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지원(Kim Jiwon),박영신(Park Youngshin),양길석(Yang Kilseok),김경이(Kim Kyungy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관 및 대학생들이 대학생 인문역량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문항 개발 단계에 앞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대학생 핵심역량들의 개념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대학생 인문역량과 그 하위요인들을 정의하고, 이를 기초로 62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C대학교를 중심으로 학부 재학생 426명이 참여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 수정 과정을 통해 30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예비조사에서 구성된 30개 문항에 대한 타당화를 위해 64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다음,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합치도를 통한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확정된 문항의 양호도를 확인하였다. 공인타당도 확보를 위해 추가적으로 1,237명에게 대학생 역량평가를 실시한 뒤, 학생들의 대학생 핵심역량 평가 점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문역량 평가도구의 학생 전공별 점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도구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인문역량 평가도구에서 정의된 총 3개 요인인 성찰역량, 심미역량, 리터러시역량의 구성 요인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3개 요인으로 구성된 30개 문항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양호하며 구성타당도는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뢰도 계수는 .96으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모든 부합도 지수들이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스스로 본인의 인문역량 수준을 스스로 측정해볼 수 있도록 개발된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는 분석 결과를 통해 타당한 평가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타당화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가 지니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assessment tools for self-evaluating Humanities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Prior to the questionnaires development stage, 62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humanities competencies and their sub-factors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concepts of the core competencies already in use.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involving 426 undergraduate students at C University, 30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odifying proc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640 people to make the 30 question items constructed from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final questionnaires were final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rinsic consistency coefficients(Cronbach s α),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the final survey with 30 items was administered to 1,237 undergraduates and correl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Evidence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valid constructs with acceptable every fit indices. Results from reliabilities test were satisfactory. Also, good concurrent validity was shown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developed self-evaluating humanities competency and core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A total of three factors defined in the humanities competency assessment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ere found to be reasonable: reflection competence, aesthetic competence, and literacy competence. The reliability of the 30 statements was very good and the construct validity was satisfactory. The overal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96, and the conformit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fit indices were very good. The self-evaluating humanities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to allow students to measure their level of humanities on their own, was proved to be a valid evaluation tool for assessmen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코로나19 기간 대학생의 자아개념 제고에 관한 이론적 고찰

        장한 ( Han Zhang ),김경이 ( Kyungyee Kim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동안 대학생들의 자아개념의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에 의해 영향을 받은 자아개념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접근과 문헌을 검토하는 질적연구방식을 사용하였다. 연구 내용: 자가격리, 봉쇄, 바이러스 위협 등 비정상적인 조치들에 의해 영향을 받은 자아개념의 변화에 대해 검토하며, 사회적 동조화로서의 집단적 대응들을 상술하였다. 특히 자기인식은 개인을 둘러싼 세상과의 경험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회동조이론에 따르면, 집단적 대응에 익숙해진다면 팬데믹으로 인한 자아개념의 부정적 변화를 완화할 수 있다. 결론 및 제언: 결론적으로, 전례 없는 코로나팬데믹으로 인한 대학생들의 자아개념에 대한 위협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인적 노력뿐만 아니라 집단적 대응에 동조하려는 자세를 통해 자아개념을 굳건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elf-concept of college students amidst the COVID-19 Pandemic. It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ith literature analysis to examine the various academic approaches toward self-concept in the face of the Pandemic. It provided the effects to self-concept caused by abnormal measures like self-isolation, lockdown, & viral threat during the Pandemic and elaborate on the collective responses as social identification. According especially to the social identity theory, which means self-knowledge is dependent on our experience of the world around us, if students have proper coping mechanisms like collective responses to handle such threats to the self- concept, the impact to their self-concept from the Pandemic may not be negative. Conclusively, It is important to make some efforts of collective responses as well as personal ones to overcome the unprecedented threats of Covid-19.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수업 우수 사례 연구

