박 배기오염 중 SOx/CO2 동시저감 스크러빙 기술 고찰

        장미숙(MISUK JANG),고현창(HYUN-CHANG KO)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0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4

        이 논문에서 소개하는 기술은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고알칼리수를 생성하고 이를 스크러버 시스템에 분사하여 황산화물과 이산화탄소를 통시 저감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국내외적으로 온실가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이산화탄소 후처리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국외에서는 IMO 인증은 물론 상품화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다. 따라서 관련기술의 국산화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으며 현재 당사에서는 이러한 수요를 바탕으로 해수 전해 시스템 기술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 KCI등재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전문가 역량 및 학교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미숙(Jang Misuk),박영신(Park Youngshin),안현아(Ahn Hyunah),김경이(Kim Kyungy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본 연구는 다양한 주제와 분야의 학습활동을 목적으로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구성된 학습공동체가 대학생들의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C대학교에서 2016년에 5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참여 학생 79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 학생들에게 2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업역량, 전문가 역량, 그리고 학교태도를 측정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점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제와 활동목적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학습공동체에 참여했던 학생들은 활동 초반보다 활동 종료 시점에 전문가 역량이 향상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 역시 활동 초반 보다 활동 종료 시점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학생들의 이러한 전문가 역량 향상 결과는 학생의 개인 역량 수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역량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 학생들이 높은 역량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 학생들 보다 전문가 역량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에서도 동일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업 내 활동이나 단일한 목적을 위해 구성된 학습공동체가 아닌 다양한 목적을 위해 구성된 이질적인 학습공동체들도 공동체 활동만으로도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전문가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런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은 학생 개인뿐만이 아니라 학교 조직에 대한 인식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se and evaluate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ies on college students’ professional competence. Total 792 students participated in survey research in 2016 learning community program at ‘C’ University. The methodology for analysis was to compare the change of professional compet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 post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retest. Second, the attitudes for college were progressed toward positive side at the end of program. Finally,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program differed in students’ gender, level of students’ competences. Female students showed the result of more improvement than male students through activity on learning community. And students in lower competency group had improved more than higher group students in professional competence. In addition, the patterns of attitudes for college results were identic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rning community in college have an beneficial influence on student’s competence as well as attitudes for college.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동시과제의 처리 적절성이 미래계획기억 수행에 미치는 효과

        박영신(Youngshin Park),임재희(Jaehee Rim),장미숙(Misuk Jang)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4

        본 연구는 동시과제의 처리적절성이 미래계획기억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동시과제와 미래기억과제 간의 처리적절성을 동시과제 단어목록 유형과 미래기억과제 목표단어들의 범주를 통해 조작하였다. 동시과제의 단어목록은 의미연합 목록과 모양연합 목록으로 구성되었으며, 미래기억과제 목표단어들은 의미처리를 중심으로 기억 할 수 있는 단어들과 글자모양 중심으로 기억할 수 있는 단어들로 구성되었다. 과제처리적 절성 이론에 따라서, 동시과제의 연합차원이 미래계획기억과제의 연합차원과 동일할 때에, 미래계획기억의 수행이 좋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총 60명의 참가자들이 두 개의 실험에 참가하였다. 실험 결과, 미래계획기억과제의 수행은 동시과제와 미래계획기억과제의 연합차원 이 같을 때에 좋게 나타났다. 또한 미래계획기억 목표단어와 동시과제의 처리적절성이 높은 목록에 대해 동시과제의 목록 재인율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과제처리적절 성 이론의 최근 연구 결과들에 비추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ask appropriate processing on prospective memory(PM). The TAP was manipulated with list type within study phase and association category type among PM target words. Associated word lists used for ongoing task were consisted of semantically associated lists and orthographically associated lists. Target words for PM task were consisted of city names or words for ending with the letter of '도'. Accordi ng to the TAP view, PM performance would be better in the condition of task appropriate processing rather than in the condition of task inappropriate processing. Total fifty students volunteered for two experiments for the present study. The main finding was that PM performance was influenced by the task appropriate processing with ongoing task. In other words, PM performance was facilitated when association type between ongoing list and PM target word was same. Second, ongoing rask performance was also influenced by task appropriated processing. These results~were discussed in task appropriated processing theory and previous studies.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영신(Youngshin Park),안현아(Hyunah Ahn),장미숙(Misuk Jang),양길석(Gilseok Yang),김경이(Kyungyee K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관과 대학생들이 대학생 핵심역량을 손쉽게 자기-평가할 수 있는 척도의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정의되고 있는 대학생 핵심 역량을 구성요인으로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95개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C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학생 2,677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한 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1개 문항으로 구성된 1차 본검사 문항을 확정하여 1,625명을 대상으로 역량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선정된 문항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본검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최종 본검사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내적합치도를 통해 신뢰도를 산출하여 최종 검사의 양호도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공인 타당도 확보를 위해 본조사에 응했던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K-CESA를 실시한 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평가도구에서 정의된 총 4개 요인인 문제해결역량, 인성윤리역량, 세계시민역량, 학문 역량의 구성요인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4개 요인으로 구성된 41개 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뢰도 계수는 .94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적합도 검증 결과 모든 부합도 지수들 역시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본인의 핵심역량 수준을 스스로 측정해 볼 수 있도록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는 타당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타당화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측정도구가 갖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evaluating Core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Ninety-five preliminary items that represented the four sub-components(problem solving competency, moral competency, learning competency, and global competency)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experts research and consulting. A preliminary survey was administered to 2677 college students and an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termined on 51 items. A main survey with 51 items was administered to 1625 college students. Based on preliminary analysi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alize items. Total 41 items for the scale were extra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scale were tested for developed 41 item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s conducted. Reliability of items were verified by intrinsic consistency coefficients( Cronbach s α) . And also correlational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rom reliabilities test were satisfactory. Evidence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valid constructs with acceptable every fit indices. Also, good concurrent validity wes shown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developed self-evaluating core competency assessment and K-CESA scales. The core competency scale for college was composed of four factors including problem-solving competency, moral competency, global competency, and learning competen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results.

      • KCI등재

        대학의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양시윤(Yang, Siyun),박영신(Park, Youngshin),장미숙(Jang, Misuk),안현아(Ahn, Hyunah),김경이(Kim, Kyungy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행되는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핵심역량과 학업역량에 어떤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C대학교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586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실시한 핵심역량과 학업역량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역량 점수 변화를 비교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공동체 참여한 학생들의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업 역량은 활동 시작시점에 비해 활동 종료시점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양상은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전문가 역량을 비롯한 대학생 핵심역량 점수들은 협동학습이나 현장탐구를 목적으로 구성된 팀에 비해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한 팀에게서 두드러진 상승 결과가 나타난 반면, 메타인지, 학습전략, 학업동기 및 학업몰입과 같은 학업역량 점수들은 학습공동체의 활동 내용과는 무관하게 모두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자 율적으로 구성되는 대학의 학습공동체 활동이 대학생들의 다양한 역량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시켜 주었다. 더불어 이러한 결과가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하였는데, 학습공동체 활동의 학습 목표를 구 체적으로 설정할수록 학생들의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ies on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y and learning competency. Total 586 students from 23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survey research in 2017. The methodology for analysis was to compare the change of both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learning competenci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cross type of activ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core competencies and learning competencies in post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retest. Second, the type of learning activity had an influenced differentially on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learning competencies. The benefits of learning community with student’s core competency were greater in students’ teams in research development and field search than ones in collaborative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benefits with learning competency has revealed evenly with no respect to types of activities. Educational implication of learning community in college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