        민혜리 ( Hyeree Min ),김경이 ( Kyungyee Kim ),남민우 ( Minwoo Na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전면적으로 도입된 온라인수업에서 우수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이들 수업의 공통요소와 향후 비대면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수사례는 온라인수업방식,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동기부여, 성과의 4개 영역으로 나누어 그 특성을 검토하고, 각 영역별 특성을 전공계열별로 나누어 차이점 및 공통점을 검토하였다. 우수한 온라인수업에서는 많이 활용되는 온라인 상호작용은 LMS 활용, SNS 활용, 온라인 그룹활동, 실시간 토론, 교육용 앱과 협업 도구 활용의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학습동기부여영역에서는 참여유도형 학습 활동, 지속적인 교수자 모니터링 및 피드백, 강의 관련 다양한 콘텐츠 활용, 상세한 학습활동 안내의 순으로 활용하였다. 우수 사례들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평가된 요소는 1) 학습자의 이해도를 확보하는 온라인 강의 2) 실재감 높은 강의 콘텐츠 제작 3) 적극적인 온라인 상황에서의 상호작용 4) 다양한 에듀테크 활용 5) 온라인학습관리시스템(LMS)의 적극적 활용 6) 학습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과 피드백 강화가 제시되어 이 점이 향후 온라인수업의 개선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and analyze best practices in online classes that were fully introduced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derive common elements of these classes and measur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future. Best practices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online teaching method, online intera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by major category to examin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line interaction was found to be widely used in the order of LMS utilization, SNS utilization, online group activities, real-time discussion, and educational app and collaboration tool utilization. In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tion-inducing learning activities, continuous monitoring and feedback of instructors, the use of various contents related to lectures, and detailed learning activities were used in the order. Factors commonly evaluated as important in best practices were 1) Online lectures to secure learners' understanding 2) Production of realistic lecture contents 3) Interaction in active online situations 4) Use of various edutech 5) Continuous monitoring and reinforcement of feedback o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 This point was found to suggest an important direction for future online class impr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내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터와 학습자의 학업역량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안현아(Ahn, Hyunah),박영신(Park, Youngshin),김경이(Kim, Kyungy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는 대학생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업역량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3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C대학교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438명의 학생들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튜터링 시작 전과 종료 후 총 2회에 걸쳐 학업역량과 핵심역량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튜터와 학습자들의 역량 점수 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동료 튜터링은 대학생의 학업역량과 핵심역 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튜터와 학습자의 학업역량 변화 양상은 상이 하게 나타났다. 튜터는 튜터링 활동을 통해 학습전략과 메타인지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학습자는 학업성취도(GPA)와 학업몰입도, 메타인지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료 튜터링은 튜터와 학습자 모두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튜터링 활동은 튜터와 학습자의 문제해결역량과 학문역량을 향상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에서 교과목 보충학습을 위해 진행되는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뿐 아니라 역량 향상에도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튜터링 활동은 참여 학습자뿐 아니라 튜터의 역량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들의 역량 향상을 위한 노력으로 대학 내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se and evaluate the effect of peer tutoring program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competency and core competency. Total 438 students which enrolled in 2017 peer tutoring program participated in survey research. The methodology for analysis was to compare the change of both students’ learning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learning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at posttest have been enhanced in comparison to a pretest. In addition,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differed in students’ role on tutoring program. Students as a tutor showed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trategies and meta-cognition. Students as a learner presented with the facilit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learning engagement and meta-cogn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er tutoring program have beneficial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for both tutors and learners.

      • KCI등재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유형이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안현아(Ahn, Hyunah),박영신(Park, Youngshin),김경이(Kim, Kyungyee),장미숙(Jang, Mi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대학생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형태가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진행되었다. C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튜터링 프로그램에 2014년 1학기부터 2015년 2학기까지 참여한 886명 학생들의 자료가 조사 분석에 포함되 었다. 두 형태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튜터링 참여 전과 후의 학업성취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체 학생들의 과목 평점평균(GPA) 분석 결과, 프로그램을 통해 튜터링을 받은 교과목은 본인의 다른 수강과목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의 학기 평점은 튜터링 프로그램을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성적 향상 추이는 성별과 전공 및 학년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형태에 따라 학생들의 성적 향상 추이 역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교과목에 대한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으로 보충학습을 지원하는 경우, 학생 특성과 튜터링의 형태를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se and evaluate the effect of types of peer tutoring program on academic achievement in subjects. Total 886 students from 2014 to 2015 were involved with analysis. The methodology for analysis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self-directed tutoring and collaborative tutoring before and after tutoring program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for tutoring subjects in tests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rest of subjects compared with students’ personal GPA. Seco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ere facilitated after peer tutoring program. In addition, the effect of peer tutoring program differed in students’ gender, majors, and grades. And types of peer tutoring resulted in differential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er tutoring program have an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college should consider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utoring.

      • KCI등재

        대학의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양시윤(Yang, Siyun),박영신(Park, Youngshin),장미숙(Jang, Misuk),안현아(Ahn, Hyunah),김경이(Kim, Kyungy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행되는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핵심역량과 학업역량에 어떤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C대학교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586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실시한 핵심역량과 학업역량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역량 점수 변화를 비교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공동체 참여한 학생들의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업 역량은 활동 시작시점에 비해 활동 종료시점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양상은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전문가 역량을 비롯한 대학생 핵심역량 점수들은 협동학습이나 현장탐구를 목적으로 구성된 팀에 비해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한 팀에게서 두드러진 상승 결과가 나타난 반면, 메타인지, 학습전략, 학업동기 및 학업몰입과 같은 학업역량 점수들은 학습공동체의 활동 내용과는 무관하게 모두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자 율적으로 구성되는 대학의 학습공동체 활동이 대학생들의 다양한 역량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시켜 주었다. 더불어 이러한 결과가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하였는데, 학습공동체 활동의 학습 목표를 구 체적으로 설정할수록 학생들의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ies on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y and learning competency. Total 586 students from 23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survey research in 2017. The methodology for analysis was to compare the change of both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learning competenci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cross type of activ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core competencies and learning competencies in post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retest. Second, the type of learning activity had an influenced differentially on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learning competencies. The benefits of learning community with student’s core competency were greater in students’ teams in research development and field search than ones in collaborative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benefits with learning competency has revealed evenly with no respect to types of activities. Educational implication of learning community in college was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영신(Youngshin Park),안현아(Hyunah Ahn),장미숙(Misuk Jang),양길석(Gilseok Yang),김경이(Kyungyee K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관과 대학생들이 대학생 핵심역량을 손쉽게 자기-평가할 수 있는 척도의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정의되고 있는 대학생 핵심 역량을 구성요인으로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95개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C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학생 2,677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한 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1개 문항으로 구성된 1차 본검사 문항을 확정하여 1,625명을 대상으로 역량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선정된 문항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본검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최종 본검사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내적합치도를 통해 신뢰도를 산출하여 최종 검사의 양호도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공인 타당도 확보를 위해 본조사에 응했던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K-CESA를 실시한 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평가도구에서 정의된 총 4개 요인인 문제해결역량, 인성윤리역량, 세계시민역량, 학문 역량의 구성요인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4개 요인으로 구성된 41개 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뢰도 계수는 .94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적합도 검증 결과 모든 부합도 지수들 역시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본인의 핵심역량 수준을 스스로 측정해 볼 수 있도록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는 타당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타당화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측정도구가 갖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evaluating Core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Ninety-five preliminary items that represented the four sub-components(problem solving competency, moral competency, learning competency, and global competency)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experts research and consulting. A preliminary survey was administered to 2677 college students and an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termined on 51 items. A main survey with 51 items was administered to 1625 college students. Based on preliminary analysi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alize items. Total 41 items for the scale were extra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scale were tested for developed 41 item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s conducted. Reliability of items were verified by intrinsic consistency coefficients( Cronbach s α) . And also correlational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rom reliabilities test were satisfactory. Evidence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valid constructs with acceptable every fit indices. Also, good concurrent validity wes shown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developed self-evaluating core competency assessment and K-CESA scales. The core competency scale for college was composed of four factors including problem-solving competency, moral competency, global competency, and learning competen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results.

      • KCI등재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전문가 역량 및 학교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미숙(Jang Misuk),박영신(Park Youngshin),안현아(Ahn Hyunah),김경이(Kim Kyungy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본 연구는 다양한 주제와 분야의 학습활동을 목적으로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구성된 학습공동체가 대학생들의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C대학교에서 2016년에 5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참여 학생 79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 학생들에게 2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업역량, 전문가 역량, 그리고 학교태도를 측정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점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제와 활동목적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학습공동체에 참여했던 학생들은 활동 초반보다 활동 종료 시점에 전문가 역량이 향상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 역시 활동 초반 보다 활동 종료 시점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학생들의 이러한 전문가 역량 향상 결과는 학생의 개인 역량 수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역량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 학생들이 높은 역량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 학생들 보다 전문가 역량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에서도 동일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업 내 활동이나 단일한 목적을 위해 구성된 학습공동체가 아닌 다양한 목적을 위해 구성된 이질적인 학습공동체들도 공동체 활동만으로도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전문가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런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은 학생 개인뿐만이 아니라 학교 조직에 대한 인식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se and evaluate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ies on college students’ professional competence. Total 792 students participated in survey research in 2016 learning community program at ‘C’ University. The methodology for analysis was to compare the change of professional compet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 post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retest. Second, the attitudes for college were progressed toward positive side at the end of program. Finally,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program differed in students’ gender, level of students’ competences. Female students showed the result of more improvement than male students through activity on learning community. And students in lower competency group had improved more than higher group students in professional competence. In addition, the patterns of attitudes for college results were identic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rning community in college have an beneficial influence on student’s competence as well as attitudes for college.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